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흰쥐의 수면 및 뇌파에 대한 카페인의 효과

        권도훈(Do Hoon Kwon),원승희(Seung-Hee Won),김기민(Ki Min Kim),장수민(Su Min Chang),김상헌(Sang Heon Kim),이만기(Maan Gee Lee)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6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2 No.2

        카페인은 기저전뇌의 아데노신의 아데노신 수용체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각성을 유발하고 피질에서 서파 활동의 감소를 야기한다. 또한 카페인은 용량-의존적인 각성상태의 증가를 초래한다. 따라서 카페인의 각성 효과는 아데노신의 뇌 조직 내 농도가 증가하여 수면 압력이 상승되어 있고 각성 중추의 활동이 감소된 상태의 각성인 반면, 정상 각성 상태는 아데노신의 농도가 낮아 수면 압력이 없이 각성 중추의 활동이 증가된 상태의 각성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각성의 서로 다른 상태가 피질 영역별 활동의 차이로 나타날 수 있는지 보기 위하여 뇌파의 스펙트럼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활동의 정량화를 시도하였다. 더 나아가 수면박탈로 수면 압력이 증가된 상태에서의 각성과 비교하여 카페인과 아데노신의 상호작용을 고찰하였다. Sprague-Dawley 수컷 쥐 8마리를 마취하에 뇌파 및 근전도 전극을 전두엽, 두정엽, 그리고 목근육에 각각 설치하고, 수술에서 회복된 후 뇌파/근전도 기록을 시작하였다. 기록은 10:30부터 시작하여 17:30까지 수행되었으며 13:30경에 카페인 7.5, 15, 또는 30㎎/㎏을 복강내 주사한 후, 각각의 수면-각성 단계와 그 기간 및 변화 방향을 계산하였다. 수면에 대한 카페인의 주된 효과는 활동각성의 증가와 수면의 감소로 나타났으며, 이 효과는 카페인 용량에 의존적이었다. 활동각성 기간의 증가는 그 단계의 유지기간의 증가로 야기되었고 서파수면의 감소는 서파수면 상태로 변화되는 빈도의 감소에 주로 야기되었다. 활동각성 단계에서 정적각성, 서파수면 단계로 변화가 감소되었고 그 반대로 변화는 증가되었다. 한편 수면박탈은 서파수면의 반동 증가를 초래하지 못했고 활동각성의 유의한 감소를 초래하지 못했다. 그러나 역설수면 기간의 유의한 감소를 초래하였다. 뇌파 스펙트럼 프로파일에서 수면박탈이 델타의 상대적 증가를 초래한 것을 제외하고는 수면박탈과 카페인 투여 모두 알파의 상대적 감소 및 감마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실제 진폭은 전두피질에서 25㎐ 이하 대역에서 감소와 이상 대역에서 증가, 두정피질에서 35㎐ 이하 대역에서 감소와 이상 대역에서 증가를 야기하였다. 주파수 대역별로 델타, 쎄타, 알파의 감소가 있었고 감마의 증가가 있었다. 감마의 증가는 전두피질에서 더 현저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카페인에 의한 각성의 촉진은 수면-각성 상태의 천이를 한 방향으로 가속화함으로써 발생되며 그 방향은 수면박탈에 의한 방향과 반대이다. 따라서 수면박탈에서는 아데노신이 축적되어 수면 압력을 증가시키고, 수면 압력의 증가는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델타 대역의 감소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최소 용량 투여 후 포화되어 최대 효능을 보인다. 이것은 뇌파의 주파수별 파워의 측정이 수면기간이나 각성기간과 같은 행동적 지표보다 더 민감한 방법임을 시사한다. 앞으로 사람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카페인 투여에 의한 동물에서 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이 생리학적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Caffeine induces arousal and reduces slow-wave activity of the cortex by blocking adenosine action on the adenosine receptor. Caffeine induces dose-dependent arousal. Therefore, caffeine-induced arousal may be a different state from an arousal in waking subjects. So we compared EEG spectra between of a state produced by intraperiotoneal caffeine injection and of a state produced by 3-hour sleep deprivation. A total of 8 Sprague-Dawley male rats underwent EEG/EMG recording session from 10:30 to 17:30. They received intraperitoneal caffeine injection(7.5, 15, and 30mg/kg) at 13:30 and some cases received sleep deprivation from 10:30 to 13:30. Caffeine dose-dependently reduced the duration of slow-wave sleep and increased the duration of waking state. The increase of waking state resulted from the increase of maintanence of the state while the reduction of sleep state resulted from the decrease of transition from waking to sleep. Sleep deprivation did not show rebound increase of sleep but it decreased the period of paradoxical sleep. In spectral profile, sleep deprivation increased relative proportion of delta activity and both caffeine and sleep deprivation decreased relative proportion of power in alpha band and increased in gamma band. Caffeine decreased the absolute power of delta and alpha bands and increased absolute power of gamma band which was more prominent in the frontal cortex. In conclusion, caffeine promoted waking state by acceleration of transition to waking state from other states which was reverse in sleep deprivation. Therefore, adenosine may accumulate during sleep deprivation and mediate sleep pressure and caffeine may block its action on the adenosine receptor. The comparison of the spectral profiles indicates that caffeine-induced waking state may differ from normal awake state and from awake state after sleep deprivation.

