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례 : 만성중이염에서 기원한 폐렴막대균(Klebsiella pneumoniae)에 의한 괴사성 근막염 1예

        김병국 ( Byung Kook Kim ),이정현 ( Jung Hyun Lee ),이승준 ( Seoung Joon Lee ),기현균 ( Hyun Kyun Ki ),송기호 ( Kee Ho Song ),김동림 ( Dong Lim Kim ),김숙경 ( Suk Kyeong Kim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6

        저자들은 당뇨병과 알코올성 간경변이 있는 45세 남자 환자에서 원발병소가 K. pneumoniae 만성중이염이고 속발된 세균혈증으로 인한 K. pneumoniae 괴사성 근막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Necrotizing fasciitis is a relatively uncommon infectious disorder where a bacterial organism penetrates the subcutaneous tissues and superficial fascia, ultimately causing necrosis of vast areas of soft tissue. Although invasive Streptococcus spp., most commonly group-A streptococci, is the most frequent cause of this disorder, in a single organism-infection, necrotizing fasciits caused by Klebseilla pneumoniae is becoming more frequently reported, perhaps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diabetes and liver diseases. Necrotizing fasciitis caused by K. pneumoniae is usually secondary to hematogenous dissemination, most commonly caused by trauma or liver abscess and usually results in multiple organ failure. The progression of the disease is so rapid that the mortality rate is high despite aggressive surgical intervention and extensive use of antibiotics at an early disease stage. Here we report a case of necrotizing fasciitis caused by hematogenously spread K. pneumoniae from incompletely treated chronic otitis media in a patient with alcoholic liver cirrhosis and diabetes. (Korean J Med 72:689-695, 2007)

      • KCI등재

        펜타미딘으로 치료 받은 후천성 면역 결핍증 환자에서 발생한 저혈당 1예

        송기호 ( Kee Ho Song ),황용 ( Yong Hwang ),최홍석 ( Hong Seok Choi ),기현균 ( Hyun Kyun Ki ),정혜숙 ( Hae Suk Cheong ),서정웅 ( Jung Woong Seo ),정현아 ( Hyun Ah Chung )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3 No.5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TMX-SMZ) is the initial treatment for Pneumocystis jiroveci pneumonia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patients. About 20% of patients do not complete the TMX-SMZ treatment due to treatment failure or adverse reactions. Pentamidine isethionate has been used for P. jiroveci pneumonia as a second-line regimen. Although hypoglycemia is a common adverse effect of pentamidine, pentamidine-induced hypoglycemia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We present an HIV patient with grand mal seizures caused by pentamidine-induced hypoglycemia who was managed successfully with IV dextrose infusion. Mental changes can occur during pentamidine treatment, but hypoglycemia is often ignored and misdiagnosed as epilepsy or stroke. It can result in seizures, coma, and even death. We should be aware of pentamidine-induced hypoglycemia, which can lead to severe neurologic deficits and diabetes mellitus. (Korean J Med 2012;83:679-682)

      • KCI등재

        증례 : 감염 ; Haemophilus aphrophilus에 의한 감염성 심내막염 1예

        장윤미 ( Yun Mi Jang ),기세윤 ( Sae Yoon Kee ),김범성 ( Bum Sung Kim ),김영백 ( Young Baek Kim ),안수영 ( Su Young Ahn ),최용훈 ( Yong Hoon Choi ),기현균 ( Hyun Kyun Ki )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지 Vol.78 No.2

        Haemophilus aphrophilus에 의한 심내막염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다른 병원체에 비해 합병증이 흔하고 사망률 또한 높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Haemophilus aphrophilus에 의한 감염심내막염은 3예밖에 보고된 바가 없으며 모두 수술적 치료를 병행하였다. 저자들은 61세 여자 환자에서 6주간의 항생제 치료만으로 뇌색전증을 동반한 Haemophilus aphrophilus에 의한 감염심내막염을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 Haemophilus aphrophilus, a fastidious, gram-negative oropharyngeal species grouped as a HACEK organism, is a rare cause of infective endocarditis. Three cases of endocarditis with Haemophilus aphrophilus were reported in Korea, and all of them required val

