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풍건조 및 분무건조 공정을 이용한 생 고구마와 찐 고구마 분말제조 및 물리화학적 품질특성

        구율리 ( Yul-ri Gu ),채호용 ( Ho-yong Chae ),홍주헌 ( Joo-heon Hong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17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베니하루카 고구마를 식품가공용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열풍건조 및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하여 생 고구마 및 찐 고구마 분말을 제조하였고 다양한 물리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고구마 분말의 수분함량은 1.66~2.19%이고, 색도는 열풍건조 분말보다 분무건조 분말의 L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b값이 낮게 나타났다. 전분함량은 52.65~57.41%로 찌는 과정을 통해 증가하였으며, 열풍건조 분말(52.65 및 53.61%)보다 분무건조 분말(54.44 및 57.41%)의 전분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수분흡수지수 및 수분용해지수는 찌는 과정을 통해 증가하였고 분무건조 분말이 열풍건조 분말에 비해 수분흡수지수는 낮고 수분용해지수는 높게 분석되었다. 분말의 입자크기는 분무건조 분말(46.18 및 65.53 μm)이 열풍건조 분말(175.35 및 620.87 μm)보다 유의적으로 크기가 작게 나타났으며, 입자표면구조는 열풍건조 분말보다 분무건조 분말의 입자 크기가 균일하고 미세한 분말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분말의 열적 특성에서 호화개시온도, 최대호화온도, 호화 종결온도 및 호화엔탈비 값은 열풍건조 분말보다 분무건조 분말이 높게 나타났다. 용해도는 열풍건조 분말보다 분무건조 분말이 낮게 나타났으나, 팽윤력은 열풍건조 분말보다 분무건조 분말이 높게 나타났다. 고구마 분말의 amylose 함량은 11.67~19.06%로 열풍건조 분말(19.01 및 19.16%)보다 분무건조 분말(11.67 및 12.51%)이 낮게 나타났으며, 식이섬유 함량은 열풍건조 분말(1.12 및 1.64%)보다 분무건조 분말(1.34 및 2.02%)에서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스팀 처리후 분무건조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구마 분말은 가공적성이 향상되었고, 전분 및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증가하여 기능성이 증진된 식품가공용 소재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 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hot air-dried and spray-dried powders process of sweet potato and steamed sweet potato. The moisture and the total starch contents were 1.66~2.19% and 52.65~57.42%, respectively. The total starch contents increased during process steaming. The water absorption index of the spray-dried powders (0.97 and 2.03) was lower than that of the hot air-dried powders (2.12 and 4.71), and the water solubility index of the spray-dried powders (83.83 and 86.95%)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ot air-dried powders (68.40 and 81.21%). The particle size and outer topology of the spray-dried powders were 46.18 and 65.53 μm, and its shape was generally globular. In the DSC analysis of this study, the T<sub>o</sub> of the spray-dried powders (64.40 and 67.80℃), T<sub>p</sub> of the spray-dried powders (74.40 and 78.20℃), and T<sub>c</sub> of the spray-dried powders (81.10 and 81.60℃)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ot air-dried powders. The solubility contents of the spraydried powders (68.21 and 80.73%) was lower than that of the hot air-dried powders, and the swelling power contents of the spray-dried powders (14.79 and 15.35%)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ot air-dried powders. The amylose contents of spray-dried powders (11.67 and 12.51%) was lower than that of the hot air-dried powders. The soluble dietary fiber contents of spray-dried powders (1.34 and 2.02%)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ot air-dried powders.

      • KCI등재

        추출용매에 따른 해방풍 잎 추출물의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

        구율리(Yul Ri Gu),김선원(Sun Won Kim),홍주헌(Joo-Heon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11