      • KCI등재

        자극제 남용환자의 약물치료 : 임상실제

        권도훈(Do-Hoon Kwon),조성남(Sung-Nam Cho)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2 생물치료정신의학 Vol.8 No.2

        자극제와 같은 물질에 중독된다는 것은 반복적인 약물중독으로 야기되고, 유전적, 발달학적, 경험적 그리고 환경적 인자에 의해 조절되는 뇌의 복잡한 병리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자극제 남용자에서 합병 정신질환이 많다는 사실은 이들에 대한 치료를 더욱 복잡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현재까지 자극제 남용의 치료에 있어 도파민 효현제, 항우울제 혹은 기분안정제와 같은 향정신성 약제의 사용을 지지할 만한 객관적인 증거는 없다. 그리고, 이들 환자군에서의 높은 치료탈락 율을 고려할 때, 환자가 치료를 계속 받게끔 하는데 초점을 둔 정신치료는 필수적이라 하겠다. 비록, 이전의 약물연구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보여주진 못했지만, 앞으로의 연구를 위해서 기존의 문헌을 검토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 하겠다. To be addicted to the substances such as a stimulant is a complex disease process of the brain that results from recurring drug intoxication and is modulated by genetic, developmental, experient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Furthermore, the fact that the comorbidity rates in stimulant abusers are high makes the matters more complicated. As a result, at present there is no evidence supporting the clinical use of psychotropic medications such as dopamine agonists, antidepressants and carbamazepine in the treatment of stimulant abuse. And given the high rate of dropouts in this population, clinicians should consider adding psychotherapeutic measures aiming to keep patients in treatment. Although the previous medication trials show no promising result, it would be meaningful to review the articles for the further investigations.

      • 스마트그리드 기반 시간당 전기요금을 고려한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충전 스케쥴링

        권도훈(Do-hoon Kwon),황평익(Pyeong-Ik Hwang),김윤수(Yun-So Kim),문승일(Seung-Il Moon) 대한전기학회 2012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2 No.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해서는 스마트그리드의 구축이 필수이며 전기자동차는 스마트그리드의 주요 요소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특히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PHEV)같은 전기자동차의 경우 배터리로부터 일정량의 전력을 공급하여 건물의 부하를 담당할 가능성이 증가할 것이다. 또한 많은 전기자동차가 심야시간에 충전이 된다면 심야전력사용의 증가로 인한 off-peak의 해결이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가 구축되었을 때 PHEV가 널리 보급되었고 V2G 기술을 사용하여 PHEV의 배터리로부터 계통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건물이 여러 개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심야시간동안 건물에 있는 PHEV들이 충전될 때 off-peak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시간대별 전기가격을 제시한다. 또한 peak시간 동안 각 빌딩에 연결된 PHEV들이 계통에 전력을 공급하고 그 때 V2G에 참가하는 PHEV의 소유자들에게 적절한 보상가격을 제시하여 계통운영자 입장에서 전체 운영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 표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통합

        권도훈(Do-Hoon Kwon),박성공(Sung-Kong Park),이정욱(Jeong-Oog Lee),백두권(Doo-Kwon Baik)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B

        온라인 정보 소스와 정보 사용자의 수는 인터넷과 통신 기술의 확산으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정보시스템간의 통합을 요구한다. 정보 시스템 통합에 대한 연구는 오래 전부터 시작되었고, 많은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정보통합 방법은 일반적으로 CDM(Common Data Model)작성과 스키마간 통합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최종 사용자에게 다양한 질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시스템 최종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준의 질의 유형만을 요구한다. 이 경우 다양한 질의를 제공하기 위한 기존 정보시스템들의 요구사항은 많은 오버헤드로 작용한다. 본 논문은 웹환경과 같이 질의 유형이 제한된 곳에서 정보시스템 통합 시 기존 정보 통합 방법의 오버헤드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데이터베이스 접근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한 정보 통합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질의유형이 제한된 곳에서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통합 방법에 비해 단순하고, 확장성 있는 데이터베이스 통합을 제공한다.

