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사회적 실재감 하위요인이 지각된 토론효과에 미치는 영향

        권성연 ( Soung Youn Kw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1) 학생의 학기차, 같은 수업에서 알고 있는 동료의 수, 토론 그룹의 크기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2) 사회적 실재감(하위요인)이 지각된 온라인 토론의 정서적, 인지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3) 토론 그룹의 크기, 학기차, 알고 있는 동료의 수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이 지각된 토론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사회적 실재감과 지각된 토론효과와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온라인토론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사회적 실재감 촉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격대학원에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고 온라인 토론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실재감 및 지각된 토론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그룹별 사회적 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얼굴과 이름을 아는 동료의 수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의 모든 하위요인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둘째, 사회적 실재감의 모든 하위 요인은 인지적, 정서적 토론효과 인식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사회적 실재감 하위요인 가운데 상호집중 및 지원과 개방적 의사소통이 토론효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정서적 유대감은 토론효과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넷째, 학습자 특성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력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사회적 실재감 인식이 낮은 저학년 학생 그룹과 동료 학습자의 얼굴과 이름을 잘 알지 못하는 그룹에서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토론효과 향상을 위한 사회적 실재감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and to gain some implications for enhancing social presence to facilitate online discussion. This study investigated (1)the differences of social presence(and sub factors) by students’ year of online class, number of acquaintance in the class, and size of online discussion, (2) the influences of social presence(and sub factors) on cognitive and emotional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3) and the differences of effects of social presence by year of online class, number of acquaintance in the class, and size of online discussion. For this study, the students taking an online course in cyber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online discussion two times during a semester. After a semester, students participated the survey about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number of acquaintance in this course. The more students know the peers, the higher they perceived the social presence. Second, all of the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correlated with cognitive and emotional outcomes of discussion significantly. Third, social presence was influential on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especially, more influential on emotional effects than cognitive effects.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mutual attention and support’, ‘open communication’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factors on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however, emotional connectedness was not. Fourth, the effects of social presence were more powerful in a group of students who was lower grade and knew few or no acquaintance in the course. These group were perceived lower social presence than others compara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rategies of facilitating social presence to enhance the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양식과 학습 활동 선호도 및 학습 전략 사용과의 관계 분석

        권성연 ( Soung Youn Kw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e-Learning 학습환경에서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양식을 분석하고 이러한 학습양식이 학습활동 선호 및 학습전략 사용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따라서 Gregorc 및 Grasha-Reichmann의 학습양식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양식유형을 분석하고 이들 학습양식과 학습전략, 학습활동 간의 상관관계 및 각 학습양식이 학습전략과 학습활동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e-Learning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양식, 학습전략, 학습활동 선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인학습자들은 CS, AR형이 많았고 독립형, 참여형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학습전략으로는 정교화 전략 사용이 많았고 도움구하기 전략 사용이 적었으며 학습활동으로는 강의듣기를 가장 선호하고 조별과제를 선호하지 않았다. 학습양식과 학습전략, 학습활동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Grasha-Reichmann의 양식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Gregorc학습양식은 그 유형에 따라 대부분의 학습활동 선호의 차이가 없는 반면 Grasha-Reichmann의 학습양식은 그 유형에 따라 학습전략과 학습활동 선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Grasha-Reichmann 학습양식에서는 참여형과 협동형이 학습활동 선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는데 참여형은 교재읽기, 성찰하기, 강의듣기와 같은 개별적 학습활동에 협동형은 토론하기, 조별과제하기와 같은 집단적 학습활동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학습전략에 있어서도 참여형과 협동형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독립형도 인지적 전략 사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습양식의 특성에 따라 학습전략사용이나 학습활동 선호와의 관련성과 영향력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아울러, 학습전략 사용과 학습활동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양식에 대한 고려를 통해 보다 다양하고 적응적인 학습환경 설계가 요구된다. This research was aimed to analyze the adult learner`s learning styl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preferences for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strategies in e-Learning environments. so, adult learners` learning styles according to the Gregorc`s and Grasha-Reichmann`s,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preferences, learning strategies were analyzed.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Many of adult learners were CS or AR types in Gregorc style and the mean score of independent and participant types were little bit higher than collaborative and dependent types in Grasha-Reichmann`s style. Adult learners used elaboration strategy the most and help-seeking the least. Also, the most preferred learning activity was listening to lectur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styles and preferences of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strategies, the stronger relations appeared in Grasha-Reichmann`s than Gregorc`s learning style. that is,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preferences of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Gregorc`s learning types but participant and collaborative types in Grasha-Reichmann`s style were meaningful factors to preferences of learning activities, especially, participant type had meaningful effects for individual learning activities such as reading textbook, reflection and listening lecture, collaborative type was influential types for preference of group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 and group task. Participant and collaborative types also had a powerful impacts on learning strategies, and independent type influenced on cognitive strategy.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styles could make the differences in influences on use of learning strategies and preference of learning activities. and we should design the various and adaptive learning environments allowing for the learners` learning styles.

