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 종단조사의 발전방안에 대한 인식

        권현수(Kwon, Hyunsoo),김경화(Kim, Kyeong-Hwa)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 Vol.19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가의 의견을 토대로 특수교육 종단조사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특수교사 5명, 특수교육 전공 교수 5명, 교육평가 및 측정 전문가 4명과 각각 포커스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는 전사하여 현장 기록 노트, 녹음파일과 비교하며 개방 코딩한 후 범주합산방법에 의해 연속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면담 내용은 특수교육 종단조사의 조사내용과 조사 설계라는 2개의 대주제로 분류되었고 이는 다시 7개의 소주제 및 21개 세부내용으로 정리되었다. 결론: 전문가들은 특수교육 종단조사의 조사내용이 특수교육의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조사 설계에 대해서도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이를 토대로 특수교육 종단조사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종단조사 결과의 활용도를 높이고 연구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해야 한다고 제안하였고, 전담 책임자 지정의 필요성도 언급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future direction and investigate the path to improvement for the quality of the Specia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based on the perceptions of professionals. Method: Focus Group Interviews(FGI) were conducted with three groups: f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ve special education professors, and four educational measurement professionals. All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compared with field note and recording files and analyzed by open coding and categorical aggregation method. Results: As a result, two main themes emerged, including the contents of the SELS and the design of the SELS; seven sub-themes and 21 units were deriv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insisted that the SELS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SELS design should be modified to be an effective longitudinal study. Further, several suggestions for the SELS, such as improvement plan for utilization, supporting research activities, and appointing executive managers for the SELS, were proposed.

      • KCI등재

        미국 공통핵심기준(Common Core State Standards)과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발전방안 탐색

        권현수(Kwon, Hyunsoo)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2010년 발표된 미국의 공통핵심기준을 소개하고 이것이 국내 교육과정적 통합에 주는 시사점과 발전 방향을 모색해보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먼저 공통핵심기준이 무엇인지 그 목적과 특성, 지금까지의 개발 진행 과정에 대해 확인하고 공통핵심기준의 구성과 내용 및 이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미국의 공통핵심기준의 개발과정과 내용이 국내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결론적으로 통합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 과정은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분위기속에서 다양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진행되어야 하고 유연성과 다양성을 인정하되 국가주도로 큰 틀은 제공되어야 하며 교육과정 개발 초기부터 평가방법과 교사교육에 대해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내용적으로는 학습의 체계적 순서를 고려해 핵심 내용 기준을 선정하여 IEP 목표와 연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핵심 내용을 기반으로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양 체제를 아우르는 통합교육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록과 보충교재 형식으로 관련 자료를 충분히 제공하도록 하면서 교과별 특성을 고려해 교육과정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CCSS) that was a state-led effort coordinated by the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Center for Best Practices and the Council of Chief State School Officers in 2010 as well as to examine the direction for curriculum development for inclusion. For that reason,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purpose of the CCS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CSS and contents of the CCSS, and the study about pros and cons of the CCSS. Next, the curriculum implications about integration of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at would be applied in inclusive classrooms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investigations of the CCSS. From that efforts, it was argued that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must be open and collaborative,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should be flexible and be organized, the assessment and teacher preparations should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while the inclusive curriculum were developed, the core content standards that were presented before development of inclusive curriculum would be useful for students and teachers, and the resources such as references, student work examples, list of books for reading levels should be available for inclusive teachers in order to build the successful inclusion environment for all.

      • KCI등재

        전국 초등학교 통합교육 환경에서 인성교육과 봉사학습 실행 실태

        권현수(Kwon, Hyunsoo),박승희(Park, Seung Hee),박지연(Park, Jiyeon),전상신(Jeon, Sangshin),최승숙(Choi, Seungsuk)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7 교육과학연구 Vol.4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haracter education and service-learning in inclusive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and to suggest better ways to implement the programs for all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rough a national survey with 34 item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 total of 205 elementary schools with special classes were selected by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based on the number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across the nation. Responses to the survey from 365 teachers of 183 school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Most schools implemented character education and service-learning program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so participated in those programs.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such as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proper language usage education, and service-learning programs such as helping hands and campaign activities were most frequently conducted. However, the reflective activities and celebrations in service-learning programs were less rigorously implemented and the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limited. Thus, further study of curriculum-related various content and systematically organized structures for character education and service-learning programs is suggested. Also various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their participation in diverse types of character education and service-learning,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for all.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환경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적용 사례

