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칭리더십이 팀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피드백 수용도와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경숙(Kwon, kyung-sook),오상진(Oh, Sang-Jin)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최근 기업들이 수평적 조직으로 전환하는 흐름에 맞춰 코칭리더십이 팀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피드백 수용도와 창의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실증하고, 팀창의성의 향상을 위한 현실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내 기업에 근무하는 다양한 업종의 구성원 총 45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381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코칭리더십, 피드백 수용도, 창의적 자기효능감, 팀창의성과 관련된 이론 및 선행 연구를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통계 도구로는 CFA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SPSS 25, AMOS 25, Macro Process 3.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모형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코칭리더십은 피드백 수용도, 창의적 자기효능감, 팀창의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드백 수용도와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다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코칭리더십이 피드백 수용도와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거쳐 팀창의성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자기결정성이론 관점에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특히 혁신을 통한 성과를 얻고자 하는 기업에서 피드백 수용도와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높여 팀창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리더들이 코칭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aching leadership on team creativity, demon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eedback acceptance and creative self-efficacy,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team creativity. [Methodology] Data were collected from 381 members. Hypothesis was set based on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oaching leadership, feedback acceptance, creative self-efficacy, and team creativity. The collected data were review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CFA, and hypothesis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SPSS 25, AMOS 25, and .Macro Process 3.0 by Bootstrap. [Findings] Coaching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eedback acceptance, creative self-efficacy, and team creativity, and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feedback acceptance and creative self-efficacy were also significant. [Implic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process of coaching leadership is linked to team creativity through feedback acceptance and creative self-efficacy in term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In order to increase team creativity, this study suggests that a program that can improve coaching leadership of leaders is required.

      • KCI등재

        영아를 양육하는 초보 어머니들의 양육 특성과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권경숙(Kwon kyung 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를 키우는 초보 어머니들의 양육 특성은 어떠하며 현대의 사회적 상황과 연계되어 나타나는 양육의 어려움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참여자는 첫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초보 어머니 3인과 17개월, 18개월의 영아들이며 초보어머니들의 양육세계를 이해하고자 참여 관찰, 면접, 어머니들의 구술사 및 저널쓰기 등을 통해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보 어머니들은 '지식지향적인 해석과 반응' '친사회적행동 지향의 의미전환과 부정적 감정의 축소'의 양육특성을 보였다. 초보 어머니들이 겪는 어려움은 분리불안과 영아 요구에 대한 적정선 찾기 이유가 불분명한 부정적 감정표출 다루기, 체력적인 어려움, 사회적 흐름에 맞는 양육을 위한 선택 갈등으로 인한 어려움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처음으로 자녀를 키우는 부모들의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양육지원책 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at taking a look at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inexperienced mothers' parenting are and their difficulties with an infant-nurturing shown in link with the social context in modern times.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date, I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mothers' oral history, and mother's journ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upbringing world of theirs by selecting the three inexperienced mothers and 17 and 18-month-old infants as a survey target for this research.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nexperienced mothers showed a role characteristic of 'knowledge-oriented interpreter and response, 'a pro-social behavior-oriented converser of a meaning and reduction of negative emotion'. The difficulties inexperienced mothers had were separation anxiety from their infants, control for an infant's demand, dealing with an infant's negative expression of emotion tor vague reasons, physical strength, and selecting appropriate parenting style with newer social tre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offer basic data to support inexperienced infant-rearing mother by creating a plan to recognize their problems and to prevent those.

