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xpression of Osteopontin in Eutopic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in Endometriosis

        구윤희,김정훈,김지선,이영진,김성훈,채희동,강병문,Koo, Yun-Hee,Kim, Chung-Hoon,Kim, Ji-Sun,Lee, Young-Jin,Kim, Sung-Hoon,Chae, Hee-Dong,Kang, Byung-Moon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4 No.3

        목 적: 본 연구는 세포간 부착과 유착에 관여하는 당단백질의 하나인 osteopontin (OPN)의 mRNA와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자궁내막증 환자의 정상위치 자궁내막조직과 이소성 자궁내막조직, 대조군의 자궁내막조직에서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개복 또는 복강경 수술을 통하여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환자 3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같은 시기에 자궁경부 상피내암 또는 자궁내막증 이외의 양성 부인과 질환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34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수술 시 자궁내막종 또는 복강내 자궁내막 이식물로부터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을 얻었고, 동시에 정상위치 자궁내막조직을 생검하였다. 자궁내막조직 내의 OPN mRNA의 발현 정도는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비교하고 단백질 발현에는 western blot 분석을 사용하였다. 각 군 간의 비교에는 ANOVA와 Krusxal-Wallis test를 사용하였으며 p-value 0.05 미만을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월경주기의 증식기와 분비기 모두에서 자궁내막중 환자의 정상위치 및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에서의 OPN mRNA의 발현은 대조군의 자궁내막조직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내막중 환자에서 정상위치 자궁내막조직의 경우 OPN mRNA의 발현은 증식기에 비해 분비 기에서 의미 있게 증가하였으나 이소성 자궁내막 조직에서는 분비기에서 뚜렷하게 감소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OPN 단백질의 발현도 mRNA의 발현과 마찬가지로 자궁내막중 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는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의 정상위치 및 이소성 자궁내막 조직에서의 증가된 OPN mRNA 및 단백질의 발현이 자궁내막 조직의 유착 및 침습에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xpression of osteopontin (OPN) mRNA and protein in the eutopic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in women with endometriosis and endometrial tissues in women without endometriosis. Methods: A total of 32 women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endometriosis were recruited for study group. For controls, 34 women undergoing operative treatment for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or benign gynecologic condition other than endometriosis were recruited. At the time of laparoscopy or laparotomy, a biopsy specimen was taken from the endometrial cavity and peritoneal endometrial implant or endometrioma whenever appropriate. We employed real time quantitative RT-PCR to quantify OPN mRNA expression of these tissues and performed western blot analysis to measure the quantity of OPN. Results: The expression of OPN mRN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eutopic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of women with endometriosis than in endometrial tissues of controls during both proliferative and secretory phase. In the eutopic endometrial tissue of women with endometriosis, OPN mRNA ex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secretory phase compared to the proliferative phase in women with endometriosis as well as controls. However, in the ectopic endometrial tissue, OPN mRNA expression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the secretory phase compared to the proliferative phase. The expression of OPN prote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with endometriosis than in controls.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e marked expression of OPN mRNA and protein in eutopic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in women with endometriosis may be associated with the adhesion and invasion of endometrial explants.

      • KCI등재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유산소 운동 강도에 따른 인슐린저항성의 변화

        구윤희 ( Yun Hyi Ku ),구보경 ( Bo Kyung Koo ),안희정 ( Hee Jung Ahn ),정지연 ( Ji Yun Jeong ),석희금 ( Hee Geum Seok ),김호철 ( Ho Chul Kim ),한경아 ( Kyung Ah Han ),민경완 ( Kyung Wan Min ) 대한당뇨병학회 200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3 No.5

