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람의 정상 피부세포 및 폐세포의 발암에 미치는 2,3,7,8-tetrachlorodibenzo-ρ -dioxin의 영향

        강미경(Mi Kyung Kang),염태경(Tai Kyung Ryeom),김강련(Kang Ryune Kim),김옥희(Ok Hee Kim),강호일(Hoil Kang)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 2006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Vol.26 No.3

        2,3,7,8-Tetrachlorodibenzo-ρ-dioxin (TCDD) displays high toxicity in animals and has been implicated in human carcinogenesis. Although TCDD is recognized as potent carcinogens,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their role in the tumor promotion and carcinogenesis. It is known that TCDD can increase of cancer risk from various types of tissue by a mechanism possibly involving the aryl hydrocarbon receptor (AhR) activation. In this study, effects of TCDD on cellular proliferation of normal human skin and lung fibroblasts, Detroit551 and WI38 cell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CDD-mediated carcinogenesis, we have investigated process in which expression of Erk1/2, cyclinD1, oncogene such as Ha-ras and c-myc, and their cognate signaling pathway. TCDD that are potent activators of AhR-mediated activity was found to induce significant increase of cytochrome P4501A1 mRNA expression, suggesting a presence of functional AhR. These results support that CYP1A1 enzyme may be involved in the generation of TCDD-induced toxicity. Moreover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phosphorylation and cyclin D1 overexpression are induced by TCDD, which corresponded with the progression of cellular proliferation. However, TCDD did not affected Haras and c-myc mRNA expression. Taken together, it seems that TCDD are could be a part of cellular proliferation in non-tumorigenic normal human cells such as Detroit551 and WI38 cells through the upregulation of MAPKs signaling pathway regulating growth of cell population. Therefore, AhR-activating TCDD could potentially contribute to tumor promotion and Detroit551 and WI38 cells have been used as a detection system of tumorigenic effects of TCDD.

      • KCI등재

        한국인 요추관에 대한 형태계측학적 연구

        김현(KIM Hyeon),강종득(KANG Jong Deuk),우재형(WOO Jae Hyung),김강련(KIM Kang Ryune) 대한체질인류학회 1990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3 No.2

        한국 정상 성인 253명(남자 120명, 여자 138명)을 대상으로하여 요추의 단순 전후면 및 측면 X-선사진에서 척추궁 뿌리사이 거리와 전후경, 그리고 요추관의 형태 및 pedicle index를 측정하여, 연령군별, 성별로 분류하고 그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조사하였으며, 한국성인의 요추관의 해부학적 형태에 관한 통계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한국 정상 성인 남자의 요추의 척추궁뿌리사이 거리는 제1요추에서 23.57mm, 제2요추에서 24.29mm, 제3요추에서 25.36mm, 제4요추에서 27.09mm, 제5요추에서 29.77mm로 각각 측정되었으며, 여성에 있어서는 제1요추에서 22.24mm, 제2요추에서 23.03mm, 제3요추에서 24.11mm. 제4요추에서 25.70mm. 제5요추에서 28.29mm로 각각 측정하였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자에 있어 약간 넓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연령군은 20, 30, 40, 50대로 분류하였는데, 각 연령군에 따른 척추궁뿌리사이 거리의 차이는 유의성이 없었다. 한국 정상 성인 남자의 요추관의 전후경은 제1요추에서 16.60mm, 제2 요추에서 15.62mm, 제3요추에서 15.27mm, 제4요추에서 IS.44mm, 제5 요추에서 13.73nm로 각각 측정되었으며, 여자에 있어서는 제1요추에서 16.07mm, 제2요추에서 16.37mm, 제3요추에서 15.67mm, 제4요추에서 14.49mm, 제5요추에서 14.44mm로 각각 측정하였다. 요추관의 전후경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요추관의 형태의 분류에서 type A는 74.42%, type B는 21.32%, type C는 4.26%로 관찰되었으며, type D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subtype B2는 9.69%, subtype B3는 3.88%, subtype B4는 6.20%, subtype B5는 1.55%로 관찰되었으며, subtype C23는 1.94%, subtype C34는 0.78%, subtype C24는 1.55%로 관찰되어 한국 성인에 있어서는 type A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척추궁뿌리사이 거리와 전후경, 그리고 척추궁뿌리의 크기 및 요추골몸통의 넓이 사이에는 서로 연관성이 없었다.

