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실 내외부 공기열의 선택적 축열에 의한 히트펌프 난방성능 개선

        권진경(Jin Kyung Kwon),김승희(Seung Hee Kim),전종길(Jong Gil Jeon),강연구(Youn Koo Kang),장갑열(Kab Yeol J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장미 재배온실을 대상으로 온실 내부의 태양잉여열과 외부의 공기열을 선택적 열원으로 이용하여 온실난방용 온수를 생산할 수 있는 공기 대 물 히트펌프의 설계와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태양잉여열 이용축열운전과 외기열 이용 축열운전은 작물의 생육적온을 고려한 온실내부의 설정온도에 따라 자동전환 되도록 설계하였다. 제어반에 12개의 기준온도를 설정함으로써 축열운전 전환, 난방, 환기를 자동제어하며, 태양잉여열-외기열 선택적 축열운전에서 축열조의 온도는 축열능력과 난방부하에 대응하여 35~52℃로 3단계 변온제어 하였다. 태양잉여열-외기열 선택적 축열에서 태양잉여열 이용 축열은 전체 시간의 23.1%, 외기열 이용 축열은 30.7%, 히트펌프 휴지시간은 46.2%를 차지하였으며, 난방성능계수는 태양잉여열 이용 축열 시 3.83, 외기열 이용 축열시 2.77, 전체 3.24로 평가되었다. 비교시험을 위해 축열조 온도를 50~52℃로 항온제어 하는 조건에서 외기열 단독 이용 축열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때의 난방성능계수는 2.33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공기 대 물 히트펌프의 열원으로 온실내부 태양잉여열과 외부 공기열을 병용하고, 축열조 온도를 변온제어 한 결과 일반적인 외기열 이용 축열운전과 축열조 항온제어에 비해 난방성능 계수가 39%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he design and performance test of the air to water heat pump capable of producing hot water for greenhouse heating by using the surplus solar heat inside the greenhouse and the air heat outside greenhouse as the selective heat source were conducted. The heat storage operations using the surplus solar heat and the outside air heat were designed to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setting temperature of the greenhouse in consideration of the optimum temperature range of the crop. In the developed system, it wa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witching of heat storage operation, heating and ventilation by setting 12 reference temperatures on the control panel. In the selective heat storage operation with the surplus solar heat and outside air heat, the temperature of thermal storage tank was controlled variably from 35℃ to 52℃ according to the heat storage rate and heating load. The heat storage operation times using the surplus solar heat and outside air heat were 23.1% and 30.7% of the experimental time respectively and the heat pump pause time was 46.2%. COP(coefficient of performance) of the heat pump of the heat storage operation using the surplus solar heat and outside air heat were 3.83 and 2.77 respectively and was 3.24 for whole selective heat storage operation. For the comparative experiment, the heat storage operation using the outside air heat only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thermal storage tank was controlled constantly from 50 to 52℃, and COP was analyzed to be 2.33.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P of the heat storage operation using the surplus solar heat and outside air heat as selective heat source and the variable temperature control of the thermal storage tank was 39%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heat storage operation using the outside air heat only and the constant temperature control of the thermal storage tank.