        연구배경: 운동은 주로 동맥경화증 및 인슐린저항성으로부터 보호하는 작용을 통해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어떤 강도의 운동이 염증을 완화하고, 내피 세포 기능을 개선시키며 인슐린저항성을 호전시키는 데에 더욱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총 59명의 비만한 여성 2형 당뇨병환자가 대조군(CG, N=18), 중강도 운동군(MEG, N=17), 고강도 운동군(VEG, N=14)으로 randomly 배정되어, 가속계로 모니터하며 12주간 운동 요법을 시행하였다. 연구시작시점, 12주 운동 종료 시점, 연구시작으로부터 1년 시점에 체중,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복부지방, 피하지방, 내장지방을 측정하였으며, 혈장 hs-CRP, IL-6, 인슐린감수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54±7세, 체질량지수는 26.9±2.5 kg/m2이었다. 운동 요법 동안 두 운동군은 운동 칼로리로 각각 488.6±111.9 kcal/day, 518.8±104.1 kcal/day를 사용하였다. 체질량지수, 복부지방, 피하지방은 두 운동군에서(ΔBMI: -1.1±0.7, -0.8±0.5, ΔTF: -4,647±3,613 mm2, -2,577±2,872 mm2, ΔSF: -2,057±2,021 mm2, -1,141±1,825 mm2, respectively)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1), hs-CRP, IL-6 및 FMD는 변화 없었다. 인슐린감수성은 고강도 운동군에서만 감소하였으며, 내장지방은 중강도 운동군에서만 감소하였다. 1년 추적관찰 결과, 이러한 차이는 모두 소실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체중 및 체지방 감소를 동반한 고강도 운동은 3개월간의 intervention을 통해 전신 염증수치나 내피 세포 기능의 변화 없이 인슐린감수성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Background: Exercise offers protection against atherosclerosis and insulin resistance. We evaluated the benefits of exercise at different levels of intensity for ameliorating inflammation, endothelial dysfunc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a sample of type 2 diabetic subjects. Methods: Fifty-nine overweight women with type 2 diabetes were randomly assigned to control (CG, N=18), moderate-intensity exercise (MEG, N=17), and vigorous-intensity exercise (VEG, N=14) groups. Patients i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completed a 12-week exercise program, with their exercise activities monitored by accelerometers. We assessed the patients` body weights, total abdominal fat (TF), subcutaneous fat (SF) and visceral fat (VF) via computed tomography, measurements of plasma levels of hs-C-reactive protein (hs-CRP) and interleukin-6 (IL-6), assessment of endothelial function by brachial artery flow-mediated dilation (FMD), and evaluation of insulin sensitivity by insulin tolerance tests, at baseline, at the end of the 12-week interventions, and one year after initiation of the study. Results: At baseline, the average age of all subjects was 54±7 years, and average body mass index (BMI) was 26.9±2.5 kg/m2. During the intervention, patients in the MEG and VEG groups expended comparable amounts of activity-related calories (488.6±111.9 kcal/day, 518.8±104.1 kcal/day, respectively). Although BMI, TF, and SF decreased similarly in the MEG and VEG groups (ΔBMI: -1.1±0.7, -0.8±0.5, ΔTF: -4,647±3,613 mm2, -2,577±2,872 mm2, ΔSF: -2,057±2,021 mm2, -1,141±1,825 mm2,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P<0.01), hs-CRP, IL-6, and FMD remained constant in both exercise groups even after completion of the 12-week exercise intervention. Insulin sensitivity improved only in patients subjected to vigorous exercise (VEG). Visceral fat loss was observed only in patients subjected to moderate exercise (MEG). At one-year follow up, these values had all returned to baseline. Conclusion: Exercise vigorous enough to result in significant weight and fat reduction did not ameliorate inflammation and endothelial dysfunction as measured at the end of a 12-week exercise intervention, nor did it result in sustained improvements in insulin sensitivity in type 2 diabetic subjects. (Korean Diabetes J 33:401-411, 2009)