      • KCI등재후보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 환자에서 감염증의 양상에 대한 고찰

        이지영 ( Ji Young Rhee ),장은희 ( Eun Hee Jang ),김승태 ( Seung Tai Kim ),위유미 ( Yu Mi Wi ),손경목 ( Kyong Mok Son ),정혜숙 ( Hae Suk Cheong ),기현균 ( Hyun Kyun Ki ),오원섭 ( Won Sup Oh ),김기현 ( Ki Hyun Kim ),정철원 ( Chul Wo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2

        목적: 조혈 모세포 이식을 받은 환자의 감염증의 양상을 분석하고, 감염증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과 사망률에 대한 위험인자의 예측 근거를 제시 하고자 한다. 방법: 1996년 2월에서 2003년 10월까지 본원에서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총 139명의 환자들이 조혈 모세포 이식을 시행 받았으며, 연령의 중앙값은 33.9세였고 추적관찰기간의 중앙값은 18.8개월이었으며, 감염성 합병증의 평균 발생빈도는 3.24±3.00회/인이었다. 총 450회의 감염증이 관찰되었고, 이 중 미생물학적으로 확인된 감염이 41.6%였으며 임상적으로 확인된 감염증은 34.0%, 불명열이 24.4%를 차지하였다. 감염성 합병증은 대부분 조기 회복기에 발생하였으며 전체의 39.6%가 이 시기에 발생하였고, 만기 회복기, 중간 회복기 순으로 각각 32.4%, 24.4%를 차지하였다. 미생물학적으로 확인된 감염의 187개의 사례 중에 세균감염이 94회였고,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가 15회로 가장 많이 분리되는 균종이었다. 미생물학적으로 확인된 감염 중 바이러스 감염은 78회로 41.7%를 차지하였으며, CMV감염증이 가장 많았다. 진균의 경우 전체 미생물학적으로 확인된 감염 중 7.5%를 차지하였으며, 이 중 Aspergillus spp.가 가장 많았다. 감염과 연관되어 사망한자 19명 중 12명(63.2%)이 만기회복기에 발생하였다. 감염성 사망률에 대한 위험요인으로는 기저 질환의 위험도, 호중구 감소 기간, 조혈 모세포 생착 실패, 급성/만성 이식 편대 숙주 반응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왔다(p<0.05). 결론: 급성/만성 이식 편대 숙주 반응과 연관하여 높은 감염성 사망률을 보였으며, 이는 특히 후기 감염과 연관된다. 또한, 진균감염 특히, candida 감염증의 빈도가 낮은 병원에서는 fluconazole 예방적 사용의 임상적 효과는 분명치 않다. Background: We wan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fectious complications on the outcome of patients who received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and we determined the risk factors for predicting infectious complication and the mortality in allogeneic HSCT recipients. Methods: We enrolled all the patients who underwent allogeneic HSCT at Samsung Medical Center from February 1996 to October 2003. Results: A total of 139 patients were enrolled. A total of 450 infectious episodes were observed in 131 allogeneic recipients (90.8%). Infectious complications occurred in the allogeneic recipients [3.243.00 episodes/patient]. Microbiologically documented infection (MDI), clinically documented infection (CDI), and unknown fever (UF) accounted for 41.6%, 34.0% and 24.4%, respectively, of the total infections. Pneumonia (15.1%) was the most common infection. Among the 187 MDIs, bacterial infection, viral infection and fungal infection accounted for 50.3%, 39.6%, and 7.5%, respectively. Twelve of 24 deaths in the late post-transplantation period were related with infectio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infection related to mortality, by multivariate analysis, were the underlying disease risk, the duration of neutropenia, the failure of stem cell engraftment, acute GVHD, MDI, UF, the number of infectious episodes, bacteremia, fungemia, pneumonia, genitourinary tract infections, S. aureus, E. coli, Pseudomonas spp., Aspergillus spp., Non-albicans candida and CMV diseases. Conclusions: The incidence of fungal infections was still low in our institute, even though prophylaxis for fungal infections was not applied, except for gargling with nystatin. In addition, most of them were non-albican Candida and Aspergillus species. Therefore, routine fluconazole prophylaxis may not be needed in our institute. (Korean J Med 72:200-208, 2007)