      • KCI등재

        다문화가정 영유아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담론

        권경숙(Kwon, Kyung-Soo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영유아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인식과 이중언어 교육 방안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제안은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S시의 D구, S구, N구, K구, G구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이중언어 강사 6명으로 중국 2명, 베트남 1명, 일본 출신 3명이다. 자료 수집을 위한 면담은 각 개인 당 2회, 1회 1시간~1시간 30분씩 개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중언어 강사로 활동하게 된 동기, 이중언어 강사로서 가지는 보람과 어려움,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다문화가정 영유아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이중언어 강사들은 미래자원으로서 이중언어 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무엇보다도 엄마 나라를 이해하고 엄마를 비롯한 가족들과의 정서적 소통도구로서 이중언어 교육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한국 다문화가정 영유아 이중언어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제안을 분석한 결과, 이중언어 강사들은 이중언어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한국사회의 합의가 선행되어야 하며 한국어교육의 담당자로서 아버지 역할이 강조되고 실천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이들은 일상의 삶과 두 나라간의 문화 경험 속에서 이중언어 교육이 자연스럽게 실시되어야 하며, 습득된 이중언어를 활용하고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이 제공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bilingual teachers’ perceptions about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desirable plans for bilingual education for them.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ix bilingual teachers working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D., S., N., K. and G. Districts in S. City, one from Vietnam, two from China and three from Japan. Interviews for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two times per individual for 1 to 1 hour and 30 minutes, individually, in a relaxed atmosphere, focused on the contents, concerning the motivation of their activity as bilingual teachers, rewards and difficulties as bilingual teachers, and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bilingu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drawn through this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 examination of bilingual teachers’ perceptions about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teachers perceived that bilingual education was important as a future resource and most of them understood their mother’s country and perceived that bilingual education would be important as a tool of an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including the mother.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bilingual teachers’ proposal of desirable directions of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teachers suggested that the consensus of Korean society on the importance of bilingual education should precede and that the role of the fathers as person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and practiced. In addition, they argued that bilingual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naturally in everyday life and cultural experi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opportunities and times to utilize and share the two learned languages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영아 양육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권경숙 ( Kyung Sook Kw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영아를 양육하고 있는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의 생활 세계를 들여다보고 그 속에서 발생되는 어머니들의 실제적인 양육 행동과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영아양육이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에게 지니는 의미는 어떠한지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영아를 양육하고 있는 다문화가정을 방문하여 참여관찰을 실시하여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 어머니 면담과 동영상 촬영을 보조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자료수집 및 분석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자국어와 한국어를 혼용하여 영아와 소통하고자 하였으며 글자와 숫자 강조하기, 사물 세기, 영어 사용 등의 지식강조적인 상호작용 특성을 보였다. 또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은 영아의 놀이나 행동을 가만히 지켜보거나 무반응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영아의 말을 단순하게 따라 하는 정도의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특히,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영아와 그림책을 볼 때나 한글과 관련된 상황 및 갈등상황이 발생했을 때 자신감 없는 태도와 영아의 말(언어)에만 의존하여 영아의 행동을 해석하여 상호작용하고자 하였다. 둘째,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에게 영아 양육은 낯선 한국 문화를 경험하고 한국 생활에 적응해 가는 실제적인 과정이었으며 주변의 다양한 사람들과 새로운 관계를 맺고 확고하게 다져나가는 기회로써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보여졌다. 또한 문화차이로 인한 만성적인 긴장과 스트레스를 가지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에게 영아양육은 자국에서의 문화경험을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실행하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To understand the unique needs of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Korea,this ethnographic study explores the daily lives of four nonnative-Korean mothers of mixed-heritage infants, 17, 18, 24 and thirty months old. This study uses participatory observation, videotaping and interviews which encouraging the mothers to reflect upon what childrearing means to them as they live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others try to communicate with infants by using both their native languages and Korean in their daily activities; 2) they emphasize active learning interactively, focusing on letters and numbers, counting things, providing names in two languages; 3) at times, the mothers seemed incapable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passively staring at play and other behaviors of their infants or timidly repeating an infant`s utterance, without any active elaborative communication. 4) The mothers` reflections on their experience revealed childrearing opened them up to experiencing unfamiliar Korean cultures and lives, provided opportunity to expand their relationships with various people, and to use, share and incorporate their past homeland experiences within a new context.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ng with multicultural parents in understanding and growing through their unique childrearing experiences and should be useful in devising intervention and assistance programs and policies.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효능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권경숙 ( Kyung-sook Kwon ),황은희 ( Eun-hee Hwang ),박정빈 ( Jeong-bin Park,)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교사 연령, 최종 학력, 교사 자격, 교직 경력)에 따른 교수몰입과 교수효능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치원 교사 2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교수몰입, 교수효능감,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한 내용이며, 자료분석은 PASW20.0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표본 t-test, One-way ANOVA, Scheffe검증,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수몰입은 교사의 배경변인중 교사 연령, 최종 학력, 교사 자격, 교직 경력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수효능감은 교사 연령, 최종 학력, 교사 자격에 따라, 창의적 교수행동은 최종 학력, 교사 자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 교수효능감, 창의적 교수행동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수몰입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50.7%로 나타났으며 교수효능감이 추가되어 총 53.1%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유치원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는 교수몰입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치원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사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flow and teaching efficacy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Cluster random sampling of 244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 in Seoul and Gyeonggi-do have participated to a s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teaching flow,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alysis,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Here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eacher``s teaching flow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age, their education level, certification, and teaching experiences. Teaching 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age, their education level, and certificati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ducation level, and certification. Second, the study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flow,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ird, teaching flow, and teaching efficacy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creative teaching behaviors of teachers,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eaching flow, teaching efficacy and suggest several ideas for future study.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 이중언어 사용에 대한 영유아 교사들의 이해와 지원

