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실 수업을 위한 웹 브라우저의 설계 및 구현

        구덕회,Koo, Duk-Hoi 한국정보교육학회 2005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9 No.1

        최근 초 중등학교에서는 웹을 교실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웹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야 하는데, 대부분의 교실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다. 이 웹 브라우저는 일반인을 위한 것으로 초 중등학교 교실 수업에서 필요한 기능은 부족한 면이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족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하던 인터넷 익스플로러 웹 브라우저의 불편한 점과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설계에 반영하여 실제 사용 가능한 웹 브라우저를 구현하였다. 구현한 웹 브라우저는 초 중등학교 현장 적용을 통해 높은 사용자 만족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웹 브라우저는 우리나라의 초 중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에게 웹을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수업에 활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교수.학습 디지털 컨텐트 통합 메타데이터 및 개체-관계 모델 설계

        구덕회,Koo, Duk-Hoi 한국정보교육학회 200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6 No.3

        최근 초 중등학교의 ICT 활용 교수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 컨텐트 서비스 시스템이 다양하게 만들어지고 있다. 이 시스템들은 초 중등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을 주 사용자로 하고 있는데, 일관된 계획이나 표준안 없이 필요에 따라 하나씩 만들어지다 보니 실제 사용자들에게는 교수 학습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전체적인 통합 검색이나 체계적인 활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인 메타데이터 표준안인 Dublin Core Education을 수용한 교수 학습 디지털 컨텐트 통합 메타데이터 기술항목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개체-관계 모델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통합 메타데이터 및 개체-관계 모델 설계 결과는 다양한 교수 학습 디지털 컨텐츠의 통합 검색 및 일관된 활용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기초 연구로서, 초 중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이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need to support the ICT-using teaching and learning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as led to various digital content service systems. The systems are designed to target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as the major users. The problems involved in them is that they do not provide such services as the integrated search and the systematic use of interface in terms of actual users' use of teaching and learning digital content. It's because they have been created at demands at each time. In an attempt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set out to suggest the integrated meta-data items of a teaching and learning digital content, which reflects the Dublin Core Education, the international meta-data standard. It also aimed to design an entity-relationship model to realize the digital content. The results of the integrated meta-data and the entity-relationship model will be utilized as a basic research to help the users to search for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digital contents on an integrated basis and to realize a consistent user interface. Furthermore, the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 service system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can make better use of.

      • KCI등재

        디지털 교과서 활용 일반화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구덕회 ( Koo Duk Hoi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2

        지식 정보 사회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학교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접목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교과서는 학교 수업에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기에 이를 테크놀로지와 결합한 디지털 교과서로 개편하려는 노력도 적지않게 있어 왔다. 그러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교육 콘텐츠, 교수·학습자 활용 연수 등 여러 분야에 있어서 종합적으로 원활하여야 사용할 수 있기에 아직은 전면적인 활용을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디지털 교과서의 사용 방식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학교 수업에 일반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으로 도입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하여 사용 방식, 기능, 활용을 위한 기저 방식을 살펴본 결과, 디지털 교과서 활용을 일반화하기 위해서 개선해야 할 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디지털 교과서 기능을 콘텐츠·뷰어·플랫폼으로 구분하여, 기능에 따른 구분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디지털 교과서는 콘텐츠로서의 기본 기능만 담고, 로그인·평가 도구 등의 주변 기능은 뷰어와 플랫폼 등 적합한 곳에 배치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디지털 교과서는 선도적인 기술보다는 안정화된 기술에 중점을 둔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실험적인 새로운 기술은 선도 콘텐츠 개발에서 우선 검증한 후 안정화된 기술을 반영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있어 종래의 서책형보다 현행 디지털 교과서 사용이 상대적으로 불편하기에 이를 개선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디자인 씽킹을 개발에 반영하여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구현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불편한 점을 종합적으로 점검하여 보완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학교 수업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본격적인 활용은 교육 방법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만한 매우 중요한 변화이다. 단순히 콘텐츠 형식을 바꾸는 것을 넘어서 교육 효과를 혁신적으로 제고하는 중대한 일이다. 따라서 앞으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제반 연구가 보다 더 이루어지길 바란다. As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attempts to incorporate technology into school classes are still being attempted. Textbooks have been used in school lessons,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reorganize them into digital textbooks combined with technology. However, since it can be used seamlessly in various fields such as hardware, software, network, educational content, training for teaching and learner, etc., it is not yet practiced nationw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current digital textbooks and problem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m in order to generalize them to school lesson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basic method for using, functioning, and using digital textbooks introduced in the revised education course in 2015, it was found that improvement should be made in order to generalize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First, it is necessary to divide digital textbook functions into contents, viewers, and platforms, and to develop them according to functions. Digital textbooks should contain only basic functions as content, and peripheral functions such as login and evaluation tools should be placed in appropriate places such as viewer and platform. Second, digital textbooks need development that focuses on stable technologies rather than on leading technologies. Experimental new technologies should first be validated in the development of leading content and then reflected in stabilized technology. Third, the current use of digital textbooks is relatively inconvenient for teachers and learners, and it should be improve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design thinking in the development so that the user-oriented interface can be implemented, and there should be efforts to check and complement the inconveniences comprehensively.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교과교육 :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교육 프로그램 개발

