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심의 공간적 기능의 변화특성이 도심재생사업에 주는 시사점 연구

        권진휘(Kwon Jin Hwi),김재익(Kim Jae Ik) 한국지역개발학회 2010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Vol.2010 No.2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patial functional changes of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and its Implications for urban regeneration in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This paper focuses on issues on whether the relationship of the central city and suburbs is substitute or comple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urban growth, decline of central city and growth of suburbs. The main sources of attribute data are census data and Basic Business Survey data, both report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ll data are stored in geograghic information system. This paper find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city and suburb is substitute in terms of both population and employment. Based on this finding, this study discusses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urban renewal projects.

      • KCI우수등재
      • 도심의 공간적 기능의 변화특성이 도심재생사업에 주는 시사점 연구 : 대구광역시 사례연구

        권진휘(Kwon Jin Hwi),김재익(Kim Jae Ik) 한국지역개발학회 2010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6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patial functional changes of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and its Implications for urban regeneration in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This paper focuses on issues on whether the relationship of the central city and suburbs is substitute or comple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urban growth, decline of central city and growth of suburbs. The main sources of attribute data are census data and Basic Business Survey data, both report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ll data are stored in geograghic information system. This paper find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city and suburb is substitute in terms of both population and employment. Based on this finding, this study discusses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urban renewal projects.

      • KCI등재

        도심공동화가 주거조건과 토지이용에 미친 효과

        김재익(Jae-Ik Kim)ㆍ권진휘(Jin-Hwi Kwon) 한국주택학회 2009 주택연구 Vol.17 No.2

        도심공동화는 인구의 교외화로 인하여 도심지의 상주인구가 감소하는 현상이다. 도심공동화 현상은 도심지역의 세수감소, 공공서비스의 질적ㆍ양적 수준의 저하, 주거환경악화 등의 연쇄반응을 거쳐 궁극적으로 도심지역을 슬럼화시키는 근본원인으로 받아 들여져 왔다. 이러한 이유로 도심공동화는 곧 심각한 도시의 병리현상으로 간주되어 도심재개발(도심재창조) 등을 통하여 극복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었다. 그러나 도심공동화 현상을 시장의 자율적 조정기능의 결과라고 보면 그 사회적 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 즉 도심공동화는 인구 및 일자리의 교외화의 산물로써 가계와 기업의 여건변화에 적응한 적정입지 모색의 결과라고 본다면 건전한 조정과정으로 이해할 수 도 있다. 이 경우 도심재개발을 위한 투자는 건전한 시장조절기능을 역행하기 때문에 그 효과를 거두기 쉽지 않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반된 견해를 염두에 두고 도심공동화의 사회적 효과를 주거 및 토지이용의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도심재생 투자에 선행하여 도심기능의 변화와 이에 따른 투자의 타당성을 심도있게 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도심공동화는 인구 및 가구의 감소와 더불어 주택수를 감소시키지만 이에 대한 시장의 긍정적인 조정도 동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주택규모, 일인당 주거면적등의 측면에서 주거조건이 개선되었으며, 토지이용도 인구이탈에 적응하여 도심 기능에 적합토록 전환되고 있다. 이같은 도심공동화의 득과 실의 공존이라는 분석결과는 도심공동화 현상을 어떠한 관점을 갖고 판단하느냐에 따라 도심재개발 혹은 도심재창조를 위한 공공투자의 타당성이 달라질 수 있다. The inner city decline is known as one of the significant urban illness because it causes the vicious cycle to the central city. However, the decline of population in the core region can also be considered as the adjustment process of market mechanism. In this respect, this study analyzes the social effects of inner city decline in terms of living conditions and land use in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The main findings are follows. First, the decline of housing stock in core region is led by the decrease in single family housing stock. Second, the phenomenon improves living conditions of residents by increasing living area per house and per capita. Third, the urban emptiness phenomenon shifts land use from low density residential use to high density commercial and public use.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emptiness phenomenon observed in the urban core region may represent sound functions of market mechanism, rather than a serious social illness which calls vast amount of public investment.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지리정보시스템과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도시공간구조의 파악 -대구광역권 사례연구

        김재익 ( Jae Ik Kim ),권진휘 ( Jin Hwi Kwo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과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하여 도시공간구조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는 거대도시와 중소도시의 중간규모인 대도시의 공간구조를 대구광역시와 그 주변지역을 단위로 하는 대구광역권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도시구조는 인구 및 직업밀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위하여 1995, 2000, 2005년도의 Landsat TM 5 위성영상자료를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피복분석을 통하여 활용되었다. 공간구조는 인구밀도와 직업밀도의 거리조락함수를 추정함으로써 파악되었다. 분석결과 대구광역권의 차원에서는 단핵도시구조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단핵도시모형의 설명력이 점차 감소하는 점, 부도심의 형성 및 성장 등의 추세를 감안하면 분석범위를 대구광역시에 한정할 경우 다핵심도시구조로 이행하고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urban spatial structure by apply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remote sensing data. This study identifies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non-megalopolis by analyz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in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area. For this purpose,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 data (Landsat TM; 1995, 2000 and 2005) were utilized through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distance-decay estimations in terms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density show that Daegu region as a whole shows monocentric urban characteristics. However, some evidences of polycentricism such as low explanation power of monocentric urban model, rises in multiple employment centers, decentralization of employment are emerging.