        권경숙(Kwon, Kyung-Sook)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 이중언어 사용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이해와 이중언어 사용을 위한 교사의 지원은 어떠한지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는 다문화가정 영유아를 지도한 경험이 있거나 지도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 6명과 어린이집 교사 6명(총 12명)이다. 자료 수집을 위한 면담은 연구참여자당 2회, 1회 40분~1시간 10분씩 개별적으로 진행하였으며, 반복적 읽기와 범주화 과정을 통해서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사용은 한국어 기초 위에 이루어지는 두 개의 모국어 교육과 같으며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정서적 안정과 소통을 위한 교육, 자신감 형성의 근원이 되는 교육, 다양한 기회 선택의 근간이 되는 교육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자녀가 구사하는 부모의 모국어를 이중언어 경험 기회와 다문화 교육으로 확장하고 다문화가정 자녀의 상황에 맞는 방법으로 이중언어 사용을 지원하였다. 이는 이중언어 사용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 인식이 교육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지원 체계가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bilingua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ow they support them for their bilingual educa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ix kindergarten teachers and six daycare center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of working with young children multicultural families. Interviews for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two times per participant, 40 minutes to 1 hour and 10 minutes,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repeated reading and categor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ood children’s use of multi-languages as two mother tongue education on the basis of Korean language. They also believed that they should educate the children not only for emotional stability and communication, but also for building confidence and providing various opportunities.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supported them to use bilingualism in order to extend their mother tongue and their bilingual experiences in a way that is appropriate for the situation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uggests that a support system should be arranged so that teachers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bilingualism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가정어린이집 원장들의 어린이집 운영 과정 탐색

        권경숙 ( Kyung Sook Kwon ),박지영 ( Ji Young Par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어린이집 원장들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게 되는 과정은 어떠하며, 운영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지 깊이 있게 탐색하고, 가정어린이집 운영의 실제를 좀 더 풍부하게 이해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가정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는 원장 5명이었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원장들이 가정어린이집을 운영하게 되는 과정은 영아보육 전문가로서의 기대와 실천, 어린이집 운영 시작의 용이성, 천직이라는 신념의 실천과 자녀양육과의 양립을 위한 주부교사의 선택에 의해 시작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정어린이집을 운영하면서 원장들은 교사채용의 어려움과 전문성이 낮은 교사, 유동성이 많은 원아 모집으로 인한 영아적응 문제, 경제적 가치 환산에 대한 기대와 불편함, 과도한 역할수행과 관리감독 등으로 인한 갈등과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Home Based Childcare Facilities form 50.9 percent of the national daycare facilities, and capture 96 percent of daycare centers for less than two years infants. This study was to help more thoroughly understanding Home Based Childcare Facilities by in-depth interviews with the directors. The data analyses showed that directors started to manage the Home Based Childcare Facilities with the belief that the centers were the starting points of their career, they were daycare experts, and the director was their calling in life. They have experienced the following difficulties and conflicts in managing the Home Based Childcare Facilities. Firstly, it was very hard to recruit teachers with specialty. Secondly, ordinary people seem to looked down on the teachers including the director, and the parents tend to expected too many roles and duties. Thirdly, the infants were not well adapted to the environment due to high transfer rate.

      • KCI등재

        다문화가정 영아의 이중 언어 습득 과정 탐색

        권경숙(Kwon, Kyung-Soo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다문화가정 영아가 아버지와 어머니 나라의 두 언어를 동시에 어떻게 습득하며, 영아의 이중 언어 습득을 위한 부모의 지원은 어떠한지를 탐색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영아의 언어습득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 참여자는 영어를 주 언어로 사용하는 캐나다인 아버지와 한국어를 주 언어로 사용하는 한국인 어머니, 18개월의 영아로 구성되어 있는 다문화가정이며, 연구 목적과 방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부모의 연구 동의를 얻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2013년 7월 11일부터 2014년 1월 30일까지 주 1회, 1회 2시간씩 참여관찰을 실시하였으며 부모면담 및 녹음, 동영상 촬영을 통해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영아의 이중 언어 습득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탐색한 결과, 영아는 어머니와 아버지가 가르쳐 준 언어를 구분하여 수용하고 표현하였으며 때로는 영아 스스로 두 언어 중 한 언어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문장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영아는 대상을 구분하여 언어를 선택 사용하기도 하였다. 둘째, 다문화가정 영아의 이중언어 습득을 위한 부모의 지원이 어떠한지를 탐색한 결과, 두 언어에 대한 부모의 동등한 인식, 언어사용에 대한 부모 역할 구분하기, 영아의 언어에 대한 존중과 수용하기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urnish preliminary data by exploring how multi-cultural families" infants acquire two languages of their father"s country and their mother"s country simultaneously and how their parents support their infants" acquisition of bilingual.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a multi-cultural family which consists of a Canadian father who uses English mainly and a Korean mother who uses Korean mainly and an eighteen-month-old infant. This research also had proceeded with the consent of his parents through explanation about the research purpose and method. For data collection, I participated and observed them once a week from July 11, 2013 to January 30, 2014(2hours at a time each) and intended to collect data which was objective and reliable through parents‘ interview, recording and videotap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 search for th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the process of bilingual language acquisition by a multi-cultural family"s infant, the infant received the languages that his father and mother taught him partially and made expressions, and sometimes he chose one of the two languages and used it for himself. Also, the infant, beginning to use sentences, classified objects and chose and used the languages(Korean for Koreans, English for foreigners) Second, according to a search for how the parents support acquisition of bilingual of the multi-cultural family"s infant, it appeared that there were the parents" same perception about two languages, classification of parents role(role allocation of one"s native language: interacting with each other; father in English, mother in Korean) and to accommodate an infant’s language.