      • KCI등재

        인조혈관 동정맥루 감염에 동반된 다발성 전이성 감염

        조영일 ( Young Il Jo ),윤선웅 ( Seon Ung Yun ),최혜진 ( Hae Jin Choi ),김소영 ( So Young Kim ),최혜진 ( Hye Jin Choi ),박현식 ( Hyun Sik Park ),배병주 ( Byeong Ju Bae ),기현균 ( Hyun Kyun Ki ) 대한신장학회 2010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9 No.6

        Purpose: Arteriovenous vascular access infection associated with S. aureus bacteremia may cause metastatic complications, which relate to a poor outcome especially if proper diagnosis and treatment are delayed. We report a case of a 61-year-old male patient on maintenance hemodialysis who developed multiple metastatic infections associated with arteriovenous graft infection caused b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t 7th hospital day, multiple metastatic infections, including osteomyelitis of clavicle, vertebral osteomyelitis, and tendinitis of the 5th finger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were diagnosed by CT of chest, ultrasonography of hands, and whole body bone scan. Infected arteriovenous graft was removed and antibiotics was administrated for 18 weeks. Thereafter, MRSA bacteremia and clinical symptoms and signs related to metastatic infections were improved.

      • KCI등재후보

        두 개 학교에서 동시에 발생한 SRSV 감염증의 역학적 양상 및 바이러스의 유전적 양상

        기현균,정영화,정재근,서진종,김선희,기혜영,천두성,지영미,하동룡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2

        배경 : SRSV는 바이러스에 의한 설사의 주요 원인병원체이다. 그러나 SRSV가 집단 식중독의 원인 병원체로 발견된 경우는 많지 않으며 특히 일정한 지역사회 내에서의 바이러스의 유전적인 다양성에 대한 연구는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저자 등은 2개 학교에서 같은 시기에 동시에 발생한 SRSV 식중독의 역학적인 양상을 기술하며 식중독에서 나타난 SRSV의 유전학적인 변이를 기술하고자 한다. 방법 : 학교에서의 조사를 위하여 집단 식중독이 발생한 두 학교의 학생을 면접하여 인구학적 자료, 증상여부 및 증상의 종류, 섭취한 음식의 종류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미생물학적 검사를 위하여 4종의 세균과(Shigella spp. Salmonella spp. E. coli O157 : H7) 3종의 바이러스에 대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Norwalk agent, SRSV, adenovirus, and astrovirus). 결과 : 조사결과 두 학교에서의 증상자 수는 193명이었으며(193/2,843. 6.8%) 환자 증상일의 분포곡선은 단일정점을 보이는 양상이었다. 나타난 증상으로는 복통(176/193, 91.2%), 두통(111/193, 57.5%), 구토(102/193, 52.8%), 설사(83/193, 43.0%), 열감(79/193, 40.9%), 오심(73/193, 37.8%), 오한(49/193, 25.4%), 후중기의 순이었다(8/193, 4.1%). 실험실 검사결과 9건의 검체에서 SRSV가 PCR로 확인되었으며 RNA polymerase에 대한 DNA sequencing 결과 두 학교에서 각각 2개의 genogroup (Genogroup Ⅰ, Ⅱ)과 3개의 genotype이 발견되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 두 학교에서 동시에 발생한 SRSV에 의한 집단 감염증을 확인하였으며 3개의 다른 genotype을 각각의 학교에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같은 시기에 집단으로 발생한 SRSV 감염증이라도 서로 다른 유전형이 발견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으며 추후 지역사회 및 국내에서의 SRSV 감염증에서 발견된 유전형과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하는데 있다. Background: Small round structured virus (SRSV) is one of the common etiologic agents of viral gastroenteritis in childhood. However, SRSV has not easily been detected in many diarrheal outbreaks. Therefore, we experienced simultaneous outbreak of SRSV enteritis in two elementary schools, therefore, we analyzed the result of the surveillance. Methods: We interviewed the pupil of two schools and questioned their demographic data, presence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contact with symptomatic persons within the last two weeks, and dietary history within the last one week in school. The specimens of the symptomatic pupil were collected for identification of bacteria (Shigella spp, Salmonella spp, E.coli O157:H7) and viruses (Norwalk agent, SRSV, adenovirus, and astrovirus). Results: The number of symptomatic patients was 193 (193/2843, 6.8%) and the distribution of symptom onset was unipolar. Frequent symptoms of the patients were abdominal pain (176/193, 91.2%), headache (111/193, 57.5%), vomiting (102/193, 52.8%), diarrhea (83/ 193, 43.0%), febrile sense (79/193, 40.9%), nausea (73/193, 37.8%), chilling (49/193, 25.4%), and tenesmus (8/193, 4.1%). We identified SRSV in 9 cases by PCR method, and analyzed the RNA polymerase gene by DNA sequencing; 2 genogroup (Genogroup Ⅰ, Ⅱ) and 3 genotype. Conclusion: We confirmed SRSV enteritis with different genotypes in two concurrent outbreaks. DNA sequencing and comparison of genotype among the isolated SRSV in near future are be necessary