      • KCI등재
      • 이기종 데이터베이스 환경의 정보 통합을 위한 I2System( :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설계

        권도훈(Do-Hoon Kwon),박성공(Sung-Kong Park),이정욱(Jeong-Oog Lee),백두권(Doo-Kwon Baik)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Ⅰ

        인터넷과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온라인 정보소스와 정보사용자의 수가 증가되었다. 이것은 정보시스템간 특히 데이터베이스간의 통합을 요구한다. 데이터베이스간 통합에 대한 연구는 오래 전부터 시작되었고, 많은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기존의 데이터베이스간 통합 방법은 일반적으로 전역데이터모델(Global Data Model)을 제공해야하며, 전역스키마(Global Schema) 작성, 전역시키마와 지역스키마간 번역과 같은 복잡한 작업들을 필요로 한다. 이는 최종 사용자에게 다양한 질의(정보)와 이질적인 지역 데이터베이스들에 대한 단일접근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데이터베이스간 통합이 요구되는 영역에서 필요한 정보만 제공해 준다면 다양한 질의를 제공하기 위한 기존 정보통합시스템들의 요구사항은 오버헤드로 작용한다. 본 논문은 데이터베이스간 통합 시 필요한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간 통합을 하는 I2System(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을 제안한다. 이는 기존의 정보통합방법의 오버헤드를 줄이며, 단순하고 확장성 있는 데이터베이스간 통합을 제공한다.

      • KCI등재

        손바닥선인장 줄기 methanol 추출물의 항균활성

        김해남,권도훈,김해윤,전홍기,Kim Hae-Nam,Kwon Do-Hoon,Kim Hae-Yun,Jun Hong-Ki 한국생명과학회 2005 생명과학회지 Vol.15 No.2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한의학에서 항염증 작용, 화상, 부종, 소화 불량 등 몇 가지의 생리학적 기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손바닥선인장 줄기를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그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활성을 확인한 결과 병원균 등 일반 세균에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약제내성균 및 혐기성 균인 여드름 원인균 뿐만 아니라 효모, 곰팡이 등 진균류에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열 처리,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이 항균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므로 온도 및 기간에 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식품 보존제로서의 가능성 확인 시험에서도 기존의 식품 보존제보다 안전성이 있는 항균활성 물질로 평가되었다. The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Cactus) is a tropical or subtropical plant, which is cultivated or grows naturally in Jeju island. It has been widely used as folk medicine for burned wound, edema and indigestion. In addition, its extract has been claimed to have several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inflammation in oriental medicin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The extract showed a broad spectrum of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including antibiotics resistant bacteria (MRSA, R-P. aeruginosa, VRE) and Propionibacterium acnes, yeast, and fungi. The extract retained the activity after heat treatment for 15 min at $100^{\circ}C$ and $121^{\circ}C$ and after extended storage, up to 10 weeks storage period at $4^{\circ}C$ and $25^{\circ}C$, also stably retained its activity. It showed a better inhibitoring effect to the growth of E. coli than sodium benzoate did it at the same concentration. Addition of various salts or metal ions did not affect on its antimicrobial activity. Therefore, the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the extract can be applicable as a natural preservative and an antimicrobial agent for bacterial disease.

      • 임상 : 성장호르몬 분비샘종에 대한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후 치료결과 분석

        김지훈 ( Ji Hoon Kim ),권도훈 ( Do Hoon Kwon ),김창진 ( Chang Jin Kim ),김정훈 ( Jeong Hoon Kim ) 대한뇌종양학회 2011 대한뇌종양학회지 Vol.10 No.2

        Purpose: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gamma knife radiosurgery (GKRS) in patients with growth hormone-secreting pituitary adenoma (GHPA) and factors related to good outcom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results of 20 patients with GHPA who underwent GKRS between January 1991 and December 2008 and were followed-up for at least 10 months. Successful endocrine outcome was defined as a random human growth hormone (hGH) concentration<2 ng/mL. Tumor volume was also assessed. At least 10 months (mean 67.8) of endocrine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ollow-up was available in all patients who received GKRS during the study period. The correlations between endocrine remission and marginal dose, tumor volume, and pre-GKRS hGH concen-tration were analyzed. Results: The 20 patients consisted of 10 men and 10 women, of mean age 42.6 years (range 21 to 66 years). Of these 20 patients, 17 received GKRS as adjuvant treatment and 3 as primary therapy. The mean marginal dose of GKRS was 28 Gy (range 12-35 Gy), with 12 Gy administered to tumor sites adjacent to the optic nerve, and mean tumor volume was 1,818 mm3 (range 150-4,900 mm3). Mean endocrine follow up was 67.8 months (range 19-155 months) and mean MRI follow up was 52.7 months (range 10-102 months). hGH concentrations decreased in 16 patients (80%), but only 6 (30%) at-tained normal level (<2 ng/mL) at a mean 19.0 months (range 10-44 months). Decreased tumor volume was observed in 17 patients (85%), in whom hGH declined at a mean 10.1 months (range 2-16 months), whereas tumor volume declined at a mean 13.9 months (range 6-36 months). Endocrine remission was not correlated with marginal dose or tumor volume. Normal hGH concentrations were achieved by 6 of 12 (50.0%) patients with pre-GKRS hGH<20 ng/mL, but by 0 of 8 with pre-GKRS hGH>20 ng/mL. Five of 18 (27.8%) patients had new onset panhypopituitarism, but none showed decreased visual acuity. Conclusion: GKRS is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method in selected patients with GHPA. Pre-GKRS hGH level was the best predictor of good outcomes following GKRS for GHP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