        구덕회 ( Duk Hoi Koo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1

        최근 우리 사회가 점차 디지털화 되어가면서 지식과 정보의 전달이나 의사소통의 방식도 그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 전달이나 의사소통 방식의 변화는 사회의 구성원, 특히 학습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의 변화를 동시에 요구한다. 특히, The partnership of 21st century skills에서 제시하고 있는 21세기 학습자 역량에서 제시하고 있는 4C(비판적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협업능력, 창의성)의 발달을 위해서도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21세기 학습자 역량을 기르기 위한 방안으로 디지털 스토리텔링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탐색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교육 프로그램의 일반적이 단계를 ‘문제인식 -기본 기능 학습 - 프로젝트 계획 - 프로젝트 수행 - 공유 및 정리’로 설계하였다. 다음으로, 실제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세부적인 차시별 지도계획을 작성하였다. 이와 함께 차시별 지도를 위한 교재 구성 방안 및 예시자료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기반의 디지털스토리텔링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21세기에 필요한 디지털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필두로 아직은 미비한 프로그래밍 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The way of transferring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r the way of communication is recently changing as our society is increasingly digitize. This kind of changes demands changes of the capability that members of our society, especially learners, should have. In particular, some new researches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needed to develop 4C(critical think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cooperative work ability, creative ability) that are suggested in the partnership of the 21st century skills. Therefore Digital Storytelling Education Program will be indroduced in this study as the method to raise learners` capabilities. To achieve this goal, these general steps for digital storytelling education program were designed; Problem recognition-Basic functions learning-Project Planning-Enforcement of Project-Sharing and Organizing. Then, lesson plans for each units were prepared as the actual education program. And the organ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examples were made for teaching each units of the lessons. The digital storytell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software programming wa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t will help learners to raise their digital communication capability that is needed in the 21st century. This study may not be complete in regard to digital storytelling education program, but I hope other researches will to continue to be made after this study.

      • KCI등재

        SW 적응력 향상을 위한 SW 교수.학습 전략

        유인환,구덕회,Yoo, In-Hwan,Koo, Duk-Hoi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8 No.4

        The activation of the latest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education has been putting more importance on the education of the application SW(software). By the way, the geometric progression of knowledge and the fast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have continuously created new SW. Accordingly, the previous traditional SW learning paradigm runs into various problems. This study starts from the recognition of such problems. In this study, the SW adaptability is defined as the ability that learners can efficiently find and apply the suitable functions of SW to those problems in the problematic circumstances as well as promote retention and metastasis. With these premises, this paper makes an inquiry into the teaching-learning method. Besides, This paper explores the SW usability and the principles of UI(User Interface) design and deduces the SW learning strategy. Furthermore, it probes problems of the SW teaching-learning of the demonstration practice method and proposes the inquiring master for SW adaptability teaching-learning model.