      • KCI등재

        대학수업의 질 제고를 위한 학습자중심교육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권성연(Kwon Soung youn),신소영(Shin So Young),김지심(KIM Ji S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하여 지향해야 할 ‘학습자중심교육’의 특성과 원리를 도출하고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교수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3개 대학의 전임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중심교육의 특성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결과, 학습 자중심교육의 5가지 영역 27개 항목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요도 인 식에 비해(M=4.09, SD=.38) 실행도는 낮게 나타났다(M=3.62, SD=.49). 또한, IPA분 석을 통해 향후 집중적으로 실행 노력을 기울여 개선해야 하는 항목으로 학습관 및 학습목표 영역의 특성들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면담을 통해 대학 교수들이 인식하 는 학습자중심교육에 대한 개념, 필요성, 실행 상의 어려움, 설문 결과에 대한 원인, 학습자중심교육에 기초하여 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규명하고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ributes and principles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then analyzed the professors perceptions 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For this, the survey and interview with faculties from 3 universities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very items were significant, the scores of performance were lower than those of importance. By IPA result, ‘concentrate here items which should make more efforts to improve were derived in areas of learning philosophy and objective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concepts, needs, difficulties of implementing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reasons of survey results, and strategies of improving the teaching were suggested by an interview.

      • KCI등재

        온라인 수업의 조별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사회적 실재감의 양상: 메시지 분석을 중심으로

        권성연 ( Soung Youn Kw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조별 게시판 활동에서 나타난 온라인 상호작용의 내용을 사회적 실재감 측면에서 분석하고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 성과 변인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성공적인 온라인 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원격으로 수업을 듣고 있는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동안 조별 게시판 활동을 하도록 하고 학기가 종료되는 시점에 사회적 실재감, 만족도, 토론효과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하였으며 게시된 메시지의 내용을 사회적 실재감 범주화 규칙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Rourke, Anderson, Garrison, & Archer, 2001). 연구결과, 사회적 실재감은 토론효과 인식,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게시글의 수는 어떠한 변수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사회적 실재감 점수가 높은 조가 사회적 실재감을 나타내는 내용의 메시지를 게시판에 더 많이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회적 실재감이 높은 조는 정서적 메시지와 상호작용적 메시지가 월등히 높게 나타난 반면, 사회적 실재감이 낮은 조는 정서적 메시지가 적고 화합/응집하는 메시지, 특히친교적 메시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 진행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 메시지의 변화는 초기에 정서적 메시지가 가장 많고 화합/응집하는 메시지가 그 다음 순이었으나 토론이 진행되는 시기에는 상호작용적인 메시지가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정서적 메시지는 학기 후반으로 갈수록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나 화합하는 메시지는 학기말로 가면서 다소 증가하였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경향은 조별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수업설계 운영 전략을 각 요소(정서적 교류, 상호작용적 의견 교환, 응집성과 공동체 의식 강화)별로 제안하였으며 수업 운영 중 교수자의 지속적인 촉진활동과 실재감의 유지가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an qualitative analysis of social presence and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of social presence with other learning outcomes to gain implications for successful online learning. For this study, cyber graduat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group online interaction through the group bulletin board during a semester then they responded the survey about social presence, effects of discussion and satisfaction which they had experienced in online class. I addition to thi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ntents of message in a group bulletin board based on the social presence protocol by Rourke et al(2001). As a research results, social presence correlated with perceived effects of discussion and satisfaction, but number of message didn`t have any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The group bulletin board which marked a higher score on social presence survey presented more message related with social presence. The group had highest score in social presence indicated more emotional and interactive message than other groups, lower score groups presented less message in emotional and interactive category, but they indicated more cohesive message, especially, phatics and salutions. A change in social presence message over time, at early stage, the most frequent message was emotional one, the next was cohesive message, the least was interactive one. But during the period of discussion, the interactive messages increased sharply. As the time went to the end of semester, emotional message decreased gradually, whereas cohesive message increase a little. The tendency of change in social presence message was also similar in every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 and the implication for effective online learning were suggested.

