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古代 이름에 대한 考察

        김강산(Kim, Gang-san)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8 아시아강원민속 Vol.30 No.-

        고대의 국명(國名), 지명(地名), 인명(人名) 등이 현재까지도 전해지고 있으나, 그 뜻을 모른 채 사용하고 있다. 특히 당시에 문자(文字)가 없었기에 중국의 한자를 빌려 뜻으로 변형시키거나, 소리 나는 데로 표기(表記)하였다. 신라(新羅)의 설총(薛聰)은 이두문(吏讀文)을 만들어 한자를 빌어 우리말을 표기하고자 하였다. 중국과 우리는 언어체계가 다르다. 우리나라와 일본, 그리고 몽골 등은 언어체계가 비슷하나, 중국은 오히려 영어권과 흡사하다. 고대 우리나라는 고유의 언어체계가 있었을 것이고, 한자를 빌려 표기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언어체계를 모르는 중국인들은 자의적(自意的)으로 뜻을 부여하거나 또는 원래의 뜻과 다르게 표기하였다. 그것이 현재에 전해지고 있다. 이 글은 고대 국가 이름이나 땅 이름, 사람의 이름에 숨은 뜻을 밝혀 우리말의 본래 어원(語源)을 찾고자 시작하였다. 우리의 조상들은 태양숭배(太陽崇拜)사상이 있어서 나라이름이나 인명(人名), 지명(地名) 등에 ‘해’를 넣기를 좋아했다. 해는 만물의 생장(生長)에 필수적인 존재이고 온 세상을 밝게 비추어 어두움을 사라지게 하므로 진작부터 종교적 대상이 되었다. 그러므로 고대(古代)로 올라갈수록 ‘해’는 종교적 숭배의 대상이 되었고 권위의 상징이 되었다. 특히 지형적으로 해가 뜨는 동쪽에 위치한 우리나라를 감안하면 ‘해’를 나라의 상징으로 삼고 지명이나 사람 이름에 ‘해’를 넣은 것은 어쩌면 자연스런 현상일 것이다. The names of ancient countries, regions, and persons are known to date, but are used without knowledge of their meaning. Particularly, Chinese letters were adopted and altered in a way suited for the meaning in Korean language or written as they sounded because Korea did not have characters at that time. Seolchong of Silla created Idu character, a writing system that represented the Korean language using the Chinese letters. Korea has the linguistic system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Korean, Japanese, and Mongolian languages have similar system, but Chinese linguistic system is rather similar to that of English. Ancient Korea might have its own language system and would have adopted Chinese characters. And the Chinese who did not know the Korean language system assigned the meaning of each word arbitrarily or write the characters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meaning. It has been passed down to the present.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original etymology of Korean language by finding the hidden meaning of names of ancient country, land, and people. Our ancestors liked to add the sun to the name of the country, region, and person as they worshipped the sun. The sun is essential for the growth of all things and brings light to whole world to dispel darkness, and therefore has been the subject of religion since long before. Thus, sun became the subject of religious worship and a symbol of authority in ancient times. Considering that Korea is located in the east where the sun rises topographically, it may be natural for Koreans to use "the sun" as the symbol of the country and insert the "sun" in the names of regions or people.