      • 딸기 저온단일 시스템 설계 및 기초성능시험

        권진경 ( Jin Kyung Kwon ),이시영 ( Si Yeong Lee ),김성헌 ( Seong Heon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국내 딸기 농가의 정식시기를 앞당기는 경쟁이 발생하는 이유는 딸기 수매가가 첫 수확기인 12월부터 소량 생산 기인 6월을 제외하고는 계속 하락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고수익 작형인 초촉성 재배는 8월 하순~9월 상순에 정식하므로 온실의 온도가 화아분화의 적온범위를 상회하고 단일조건도 만족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일야냉육묘나 단기냉장육묘 등으로 정화방을 화아분화 시켜 정식하나 후속 액화방의 연속출뢰가 어려워 수확의 휴지기가 발생한다. 또한 딸기는 육묘, 정식, 수확 등의 수작업이 많아 노동집약적이며 주산단지의 경우 정식시기가 집중되어 노동력 부족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화아분화가 안 된 딸기묘를 미분화 상태에서 재배베드에 정식한 후 재배베드에서 화아분화와 후속재배가 가능하며, 냉난방 공간을 축소하여 에너지절감이 가능한 딸기 저온단일 처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저온단일 기초 성능을 평가하였다. 온실 내부에 설치되는 시스템은 가로, 세로 지지대로 구성된 터널 구조이며 단열과 차광을 위한 알루미늄 커튼과 커튼바에 연결된 권취선과 권취선을 감거나 푸는 권취축, 권취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스템 내부는 히트펌프, FCU와 연결된 천공덕트가 설치되어 있어 커튼을 치고 냉풍을 공급하여 저온단일처리를 수행한다. 커튼 전장은 시간을 설정하여 하루 일장을 8시간(9~17시)~10시간(8~18시)으로 제어하였으며, 시스템 내부온도는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FCU를 제어하여 화아분화의 적온범위를 유지하였다. 9~10월의 생육초기에는 주간에 커튼을 작물 관부높이까지 올려 저온공기를 가두어 광합성과 공조공간을 축소한 냉방이 가능하게 하였다. 시스템의 저온단일처리 기초 시험을 수행한 결과, 2022년 7월 중순 외기온이 22~33℃ 조건에서 온실 내 저온단일처리 시스템 내부의 온도는 17시에 알루미늄 커튼을 치고 냉방을 가동하여 약 3시간 30분이 경과하면 26℃에서 18℃로 화아부화에 적합한 온도까지 하강하였다. 재배 배지 상부 2cm와 30cm 높이의 온도차는 거의 없었으며, 시스템 내부의 상대습도는 17시 저온단일 처리 개시 시 약 65%에서 처리가 끝나는 익일 09시 약 90%까지 상승한 후 커튼을 개방하면 급격히 감소하여 55% 근처까지 감소하였다. 배드 내부의 근권부 온도와 관부의 온도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저온단일처리 개시 시 24~25℃, 익일 07시경 17~18℃로 최저온도를 나타내었다

      • 낙관성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권진경(Jin Kyung Kwon)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20 상담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국내 낙관성에 관한 연구 동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1년부터 2020까지 주요 상담학술지인 ‘상담학연구’ 외 세 학술지에 등재된 논문 총 46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발행연도, 연구대상, 연구주제, 측정도구, 연구변인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발행연도별 논문 수는 2013년도에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은 대학생이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은 모두 양적연구였으며, 연구주제는 대부분 변인간 관계연구임을 확인하였다. 측정도구는 삶의 지향성 척도(LOT-R)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변인별 동향은 낙관성이 독립변인인 논문이 다수였으며, 관계있는 변인으로는 학업, 정서, 가족 변인이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낙관성 연구에 대한 논의 및 추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optimism in Korea. Methods: For this, the 46 articles published from 2001 to 2020 were selected in 4 major journals including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Then, they were analyzed by the year of publication, study subjects, research topics, research scales and variables. Results: The number of papers by publication year was the highest in 2013. Second, university students were the most studied subjects. Third, the method of research was all quantitative and the most of research topics were the relations between variables. Fourth, the LOT-R(Life Orientation Test-Revised) was used most in terms of research scale. Finally, for variables, optimism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the most of papers, and the related variables were academic. emotion and family variable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on optimism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 고온기 환기 향상을 위한 온실 측고 결정