      • KCI등재

        기업의 업종 특성을 반영한 e-Learning 전략: 금융업, 정보통신업, 제조업 사례를 중심으로

        권성연 ( Soung Youn Kwon ),고기정 ( Ki Jung Ko ),이수영 ( Soo Young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3

        최근 기업의 e-Learning은 양적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하고 있으나 기업 고유의 특성을 살리고 있지 못하다는 지적이 많다. 이러한 현상은 기업 e-Learning의 질적 발전과 성과 향상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업종별로 특화된 e-Learning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e-Learning 특성화 전략을 제안함으로서 기업 e-Learning의 성과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개 업종(금융업, 정보통신업, 제조업)의 대표적인 기업을 대상으로 업종 특성을 반영한 특성화된 e-Learning 사례를 발굴, 분석하였으며 면담조사, 서면조사, 콘텐츠 및 시스템 분석, 협의회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금융업에서는 금융 상품에 대한 교육을 빠르게 실시하기 위한 Rapid e-Learning 전략, 사례기반의 과정 개발 전략, 적시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짧은 모듈 단위의 학습 콘텐츠 개발 전략이 제시되었다. 정보통신업에서는 학습자원화를 통한 비형식 학습의 강조, 동영상 및 시뮬레이션 개발전략, m-Learning 등 최신 기술 경향을 적용한 학습 방식의 활용, 아웃소싱기업을 대상으로 한 e-Learning 활성화 전략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제조업에서는 업무 현장 및 업무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연계된 e-Learning, Blended Learning의 전략적 활용, 생산직과 사무직 등 근로자 특성 차이를 반영한 맞춤화된 e-Learning 전략 등이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 e-Learning의 업종별 특성화를 위한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verse and unique e-Learning cases that reflect industry uniqueness in order to promote diversification and industry-specific e-Learning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workplace e-Learning. First, we selected three companies representing three industrial sectors (i.e., information technology, finance/banking, manufacturing). Then, we developed an analysis framework to systematically analyze each workplace e-Learning case. Based on the framework, we conducted written surveys as well as interviews with learners and e-Learning specialists in each company. Each company also provided related documents and data upon our requests. Main products of finance/bank industry are invisible and easy to be copied from competitors. Thus, it is critical for the finance/bank industry to minimize the time between the creation or production of a new product and release to the market. S bank in our study develops and implements Rapid e-Learning strategies to meet such a just-in-time education and training needs of the finance/bank industry. Another important purpose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finance/bank industry is to change behaviors of employees who directly provide services to customers. S bank implements many scenario-based courses that show good and bad cases employees may encounter in real-life situations. Similarly, the rapid changes in IT industry requires just-in-time learning utilizing learning resources in addition to regular learning courses. Various learning resources are organized and managed in a knowledge-management system that integrates learning and practice. The IT industry demands for hands-on exercises to learn delicate techniques of how to use complex instruments or a communication network. In order to meet this educational needs, K company utilizes simulation, animation or video captures for teaching specific techniques and instruments, in particular, when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work with real networks or instruments. In addition, IT companies are actively trying out new technologies such as m-Learning to maximize educational effectiveness utilizing the advanced level of IT literacy of their employees and advanced IT infrastructure and technologies they own. In the case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cluding P company in our study, high integration between work field practices and work system seems to be critical in improving performance. Compared to office workers whose tasks often involve a computer at hands, field workers need special consideration in their physical learning environments. Blended learning is one of the strategies that accommodate unique work and learning style of learners in manufacturing industry who do not have a constant access to personal computers while working their job.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s strategies that each industrial sector needs to consider in order to actualize more effective e-Learning environment reflect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respective business and industry.