      • KCI등재

        최신임상강좌 :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의 불임치료

        구윤희 ( Yun Hee Koo ),나용진 ( Yong Jin Na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10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불임에 대한 적절한 치료방법은 아직까지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다.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은 치료를 시작하기 전 충분한 상담을 통해 다른 건강상의 문제점을 찾고, 비만한 여성은 운동 및 식이요법을 통해 체중을 감량해야 한다는 점이다.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배란 유도를 위한 일차 치료제는 클로미펜이며 클로미펜에 반응이 없거나 임신에 실패한 경우 생식샘자극호르몬 투여를 고려할 수 있다. 생식샘자극호르몬을 투여할 경우 다태임신의 위험이 있으므로 난소의 반응을 초음파 검사를 통해 철저히 관찰하도록 하여야 한다. 복강경하 난소수술은 임신율 및 생존아 출생율에 있어서 생식샘자극호르몬과 비슷한 효과를 보이므로 이차적 치료로 고려할 수 있으나 수술적 위험 및 추가적인 배란유도제 사용의 필요성 때문에 배란유도의 목적만으로 시행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체외수정은 불임 치료의 마지막 단계로 고려되며 단 한 개의 배아만 이식을 하는 방법으로 다태아 임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다낭성난소증후군 여성에서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다. Metformin과 같은 인슐린반응 개선제는 배란유도를 위한 일차 치료제 또는 클로미펜과 병합치료 시 역할에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다. 방향화효소 억제제는 배란 유도에 있어 클로미펜만큼 효과적이나 아직까지 불임치료제로서 승인이 되지 않은 상태로 향후 연구를 통해 효과 및 장기적 안정성이 입증되어야 할 것이다. The treatment of infertile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Before any intervention is initiated, lifestyle modification with diet and exercise leading to weight loss should be emphasized in overweight women. The recommended first-line treatment for ovulation induction remains clomiphene citrate. If clomiphene citrate use fails to result in ovulation or pregnancy, the recommended second-line intervention is exogenous gonadotropins. The use of exogenous gonadotropins is related to an increased risk for multiple pregnancies, and, therefore, intense ovarian response monitoring is required. Laparoscopic ovarian surgery is an alternative to gonadotropin therapy because this surgery is as effective as gonadotropin in pregnancy rate or live birth rate. However, the surgery may require additional ovulation induction drug and should be performed by well-trained surgeon, its use solely to induce ovulation is unwarranted. Recommended third-line treatment is in vitro fertilization (IVF). IVF reduces the risk of multiple pregnancies by using single-embryo transfer in women with PCOS. The use of metformin alone as first-line infertility therapy or in combination with clomiphene is surrounded by controversies. Aromatase inhibitors appear to be as effective as clomiphene citrate for induction of ovulation, but the drug is currently not approved for treatment of infertility. Further studies should demonstrate the efficacy and long term safety.

      • KCI등재

        출생신고에 근거한 전국 조산율의 분석 -1995년부터 2003년까지-

        구윤희 ( Yun Hee Koo ),김선권 ( Sun Kwon Kim ),심재윤 ( Jae Yoon Shim ),원혜성 ( Hye Sung Won ),이필량 ( Pyl Ryang Lee ),김암 ( Ahm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9