        권진경 ( Jin Kyung Kwon ),최덕규 ( Duck Kyu Choi ),박민정 ( Min Jung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이상기후로 인한 폭염 및 여름일수 증가로 시설원예 작물에서 다양한 고온장해가 발생하고 있어 시설의 주년 생산성과 작기연장에 장해요인이 되고 있다. 온실의 냉방은 하절기 과도한 냉방부하로 인해 히트펌프, 칠러 등의 적극적 냉방은 제한적이며 환기, 차광, 기화식 냉방 등의 소극적 냉방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환기는 자연환기와 강제환기로 분류되며 자연환기는 가장 경제적으로 환경조절이 가능한 공조방법으로 외기풍속에 따라 중력환기와 풍력환기로 대별된다. 일반적으로 온실높이(천창높이)가 증가할수록 굴뚝효과에 의한 중력환기의 증가와 대기경계층 상층기류 유입으로 인한 풍력환기의 증가가 기대된다. 한편 온실은 동고가 증가할수록 설계풍속 및 설하중에 대응하기 위해 구조재의 보강이 요구되며 이는 설치비의 증가로 이어지므로 환기향상을 기대하여 온실 높이를 확대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기효율과 온실 설치비를 모두 고려하여 하절기 운용을 위한 연동온실의 적정 측고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환기분석은 CFD를 이용하여 온실 측고별 자연환기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구조해석은 기본도면을 이용하여 자재, 안전율, 기초를 반영, 하중조합에 따른 해석을 수행하여 온실 측고별로 구조안전성을 충족하는 구조재중량을 산정하였다. 대상온실은 연속형 천장을 가지는 19-연동-3이며 측고 5~8m에 대해 CFD 해석 및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환기효율 증가율 및 구조재중량 증가율을 분석하여 측고를 선정하였다. 온실 측고별로 외풍속 0.5m/s, 1.5m/s, 3.0m/s에 대한 자연환기 CFD 해석 결과 저풍속 및 고풍속 영역에서 측고 7, 8m에서 상대적으로 온실 온도저감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지역 설계기준(30m/s, 26cm)으로 2가지 기둥간격 및 6가지 하중조합에 대한 구조해석을 수행한 결과 구조안전성을 만족한 온실 측고별 구조재중량 증가율은 측고 7m에서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기후를 고려한 반밀폐형 고측고 연동비닐온실 및 공조시스템 설계

        권진경 ( Jin Kyung Kwon ),이시영 ( Si Yeong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혹서, 여름일수의 증가와 혹한의 빈발은 원예시설의 적정 재배환경조성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으며 특히 여름철 다양한 고온장해로 시설원예에 양적, 질적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특히 1-2W 온실로 대변되는 국내 연동비닐온실은 높이가 낮아 고온기에 작물군락의 환경관리가 어렵다. 최근 토마토 등 유인성 작물 재배를 위한 고측고 온실과 벤로형 비닐온실 등이 내재해규격모델과 온실업체모델 등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효율적 냉난방 공조를 위해 네덜란드 타입의 행잉거터 및 하부덕트 방식이 대형온실을 중심으로 보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후 특히 하절기의 환경개선을 통해 연중 안정재배가 가능한 고측고 비닐연동온실의 개발을 목적으로 온실 구조 및 환경관리 설비의 개념 설계를 수행하였다. 온실은 재배면적 기준 5,400m2의 남북동으로, CFD 수치해석을 통해 온실 높이별 환기성능을 분석하고, 온실 높이별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구조안정성과 구조재중량을 분석하였다. 온실 공조는 반밀폐형 공조를 채용하였으며 온실 북쪽에 팬코일유닛, 내부창, 외부창을 설치한 공조실을 설치하였다. 환절기 자연환기를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 온실상면적의 48%에 해당하는 연속형 천창을 설치하였으며, 냉방부하 축소를 위해 외부차광막, 내부차광막을, 난방부하 축소를 위해 에어로겔 다겹보온커튼을 설치하였다. 냉난방을 위해 공기대물 히트펌프(240RT)와 축열조(300ton)을 설치하였으며 팬코일유닛+하부덕트 및 레일배관을 이용한 냉난방으로 설계하였다. 온실 상부에는 고압포그와 풍향가변형 순환팬을 설치하였으며 액화탄산장치와 거터하부 공급관을 통해 CO2를 시용하도록 하였다. 고온기 온도관리는 자연환기-강제환기-포그+강제환기-히트펌프가동의 4단계로 냉방을 설계하였다. CFD해석 및 구조해석을 통해 온실의 최적 측고는 7m, 동고는 8.3m로 결정되었다. FCU의 설계 풍량 및 하절기, 동절기별 냉난방 분석을 수행한 결과, 하절기에는 작물군 영역에서의 평균온도가 설계풍량 200m3/min은 20.39°C, 48m3/min은 22.16 °C로 토마토의 적정 생육온도를 만족하였으나 동절기에는 설계풍량 48m3/min의 경우 평균온도 12.68°C로 저온으로 나타났다. 온실 내부의 환경 균일도는 풍량이 클 때 더 양호하였으나 풍량 200m3/min에서도 국부적으로 적정생육온도를 만족할 수 없는 구역은 존재하여 공기순환팬 등의 설치가 요구되었다.