      • KCI등재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정교화전략, 비판적 사고전략의 매개효과 분석

        권성연(Soung youn K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사회적 실재감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학습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원격대학원에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관련 변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회적 실재감이 만족도와 인지된 스킬향상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자기효능감, 정교화 전략, 비판적 사고 전략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실재감과 스킬향상인식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었으나 사회적 실재감과 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 았다. 또한 정교화와 비판적 사고전략은 사회적 실재감과 스킬향상인식, 사회적 실 재감과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실재 감이 학습성과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 학습자의 긍정적 동기요인과 적극적인 인지적 기여가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온라인 환경에서 사회적 실재감은 단순히 사회-정서적 개념으로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 정교화, 비판적 사고와 같은 학습에 긍정적 변인들을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ocial presence influenced on learning outcome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elaboration, critical thinking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The participants were the adult learners who took the online courses in J-cyber graduate school. A questionnaire to measure social presence, self-efficacy, elaboration, critical thinking, satisfaction, perceived skill development was administrated to this adult students by e-mail.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development of skills, but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 presence and satisfaction. Second, the higher level of cognitive strategies - elaboration and critical thinking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satisfaction, perceived skill development).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presence was a influential variable which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outcomes and also indirect effect through the self-efficacy, elaboration, and critical thinking.

      • KCI등재

        성찰일지 분석을 통한 이러닝 성인학습자의 학습 전략 탐색

        권성연(Kwon, Soung Yo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9 평생교육학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이러닝을 통해 학습을 수행하는 성인학습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학습전략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학습자가 직접 작성한 성찰일지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주간의 성찰일지 463부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주요 학습전략과 비효율적인 학습을 초래하는 학습행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은 전통적인 면대면 학습에서 사용하던 학습전략을 상당 부분 전이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체적인 종류로는 리허설, 예습, 이해점검을 통한 자기규제, 요약/정리/생성적 노트쓰기, 부가자료의 활용, 적용 및 활용, 시간관리, 학습환경 관리, 동료학습, 태도/의지/주의집중 조절 전략이 제시되었다. 또한 이들은 온라인 학습 정보를 그대로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예습, 반복, 부가자료 활용 등과 같은 학습전략을 사용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온라인 학습정보를 아날로그 자료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아울러, 효과적인 학습을 방해하는 비효율적 학습행태로서 일정관리를 하지 못하여 한꺼번에 몰아서 학습하는 행태, 업무 및 가정 일로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학습을 하지 못하는 행태,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학습행태를 가장 빈번하게 지적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인학습자들의 효과적인 이러닝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adult learners' learning strategies in e-Learning environmen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436 reflection journals which was written for 4 weeks by the learners were collected to analyze and derive the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and ineffective learning behavio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 adult learners use the learning strategies as same as those of face to face learning environments. Namely, they transfer the traditional learning strategies to the e-Learning environments effectively. The kinds of strategies mainly used were rehearsal, preparation, comprehension monitoring & self-regulation, summarizing and generative note-taking, utilizing a reference materials, application and utilization, time-management, managing of study environment, peer learning and control of attitude, intention and attention. The adult learners faced with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online learning information directly, so they used preparation(ex. read a teaching materials before listening to the online lecture), repetition(ex. read a teaching materials two or three times), utilizing a reference materials(ex. search and refer the related web sites) and they wanted to study with the printed materials. In addition, the learners presented the inefficient learning behaviors. First, they cram online lesson because of not being able to keep their learning schedule, and they couldn't concentrate on the study by interrupting of personal tasks and business. and also, they took part in learning passively without interaction or critical think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suggestions for more effective e-Learning to adult learners were presented.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이러닝 준비도, 이러닝 학습전략, 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권성연(Kwon Soung 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환경에서 이러닝 준비도, 이러닝 학습전략, 이러닝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자기주도학습법’ 온라인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원격대학원 재학생 2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시스템을 통해 이러닝 준비도, 학습전략,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약 2주간 이루어졌으며 설문에 응한 학생은 총 172명 이었다. 자료수집 후,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통한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이러닝 학습전략 수준은 양호하였으나, 이러닝 준비도에서 ‘정보공유 및 관리’, 이러닝 학습전략으로 ‘과부하통제’와 ‘비동시성 통제전략’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이러닝 준비도, 학습전략, 만족도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이러닝 준비도와 이러닝 학습전략의 하위요인들이 이러닝 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정보처리전략, 사회적 상호작용, 다중토론전략 순으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이러닝 준비도와 이러닝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이러닝 학습전략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volved in successful learning experience and outcome in e-learning environment of adult learners. For this study, the survey of e-learning readiness, e-learning strategy, and student satisfaction were conducted to a cyber graduat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e-learning readiness and e-learning strategy was generally high, however, ‘information sharing and managing’(from e-learning readiness), and ‘overload management strategy’, ‘asynchronous management strategy’(from e-learning strategy) were relatively low. Second, the correlations among three variables(e-learning readiness, e-learning strategy, and satisfaction) and their sub factors were positive. Third, information-processing strategy, social interaction, group discussion strategy had a main effect on students’ satisfaction in order. Fourth, e-learning strategy had a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e-learning readiness and student’s satisfaction.