      • SCOPUSKCI등재

        종양세포(腫瘍細胞)의 염색체(染色體)에 대한 오크라톡신 A의 독성(毒性)에 관한 연구(硏究)

        윤화중,노민희,김강련,Yoon, Wha-jung,Roh, Min-hee,Kim, Kang-ryun 대한수의학회 1989 大韓獸醫學會誌 Vol.29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oxicity of ochratoxin A (OA) to the chromosomes of $K_{562}$ tumor cell-line in vitro.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Chromosomes of $K_{562}$tumor cell-line resulted in pseudotriploidy on the control group. Chromosomes of $K_{562}$ tumor cell-line treated with OA resulted in heteroploid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mean number of chromosomes in the karyotype of the control group (60) were 7 in the A group, 5 in the B group, 20 in the C+X group, 7 in the D group, 9 in the E group, 6 in the F group, and 6 in the G+Y group respectively. The number of chromosomes were increased as follows: Treating with $0.7{\mu}M$ OA, the number of chromosomes were increased one in E and F group, two in G+Y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treated with $1.5{\mu}M$ OA, the increasing number of chromosome was one in E and F group. In treated with $3{\mu}M$ OA, E and F group was increased one and G+Y group were increased two chromosome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in treated with $6{\mu}M$ OA, the number of chromosome in G+Y group was decreased one. 2) $K_{562}$ tumor cell line treated with OA showed Philadelphia-Chromosome in the long arm of the G group karyotype chromosome. The rate of chromosome aberration in $K_{562}$ tumor cell-line treated with OA was 77% in $0.7{\mu}M$ OA group, 71% in $1.5{\mu}M$ OA group, 82% in $3{\mu}M$ OA group and 94% in $6{\mu}M$ OA group respectively. The rate of chromosome aberration of $K_{562}$ tumor cell-line treated with OA was high in the high dose level of OA, and chromosome aberration of $K_{562}$ tumor cell-line treated with OA showed deletion, minute, dicentric-chromosome and translocation in the long arm of the C-group karyotyp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oxicity of OA showed deletion, minute, dicentric-chromosome and translocation in the long arm of the C-group karyotype, and then, the toxicity of OA resulted in the damage to RNA and protein synthesis in $K_{562}$ tumor cell-line, and the C-group karyotype of $K_{562}$ tumor cell-line was target of the toxicity of OA.

      • KCI등재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소비자의 선호도와 구매결정요인

        심은경 ( Eun Kyung Sim ),김강련 ( Kang Ryune Kim ) 한국미용학회 2008 한국미용학회지 Vol.14 No.4

        Cosmeceutical products have come in coping with satisfying the consumer`s desire longing for high quality of having dual cosmetic and therapeutic effects. They are showing high rate of growth over 20~30% a year. So this survey is aimed at preparing fundamental data for the promotion of development and sales marketing of cosmeceutical products, especially in the aspects of consumer`s preference and determinants of purchase of cosmeceutical produ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orkers who prefer cosmeceutical products showed intention of keeping use, and the consumers of over twenty years of age showed positive preference patterns recommending other people to use. In the consumers in junior college education, the brand image mostly affected preference for cosmeceutical products. Furthermore, the determinants of purchase affecting the preference for cosmeceutical products were the price, the brand image, the perceived quality, and the impression on a salesperson in order. But the design of the container didn`t affect the preference. It means that the redesign of the container is needed to differ the products from others. Concretely, the price beside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cosmeceutical products, the impression on a salesperson for consecutive use, the brand image for recommending other people, the perceived quality for effective satisfaction were the principal factors respectively. Conclusively, the important determinants of purchase of cosmeceutical products like appropriate price range with good quality, brand image for positive public relations, the trustworthy impression on a salesperson and the good quality should be managed carefully and paid more attention to. The differentiated and deliberate marketing strategies considering above determinants of purchase based upon the preference of each consumer`s age, job and educational background, are needed for the sales promotion of cosmeceutical products.