        권현수(Kwon, Hyunsoo)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학생을 위한 S 교육청의 개별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사례를 소개하고 그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일반학교에서의 개별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제를 확인하고 실천 가능성과 효과를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S 교육청의 긍정적 행동지원 프로그램의 전체 과정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지원 내용과 협력 관계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사례관리자로 2년간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지원했던 두 초등학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일반학교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프로그램 실행과정을 설명하고 이들을 지원하며 작성했던 지원 계획서, 멘토 일지, 상담일지, 결과보고서 등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문가들로 구성된 지원팀은 각 개별학생을 위한 협의회를 구성해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평가 결과를 토대로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게 된다. 대학생 멘토 지원, 학교와 학급차원 지원, 치료지원, 그리고 가족지원으로 나누어 다차원적 서비스를 협력적으로 지원함으로써 학생의 통합학급 적응을 돕고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거두었다. 결론: 학교의 상황과 개별 학생의 요구에 맞는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 구성원들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협력과 행 재정적 지원이 뒷받침 된다면, 긍정적 행동지원 프로그램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일반학교에서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행동중재 방안으로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process of individual implementation of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in inclusive elementary schools to understand and identify the feasibility as well as effects of PBS in inclusive settings. Method: Various data such as students’ IEP, monthly plan, mentor diary, counseling notes, and final reports about the PB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PBS. Results: As a result, because the individual support team worked collaboratively and systematically, students’ behavioral problems were reduced and their inclusive classroom adaptations were improved. Conclusion: The PBS could be an effective behavioral intervention method for inclusion if inclusive schools develop PBS systems based on needs and feasibility, school members work collaboratively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ystems are available for schools.

      • KCI등재

        특수교육 종단조사에 대한 학부모, 특수교사, 특수교육 전공 교수의 인식

        권현수 ( Kwon Hyunsoo ),김경화 ( Kim Kyeong-hwa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자의 학부모, 특수교사, 그리고 특수교육 전공 교수들의 특수교육종단조사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안에 대한 제안을 하는 것이다. [방법] 경기도 지역의 특수교육대상자 학부모 252명과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 53명, 그리고 특수교육 전공 교수 67명을 대상으로 특수교육 종단조사의 필요성, 조사대상, 실시 목적, 특수교육의 교육성과, 조사결과의 활용 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응답 결과를 빈도분석과 t검정, 분산분석 방법을 사용해 분석 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특수교육 종단조사에 대해 잘 알지 못하지만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사대상은 무상교육 대상인 영유아부터 전공과까지를 포함해야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수교육 종단조사의 실시 목적은 특수교육대상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있어야 한다는 응답을 하였고 특수교육의 교육성과는 일반교육과 차별화하여 학업 성취 이외의 부분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답하였다. 또한, 종단조사 결과는 법, 정책, 제도 개선을 위해 활용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 특수교육 종단조사가 앞으로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특수교육 발전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특수교육의 특성을 고려해 조사 목적과 조사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있고, 종단조사 결과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professors about the Specia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in order to know the general understandings of stakeholder on SELS and suggest a better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it. [Method] A questionnaire obtained from 252 parents, 53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67 special education professors was analyzed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these participants. [Results]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 SELS was necessary even though they were rarely aware of it, the SELS subject should include all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under free education by the legislation(from infants to transition program students), and the purpose of the SELS as well as the outcomes of special education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special education oriented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lso, they insisted that the results of the SELS should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make a better policy for special educ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SELS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and it was necessary to find the ways to reflect the results of SELS.

      • KCI등재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에 관한 연구 고찰

        권현수 ( Hyunsoo Kw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3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간 협력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및 연구에서 언급되고 있는 협력의 양상을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학술 진흥 재단 등재 및 등재 후보 학술지와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통해 교사들의 협력에 관한 연구 37편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국내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에 관한 연구는 2000년부터 시작되어 꾸준히 진행되어왔고 초기에는 주로 문헌연구 위주였으나 최근에는 조사연구와 실험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실현하기위한 목적으로 교사 간 협력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주로 사용되는 협력의 유형은 협력교수 형태였는데 대부분의 논문에서 구체적인 협력교수의 유형이나 구성원의 역할, 관리계획, 진행과정 등에 대한 설명을 하지않고 있었다. 따라서 점차 다양화되고 있는 학교 구성원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교사 간 협력에 대해 다방면으로 살펴보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함을 주장하였다. As more and more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been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there are enormous needs for collaboration of educational professionals, especially teachers. Collaboration between highly qualified teachers who are well prepared for teaching i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s are necessary not onl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also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is paper, the author look into the research papers about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analyze current trends in research about teacher collaboration as well as to find out how teacher collaboration is described in research papers. As a result, the author reported that the study about teacher collaboration started after year 2000 and mostly studied about theoretic background. The main purpose of collaboration was to achieve the successful inclusion in school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social development were improved and teachers’ perception about collaboration and inclusion changed positively as a result of collaboration. However, most of studies did not report about specific details in collaboration such as plans about time scheduling, support systems, and skills and strategies those were used in collaboration. Therefore, the author suggested that the research about teacher collaboration would be improved in several ways: (1)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about various purpose and roles in teacher collaboration, (2) it is important to report research process and describe details about manage plans, skills, and strategies, (3)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quality of participants and evaluate the results by rigorous standards, and (4) there should be more future studies to develop the effective teacher collaboration programs that reflect the real demands and educational situation in schools.