      • KCI등재후보

        국내 대학병원에서 정주용 Ciprofloxacin 사용의 적정성 평가

        김신우,박효정,오원섭,김연숙,장현하,정숙인,정두련,이혁,염준섭,기현균,손준성,백경란,우건조,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6

        목적 : 국내 병원에서의 정주 ciprofloxacin 사용의 적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3년 9월 25일부터 8개의 대학병원에서 정주 ciprofloxacin을 받았던 290명의 연속적으로 모집한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약제사용 평가(DUE)를 전향적으로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DUE 기준은 미국병원약사회의 기준을 국내 실정에 맡게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1) 사용의 정당성에 관한 항목, 2) 사용 시 준수되거나 시행되어야 할 사항에 대한 항목, 3) 부작용에 대한 항목, 4) 치료 효과에 대한 항목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결과 : 환자의 평균 나이는 54세였다. 33예(26.9%)에서만 약제 사용의 적정성 측면에서 기준을 만족하였고 91예(73.1%)에서는 사용이 적절하지 않았다. 정주 cipro-floxacin의 부적절한 사용의 흔한 원인은 수술 전후의 예방약 사용, 비뇨기계 처치 전의 예방적 사용, 열성 질환에 대한 경험적 사용 등의 순이었다. 사용 시 준수사항 의 측면에서는 사용 전 배양검사(73.8%)와 사용 중 배양검사(68.6%)가 낮은 수행 정도를 보였으나 그 외는 비교적 높은 적정성(82.4-100%)을 보여주었다. 정주 ciprofloxacin사용의 합병증은 드물었다. 치료 효과의 면에서 치료반응은 93.3%였다. 결론 : 약제 사용의 정당성 기준에 따른 정주 cipro-floxacin의 부적절한 사용은 연구에 포함된 대학병원에서 매우 흔하였다(73.1%). 그러므로 적절한 항생제 사용에 대한 교육과 제도적 장치가 매우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Background :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intravenous (IV) ciprofloxacin usage in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We prospectively evaluated the appropriateness of drug usage in 290 consecutive adult patients who received IV ciprofloxacin in eight teaching hospitals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25, 2003 to November 15, 2003. Drug use evaluation (DUE)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modified standard by the American Society of Hospital Pharmacy with regard to the justification of drug use, critical and process indications, complications, and outcome measures. Results :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54 years. The use of IV ciprofloxacin was appropriate only in 33 cases (26.9%). Common reasons for inappropriate use of IV ciprofloxacin include perioperative uses or prophylactic injection before urologic procedures, and empirical therapy for febrile episodes. Most of the "critical indications" and "process indications" showed high rate of appropriateness (82.4-100%). However, the rate of taking culture and sensitivity test before (73.8%) and during ciprofloxacin use (68.6%) were low. Complications with ciprofloxacin use were rare. In 93.3% of cases, ciprofloxacin treatment was clinically effective. Conclusion : Use of intravenous ciprofloxacin is frequently inappropriate in tertiary care hospitals in Korea. Implementation of education program and antibiotic control system is critical in improving the appropriateness of antimicrobial use.