        목적: 본 연구는 출생신고 자료를 이용하여 1995년부터 2003년까지 9년 동안의 우리나라 조산율의 변화와 조산율의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5년부터 2003년까지 9년 동안 출생신고에 의해 집계된 총 5,433,746건의 자료를 통계청 정보 자료실의 협조를 얻어 수집하여 분석한 후 통계 처리하였다. 우리나라의 조산 현황을 알기 위해 연도 별 조산율을 분석한 후 조산과 관련이 깊은 다태아 발생빈도 및 고령 산모의 조산아 비율을 분석하였다. 조산 발생의 위험인자 분석을 위해 산모 및 아버지 연령, 출생아 성, 출생 순위, 출생계절 및 지역을 변수로 다중회귀분석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여 각 위험인자 별로 교차비 (OR)와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결과: 연도 별 조산율은 1995년 4.25%에서 2003년 10.03%까지 크게 상승하였고 9년 동안의 평균 조산율은 7.3%였다. 계절 별 조산율은 봄이 6.65%로 가장 낮았고 여름이 7.75%로 가장 높았으며, 지역별로는 전라북도가 5.06%로 가장 낮았고 울산광역시가 9.17%로 가장 높았다. 다태아의 출생률은 1995년 1.32%에서 2003년 2.01%로 상승하였다. 연도 별 초산 연령의 평균은 1995년 26세에서 2003년 28세로 증가하였고, 35세 이상의 고령 초산 산모의 비율도 증가하여 1995년 2.4%에서 2003년 4.8%로 상승하였다. 고령 산모의 조산율 또한 1995년 8.14%에서 1999년 12%, 2003년에 14.74%까지 증가하였다. 조산의 발생 위험도는 35세 이상 고령 산모에서 높았고 (OR:1.572), 부의 연령은 40세 이상 군에서 교차비가 높게 나타났다 (OR:1.316). 출생 순위에서는 두 번째 이상에서 조산의 위험도가 높았고 (OR:1.122), 남아의 경우 (남아를 기준으로 한 경우 여아의 OR:0.84), 다태아에서 (OR:20.078) 조산의 위험도가 높았다. 결론: 우리나라의 조산율은 1995년부터 2003년까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여기에는 고령 산모의 증가 및 다태아 출생률의 증가가 일부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산모 및 아버지의 출산 연령이 높을수록, 경산부일수록, 남아 및 다태아에서 조산의 위험도가 증가하였으며, 출생 계절 및 지역에 따른 조산의 위험도 변화가 관찰되었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changes in the preterm birth rate and risk factors of preterm birth in Korea. Methods: A total number of 5,433,746 birth cases from the birth certificate data from 1995 to 2003 obtained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Korea was reviewed and analyzed. We evaluated the annual preterm birth rate for 9 years, seasonal and regional variations, multiple birth rate, the preterm birth rate for women aged 35 years or older.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term birth and risk factors including maternal and paternal age, parity, infantile sex, season and region of birth. Results: The preterm birth rate has increased from 4.25% in 1995 to 10.03% in 2003. Seasonal and regional variations were found. The preterm birth rate was 6.65% in spring, 7.75% in summer, 7.36 in autumn, and 7.38% in winter. The preterm birth rate was 5.06% in Jeollabuk-do, the lowest rate, and 9.17% in Ulsan, the highest rate in Korea. The multiple birth rate has increased from 1.32% in 1995 to 2.01% in 2003. The mean age at first birth was 26 years in 1995, 28 years in 2003, and first birth rate for women aged 35 years or older has increased from 2.4% in 1995 to 4.8% in 2003. The preterm birth rate for women aged 35 years or older also increased from 8.14% in 1995 to 14.74% in 2003. The risk for preterm birt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women aged 35 years or older, compared with those under 35 years (OR: 1.572, p<0.001). The risk for preterm birth in father aged 40-70 years was higher than those under 30 years (OR: 1.316, p<0.001). In the order of birth, the risk was higher in second or more-born than first-born (OR: 1.122, p<0.001). The odds ratio of preterm birth by infantile sex was 0.84 in male (p<0.001). Risk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ultiple birth than in singleton (OR: 20.078, p<0.001). Conclusion: Based on the birth certificate data from 1995 to 2003, the preterm birth rate in Korea has increased since 1995. Older maternal and paternal old age, multiparity, male infant, and multiple birth can be considered as risk factors for preterm birth.

      • KCI등재
      • Expression of CD44 in endometrial stromal cells from women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and its effect on the adherence to peritoneal mesothelial cells

        구윤희 ( Yun Hee Koo ),( Yong Jin Na ),( Mee Young Ahn ),( Han Na Jeon ),( Jung In Yeom ),( Kyu Sup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4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0 No.-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xpression of CD44 in endometrial stromal cells (ESCs) of women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and to evaluate the role of CD44 in the adherence of ESCs to peritoneal mesothelial cells (PMCs). Methods: A PMC adherence assa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dherence of ESCs to PMCs in women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The expression of CD44 mRNA was measur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CD44 protein was evalu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of CD44 mRNA and protein in ESCs or in the binding of ESCs to PMCs betwee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controls. Although the expression of CD44 protein was decreased in both women with endometriosis and controls after anti-CD44 antibody treatment, there was no effect on binding of ESCs to PMCs. Treatment of ESCs with peritoneal fluid from endometriosis patients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binding of ESCs to PMCs compared to untreated ESCs in the endometriosis group.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expression of CD44 protein in ESCs from women with endometriosis might not be directly associated with adherence to PMCs.