      • KCI등재

        Ganglioside 합성 유도제인 L-PDMP는 배양 중인 도파민생성 신경세포에서 α-synuclein의 축적과 세포사를 억제한다

        김민정(Min Jung Kim),양성준(Seong Joon Yang),김강련(Kang-Ryune Kim),김현(Hyun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4 No.2

        Ganglioside은 신경세포의 세포막의 주요 구성 물질이며, 용해소체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세포의 소화기능을 유도한다. 또한 세포자멸사 인자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여 세포자멸사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경세포에서 이 물질의 생성 이상은 파킨슨병과 같은 만성신경퇴화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백질분해소체는 비정상적으로 형성된 단백질을 세포내에서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기능의 이상은 만성신경퇴화질환의 원인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 단백질분해소체 기능의 억제에 의한 도파민생성 신경세포의 변화에 ganglioside 발현 유도 물질 투여가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도파민 생성 신경세포인 PC12 cell을 배양하여 단백질분해소체 억제물질인 PSI (proteasomal synthetase inhibitor)를 투여하였다. 또한 ganglioside3 synthetase 유도물질인 L-PDMP를 동시에 투여하여 세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PSI와 L-PDMP를 동시에 투여한 경우 활성화된 PARP의 발현은 PSI를 단독으로 투여한 세포에 비해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신경세포의 생존율은 증가하였다. 또한 α-synuclein의 세포내 축적 역시 감소하였다. PSI는 ganglioside3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L-PDMP와 동시에 투여한 경우 ganglioside3는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번 실험의 결과는 ganglioside3의 생성을 증가시키면 단백질분해소체 억제로 인하여 증가하는 세포사를 막을 수 있으며, α-synuclein과 같은 파킨슨병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단백질의 세포내 축적을 막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나아가 단백질분해소체의 기능과 ganglioside3의 생성 조절은 파킨슨병과 같은 만성신경퇴화질환의 치료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Gangliosides are components of the membranous constituents and abundant in the nervous system. And they are implicated in a wide range of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the regulation of cell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lysosomal activity. But they have a diverse action to induce neuronal cell death by the interaction with some ligands. The interference of their biosynthesis is accompanied by the intracellular accumulation of unwanted and neurotoxic proteins and might underlie the neurodegeneration diseases including Parkinson’s disease. However the mechanism has not been elucidated. In this study, we report that the enhancement of biosynthesis of ganglioside GD3 protects the intracellular accumulation of α-synuclein and neuronal death. PC12 cells, dopaminergic neurons are cultured with synthetic proteasomal inhibitor (PSI, Z-lle-Glu(OtBu)-Ala-Leu-al) and L-PDMP (GD3 synthetase enhancer, L-threo-1-phenyl-2-decanoylamino-3-morpholino-1-propanol). We found that the neuronal viability was recovered by L-PDMP from the proteasomal inhibition and also the expression of activated caspase-3 and PARP was reduced. L-PDMP decreased in the intracellular accumulation of α-synuclein. Interestingly, PSI induced the expression of ganglioside3 in PC12 cell. Our findings suggest that proteasomal inhibition may modulate the biosynthesis of GD3 and L-PDMP protects dopaminergic neurons from death by proteasomal inhibition and the accumulation of α-synuclein.

      • KCI등재

        한국 성인하악골 이공의 위치에 관한 형태계측학적 연구

        윤경원(YOON Kyung Won),김강련(KIM Kang Ryune),우재형(WOO Jae Hyung),김진정(KIM Jin Jeong),김재봉(KIM Jae Bong) 대한체질인류학회 198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 No.1

        한국 성인의 정상 하악골 114예에서 이공에 대한 해부학적 위치를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 악치에 대한 이공의 상대적인 위치는 이공이 제2소구치의 근연(root edge)에 위치하는 경우(type IV) 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type Ⅲ)와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type V)가 각각 다음 순서를 차지하였다. 제1소구치보다 앞쪽이나 제1 소구치의 근연 및 제1대구치의 근연 뒤쪽 에 위치하는 경우(type I, Ⅱ, Ⅳ)는 관찰 되지 않았다. 2 하악골 체의 상연과 하연으로부터의 거리는 그 비가 약 l.2 : l로서 이공은 하연 쪽으로 치우쳐 있었으며 상연에서 하연까지의 길이는 좌측에서 31.09±2.80mm, 우측에서 30.97±2.48mm 이었다. 3 하악결합에서 이공의 전연까지의 길이는 좌측에서 29.52±2.01mm, 우측에서 30.82±2.04mm이었고, 하악결합에서 하 악치의 후연까지의 길이는 좌측에서 l04.20±4.74mm, 우측에서 105.44± 4.49mm로서 이공은 하악결합에서 하 악치 후연까지 길이의 앞쪽 약 1/4에 위치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4 하악 제2소구치조의 바닥으로부터 이공의 상연까지의 길이는 좌측에서 5.46±3.09mm, 우측에서 5.73±3.03mm로 양의 값을 나타냄으로써 하악 제2소구치조의 근첨(root apex)이 이공의 상연보다 윗 쪽에 존재하였다.