      • 한국인에서의 mefloquine(Lariam^�)내약성에 관한 연구

        기현균,김연숙,정숙인,김춘관,김신우,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3

        목적 : Mefliquine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말라리아의 화학적 예방약이지만 경련, 정신병 증상 등의 심각한 신경학적 부작용을 포함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인종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mefloquine에 대한 내약성에 관한 구체적인 자료가 없다. 이에 저자 등은 한국인에서의 mefloquine의 내약성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방법 : 1997년 6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여행의학 클리닉에 내원한 총 180명의 열대열 말라리아 위험지역으로 여행하고자 하는 여행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여행 1주전부터 귀국 후 4주까지 mefloquine을 주 1회 복용하였다. 이들에게 여행자 수첩을 배부하고 약제 복용 후 발생한 증상을 기록하도록 하였고 동시에 여행자들에 대한 전향적 관찰 및 병록지 검토를 시행하였으며 귀국 후 3개월째 전화조사를 시행하여 mefloquine복용 당시의 부작용과 동반증상 여부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성적 : 총 180명의 여행자가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이중 166명에 대하여 평가를 시행하였다(166/180, 92.2%). 연구대상 중 남자가 104명(104/166, 62.7%), 여자가 62명이었고(62/166, 37.3%) 평균연령은 36.4세였다(36.4±15.2). Mefloquine은 평균 6주간 투여하였다. 평가에 포함된 여행자 166명 중 4명에서 부작용이 나타났으며(2.4%) 부작용 발현건수는 6건이었다(3.6%). 나타난 부작용은 현기증이 2건(1.2%), 비정상적인 꿈, 수면장애, 기분저하, 발열이 각각 1건씩 발생하였다. 이중 증상과 약제와의 관련성이 있는 경우는 1명에서만 나타났으며(0.6%) 투약을 중지한 후 증상이 소실되었다. 나머지 3명의 여행자는 모두 mefloquine을 처음 복용할 당시에 일시적인 증상이 있었으나 부작용과의 인과관계는 확실하지 않았고 증상은 곧 소실되었다. 연구대상 환자 중 말라리아가 발병한 증례는 없어 100%의 예방효과를 보였다. 결론 : 총 166명의 연구대상 중에서 mefloquine에 대한 내약성이 불량한 경우는 1예 였으며(0.6%), 심각한 신경학적, 정신과적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 여행객들의 mefloquine에 대한 내약성이 우수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 Mefloquine is the most commonly used chemoprophylactic agent against malaria. Many kinds of adverse reactions of mefloquine including neuropsychiatric adverse reactions, have been reported.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incidence of mefloquine-related adverse reactions may be different among the races. Since data on Korean people are not available,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of mefloquine-related adverse reactions in Korean travelers prospectively. Methods : We gave a notebook to each visitor to Travel Medicine Clinic of the Samsung Medical Center, who had a plan to take a trip to the endemic area of malaria by Plasmodium falciparum. The study duration was from June 1997 to April 1999. They took mefloquine weekly from I week before the trip to 4 weeks after the trip. They wrote any adverse reactions on the notebooks by themselves. We surveyed the travelers by clinical observation,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and telephone interview at 3 months after the trip. Results : One hundred eighty travele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166 of them were evaluable (166/180. 92.2%). One hundren four travelers were male (104/166, 62.7%). The mean age of travelers were 36.4 years (36.4±15.2 years). The median duration of chemoprophylaxis were 6 weeks. Four of the enrolled travelers had adverse reactions (4/166, 2.4%) and six episodes of adverse reactions were occurred (6/166, 3.6%) : dizziness (2 cases), bizzare dream (1 case), sleep disturbance (1 case), mood change (1 case), and febrile sense (1 case). Only one traveler with persistent dizziness stopped mefloquine, and then dizziness was relieved. The other symptoms were transient, which were relieved despite continuation of mefloquine. No case of malaria was found in this study. Conclusion : Only one episode of adverse reactions wa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mefloquine (0.6%). No case of severe neuropsychiatric adverse reactions was observed. This study suggests that mefloquine tolerance in Korean travelers is excellent.

