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헤겔 논리학 : 헤겔의 논리학에서 "철학의 너무 늦게 오지 않음"의 단초 -과거성과 미래성 문제에 대한 또 다른 쟁점들-

        권대중 ( Dae Joong Kwon ) 한국헤겔학회 2012 헤겔연구 Vol.0 No.31

        헤겔 철학에 대해 항상 제기되는 과거적 성격을 다룬 논문에서 논자의 핵심 기획은 헤겔주의의 테두리 안에서, 그것도 특히 체계의 근본학인 논리학의 핵심 부분에서 미래적 전망의 정초 가능성을 찾는 것이다. 많은 부분에서 논자의 분석과 주장에 동의할 수 있으나, 첨언하고 싶은 것은, 주요 관건이 논리학의 구조적 완결성이 실재철학의 시공간적 개방성과 양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은 논리학과 실재철학의 대응관계를 새로이 설정할 수 있는지를 찾는데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논리학의 여러 지점에서 미래적 가능성의 단초를 발견하고자 하는 논자의 진술들에서도, 특히 ``이념의 자연으로의 이행`` 부분과 ``철학이후의 이행의 불가능성`` 사이에서 발견되는 구조적 불일치가 제대로 다루어졌더라면 헤겔에 대한 더욱 완성도 높은 대응책이 마련될 수 있었지 않나 여겨진다. In her treatise about Hegel`s ``passatism``, O. K. Kim tries to find new possibilities of interpretating Hegel, by means of which we can assert that Hegel` Science of Logic is orientated not only to the past but also to the future. Even though I agree with her in most viewpoints, I would like to add some critical remarks on that issue: if the most important argument consists in the thesis that the constructive completeness of the Science of Logic is compatible with the temporal and spacial openness of the phenomenal realm, the most efficient strategy should be found in seeking a new correspondence between the Logic and the Real-philosophy. Therefore, if we focuses on the Hegelian discordance between the transition of the Idea to nature and the absolute impossibility of any new transition after the stage of philosophy, we could find a more promising ways of revising Hegel`s thoughts.

      • KCI등재

        헤겔철학 전반 : 헤겔의 반낭만주의에 함축된 철학적 층위들

        권대중 ( Dae Joong Kwon ) 한국헤겔학회 2012 헤겔연구 Vol.0 No.31

        헤겔은 ``낭만적인 것``(das Romantische)을 주로 『미학강의』에서 상론하고 있지만, 이 범주는 단지 미학이라는 한정된 분과에서가 아니라 그의 철학 전체의 기조와 맞물려 있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즉, 이 개념은 특정한 유형의 시대정신 및정신의 작동방식을 가리키는 철학적 범주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면밀한 고찰은 헤겔 철학의 참된 면모를 제대로 이해하는 데에도 좋은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문제는 헤겔이 이 단어를 통해 지시하는 대상이 요소요소에서 다양한 불일치를 보일 뿐 아니라, 이 개념을 적용하는 대상들에 대한 가치평가의 측면에서도 잦은 변화를 보인다는 사실이다. 이에 이 논문은 1) 먼저 ``낭만적인것``의 지칭에서 나타나는 착종의 양상과 원인을 분석하고, 2) ``낭만적``인 것들에 대한 헤겔의 가치판단상의 잦은 변화의 실체를 조명한 후, 3) 그 변화를 특히 청년기의 친낭만주의로부터 후기의 반낭만주의적 입장으로의 전환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한다. 이를 위해 필자가 특히 중점적으로 논의하는 것은 「독일관념론의 가장오래된 체계 강령」과 『미학강의』에서 이루어진 ``반어`` 비판이다. 왜냐하면 이 두텍스트는 각각 헤겔 초기의 미적 절대주의와 후기의 이성중심주의를 잘 드러내보이기 때문이다. Although Hegel treats ``the romantic`` mainly in his Lectures on Aesthetics, this category plays a crucial role not only for a confined discipline of aesthetics but also for the essential orientation of his philosophy in general. That is, this concept plays a role as a philosophical category that forms the groundwork of a certain type of ``Zeitgeist`` and the way of mind`s operation. Therefore a sophisticated discussion about it is very helpful for an orthodox interpretation of Hegel`s philosophy. However this interpretation is not so easy, because Hegel`s connotation of the word ``romantic`` is somehow incoherent and his evaluation of the objects characterized as ``romantic`` also experiences frequent changes. The author firstly analyses the modes and causal relations of complexity that could be found in the referentialiality of this word, secondly explains how frequently Hegel`s estimation of the romantic occurs, and thirdly analyses why Hegel made a turn from his early romanticism-friendly position to anti-romanticism. The author focuses on Hegel`s fragment The Oldest System Program of German Idealism and his critique on ``irony`` in his Lectures on Aesthetics, because each text typically represents the aesthetic absolutism of young Hegel and the ratio-centrism of old Hegel.