      • KCI등재

        저산소환경이 일차 배양된 대뇌겉질 신경세포의 ubiquitin-proteasome system에 미치는 영향

        양성준(Seong-Jun Yang),김민정(Min-Jung Kim),정호중(Ho-Joong Jeong),김기찬(Ghi-Chan Kim),길영기(Young-Gi Gil),김강련(Kang-Ryune Kim),김현(Hyun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08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1 No.1

        저산소환경에 만성으로 노출된 경우 신경세포는 적응하기 위하여 세포 내의 다양한 신호 경로의 활성화를 통해 반응한다. 그 중 ubiquitin-proteasome system은 세포의 생존을 위한 핵심적인 기전으로 proteasome이 억제될 때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세포 내에 축적되어 세포자멸사와 신경세포의 퇴행이 일어난다. 이번 실험에서 저자들은 ubiquitin-proteasome system을 억제하는 proteasome 억제제와 저산소환경이 일차 배양한 대뇌 겉질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도파민생성 세포에서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저산소환경이나 합성된 억제제인 PSI (Z-lle-Glu(OtBu)-Ala-Leu-al)를 투여한 신경세포의 자멸사는 증가하였으며, PARP와 caspase 3의 활성도 증가하였다. 특히 NF-κB의 발현이 PSI를 처리한 경우와 저산소환경에서 증가하였다. 저산소환경에서 배양한 신경세포에 PSI를 처리한 경우에는 이들 단백질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α-synuclein의 발현 역시 증가하였는데 특히 저산소환경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저산소환경과 proteasome 억제제를 처리했을 경우 신경세포의 자멸사가 증가하였을 뿐 아니라, α-synuclein의 생성 및 NF-κB의 발현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저산소환경이 ubiquitin-proteasome system을 교란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저산소환경이 신경퇴행성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The ubiquitin-proteasome system is crucial in maintaining cellular growth and metabolism. Dysfunction of this system may contribute to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Parkinson’s disease. But its effects on primary neurons are largely unknown.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oteasome inhibitor and hypoxia on primary neuronal cultures to determine whether proteasomal malfunction induces neuronal death. Neuronal apoptosis increased in primary cultured cortical neurons with treatment of proteasomal inhibitor in normoxic condition an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oteasomal inhibitor in hypoxic condition. Also expression of PARP and activated caspase 3 increased. NF-κB, a key transcription factor in this system expression increased in hypoxic condition and proteasomal inhibition. Interestingly, hypoxic condition induced an expression and accumulation of α-synuclein in neuron, one of components of Lewy body in Parkinson’s disease. Our findings determine that hypoxic condition may affect the ubiquitin-proteasome system.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hypoxic condition and proteasomal inhibitors are involved, at least in parts, in neurodegeneration of mouse model for Parkinson’s disease.

      • KCI등재

        발생중 마우스 배자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α와 Epidermal Growth Factor의 발현차이

        길영기(Kil Young Ki),우재형(Woo Jae Hyung),김강련(Kim Kang Ryune),김순옥(Kim Soon O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5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8 No.1

        양생 8일 부터 15일된 마우스 배자에서 TGF α 와 EGF의 분포 차이를 관찰하고자 실험을 시행하였다. 파라핀 포매에 의하여 만든 슬라이드를 TGF α 와 EGF 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TGF α 의 엽색반용은 발생 제9일 마우스 배자에서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 기원의 여러 기관 즉 심장 눈술잔 머리중간엽 신경관 원시장관에서 관찰되었으며 발생 10일에서 15일된 배자에서는 그 염색 저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EGF의 염색반응은 발생 제9일 마우스 배자에서는 중배엽 기원의 심장과 외배엽 기원의 원시장관에서 나타났으나 발생 10일에서 15일된 배자에서는 염색반응의 정도가 낮았다. 심장 발생에 있어 TGF α.는 EGF 보다 더 강력히 관계하였다. 폐 발생에 있어 TGF α의 염색반응은 기관지와 페싹 둘 다 에서 관찰된 반면 EGF는 단지 기관지에서만 염색반응이 나다났다. 신경계 발생에 있어 TGF α는 EGF 보다 더욱 광범위하고 강하게 나타났다. 골격계 발생에서 TGF α는 EGF 에 비하여 더욱 조기에 그리고 더 강하게 나다났다. 이런 결과는 TGF α와 EGF 가 마우스 발생 조절인자로 작용하며 특히 성장 신경계 중간엽 골격계 발생에서 TGF α가 EGF 보다 강하게 작용함을 추적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Ethylene oxide 폭로 근로자들의 신경행동검사

