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권치순 ( Chi Soon Kwon ),김재영 ( Jae Young Kim ),박진원 ( Jin Won Park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6 한국초등교육 Vol.16 No.2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Pre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Primary Science Curriculum Use

      • KCI등재

        프로젝트 접근법을 통한 학습지도가 초등학생의 과학적 지식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권치순 ( Chi Soon Kwon ),김율리 ( Yul Ri Kim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04 초등과학교육 Vol.23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project approach in science teaching on scientific knowledge and attitudes, science related attitudes of the 6th grade students. Students engaged in the study were divided into comparison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e project approach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ith various activities while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as applied to the comparison group with science text book and teacher`s guidebook.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sed by SPSS WIN 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udents of the project approach in science teaching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scientific knowledge and attitudes, science related attitudes (p<.05). The students is the project approach was more effective in improvement of curiosity, critical thinking, positive thinking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the project approach was good for causing interest and helping student`s science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과학학습 부진아에 대한 배경 요인 조사 연구

        권치순 ( Chi Soon Kwon ),박병태 ( Byoung Tai Park ),유주선 ( Ju Sun Yu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1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4,5,6학년 학생 총 594명(일반아 480명, 부진아 114명)을 대상으로 과학학습 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 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환경 배경에서 부모 생존여부와 부모의 학력은 부진아와 일반아에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과학 수업요인에서는 과학 흥미도, 과학실험 참여도, 과학평가 문항유형에 있어서 일반아와 부진아의 차이가 있음이 파악되었다. 셋째, 학교 밖 과학관련 요인에서는 과학관련 기관 방문, 과학매체 선호도, 과학관련 도서, 실험도구의 선물이 일반아와 부진아에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과학관련 자아감은 동료와의 우월성, 과학관련 장래희망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과학학습 부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부진아들에게 과학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심어줄 수 있도록 교사의 특별지도, 다양한 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상담 등의 종합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ordinary students and students who chronically fail in the subject of science at elementary schools. To this end this study involved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and personal interviews with, a total of 594 students (480 of which are ordinary students and 114 of which are chronically failing) in Grades 4, 5 and 6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mily background, the student`s own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science subject, the student`s experience with science outside school, and the student`s estimation of his own confidence in learning sciences are the major factors determining the student`s success or failure in sci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essential to provide not only scientific programs and teaching, but also some sort of psychological and counselling programs for students who are bad at science in school.

      • KCI등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활용 실태

        권치순 ( Chi Soon Kwon ),박병태 ( Byoung Tai Par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2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해 새로 편찬된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현장 교사들 의 인식과 활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내 초등학교 3, 4학년 담임 및 과학 전담교사 188명이며 설문지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용 지도서의 총론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가 각론에 대한 이해보다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학 및 과학교육의 본질,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의 선정과 조직의 원리, 과학 교수-학습의 다양성, 평가방법 및 평가도구 작성의 원리와 기법을 익히는 데 보다 심층적이고 전문적인 소양이 요구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각론 및 활용 실태는 종전 교육과정의 교사용 지도서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변인 즉, 성별, 경력, 전공, 수업에 대한 자신감 등에 따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인식과 활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의 경력과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지도서 활용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업에 대한 교사의 자신감이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초등과학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알맞게 교사용 지도서를 개선하는 노력뿐만 아니라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자아 효능감, 즉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신감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actual teachers are using the new science teacher`s guide that has been revised and updated under the reformed curriculum. To this end, the study involved distributing the questionnaires to 188 third and fourth-grade teachers working within downtown Seoul. An analysis of thes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general outline and the particular sections of the guide and their usage of it showed that the most problematic area was their recognition of the general outline of the guide. This study also analyzed how the teachers use the guide, by grouping them into different categories (i.e., gender, teaching experience, specialty, and the levels of teaching self-confidence). The analysis showed that teachers` self-perceived levels of teaching self-confidence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ffecting how they used the guid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s of teaching self-confidence the teachers feel, the better the usage of the guide they make. This finding implies that helping elementary-school teachers improve their sense of science teaching self-confidence could help improve their perceptions and usage of the science teaching guide.