      • KCI등재

        2부 헤겔논문 : 헤겔의 "자유" 개념이 지니는 불편함들: 내향적 운동성과 외향적 운동성 사이의 경쟁 관계

        권대중 ( Dae Joong Kwon ) 한국헤겔학회 2013 헤겔연구 Vol.0 No.34

        헤겔 철학에서 자유 개념은 정신 개념의 수반개념으로서, 그것이 차지하는 의미와 가치는 지대하다. 특히 역사의 발전을 자유의 보편적 실현으로 보는 한에서, 자유는 무엇보다도 실천철학적 맥락에서 핵심개념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자유에 대한 헤겔의 구체적 진술들 및 전체 체계의 구성 방식을 상세히 고찰하면, 이 개념이 함축하는 의미가 그리 간단하지 않으며, 심지어는 서로 다른 방향의 목적을 동시에 지향하고 있는 것이 드러난다. 즉, 한편으로는 사유하는 주체의 완전한 반성성이라는 이론적 차원이, 다른 한편에서는 주체의 재객관화 및 다수 주체 간의 상호 인정이라는 실천적 차원이 다양한 맥락에 따라 주도권을 나누어 갖고 있다. 전자의 방향성은 내향적 운동성, 후자의 방향성은 외향적 운동성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 두 갈래의 운동성을 실재철학 내에서 객관정신과 절대정신 사이에서 벌어지는 경쟁관계를 통해 드러낸 후, 이러한 경쟁관계가 헤겔의 정신론에서의 범주간 이행관계에서 드러남은 물론, 특히 자유에 대한 그의 구체적 규정에서도 극명하게 드러남을 밝힘으로써, 헤겔 좌파와 우파 간의 대립을 낳은 근본적 책임은 후학들의 해석에 있다기보다는 헤겔 자신의 진술 방식에 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Freedom is a supervening concept of spirit (Geist) and thus has a very important relevance and value in Hegel`s philosophy. As far as the complete realization of freedom is regarded as the principle of historical development, freedom is mainly interpreted to play a crucial role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practical philosophy. However, we can find that the implications of freedom are not so simple as supposed, and it even focuses on two different contradicting directions at the same time, when we thoroughly investigate Hegel`s concrete statements about this concept and the architecture of his whole philosophical system. That is: The theoretical dimension of complete reflectivity of the cognitive subject on the one hand, and the practical dimension of the reobjectivation of the subject and the intersubjective recognition on the other hand share the categorical hegemony in various contexts. The former direction can be characterized as “introvertive” kinetics and the later as “extrovertive.” The author of this thesis firstly tries to disclose these two kinetics in terms of the rivality between the philosophy of objective spirit and of absolute spirit. Secondly, he attempts to explain that this rivality can be found not only in the categorical shifts in Hegel`s psychology but also in his various argumentations about freedom.