      • 온실 확산형 순환팬 설계 및 기초성능시험

        권진경 ( Jin Kyung Kwon ),김형권 ( Hyung Kwoen Kim ),김성헌 ( Seong Heon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온실 환경 불균일에 의해 발생하는 공조기 과다운전, 생육 불균일에 따른 생산성 저하, 재배관리 어려움, 과습에 의한 병해충 등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공기 순환팬을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 수평형 순환팬을 여러대 연달아 설치하여 온실 전체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일부 수직형 순환팬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작물 군락의 풍속을 적절히 제어하여 엽면경계층을 감소시키면 이산화탄소 흡수를 증진하여 광합성 속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평형 순환팬의 설계배치의 어려움과 성능저하를 개선하고자 온실 상부에 설치하여 수직방향으로 순환하는 확산기류를 생성할 수 있는 확산형 수직 순환팬을 설계하고 기초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순환팬은 직하부에 음압을 형성하여 상부로 기류를 끌어올리고 경사 회전익을 통해 끌어올린 기류를 하부로 보내 순환팬 하부에 상승-하강의 순환기류를 생성하도록 하였다. 시스템의 운용모드는 난방에 의한 온도성층화를 방지하기 위해 군락내의 상부온도센서와 하부온도센서의 온도차를 제어기에서 설정하여 일정 온도차가 발생하면 순환팬을 가동하는 난방모드, 상하부 온습도 차이를 제어기에서 설정하여 일정 수준 이상에 가동하는 균일화모드, 광합성이 활발한 일출~오후 1~2시까지 작물군락의 엽면에 적정 풍속을 조성하는 생육개선모드, 고온기 순환팬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온실 상부의 공기를 천창을 통해 배출하는 환기모드 등으로 구성하였다. 확산형 순환팬은 초기 3개 시작기에서 모터용량 부족, 날개연결부 하중, 날개각도, 사각형암 등으로 항력증가 등으로 중앙부 상승기류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9엽/각도고정/원형암 시작기에서 연기발생 시험을 수행한 결과 중앙상승기류 및 역회전시 상부로의 환기기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측고 6.3m의 벤로형 유리온실에서 5.4m 높이에 설치한 시작기 기초시험을 통해 관행 수평형 순환팬, 수직 교반기에 비해 하부 기류 유속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증 적용을 위한 시작기 완성도 향상을 위해 고정구의 경량화, 암고정판 개선을 진행 중이며, 진동 감소를 위한 암길이 변경, 모터의 용량(280W)을 수행중이다.