      • KCI등재

        자연물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이 유아들의 다문화 인식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권경숙(Kwon Kyung Sook),조성실(Jo Seong Sil)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9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자연물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이 만4세 유아의 다문화 인식 및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기간은 2016년 10월 17일부터 12월 16일까지이며,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S유치원과 M유치원의 만 4세 유아 52명이다. 이 기간 동안 실험집단인 S유치원 유아에게는 자연물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인 M유치원 유아에게는 누리과정에 따른 기존의 활동을 진행하였다. 자연물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유효순(2010)이 제작한 유아용 다문화 인식 척도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김영옥(2003)이 개발한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PBSYC)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물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은 유아의 다문화 인식 전체와 하위요인인 다문화 배려, 다문화 수용, 다문화 존중, 다문화 개방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연물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전체와 하위요인인 지도성, 도움 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 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연물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은 유아의 다문화 인식과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using natural materials affect multicultural awareness and prosocial behavior of 4-year-old children.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7, 2016 to December 16, 2016, and the subjects were 52 children of age 4 attending S and M kindergartens in S city. During this period,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using natural materials were conducted for S kindergarten children, an experiemental group, and existing activities were carried out for M kindergarten children, a comparative group.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using natural materials on children 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ism, the multicultural perception scale for young children designed by Hyo-Soon You(2010), and the prosocial behavior assessment scale(PBSYC) developed by Young-ok Kim(2003)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using natural materials had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 s overall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as well as the sub-factors, including multicultural consideration, acceptance, respect, and openness to multiculturalism.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using natural material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articipants’ overall prosocial behavior and their subordinate factors such as leadership, helping, communication, initiative consideration, approach attempt, sharing, empathy and control. The results indicat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using natural materials have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 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prosocial behavior.

      • KCI등재

        베트남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이중언어교육 지원 실제 탐색

        권경숙 ( Kwon Kyung-sook ),이승숙 ( Lee Seung-su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다문화가정의 어머니가 자녀의 이중언어교육을 위해 실질적으로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지원하는지를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영유아들의 이중언어교육 지원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중언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베트남 다문화가정의 어머니와 자녀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반복적인 탐색과 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도출하고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는 일상생활 속에서 자녀와 함께 두 가지 언어를 즐기고 가정에서 접하는 여러 가지 상황을 놀이화하거나 자녀가 흥미로워하는 사물이나 동물 이름 등을 두 가지 언어에 접목시켜 자녀가 자연스럽게 이중언어를 경험하도록 지원하였다. 둘째, 자녀의 이중언어교육을 위한 지원과정에서 베트남 다문화가정 어머니는 혼자서 두 가지 언어모델자가 되어야 한다는 부담감과 주변인들의 지나친 관심과 반대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한국어 중심으로 양육했던 자녀의 베트남어 교육 거부를 극복하여 이끌어가는 과정과 뒤늦게 시작한 자녀의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흥미를 지속시켜야 한다는 부담감이 어머니에게 어려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a multicultural family’s mother tries to support her children in bilingual education and to analyz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to find a practical venue to help multicultural children in Korea. For this purpose, a Vietnamese mother and her three children were chosen.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ere used to collect data. Results were drawn by repeatedly reading and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Vietnam mother enjoyed using two languages in the family’s daily life. She introduced her children to have natural experiences by transforming various daily situations into games, and combined the children’s interest elements such as animals or objects’ names with two languages. Secondly,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bilingual children, multicultural mother felt pressured to be a role model for two different languages. She also faced excessive interest or scorn from people around her. Furthermore, overcoming that her children, who are being raised in a Korean environment refuse to learn mother’s language, and keeping their interest in bilingual education, were the hardest tasks for a multicultural family’s m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