      • KCI등재

        미학자학으로부터 미학으로: 한국으로 건너온 독일 미학의 어제 오늘 내일

        권대중 ( Kwon Dae Joong )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4

        이 논문에서 필자는 독일 미학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국내의 독일 미학 연구 방식에 대한 성찰을 병행한다. ‘독일 미학’은 일상적으로는 별 불편 없이 쓰이는 관용어로 인정되고 있지만, 실제로 그 개념 설정의 타당성을 따져 보면 지시 연관이 특정되기 어려운 명칭이다. 더욱이 하나의 철학적 분과에 국적을 수여하는 것은 학문 자체의 본성에도 맞지 않는 부당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때문에 여기서 사용되는 ‘독일 미학’이라는 표현은 느슨한 가족유사성이 작용하는 일상어로만 인정된다. 다른 어느 지역의 미학과도 달리, 전통적으로 독일 미학은 학문의 기술적 기능뿐 아니라 규범적 기능을 잘 수행해 온 이론 모델로 인정된다. 그러나 최근으로 오면 올수록 독일 미학은 원래의 학문적 매력을 상실해 오고 있다고 평가되는데, 그 이유로는 크게 세가지를 꼽을 수 있다. 첫째, 독일 미학은 그 자체가 해석의 대상이 되는 에세이 작품의 성격을 지니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독일 미학은 ‘예술’이나 ‘미’와 같은 문제를 다루는 것보다는 점차적으로 특정 ‘인물’의 사상 체계에 기생함으로써, ‘미학’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서 벗어나 ‘미학자학’으로 변질되어 왔다. 셋째, 문제를 다루는 경우라 하더라도 독일 미학은 주로 이론의 ‘역사’에 편중됨으로써 ‘미학’이 아닌 ‘미학사’로 축소되는 경향을 또한 보여 왔다. 물론 그러한 과정에서도 미학 중심의 학술지에서는 꾸준히 문제 중심의 연구들이 명맥을 유지해오고 있지만, 독일 미학이 전통적으로 추구해 온 거대 담론보다는 새로운 현상을 의식한 미시담론으로 사유의 폭이 위축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한국에서의 독일 미학 연구에서는 독일의 연구 관행에서 보이는 기생성이 더욱 현저하게 드러난다. 물론 최근 들어 독일 유학생들의 논문이 세계적 수준에 필적하는 경우도 빈번해지는 등, 성과도 확인되지만, 많은 부분에서는 여전히 그 특유의 난문성과 인물과 역사에 대한 기생성을 드러냄으로써 애초의 학문적 매력을 체감하기가 어려워지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다. 이에 한국의 독일 미학 연구자들은 훈고학적 페티시즘을 극복한, 문제 중심의 미학으로 연구로 지향점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The author of this paper tries to provide some critical comments not only on German aesthetics, but also on the academic tendencies of Koreans who have been dealing with German aesthetics. Generally, the so called ‘German aesthetics’ seems to be a idiomatic term that is used without any special inconvenience. But it is such a designation whose referential relation is hard to identify. Furthermore, it seems unacceptable to assign a particular nationality to a philosophical discipline. Therefore, the ‘German aesthetics’ could be used here just as commonplace term with a loose family resemblance. Unlike the aesthetics of any other area, German aesthetics used to be evaluated as such an aesthetic version that has played not only descriptive but also normative Roles of human disciplines. However, in recent decades, German aesthetics is considered to have lost its authentic academic attractiveness. First, German aesthetics tends to have the character of a essay that is an object of literary interpretation. Secondly, German aesthetics has been changed gradually into a discipline on ‘aestheticians’ by becoming paranoid to certain thought systems of certain ‘persons’ rather than dealing with problems such as ‘art’ and ‘beauty.’ Third, even when dealing with issues, German aesthetics has also shown a tendency to be reduced to ‘history of aesthetics’ rather than ‘aesthetics’ because it is mainly concentrated on transition process of theories. Although issue-oriented researches have been consistently maintained in a few aesthetic journals, it is hard to deny that the German aesthetics has been contracted into microscopic discourses that mainly considers new phenomenon, but rarely developing gigantic discourse which it has traditionally pursued. In German aesthetics studies in Korea, the emergence in German research practices is more evident. When Koreans study German aesthetics, the academic parasitism seen in German research practices becomes more conspicuous. Although, in last years, the academic achievements by Koreans have often been comparable to the global level, it is not to be denied that it’s becoming harder and harder to feel the academic attraction inherent in German aesthetics, because the chronic abstruse literary styles and parasitism to persons and history still constitute its dominant tendency. Therefore, Koreans studying German aesthetics need to avoid philosophical fetishism and move on to issue-oriented aesthetics.