      • SCOPUSKCI등재
      • 한일 초등 교사의 과학 교수효능감 비교 연구

        권치순 ( Chi Soon Kwon ),김재영 ( Jae Young Kim ),임채성 ( Chae Seong Lim ),( Nobuyas Katayama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7 한국초등교육 Vol.17 No.2

        한일 초등 교사의 과학 교수효능감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and Japan

      • KCI등재후보

        초등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연수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권치순 ( Chi Soon Kwon ),이혜란 ( Hye Ra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3

        ㅇㅇ특별시 초등영재교육 직무연수에 참여한 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교사들의 요구, 만족도에 관하여 연수 전 후의 설문조사 및 면담을 통하여 직무연수에 관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92이었고, 조사 결과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재교육 직무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험과 사례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수내용, 연수방법에 대한 만족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연수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교사의 직무연수 후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교육목표, 교육방법, 평가 등의 교수법에 관한 생각이 크게 변했으나 영재교육의 필요성, 영재교육대상자 요건에 대한 생각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초등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직무연수 개선점은 연수교사의 평가방법을 개선하고 연수 참여기회를 확대하며 연수분야와 연수수준을 다양화하여 그 전문성을 신장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eachers` needs, satisfaction and their awareness about gifted and talented through job training for the teachers teaching the gifted. interview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job training, targeting 120 teachers who took part in the job training and an analysis of the process of job training and teaching material was performed.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 18.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demands by the teachers who took part in job training for teaching the gifted in elementary school was the experience in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program and case studies. Most of these were reflected in training in terms of the contents and methods, 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also high in general.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training on the trainees` awareness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their interest and confidence in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was improved after the training, particularly the confidence in the operation and the application of program. Third,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about the improvement in job training for the teachers teaching the gifted in elementary school, it was identified the improvement in assessment method, the expansion of the opportunities for training, and the opening of more diversified training courses at different levels were needed. And preparing the continued opportunities for retraining.

      • KCI등재

        초등과학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지질 영역에 관한 내용 분석

        조용남,권치순,Cho, Yong-Nam,Kwon, Chi-Soon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05 초등과학교육 Vol.24 No.5

        제1차 교육과정부터 지금까지 초등과학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지질 영역 관련 내용을 교과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내용의 변천 과정의 특징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지질 내용 분석틀을 기초로 지질영역 내용을 분석하였다. 지질 영역 관련 교육내용의 변천 과정은 내용의 구성과 학습 분량, 실험활동 학습 내용, 주요 용어의 변천과정, 삽화의 수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질 영역관련 내용 중 풍화와 토양,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 지표의 평탄화 작용, 습곡과 단층, 지진과 화산, 지층과 화서의 내용들은 전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다루어졌다. 둘째, 학습 분량을 살펴보면 전 교육과정을 통하여 과학교육 전체 내용 중 5.1%에서 11.5%까지 평균 9.2% 정도 지질 영역관련 내용이 차지하고 있었다. 이 중 암석과 토양의 학습 분량이 전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많이 다루어졌으며, 지각변동의 학습 분량이 뒤를 이었다. 셋째, 실험 활동의 내용들을 보면, 각 교육과정별로 비율의 차이는 있으나, 풍화와 토양, 화성암, 지표의 평탄화 작용, 지층과 화석 등은 꾸준히 실험 활동이 적용되고 있었다. 넷째, 주요 용어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암석관련 용어가 가장 많이 바뀐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육과정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용어가 생기거나 삭제되거나 같은 용어를 다르게 제시하여 혼돈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교과서 삽화를 분석해 본 결과, 예전에는 그림이나 도해수가 많았으나, 과학이나 교과서 편찬 기술이 발달할수록 사진 수가 점점 많아진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아동들의 학습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높일 수 있는 만화나 도표 수가 근래에 증가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ology-related contents in the 1st~7th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Our analysis was based on the analytical frameworks of geology-related contents (the structure of the contents, the amount of teaming, the contents of the experimental activities, the transitions of the terminology, and the change in the number of illustra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onsistently covered contents were limited to weathering of the rock and soil, igneous rock, sedimentary rock, metamorphic rock, and the change of the earth's, fold and fault, earthquake and volcano, geologic stratum and fossil. 2. The geological contents account for (average), 11.5% (maximum), and 5.1% (minimum) of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Most contents covered in the curriculum were rock and soil, and the change of the earth's surface. 3. Continuously covered experimental contents were the weathering and soil, igneous rock, change of the earth's surface, geologic stratum and fossil. 4. The terminology on the rock was the most frequently changed. Whenever the curriculum changed, the addition, deletion, or renaming of terminology led to confusions. 5. In terms of the transition of illustrations, the pictures replaced the figures or diagrams as the representative illustration methods as the science or the textbook compilation skill develope. The cartoons or tables were also used increasingly in order to help the children to understand and pay attention to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