      • KCI등재

        장애인의 문제음주, 우울, 건강의 구조적 관계 : 빈곤수준에 따른 다집단분석의 적용

        권현수(Gweon Hyunsoo) 한국지역사회학회 2010 지역사회연구 Vol.18 No.3

        In this study, how problem drinking by disabled people is correlatively related to their depression and health was investigated by referring to the third-year research data from Korea Welfare Panel Study. Also, whether this relationship applies consistently according to poverty levels of disabled people was investigated through multi-group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problem drinking produced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depression produced negative effects on health, while a direct relationship could not be established between problem drinking and health. Also,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roblem drinking, depression, and health was shown to vary depending on their poverty level. To look at this in more detail, the relation between problem drinking and depression and the relation between problem drinking and health exhibited no variance among groups of different income levels.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 was shown to be particularly stronger in the poor population of disabled people, indicating that health risks due to depression are much higher for poor disabled people than non-poor ones.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생 역량, 사회적 통합, 행동문제에 대한 2014년과 2017년 종단조사 결과 비교

        권현수(Kwon, Hyunsoo),김경화(Kim, Kyeonghwa),오영석(Oh, Youngseok)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생 역량, 사회적 통합, 행동문제 영역에 대한 특수교육의 교육적 성과를 확인하고자 2014년과 2017년 특수교육 종단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초, 중, 고등학교 특수교육대상자 중 학년과 배치형태 등을 고려하여 층화표집의 방법으로 선발된 패널을 대상으로 2014년과 2017년에 실시된 조사 결과를 빈도분석과 t검정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14년에 비해 2017년에 학생 역량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특수학급에 배치된 학생들의 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통합 수준도 향상되었고 학생의 행동문제도 개선되는 모습을 보여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그리고 일반학급에서 실시되는 특수교육이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특수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도 치밀한 연구 설계에 의한 종단조사를 통해 유용한 정보를 수집하고 특수교육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제도적 지원과 노력이 지속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outcomes of special education via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Special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in 2014 and 2017. Method: Special education student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sampling method, and their teachers responded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student capability, social inclusion, and behavioral problems. The responses between 2014 and 2017 were compared. Results: The students’ capabilities were improved, their inclusion status was enhanced, and the behavior problems decreased during the 3 years. Especiall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were educated in special classrooms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outcomes in every aspect. Conclusion: Special education was effective and successful in improving the capabil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is the first longitudinal study to confirm the outcomes of special education and demonstrates effectiveness in improving the academic, social, and behavioral competenc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ceiving special education. However,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as well as develop a better research methodology for a longitudinal study investigating special education needs.

      •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동향에 따른 AMI 환경에 적용 가능한 보안요구사항 분석

        권현수(Hyunsoo Gwon),최원규(Won-Gyu Choi),김형욱(Han-na You),전문석(Moon-Seog J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스마트그리드는 인간의 개입 없이 기기들 간의 통신(M2M : Machine - To - Machine)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서비스이며, 이 서비스의 핵심으로 지능형전력량계(AMI :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를 들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 스마트그리드 표준화는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포럼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등에서 지속적으로 적용 가능한 표준을 재정 중에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 스마트그리드 시장에서는 각 노드별 사용되는 물리적 장치들의 제조업체에 따라 보안적인 요소가 제각각 다르게 적용되어 있고 표준에 언급되어있는 보안요구사항에 맞추어 적용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스마트그리드 표준을 통하여 AMI 환경에 적용 가능한 보안요구사항을 분석한다.

      • KCI등재

        중등 통합학급 교수적 수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비교

        권현수(Kwon, Hyunsoo)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 Vol.15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통합학급에서의 교수적 수정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을 확인하고 비교하여 교육과정적 통합의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전국의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고등학교 중 지역별로 201개 학교를 층화표집하여 학교별로 통합학급을 대상으로 수업을 하고 있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설문에 답하도록 한 후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문항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작성한 후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및 특수교육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확인을 거쳐 확정하였고 128개 학교의 256명 교사의 응답 내용을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이원분산분석 내재설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등학교 교사들은 중등 통합학급 교수적 수정에 대해 교수환경과 집단화 영역에서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주었고 교수내용에 대한 교수적 수정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는 교수적 수정에 대한 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평가방법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고 특수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교사는 담당 학교급에 따라, 특수교사는 경력과 지역에 따라 중등 통합학급에서의 교수적 수정에 대해 다른 인식을 보여주었다. 결론: 본 연구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중등 통합학급의 교수적 수정에 대한 인식을 비교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서로 다른 생각을 갖고 있지만 협력을 통해 생각 차를 좁혀가며 통합학급에서의 교수적 수정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함을 지적하였고 변인별로 인식에 차이를 보인 부분을 감안해 교수적 수정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instructional adaptations for secondary inclusive classrooms. Method: Using stratified sampling, 201 secondary inclusive schools were selected and 128 schools participated. 256 teachers were surveyed about instructional adaptations for secondary inclusive classrooms and the respondents were assessed us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 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methods. Results: Teachers had moderate positive perceptions about instructional adaptations for secondary inclusive classrooms, and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 perceptions in assessm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s about instructional adaptations, and they reported different perceptions based on educational experiences and area whereas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based on school level. Conclusion: Although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different perceptions, they should work collaboratively to activate secondary inclusion. Also, more studies on instructional adaptations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appropriate instructional adaptations for secondary inclusive classro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