      • KCI등재

        대학 강의평가 운영에 대한 교수 인식 분석

        최금진(Choi Keum jin),권성연(Kwon Soung youn),김은정(Kim Eun jeong),박일수(Park Il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대학교육의 질 관리 체제로서 운영되는 강의평가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충북 소재 A대학교 교수들을 대상으로 강의평가 실태와 강의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 강의평가문항의 적절성, 강의평가(운영 및 결과활용)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A대학 126명 교수의 설문지에 대해 빈도와 백분율 등 통계분석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의평가결과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확인한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강의평가 방법의 타당성과 강의평가의 신뢰성에 대해서는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과목에 대한 흥미, 강좌 난이도, 교수의 열정 요인 순으로 강의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강의평가 문항 가운데 상호작용 및 수업참여, 수업방법 및 매체, 교재 및 학습자료 등 주로 방법적인 측면의 문항을 보다 적절하다고 인식하였고 수업을 통해 향상된 역량 정도, 학습내용과 분량, 평가방법의 적절성 문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넷째, 강의평가 개선방안과 관련하여, 강의평가 참여자로 학생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교수 자신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기말 강의평가 1회 실시, PC 및 모바일 접속을 통한 온라인 강의 평가 방법에 대한 선호가 높았으며, 강의의 질 제고에 초점을 둔 강의평가, 담당 교과목 교수에게만 평가결과 공개, 강의평가 결과가 낮은 교원에게 교수법 연수 실시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 강의평가의 주요 이해 당사자인 교수의 인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강의평가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fessor’s perception on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of course evaluation for educational quality management. For this purpose, the professors in A university in Chung-buk province were surveyed to identify their perception of the current state, the relevance of questionnaires and the improvement of course evaluation. A total of 126 professors from A University were asked questionnaire of perception on course evalu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rofessors interested in and checked the results of course evaluation, but their preception of validity of evaluation method and reliability of course evaluation result were low. Second, students’ interest in a course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make course evaluation, and difficulty of a course, professor’s passion were influential factors in order on course evaluation. Third, among the course evaluation questions, facilitating interaction and engagement during the class, instructional method and media, text book and teaching material were relevant questions, however, the qu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through the course, the composition and quantity of the course content, evaluation method in a course were perceived as irrelevant. In addition, the differentiation of questionnaire depending on the lecture type was preferred. Fourth, more than half of the professors regarded student as the most appropriate course evaluation, and the next was professor himself. Implementing course evaluation once per semester, complementary mobile evaluation method, Focusing on the quality improvement, undisclosed evaluation result except oneself, were preferred to improve course evalu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course evaluation by analyze the perception of professor, important stakeholder of course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