        본 연구는 추출용매에 따른 해방풍 잎 추출물의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해방풍 잎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B16-F10 및 HS68 세포를 이용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해방풍 잎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41.89~59.40%로 나타났다. 해방풍 잎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화합물은 피부 기능성을 가지는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및 rutin이 검출되었으며, chlorogenic acid 및 rutin은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7.81 ㎎/100 g 및 35.23 ㎎/100 g, caffeic acid는 열수 추출물에서 1.70 ㎎/100 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elastase 및 collagenase 저해활성은 70% 에탄올 추출물 1,000 ㎍/mL 농도에서 각각 56.22%, 60.71% 및 52.52%로 높게 나타나 모두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B16-F10 세포를 이용한 세포 내 tyrosinase 저해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α-MSH에 의해 멜라닌 합성이 유도되었으며, 70% 에탄올 추출물 1,000 ㎍/mL 농도에서 각각 88.33% 및 89.37%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어 tyrosinase 저해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HS68 세포를 이용하여 UVB 자극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는 70% 에탄올 추출물 1,000 ㎍/mL 농도에서 73.94%로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UVB에 대한 세포손상 억제 및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해방풍 잎 유래 유용성분은 70% 에탄올 추출이 적합하며 피부 미백 및 주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여 피부 항노화 소재로서 기능성 화장품 및 미용 식품 제조용 원료로 적용 및 응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lehnia Radix leaf extracts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 on skin whitening and wrinkling in human skin cells. We prepared Glehnia Radix leaf extracts with hot-water, 70% ethanol, and 70% methanol. The yields of the Glehnia Radix leaf extracts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s ranged from 41.89∼59.40%. The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in Glehnia Radix leaf extracts were 2.57∼7.81 ㎎/100 g chlorogenic acid, 1.18∼1.70 ㎎/100 g caffeic acid, and 10.37∼35.23 ㎎/100 g rutin. The tyrosinase,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ion activity of 70% ethanol extract at 1,000 ㎍/mL was 56.22%, 60.71%, and 52.52%, respectively. Treatment with the 70% ethanol extracts effectively suppressed the α-MSH stimulated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formation for in B16-F10 cells. After irradiating UVB treatment, the viability of HS68 cells (73.94%) treated with the 70% ethanol extracts showed the greatest chan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70% ethanol extracts of Glehnia Radix leaf may be a great cosmeceutical ingredient because of its whitening, anti-wrinkl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 KCI등재

        α-Amylase 함유 Alginic Acid Bead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in vitro 인체 내 소화모델

        구율리 ( Yul Ri Gu ),박혜미 ( Hye Mi Park ),홍주헌 ( Joo Heon Hong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15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20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in vitro dissolution of the alginic acid bead containing 1% α-amylase. We prepared alginic acid bead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ncentration of CaCl2 (0.1, 0.3, and 0.5 M) and alginic acid (0.5, 1.0, and 2.0%).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were increased as CaCl2 concentration increase. However, the rednes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aCl2 and alginic acid concentration. The width and height length of alginic acid bead were increased as CaCl2 and alginic acid concentration increase. The peak stress and gel strength of alginic acid bead were increased as CaCl2 concentration increase. The α-amylase activity of 2% alginic acid and 0.3 M CaCl2 bead (363.49 unit/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s (287.04~362.61 unit/g). The in vitro dissolution was measured for five hours in pH 1.2 simulated gastric fluid, and pH 6.8 and pH 7.4 simulated intestinal fluids, using a dissolution tester at 37 with 50 rpm agitation. The α- amylase survival in the alginic acid bead was 104.76 unit/g (2% alginic acid and 0.1 M CaCl2) and it was very effectively controlled. There results suggest that the 2% alginic acid and 0.1 M CaCl2 bead may be a useful for functional food material in the food industry.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아사이베리 착즙액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

        구율리(Yul Ri Gu),홍주헌(Joo-Heon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11