      • KCI등재
      • KCI등재

        미학적 칸트와 연대한 철학적 헤겔: 헤겔의 절대정신철학적 결론에 맞서는 또 다른 대안 개발을 위한 시론

        권대중 ( Kwon Dae-joong ) 한국미학회 2016 美學 Vol.82 No.4

        이 논문은 `예술의 종언` 명제라는, 헤겔의 미학적 결론 및 이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그의 절대정신철학의 체계적 구성에 맞서 새로운 대안적 이론 모델을 탐색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작성된 것이다. 정교한 논증을 통해 쉽게 공략되기 어려운 헤겔의 미학적 결론을 번복하기 위해 필자는 이전까지는 회슬레의 제안을 발전시켜 예술을 `철학적 인식의 재객관화`로 재규정하는 전략을 개진하였으나, 이 전략에는 헤겔 철학의 전체적 건강도를 오히려 떨어뜨릴 수 있는 데카르트적 강박증이 여전히 잔존하고 있다는 판단이 들었다. 이에 이 논문에서 필자는 헤겔적인 직선적 전진 형식에 의거하는 이론 구성 모델 이외에, 예술과 철학을 서로가 서로의 독점적 영역을 대등한 관계 속에서 인정하게 할 수밖에 없는 관계 속으로 새로이 위치시킬 수 있는 절대정신철학 모델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이 모색의 결과, 과학철학에서 설득력 있게 주장되는 상보성의 원리가 바로 철학과 예술 사이에 성립하며, 헤겔의 절대정신철학을 이러한 상보성 원리에 따르도록 재구성할 수 있는 이론적 유형이 바로 칸트의 미학에 있다는 판단에 이르게 되었다. `반성적 판단력`이 수행하는 취미판단은 규정적 판단이 수행하는 지식의 확실성과는 거리가 멀지만, 후자가 미치지 못하는 미 개념의 영역을 자유로이 탐색하는 강점을 동시에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예술과 철학 간의 이러한 상보성은 헤겔의 철학과 칸트의 미학 사이에도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성립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The most notorious aesthetic conclusion of Hegel is the doctrine of `the end of art`, according to which the cognitive capacity of art should be confined to an eternal past. I propose that Hegel`s doctrine should be re-evaluated and that a new and alternative way of criticizing him must be sought. In recent studies I have opted the strategy that was developed by V. Hosle. According to him, the art could not be sublated by philosophy, but understood as an extension (i. e. re-objectification) of philosophy. Yet we can raise questions on this strategy. Is it really convincing to determine philosophy as the `complete` stage of cognition? Are we not still in agreement with Hegel`s opinion about the cognitive `inferiority` of art? These questions lead us to pay attention to Kant`s aesthetics. Although our aesthetic faculty cannot produce strict knowledge system like science and philosophy, it can expand our spiritual activity beyond the limit of concepts, while our theoretical cognitive faculty ―based on schemes, categories, etc. as fundamental (but subjective) conditions― is isolated from the objective truth of things in themselves. I think that we can compromise this Kantian point of view with Hegel`s system and find a new clue to develop a better aesthetic conclusion. In justifying the firm status of philosophy in the realm of knowledge, Hegel has more advantages than Kant who ultimately supports the (inter)subjectivity and limitedness of our knowledge. In warning about excessive confidence in philosophical cognition, however, Kant is clearly more convincing than Hegel.