        박강원,김영기,변주현,김진하,이용환,김강련 大韓産業醫學會 1998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0 No.3

        Ethylene oxide is widely used to sterilize heat-sensitive materials in hospital. Previous reports for neurotoxic effects of ethylene oxide have been described in animals and humans. To assess the exposure level and neurobehavioral effect of ethylene oxide,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to 27 nurses from central supply unit at hospital. exposed to ethylene oxide and 32 nurses as reference. Ethylene oxide was collected with using a personal air sampler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for the determination of exposure level. and five items among Neurobehavioral Core Test Battery(NCTB)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including Digit Span, Benton visual retention, Santa Ana dexterity, Digit Symbol and Simple reaction time, were administered to the exposed and reference group. The mean exposure level was 0.63 ppm in the exposed group and six subjects were exposed above the level of 1 ppm, which is currently regula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Labor. The results of neurobehavioral test in the expos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poorer performances in Digit Span forward and backward. Benton visual retention and Simple reaction time, comparing with the reference group. When the exposure level was divided into below and above the level of 1 pp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ormance on Benton visual retentions, Digit Symbol and Simple reaction time. Also, Digit Span forward and backward showed significantly poorer performances below the level of 1 ppm, compared with reference group. Simple reaction time was still significantly delayed by the exposure level after controlling the confounding factors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iodic measurement of ethylene oxide in hospital and health care program is needed.

      • 흉골근의 1예

        김강련 고신대학교 의학부 1992 高神大學校 醫學部 論文集 Vol.8 No.1

        저자는 1991년 고신대학 의학부 해부학실습실에서 인체해부실습 도중 발견된 흉골근에 관해 조사 연구하 결과를 다음과 같이 보고하는 바이다. 1. 흉골근은 우측흉골근과 좌측흉골근으로 구성되었는데 우측흉골근은 외측근복과 내측근복을 가지고 있었다. 2. 우측흉골근의 외측근복과 내측근복이 우측 제3늑연골의 흉골단에서 연결되었다. 3. 오측흉골근의 외측근복은 제7늑연골외측에서 외복사근의 건막에서, 내측근복은 제6늑연골내측에서 복직근초의 전층에서 그리고 좌측흉골근은 제6늑연골외측에서 기시하였다. 4. 이 흉골근의 정지는 흉골병의 전면이었으며 약간 윗지점에서 좌우 상호 교착된 흉쇄유돌근의 건으로부터 이행되어 있었다. 5. 이 흉골근의 흉쇄유돌근의 하방연장이라 생각된다. 6. 이상의 소견을 타 연구자들의 보고와 비교하여 볼 때 지금까지 관찰보고 도지 않은 새로은 형태의 흉골그이라 생각한다. This paper is based upon the record of the disection from the anatomical laboratory of the medical collage in 1992. The cadaver including a sternal muscle is an adult female Krean. The observing data were as follows : 1. This sternal muscle is composed of the right and left sternal muscles, and the right sternal muscle has lateral and medial bellies. 2. The right sternal muscle conjoined with right and left bellies at the level of the 3rd costal cartilage. 3. The origin of the sternal muscle was variable. 4. The right sternal muscle took origin from the apponeurosis of the external oblique muscle at the level of the 7th costal cartilage and anterior layer of rectus sheath at the level of the 6th costal cartilage and in case of left, originated from pectoral fascia at the level of the 6th costal cartilage. 5. The sternal muscle was inserted on the anterior surface of the manubrium sterni. 6. They arose from the tendon of the opposite sternocleidomastoid muscles on the anterior surface of the manubrium sterni. 7. This sternal muscle might be the inferior extention of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8. The sternal muscle of this case was discussed with other re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