        본 연구는 아사이베리 착즙액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화학적 품질 특성, 항산화 활성, L-132 및 3T3-L1 세포를 이용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아사이베리 착즙액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당 및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각각 9.31~35.04 g/100 g, 9.30~26.13 g/100 g, 12.58~36.82 g/100 g 및 26.54~141.73 mg/L로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당 함량은 아사이베리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아사이베리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및 효소 저해 활성은 모두 1,000 μg/mL 농도에서 아사이베리 열수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L-132 세포를 이용한 산화적 손상에 대한 세포재생 효과는 아사이베리 열수 추출물(1,000 μg/mL)에서 93.93±0.74%로 가장 우수한 세포재생 효과를 확인하였다. 3T3-L1 세포를 이용한 중성지방 함량 및 free glycerol 함량 또한 아사이베리 열수 추출물(1,000 μg/mL)에서 각각 58.08±0.81%, 34.86±0.02%로 가장 낮은 지방구 염색 및 free glycerol 함량을 확인하였다. 3T3-L1 세포 내 포도당 흡수능은 인슐린 무처리군보다 인슐린 처리군에서 더 높은 포도당 흡수능을 나타냈고, 인슐린 처리군 중 아사이베리 열수추출물(1,000 μg/mL)에서 85.86±0.58%로 가장 높은 포도당 흡수능을 나타냈다. 따라서 아사이베리 착즙액 및 추출물의 다양한 세포 내 기전을 통해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아사이베리 착즙액 역시 향후 항산화 및 항비만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acai berry juice and extracts. The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and total sugar contents of AHE (hot-water extract of acai berry) were 35.04 g/100 g, 26.13 g/100 g, and 36.82 g/100 g, respectively.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 of AEE (70% ethanol extract of acai berry) was 141.73 mg/L. The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activity of AHE at 1,000 μg/mL were 59.40%, 83.10%, and 2.03 mM, respectively. The α-amylase, α-glucosidase,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AHE at 1,000 μg/mL were 84.03%, 92.10%, and 31.85%, respectively. AHE had better regeneration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L-132 cells than the other extracts. Furthermore, AHE suppressed adipocyte differentiation, lipid accumulation, and the free glycerol content, and triggered lipolysis on MDI treated 3T3-L1 preadipocytes. Thus, in addition to AHE and AEE, AJ also has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s adipocyte in 3T3-L1 cells, resulting in reduced lipid accumulation, reduced free glycerol release, and increased glucose uptake.

      • KCI등재

        맥문동, 오미자 및 인삼 혼합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구율리,홍주헌,Gu, Yul-Ri,Hong, Joo-Heon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7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4 No.3

        생맥산 원료인 맥문동, 오미자 및 인삼의 최적 혼합비율을 설정하고자 맥문동, 오미자 및 인삼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맥문동, 오미자 및 인삼 혼합추출물의 추출수율은 25.33-33.87%이었으며,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오미자의 혼합비율이 높은 추출물(ME1)에서 각각 1.01 g/100 g 및 0.07 g/100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총 당 함량은 맥문동의 혼합비율이 높은 추출물(MEC)에서 22.83 g/100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ME1 추출물에서 각각 26.79% 및 21.09%로 가장 우수한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 및 FRAP 활성 또한 ME1 추출물에서 각각 67.83% 및 $295.47{\mu}M$로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맥문동, 오미자 및 인삼 혼합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확인한 결과, $H_2O_2$에 의해 산화적 손상된 폐상 피세포인 L-132 세포의 생존율은 51.43%를 나타낸 반면 ME1 추출물($1,000{\mu}g/mL$)은 81.22%로 가장 높은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LPS로 자극을 유도한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는 인삼의 혼합비율이 높은 ME2 추출물($1,000{\mu}g/mL$)은 $7.48{\mu}M$로 가장 적은 nitric oxide 생성량을 나타내어 nitric oxide 생성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의보감 및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는 MEC 추출물보다 ME1 및 ME2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 및 면역조절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여, 새로운 생맥산 혼합비율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및 면역조절용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ixture extracts (Liriope platyphylla, Schizandra chinensis and Panax ginseng C.A. Meyer) with different extraction mixing ratios (MEC, 2:1:1; ME1, 1:2:1; ME2, 1:1:2; ME3, 1.34:1.33:1.33). The yield of extracts ranged from 25.33 to 33.87%. The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ME1 extracts were 1.01 g/100 g, 0.07 g/100 g, respectively. The total sugar contents of MEC extract was 22.83 g/100 g, respectively.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ME1 extracts at $1,000{\mu}g/mL$ were 26.79% and 21.08%. The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nd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 of ME1 extracts at $1,000{\mu}g/mL$ were 67.83% and $295.47{\mu}M$, respectively. The functionalities of extracts were investigated with L-132 and RAW264.7 cell lines. The extracts on different mixing ratios did not show the toxicity on L-132 and RAW264.7 cell line in $100-2,500{\mu}g/mL$. The ME1 extract of $1,000{\mu}g/mL$ performed better than other extracts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ess in L-132 cells (81.22%) and the ME2 extract at $1,000{\mu}g/mL$ decreased nitric oxide production by $7.48{\mu}M$ which was more potent than other extracts. There results suggest that the ME1 extracts may be a useful functional food material in the food industry.