      • KCI등재

        제2형 당뇨병환자들이 사용하는 그릇 용량과 식사 섭취량과의 관계

        안희정 ( Hee Jung Ahn ),구보경 ( Bo Kyung Koo ),정지연 ( Ji Yeon Jung ),권휘련 ( Hwi Ryun Kwon ),정미연 ( Mi Yeon Chung ),구윤희 ( Yun Hyi Ku ),김진택 ( Jin Taek Kim ),한경아 ( Kyung Ah Han ),민경완 ( Kyung Wan Min ) 대한당뇨병학회 200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3 No.4

        연구배경: 식품의 1회 섭취 분량이나 담는 그릇의 용량은 섭취량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환자들에서 밥 중심의 식사하는 횟수와 식사에 사용하는 그릇의 용량을 조사하였고, 그릇 용량과 섭취량과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제2형 당뇨병환자 203명을 대상으로 식사 형태와 장소는 7일 기록지로 조사하였고, 사용 중인 밥그릇, 국그릇, 반찬 그릇의 용량은 메스실린더로 측정하였다. 식사에너지와 영양소 섭취량은 3일 식사 기록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남자: 76명, 여자: 127명)들의 평균 나이는 53.9±9.1세, 비만도는 25.6±4.2 kg/m2였다. 하루 세 끼니를 모두 섭취하는 환자 중 2끼 이상 밥으로 섭취하는 경우는 96.4%였다. 사용하는 밥그릇 용량의 중앙값은 350 cc였으며 국그릇은 530 cc, 반찬 그릇은 260 cc였다. 밥그릇, 국그릇, 반찬 그릇 용량과 비만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밥그릇과 국그릇의 용량은 남자에서 더 컸다(P<0.001). 남자에서 밥그릇 용량은 밥의 에너지 섭취량(kcal/kg/day)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나(P=0.018), 식사 에너지 섭취량(kcal/kg/day)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제2형 남자 당뇨병환자에서 밥그릇 용량은 밥의 에너지 섭취량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식사 에너지 섭취량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그릇을 활용한 식사계획법이 교육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식기용량과 다른 임상적 지표들과의 관계, 성별을 고려한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의 관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portion size is a major factor dictating dietary energy intake.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ies of rice meals, bowl volumes, and dietary energy intake in a sample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thods: A total of 203 type 2 diabetes patients were enrolled in the study. A one-week food diary was collected from each patient and used to assess the types of meal consumed as well as the context of consumption. The volumes of the eating vessels (rice, soup and side dish bowls) used by each patient were obtained by comparisons to measuring cylinders, and dietary energy and macronutrient intake were estimated for each patient by consulting three-day dietary record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203 subjects (male: 76, female: 127) was 53.9±9.1 years and the average body mass index (BMI) was 25.6±4.2 kg/m2. Among the subjects who ate three times per day, 96.4% consumed rice more than twice out of three meals. The median volume of rice bowls used by patients was 350 cc, of soup bowls was 530 cc and of side dish bowls was 260 cc. Portion size, as estimated by rice bowl volume, was not associated with BMI. Male subjects tended to eat out of larger rice and soup bowls (P<0.001). Portion size was correlated with energy intake from rice (P=0.021), but not with total energy intake (kcal/kg/day), especially in male subjects. Conclusion: Portion size of rice bowl was correlated with energy intake from rice, but not with total energy intake in male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To design effective meal planning methods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further prospective studies are warranted to investigate causative relationships between portion size andmetabolic conditions as well as variation by gender. (Korean Diabetes J 33:335-343, 200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