      • KCI등재

        Biomedical marker로 응용을 위한 다색 키토산-큐닷 나노입자의 제조

        권진경 ( Jin Kyung Kwon ),강익중 ( Ik Joong Kang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11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16 No.1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done in attempts to incorporate quantum dots (QD) into polymeric micro-beads in order to render them water soluble, chemically stable, and biocompatible in physiological media. Luminescent quantum dots have ideal optical properties and have been used to tag chitosan nanoparticles for bio-detection and bio-imaging. While these micro-beads are generally very useful for multiplexed immunoassays, they are not suitable for the staining or labeling of sub-cellular components or intracellular measurements, as they are relatively large in size. As an MPA-capped QD can be placed on the outermost layer of chitosan nanoparticles, the carboxyl group of a QD can be chemically bonded to the amine groups on a chitosan. This method can be extended to the encapsulation of chitosans with multicolored QDs and other colloidal nanocrystals. In this study, we show by UV-Vis absorption, Photolumines- cence spectroscopy, SEM, TEM, and AFM analysis that chitosan-QD nanoparticles can be synthesized easily and successfully. Chitosan-QD nanoparticles with a multicolored QD can be applied to drug delivery systems (DDS) and biomedical markers.

      • 화아분화 촉진을 위한 제자리 육묘 딸기 국소냉방 시스템 분석

        권진경 ( Jin Kyung Kwon ),김승희 ( Seung Hee Kim ),신영안 ( Young An Shin ),이재한 ( Jae Han Lee ),박경섭 ( Kyeong Sub Park ),강연구 ( Yeon Koo K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딸기는 대표적 저온성 작물로 국내 시설딸기 육묘시기의 시설온도는 35°C 이상으로 화아분화 불량으로 인한 수확 감소와 기형과의 발생이 빈번하다. 또한 촉성재배 딸기의 정식이 끝난 9월에도 온실내부의 온도는 상당히 높아 1, 2차 액화방의 화아분화가 지연되어 정과방 수확 후 수확의 중간휴지기가 발생한다. 촉성 딸기의 가격은 수확 개시부터 종료까지 계속 낮아지므로 상기의 초기 액화방의 수확지연은 농가의 소득에 영향을 미친다. 환기, 차광, 증발냉각 등의 온실 온도저감 대책은 그 효과가 제한적이며, 딸기의 화아분화 촉진 방법으로 제시되는 저온 단일 처리, 단근, 질소흡수 억제, 호르몬 처리 등은 과도한 에너지비용 또는 정확한 처리방법의 구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딸기의 1, 2차 액화방의 화아분화촉진을 위하여 정식 시 단근처리와 작물체 국소냉방을 조합한 재배시험을 수행하였다. 잔열기 작물체 온도 민감부 국소냉방과 동절기 에너지 절감을 위한 국소난방을 수행하기 위한 딸기 관부 및 근권부 국소냉난방 시스템을 제작하여 냉방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국소냉난방 시스템은 공기-물 히트펌프(3RT), 축열조(2 ton), 물펌프(3대), PE 유연배관을 이용하였으며 국소 냉난방은 촉성 설향 딸기의 관부에 PE배관을 접촉하거나 고설베드 바닥에 PE배관을 설치하여 근권부를 냉방하였다. 축열조 설정온도 15°±0.5°C를 기준으로 히트펌프를 ON/OFF 제어하였으며, 축열조와 PE 배관사이의 펌프는 고설베드에 설치된 2열의 입수, 출수 PE 배관의 평균온도 20±0.3°C를 기준으로 ON/OFF 제어하였다. PE 배관은 관부 및 근권부국소냉방 시험구 모두 리버스리턴 방식이며 PE 배관에 연결된 온실 내외부 물배관은 모두 단열 처리하였다. 공시품종은 ‘설향’으로 2중피복 단동온실의 고설베드에 2017년 8월 31일 정식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 온실, 근권부 냉난방 온실, 관부 냉난방 온실의 3동으로 고설베드가 각각 4열씩 설치되어 있으며 축열조는 냉난방 대상 온실 2동에 각각의 물펌프로 연결되어 있다. 정식묘는 단근처리묘(6월 30일 러너꽂기, 8월 31일 단근), 비단근묘, 육묘장 구입묘 3종을 각 베드에 1/3씩 정식하였으며 2017년 9월 1일부터 히트펌프를 가동하여 국소냉방을 수행하였다. 국소냉방 시스템의 1개월간 성능분석 결과 관부 평균온도는 무처리 온실이 26.3°C로 온실기온보다 2.7°C 높고, 근권부 냉방은 23.6°C로 온실기온과 같았으나, 관부냉방은 19.1°C로 온실 온도보다 4.3°C 낮았다. 근권부 온도는 무처리 26.3°C, 근권부 냉방 22.1°C, 관부 냉방25.2°C로 나타났다. 냉방 및 정식묘 종류별로 화방출뢰 및 개화 속도, 냉방 에너지사용량 등을 분석 중이며, 10월 중 국소난방으로 전환하여 전 작기에 대한 수확 조진화, 에너지절감 효과 등을 분석할 예정이다.