      • KCI등재

        인터넷 기반 문제 해결 학습 모형 개발

        이철현,구덕회,Lee, Chul-Hyun,Koo, Duk-Hoi 한국정보교육학회 200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기반의 문제 해결 학습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겪게 되는 교수 학습의 어려운 점에 기초하여 인터넷 기반의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ICT-EUS[8]를 필요한 단계에 적용하는 7단계 문제 해결 모형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7단계 문제 해결 모형을 반영한 인터넷 기반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고, 모형의 수업 적용을 위한 지원시스템의 개요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교수 학습 모형은 (1) 설계 (2) 준비 (3)교수 학습 실행 (4) 관리의 네 단계로 구성되어 있고 ICT-EUS 기반의 7단계 문제 해결 모형을 교수 학습 실행의 핵심 단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7단계 문제 해결 모형, 인터넷 기반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은 각 교과별 ICT 활용 학습에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능적 성격보다는 모든 교과에서 보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추구한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Internet Based Problem Solving Learning Model based on difficulty of internet based problem solving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se, firstly we developed 7 Steps Problem Solving Model applying ICT-EUS into proper step. Next, we developed Internet Based Problem Solving Learning Model reflecting 7 Steps Problem Solving Model and searched an outline and characteristics of support system to apply the model into instructi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s composed of four steps of (1) design (2) preparation (3) teaching and learning execution (4) management, and 7 Steps Problem Solving Model is the core of teaching and learning execution step. The 7 Steps Problem Solving Model and Internet Based Problem Solving Learning Model are not for functional use but for general use. In other words they can be used commonly in all subjects.

      • KCI등재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동진 ( Dong Jin Kim ),구덕회 ( Duk Hoi Koo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과학과 IT를 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과학과 IT의 적절한 융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에 적용할 수있는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둘째,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첫 번째 연구문제로 설정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및 관련 문헌 연구를 통하여 총 4개 주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각 프로그램은 기존 과학과의 영역인 ‘물질, 운동과 에너지, 생명, 지구와 우주’에 속하는 단원 중에서 IT의 적용이 학습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는 단원을 선정하여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실험반과 통제반을 선정하여 두 반의 과학흥미도와 ICT 리터러시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과학흥미도와 IT 리터러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융합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의미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일부 학생의 실험 결과는 그 효과를 전체 학생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점점 더 복잡하고 다양해져가는 우리 주변의 문제에 대해서 보다 융합적 사고를 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IT 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21세기에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이다. 즉, 과학과 IT의 융합이라는 주제로 진행한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 필요한 융합형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한 가지의 방법으로 충분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ne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gainst the existing education program by developing and analyzing the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topics ware as follows: 1. Development of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2. Analysis of the applying effectiveness of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 first step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previous studies on IT convergence education and science program, and to analyze the current science curriculum of the sixth grade. Then, a new program which consists of four themes was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selected one unit from the sixth grade textbook which was related to each of four following science fields, ``substance, movement and energy, biology, earth and universe``. The units were also selected based on appropriateness to apply the elements of IT. Finally, a teaching program with a suitable IT element for each theme was developed. To apply the developed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program, one class was pre-selected while other classes followed traditional education. The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re- and post-test for interest in science and ICT literacy was conducted. As a result, tw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These results imply that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rom this study has a great potential to help students to improve ICT literacy and interest in science ompared to other existing education programs. However, to generalize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developed program solel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s unreasonable. Nevertheless, in modern society with more complex and diverse Science IT, the convergence of thinking and IT literacy are very important skills for learners in the 21st century. Therefore, this study for new convergence education has enough significance in developing bright minds with convergence thinking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