      • KCI등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커피 등급에 따른 관능평가

        권대중 ( Dae Joong Kwon ),이민준 ( Min June Lee ),박옥진 ( Ok Jin Park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3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커피 등급에 따른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이를 전문적으로 교육받고 인증 받은 큐그레이더(Q-grader)에 의해 평가된 결과와 비교해 보아, 소비자들의 선호도 및 커피 등급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생두와 원두의 이화학적 분석으로 수분 함량, pH 및 색도를 측정한 결과, 수분 함량은 스페셜티 등급이 다소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pH는 생두에서는 스페셜티 등급이 높고, 로스팅 후에는 커머셜 등급이 높았다. 색도는 원두를 갈기 전과 후에 모두 스페셜티 등급과 커머셜 등급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 대상자는 대학생 총 24명으로 남학생 7명, 여학생 17명이었다. 이들의 커피전문점 이용빈도는 일주일에 1∼2회 방문이 37.5%로 가장 높았으며, 대부분 첨가 시럽을 첨가한 단 음료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능검사의 기 호도 평가 항목은 커피의 향?신맛?후미?만족도?쓴맛?떫은맛 등 총 6개 항목에 대해 5점 척도로, 강도 평가 항목은 향?신맛?쓴맛 등 3개 항목에 대해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관능검사에서 스페셜티 등급 커피는 신맛이 강하고 커머셜 등급 커피는 쓴맛이 강하며, 기호도에서는 쓴맛이 약한 스페셜티 등급 커피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별에 따른 관능검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들이 커핑테스트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어 커피 맛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 전문점 이용 빈도에 따른 분석에서는 자주 이용하지 않는 군이 향, 신맛, 전체적인 만족도 등에서 스페셜티 등급 커피를 커머셜 등급보다 더 높게 평가하였고, 또한 아메리카노를 선호하지 않은 군이 향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커핑테스트와 유사한 결과로 스페셜티 등급 커피를 커머셜 등급보다 더 높게 평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대학생 소비자들은 스페셜티 등급 커피 품질을 좋아하지만 커머셜 등급 커피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 두 등급의 차이를 제대로 인식한다고 볼 수 없으며, 또한 커피전문점을 자주 이용하거나 아메리카노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은 커머셜 등급의 커피 맛에 이미 익숙해져서 등급에 따른 차이를 더욱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많은 커피전문점들이 커피의 품질 향상을 위해 생두를 수입하여 로스팅을 직접 하거나 가격이 비싼 원두를 수입하는 등 다양한 전략을 내세우고, 이에 커피 가격이 상승하고 있지만, 실제 소비자들은 등급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등급에 따른 맛 품질의 차이에 대해 잘 구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커피 시장에서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재료에 대해 업계에서는 올바른 판단이 필요하고, 소비자에게 제품뿐 아니라 이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전달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에는 다양한 브랜드의 커피전문점 제품의 관능검사를 통하여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커피 맛 품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college students customer`s preference and the difference of coffee grade by comparing the result of Q-grader, who was trained professionally and received certification for a sensory evaluation of coffee grade. The results of the chemical analysis of raw coffee and coffee berry show that those of specialty grade had slightly higher, but not significant, water content. Further, the pH of specialty grade coffee was high in coffee beans and after roasting, the commercial grade became hi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pecialty degree and commercial degree in color before and after roasting. In this study, the panels for the sensory evaluation included 24 university students. The preference of evaluation items of sensory evaluation consist of aroma, acidity, bitterness, astringency, aftertaste, and overall satisfaction. Items for the strength evaluation consist of aroma, acidity and bitterness. The sensory evaluation was expressed by applying a 5 point Likert scale (1: extremely low∼5: extremely high). In the sensory evaluation, it was evaluated that specialty grade coffee had strong acidity and commercial grade coffee was strongly bitter. The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s that female students are sensitive to coffee taste. In the analysis of frequent visit to coffee shop, the not-frequently-use-group rated that specialty grade coffee with higher overall satisfaction than commercial grade coffee in factors such as aroma and acidity. The group which did not prefer Americano coffee rated that specialty grade was higher than commercial grade in all factors except aroma, of which the result is similar to the cupping tes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