      • KCI등재

        청국장 및 칡청국장 유래 다당류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박혜미 ( Hye-mi Park ),구율리 ( Yul-ri Gu ),홍주헌 ( Joo-heon Hong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16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21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from cheonggukjang and Puerariathunbergiana-cheonggukjang. The yields of polysaccharides from cheonggukjang (PSC) and polysaccharides from Pueraria thunbergiana-cheonggukjang (PSPC) were 8.01%, and 7.53%, respectively. The total sugar content of PSPC (72.57 g/100 g)was higher than that of PSC (65.29 g/100 g). The total protein contents of PSC and PSPC were 20.53 g/100 g, and 21.68 g/100 g, respectively. The uronic acid content of PSPC (15.84 g/100 g) was higher than that of PSC (2.72 g/100 g). The hexosamine contents of PSC and PSPC were 1.09 g/100 g, and 2.04 g/100 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SPC improved with an increase treatment concentration.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SPC was 12.30-87.64% (1-5 mg/mL) higher than those of PSC. The reducing power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of PSPC were 0.18-0.93, and 0.07- 0.54 mM, repectively. In conclusion, we provided experimental evidence that polysaccharides from cheonggukjang and Puerariathunbergiana-cheonggukjang have potential as functional materials.

      • KCI등재

        가압추출공정을 이용한 해방풍 뿌리 유래 조다당류의 항산화 활성

        김주현 ( Ju-hyeon Kim ),구율리 ( Yul-ri Gu ),홍주헌 ( Joo-heon Hong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18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해방풍 뿌리를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고자 가압추출하였고, 뿌리 유래 유용물질인 조다당류를 분리하여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조다당류의 수율은 18.37~31.14%이었고, 총 당 및 총 단백질 함량은 가압추출 180분 처리구에서 각각 57.09 g/100 g 및 15.41 g/100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유리당 함량은 fructose 및 glucose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열수추출물보다 가압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가압추출 60분 처리구에서 7.95 mg/g 및 6.49 mg/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가압추출 60분 처리구가 500~5,000 μg/mL 농도에서 18.07~45.31% 및 15.55~61.12%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거활성이 증가하였다.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 및 FRAP 활성은 가압추출 60분 처리구가 500~5,000 μg/mL 농도에서 23.75~56.08% 및 112.19~421.22μM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폐 정상세포인 L-132세포에 해방풍 뿌리 유래 조다당류를 처리하여 세포 사멸에 대한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물보다 가압추출물에서 높은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가압추출 60분 처리구에서 H2O2 처리구 대비 83.35%로 세포 활성이 증가하여 우수한 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tioxidant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Glehniae Radix root using pressurized extraction. The crude polysaccharides were isolated from Glehniae Radix roots by extracting at 150 kPa, 121oC for 30 min (PE30), 60 min (PE60), 120 min (PE120) and 180 min (PE180). The yield of crude polysaccharides (HE, PE30, PE60, PE120, PE180) were 24.60~31.14%. The total sugar and protein contents of PE180 were 57.09 g/100 g and 15.41 g/100 g, respectively. The main components in the free sugar of polysaccharide from Glehniae Radix root were fructose and glucose at 82.72~89.03 mg/100 g, 52.98~54.39 mg/100 g, respectively.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PE60 were 7.95 g/100 g and 6.49 g/100 g, respectively.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E60 at 5,000 μg/mL were 45.31% and 61.12%, respectively. The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nd FRAP activity of PE60 at 5,000 μg/mL were 56.08% and 421.22 μM, respectively. The PE60 extract was better than other extracts on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L-132 cells (83.35%). In conclusion, we provided experimental evidence that crude polysaccharide from Glehniae Radix root have potential as functional food materials.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