      • KCI등재

        도시성장모형을 활용한 도시 주택수요의 입지예측과 택지공급능력의 분석

        김재익(Jae-Ik Kim),권진휘(Jin-Hwi Kwon) 한국주택학회 2011 주택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를 사례도시로 삼아 도시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주택수요의 입지를 파악하고 이를 충족할 충분한 택지가 가용한지 자치구별로 분석하였다. 주택수요를 추정할 때 인구수보다 가구수를 기준으로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울산광역시에는 2020년까지 요구되는 충분한 개발가능지가 있으나 남구와 동구 등 일부 자치구는 필요택지에 비해 가용한 택지가 부족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결과는 주택계획을 수립시 주택수요의 추정에 그치지 말고 택지가용량 등 공급측면도 분석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채택한 방법은 인구 및 가구추세가 유사한 다른 도시에도 적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rimary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identify the location of future housing demand, and analyze whether the demand can be satisfied by supply side (residential land stocks) through the urban growth model. For these purposes, attribute and spatial data of Ulsan metropolitan city were collected and built int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ased on binary logit model, the development probability of developable lands by 100m x 100m grid cell were calcul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tells us that there are plenty of available lands for housing construction in Ulsan metropolitan city as a whole, but some parts of the city will face very serious land shortage to satisfy the future housing demand.

      • KCI등재

        도시성장관리 측면의 주상복합건물의 공간적 효과 - 공동화 방지수단인가? 과밀화 유발요인인가?

        김재익(Jae-Ik Kim),권진휘(Jin-Hwi Kwon) 한국주택학회 2007 주택연구 Vol.15 No.3

          In the urban area where rapid suburbanization trend continues, the role of mixed use building is controversial. It is argued that the mixed use building is an effective tool to recover residential function of urban core. It is also argued that the building is a cause of serious urban problems, such as congestion, public service shortages.<BR>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mixed use buildings in terms of urban growth management in Daegu metropolitan city. For this purpose, data of super-high rise mixed use building(21 story or higher with more than 300 units) from 2002 to 2006 are collected and analysed.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mixed use buildings are located in either sub-centers or population losing areas, rather than traditional urban core. Therefore, it is hard to accept that the two controversial arguments. The mixed use building is not an effective tool to recover residential function of urban core, because it is built in non-core areas in most cases. However, it does help to increase population inflow in non-core areas. It is difficult to accept the public service assertion which states that super-high rise mixed use building causes public service congestion, because the building is built in population losing or demand decreasing areas.<BR>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cy alternatives such as urban service boundary or concurrency program to manage urban growth.   본 연구는 주상복합건물이 도심공동화를 방지하는 유용한 기능을 갖고 있다는 주장과 공공서비스의 과밀화를 유발하는 문제거리라는 주장 등 도시성장관리의 방향을 결정하는 상반된 주장들을 검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의 경우 최초로 주상복합건물이 건설된 2002년이후 2006년말까지의 주상복합건물중 21층이상, 300세대 이상의 초고층 주상복합건물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BR>  주상복합건물의 입지패턴을 분석한 결과 도심입지는 소수에 불과하고 주로 비도심지역, 인구감소지역에서 건설되어왔음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고밀도 대규모 주상복합건물을 건설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인구유입효과는 있지만 입지의 특성상 도심공동화를 방지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고밀도 대규모 주상복합건물이 공공서비스의 과밀화를 초래한다는 주장도 인구감소지역 즉 수요감소지역에 입지한다는 특성을 감안하면 이 주장도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할 수 없다. 비록 주상복합건물이 합법적 과정을 거쳐 건설되었더라도 도시성장관리의 차원에서 문제가 된다면 그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정책방안이 검토ㆍ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대중교통서비스 취약계층의 공간적 분포 특성

        김재익 ( Jae Ik Kim ),강승규 ( Seung Kyu Kang ),권진휘 ( Jin Hwi Kwo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1 No.2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수단은 승용차가 없는 시민들에게는 유일한 이동수단으로써 생활필수서비스에 속한다. 또한 스마트성장을 비롯한 바람직한 도시성장유형들은 예외없이 대중교통수단 위주의 개발 (transit-oriented development)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므로 대중교통서비스는 모든 시민들에게 가용한 기본서비스가 되어야 함과 동시에 도시정책의 주요수단이 된다. 본 연구는 대중 교통서비스 취약지역을 파악하고 그 분포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 대중교통정책 수립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하여 통계청의 기초단위구 자료와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분석단위를 세분화하고 이를 기준으로 버스 및 지하철 정류장과의 거리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정류장으로부터 300m이상 격리된 지역을 대중교통서비스 취약지역으로 간주하였다. 이 기준에 따라 대중교통서비스 취약지역의 특성을 면적, 인구, 주택유형 등의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대중교통서비스는 지역별로 큰 차이가 나는 가운데 특히 교외지역과 농촌지역에서 취약계층이 많음이 입증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 이동성이 낮은 노인인구중 대중교통서비스를 이용하기 쉽지 않는 계층을 파악하고 공간적 분포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identifies public transit-poors and derives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oors` distribution in an urban area by utilizing buffering analysi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remote sensing techniques in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Since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elderlies, this study assigns three hundred meter buffer from bus/subway station as service boundary for elderl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tell us that 1) the transit-poors are concentrated on suburban and rural regions, 2) high proportions of the transit poors are elderlies with spatial variations in many regions, 3) the main housing type of the transit-poors is single detached house. We expect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build an effective policy-making by showing essential technical processes and methods in identifying policy-need group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