      • KCI등재

        관동대학살에 대한 조선인들의 인식과 대응 ― 사건 이후 조선에서 결성된 단체를 중심으로 ―

        김강산 ( Kim Gang-san ) 수선사학회 2017 史林 Vol.0 No.6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Koreans` actions against the Kantou Massacre and its characteristics. The Kantou Massacre is the generic term for the Great Earthquake occurred in September 1st, 1923 and the massacre of Koreans carried out thereafter. Related preceding studies revealed Koreans` methods of actions and their outputs, through analyzing the organizations of Koreans formed after the Kantou Massacre. Those studies, however, couldn`t establish how this incident was widely known to general Korean society, the way Koreans tried to intervene in that incident in the process of the spread, and how the intervention differed in the type and characteristic from others. The news about the Kantou Massacre was conveyed to Korean people in time lag. At first, it was mainly about the natural disaster [the earthquake] due to media blackout imposed by the Japanese colonial power. So Korean people`s reaction was also directed toward the disaster. But as the news about the massacre of Koreans had been reported since September 5th, 1923, the reaction of Koreans to the incident had been changed from `the problems of natural disaster` into `ethnic issues`. Immediately after the incident, relief activities were deployed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wo conflicting opinions, however, had emerged on the charity cases since Korean people were informed of the news of the massacre of Koreans. One was `comprehensive relief` that both Koreans and Japanese should be included as the relief cases, and the other was `preferential relief for Koreans` that Koreans should be relieved preferentially. The relief organization of Koreans representing the former was `the Association of Collection of Subscriptions for Relief(義捐金募金助成會)`, and that representing the latter was `the Association of Relief for Korean Victims in Tokyo suffering from Calamities(東京地方罹災朝鮮人救濟會)` Both organizations had different views on the incident. The organization insisting on `comprehensive relief` interpreted this incident as one of natural disasters, urging people to take the lead in relief activities from the standpoint of love for mankind. On the other hand, the organization asserting `preferential relief for Koreans` regarded this incident in terms of nationalistic viewpoints, emphasizing national fraternity. They also differed in their methods of activities because of these differences in viewpoints. While the former actively responded to the relief works l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e latter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relief works preferential to Koreans with the investigation activities of Koreans in the earthquake-ravaged areas. By the way, as the news about the massacre of Koreans spreaded across Korea, and the ethnic conflicts and tensions between Korea and Japan built up,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ctually `broke up` `the Association of Relief for Korean Victims in Tokyo suffering from Calamities`, and `shut out` the Korean intervention in the issue of the massacre of Koreans.

      • 연오랑(延烏郞)과 세오녀(細烏女)가 일본으로 간 까닭

        김강산(Kang-san Kim)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1 아시아강원민속 Vol.25 No.-

        삼국유사(三國遺事) 기이 권제일(紀異卷第一)에 보면 연오랑(延烏郞)과 세오녀(細烏女)에 대한 설화가 실려 있다. 우리나라에서 문헌으로는 유일한 일월신화(日月神話)로 알려진 연오랑과 세오녀에 대한 이야기는 그 구성이 특이하고 전개되는 이야기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이야기가 문헌상 유일한 일월신화라는 데는 모두가 인정하지만 설화의 내용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다. 그러니 어찌하여 연오랑과 세오녀가 일본으로 갔는지에 대해서는 신라인의 일본 이주설이라던가 일본 신화와 연관성 등을 언급하는가 하면 일월신화 자체로만 보는 것 같아 만족할만한 결론에 이를 수 없기에, 연오랑과 세오녀가 일본으로 간 까닭에 대해 다른 각도에서 연구하여 이 설화가 말하고자 하는 숨은 뜻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는 연오랑과 세오녀를 실존 인물로 보지 않고 ‘해의 나라’의 상징으로 보고 연오랑과 세오녀가 일본으로 간 것은 해의 나라를 뜻하는 부상국(技奏國)의 이동으로 보는 것이다. 연오랑과 세오녀가 일본으로 가기 전까지는 우리나라가 부상국이었고 해의 나라였지만, 일월신(日月神)의 화신이라 할 그들이 일본으로 갔다는 것은 부상국의 지위가 더 동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일들은 결론적으로 말해, 연오랑과 세오녀가 일본으로 간 것은 ‘해의 나라’의 지위가 일본으로 넘어간 것을 말하고 세오녀의 비단은 해를 상징하는 물건이기에 그것으로 하늘에 제사지내므로 해서 실제적 ‘해의 나라는 일본으로 갔지만, 신라도 해가 밝게 뜨는 ‘아침의 나라’로 거듭나는 상징적 의식이었다고 보는 것이다.

      • KCI등재

        나노입자가 코팅된 그래핀 기반 수소센서의 제작과 그 특성

        김강산 ( Kang San Kim ),정귀상 ( Gwiy Sang Chung ) 한국센서학회 2012 센서학회지 Vol.21 No.6

        This paper presents the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raphene based hydrogen sensors. Graphene was synthesized by annealing process of Ni/3C-SiC thin films. Graphene was transferred onto oxidized Si substrates for fabrication of chemiresistive type hydrogen sensors. Au electrode on the graphene shows ohmic contact and the resistance is changed with hydrogen concentration. Nanoparticle catalysts of Pd and Pt were decorated. Response factor and response (recovery) time of hydrogen sensors based on the graphene are improved with catalysts. The response factors of pure graphene, Pt and Pd doped graphenes are 0.28, 0.6 and 1.26, respectively, at 50 ppm hydrogen concentr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