      • 표고버섯 균상공조재배 시스템 개발을 위한 버섯사 현황 조사

        권진경 ( Jin Kyung Kwon ),김승희 ( Seung Hee Kim ),전종길 ( Jong Gil Jeon ),김형권 ( Hyung Kweon Kim ),장갑열 ( Kab Yeul J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국산 표고품종의 연중생산을 위한 베드공조재배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시설과 공조장치를 채용하고 있는 국내 6개 지역 시설재배 농가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시설특성 및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시설구조는 3중피복, 보온커튼, 차광막을 조합한 비닐하우스형과 공조부하 경감을 위한 우레탄 샌드위치패널 하우스로 나뉘며 조명은 비닐하우스형과 패널하우스 모두 LED 또는 백열등을 설치하고 있었다. 품종은 5개 농가에서 중국산 추제2호(동절기)/ 808(하절기)를 사용하였으며 1개 농가에서 국산품종 산조701을 사용하였다. 중국품종은 봉형배지, 국산품종은 상면배지형이며 봉형배지는 5~9단, 상면배지는 2단 균상대에서 재배하였다. 냉방은 6개 농가 모두 유닛쿨러를 사용하며 난방은 증발기 후면에 설치한 전기방열기, 온수보일러, 전기온풍기 등 다양한 설비가 사용되었다. 공조는 시설 및 생육단계별 적정 요구온도에 따른 부하계산이 고려되지 않아 냉난방 관리 온도 및 습도는 시설 간에 차이가 있었다. 발이단계의 가습을 위해 바닥가수(4농가), 초음파가습기(1농가), 전자전극봉가습기(1농가)를 사용하고 있었다. 고품질 표고 생산을 위한 제습은 대부분 자연환기와 냉방제습을 이용하며 일부는 강제환기를 이용, 봄, 가을 습도관리를 하고 있었다. CO2 관리는 비닐하우스형은 측장(2농가) 또는 측장/천창(2농가)을 이용하며 패널하우스형은 하부배기팬 또는 열회수형환기장치를 이용하고 있었다. 환경관리는 온도(2농가), 온습도(1농가), 온습도, CO2(3농가) 센서를 기반으로 비닐하우스는 수동 중심, 패널하우스는 자동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수확은 중국산 배지는 입상 연 3~6회, 각 3~4주기 재배를 하며 국산 배지는 4월입상, 5~6주기 재배를 하고 있었다. 온도충격은 중국산 배지는 침봉기를, 국산 배지는 상부 스프링클러를 이용하며, 공기순환은 선풍기(1농가), 분지덕트(2농가) 외에는 고려하고 있지 않았다. 화고생산 3개 농가에서는 공조시스템 제어정도에 따라 화고수율의 차가 컸으며 저온저장고용 유닛쿨러와 전기방열기를 조합한 공조기는 내구성과 정밀 환경관리를 위해 개선이 필요하였다. 또한 생육단계별 적정 환경관리를 위한 공조공정 정립과 냉/난방, 가/제습, 보온, 환기, 공기순환, 조명 등의 구성설비 대한 적정 설치기준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