      • KCI등재후보

        Shigella flexneri에 의한 집단발병의 역학적 양상

        기현균,김선희,기혜영,서진종,하동룡,김은선,정재근,김성한,이복권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배경 : 국내에서 Shigella flexneri에 의한 감염으로 인한 집단발병은 2000년도에 국립보건원에 집단발병례가 보고된 이후 보고되지 않았으나 최근 저자 등은 S. flexneri에 의한 대규모 집단발병을 경험하여 역학적인 양상을 기술하였다. 방법 : OO회사의 직원 및 구내식당을 이용한 사람 및 가족들을 대상으로 증상여부 및 2002년 12월 23일 이후 식당이용 여부와 취식음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체를 확보하여 미생물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조사대상 총 258명 중 총 110명에서 증상이 발생하였으며 증상발생일의 분포는 단일정점을 보였다. 확진자는 82명으로 이중 81명은 OO의 식당을 이용한 사람이었고 1명은 식당에서 직접 조리과정에 참여한 사람이었다. 식사여부와 증상여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특히 24일의 취식여부의 상대위험도가 가장 높았다(RR=6.46, 3.56≤95% CI≤11.75). 항균제 내성 양상은 ampicillin 내성균주가 82균주(100.0%) ampicillin-sulbactam 내성균주가 55균주(67.1%), amoxicillin-clavulanic acid에 대한 내성균주가 62균주(74.4%),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내성균주가 82균주로 나타났다(98.8%). 분리된 균주간의 연관성을 보기 위하여 실시한 PFGE 결과 본 집단발병에서 확인된 균주는 동일한 양상을 보였으나 비슷한 시기에 분리된 균주와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결론 : 본 집단발병은 국내에서 발생한 S. flexneri에 의한 집단발병 중 가장 대규모 집단발병이었다. 본 집단발병에서 확인된 균주간의 PFGE양상이 동일하였으나 기존에 국내에서 분리된 균주의 PFGE양상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감안한다면 S. flexneri 및 설사환자에 대한 감시체계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 Most of the shigellosis outbreak in Korea was caused by Shigella sonnei since late 1990's. In contrast, outbreak by Shigella flexneri were rare since late 1990's. Currently. we experienced the shigellosis outbreak by S. flexneri and described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Methods : We recruited employees from company "A" who had a meal at least once at the company's cafeteria from Dec 23th, 2002 to Dec 26th, 2002. We surveyed the symptoms, food items, and history of travel of eligible persons and their family member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we collected specimen from eligible persons and their family. Collected specimens were cultured for bacteriologic agents and viruses. Epidemiological relationship among the isolates were analyzed by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Results : Among the eligible persons, one hundred ten were symptomatic (110/258, 42,6%). Eighty-two were confirmed bacteriologically. Day of symptom onset showed a unipolar pattern. Diarrhea was the most common symptom among the symptomatic patients (110/110, 100%). The other symptoms included abdominal pain (81.8%), tenesmus (70.0%), headache (63.6%), nausea (61.8%), febrile sense (59.1%), and vomiting (24.5%). Lunch on 24th Dec was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of the outbreak (RR=6.46, 3.56≤95% Cl≤11.75). All isolates of the outbreak has the same pattern on PFGE analysis and the PFGE pattern was not similar compared with other S. flexneri isolates from Korea. Conclusion : This is the largest and unique outbreak by S.flexneri since 2000 in Korea. The outbreak has the same origin according to the PFGE pattern and epidemic characteristics. Considering rarity of S.flexneri among shigellosis in Korea, surveillance for S.flexneri should be enhan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