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점학교 운영을 통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직업교육에 관한 학부모, 특수학급 교사 및 관리자의 인식 조사

        구민관 ( Minkowan Go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거점학교 운영을 통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직업교육에 대한 학부모, 특수학급 교사 및 학교 관리자들의 인식을 탐색하고 그 의미들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 같은 탐색을 위해 거점학교에서 운영하는 직업체험교실 및 현장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학생의 학부모 88명, 특수학급 교사 27명, 학교 관리자 20명에게 총 22개 문항에 대한 설문을실시하고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특성상 설문지를 개발하였는데 이 설문지의 타당도및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후 평정 척도 문항에 대해서는 일원배치분산 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중 응답 문항의 경우 이분법 코딩을 실시 후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의 직업교육을 위한 거점학교 설치와 이를 통해 실시된 직업체험교실 운영, 외부기관 연계 현장실습 및 교사, 학부모 및 외부기관 간의 협의체 구축에 대해 학부모, 특수학급 교사 및 관리자들은 전반적으로 긍정적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aren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dministers on job-centered high school for teaching job skills. Survey was conducted for 88 parents, 27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20 administers, whose sons and daughters or students took part in job training programs offered by the job-centered high school. and then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due to the lack of prior literature related to the topic of the study. In order to ascertai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perception of paren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dministers on jobcentered high school for teaching job skills is affirmative. This type of methods is effective in teaching jobs skill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high schools.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기술 지도에 대한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연구

        구민관(Minkowan Goo),박영근(Yungkeun Park)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본 연구는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일상생활기술 지도의 필요성 인식과 실제 지도 실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근무 중인 97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온라인 설문 업체를 통해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배부/회수 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일상생활 기술 지도 필요성 및 지도 실제를 알아보기 위해 각 문항에 대한 빈도분석, 배경 변인에 따른 요인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 요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교사들의 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기술 지도 필요 인식에 있어서는, 교사들은 지적장애 아동에게 일상생활기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IEP 작성시 일상생활기술 지도 관련 내용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특수학급 수준에서 재구성된 교육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지역 지원청, 시도교육청, 혹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 기술 실제 지도에 있어서는 교사들은 학급수준의 교육과정을 수립/적용 정도에 있어서 대부분 학급수준의 교육과정을 수립/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적장애아동의 생활기술 지도를 위한 학급수준교육과정 수립에 익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기도 지도 시 주 지도 기술에 있어 다수가 신변 관리를 주로 지도한다고 응답하였고, 주당 일상생활기술 지도 시간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2시간 이하로 실시하고 있었으며, 주당 일상생활기술 지도 준비 시간은 대부분 1시간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적인 일상생활기술 지도를 위해 가장 필요한 요소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실제로 적용 가능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일상생활 기술 지도의 필요성 인식과 실제 지도간 관계에 있어, 지도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실제 지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들의 이해와 활용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중심으로

        김경양 ( Kyung Yang Kim ),구민관 ( Minkowan Go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현장에서 특수교사들의 AAC 이해와 활용에 대한 실태와 AAC 이해와 활용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특수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118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후 빈도분석과 일원배치분산, 상관관계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1) AAC에 대한 특수교사의 이해, (2) AAC에 대한 특수 교사의 활용, (3) 배경 변인에 따른 AAC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이해 및 활용에 대한 차이, (4) 특수교사들의 AAC 이해와 활용 간의 관계로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결론에서 교육적 측면과 제도적 측면으로 AAC 지원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적 측면에서는 첫째, 학교와 학급에서 AAC의 보편적 활용 및 학업성과 검증이 필요하고, 둘째, 학교에서 다양한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AAC 적용이 필요하며, 셋째, 학생의 필요에 따라 AAC를 적용해야한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첫째, 특수교사양성과정에서 AAC 관련 수업 확대가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체계적 AAC 진단 서비스 개발과 셋째, AAC 서비스 모형 구축이 필요하고, 넷째, AAC 연수 기회 확대되어야 하며 다섯째, 한국형 AAC 상징의 개발이 필요 하다. 마지막으로 추후 연구를 제언 및 연구의 제한점을 밝혔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ing and use of AAC and correlation between the understanding and use of AAC.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in Busan were asked for surveys, and 118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collecting survey questionnaire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and also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of the study consisted of four parts: (a) the teacher understands of AAC, (b) the teacher use of AAC, (c) the gap of between understanding and use of AAC according to the background factors, (d) the correlation between understanding and use of AAC.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eight suggestions for two main issues. At first, the three educational suggestions were as follow: (a) universally using in classrooms, (b) expanding of AAC users, (c) meeting the individualized needs of students by using AAC with multiple-model. At second, the five political suggestions were as follows: (a) it is needed to provid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with more courses about using AAC, (b) developing systematic AAC diagnostic service, (c) developing the foundation of AAC services delivery model, (d) using the teacher annual re-education programs and online-education for AAC training, (e) developing Korean-style AAC symbols. Finally the limitation and future recommend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