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럽의 물 Une Eau d`Europe>>: 랭보의 시적 위기와 전개

        곽민석 ( Min Seok Kwak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12 유럽사회문화 Vol.8 No.-

        Comme son univers poetique nous le fait bien voir, Rimbaud a essaye de detruire et depasser le reel, l`apparence, le monde d`ici-bas, pour voler vers l`inconnu, le monde de la-bas. Pourtant, le poete a finalement reconnu son echec face a la ?transcendance vide? au-dela de ?la realite rugueuse?, et face a ?l`eau d`Europe? qui ?la flache noire et froide? comme le montre bien un de ses poemes Le Bateau ivre. En se faisant volontairement ?Voyant?, Rimbaud a tente d`arriver a l`univers de l`inconnu et de l`infini a travers la poesie ?refaite? et ?renouvelee?. Chez Rimbaud, on peut dire aussi que sa theorie du voyant n`est pas un ultime but, mais plutot une methode pour se faire vrai poete. La tradition du voyant avait ete tres attachee aux images de prophetie, magie, sorcellerie, c`est-a-dire a l`image de toute activite spirituelle et creatrice. Mais, pour Rimbaud, la voyance n`est pas ?un don ou une faculte innee?, mais ?une methode? obtenue par le travail et ?l`etude?, et qui le conduira a l`acte poetique. De ce fait, differente de la poesie precedente qu`il a creee loin de la realite, dans son imagination, sa nouvelle poesie sera enracinee en meme temps dans une ame, imagination creatrice, et dans un corps, reel. Dans le cheminement poetique de Rimbaud, ce sont les Illuminations qui montrent ce changement et la volonte de realiser sa poetique: changement, par l`abandon de la poesie et l`experience du voyant, pour une quete du ?lieu et la formule? propres a sa poesie. Si on peut considerer comme la premiere theorie poetique de Rimbaud le poeme Ce qu`on dit au poete a propos de fleurs, et comme sa deuxieme les lettres du voyant, on pourra aussi decouvrir sa troisieme theorie a travers les Illuminations: la recherche de la nouveaute.

      • KCI등재후보

        루소를 통해 본 프랑스 혁명기의 청소년 교육

        곽민석 ( Min Seok Kwak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12 유럽사회문화 Vol.9 No.-

        A propos de l`adolescence, Rousseau ecrit dans Emile ou de l`education: ? La puberte depasse le cadre d`un evenement physiologique, celui d`une breve transition, pour devenir un age; la notion s`elargit du biologique au social ?, soit ce qu`il appelle ? une seconde naissance ?. Et, de ce fait, la notion de l`education des hommes (d`abord des enfants, plus tard des jeunes) chez Rousseau est indissociable de ses positions concernant la nature, la societe et la politique. La sortie de l`etat naturel a conduit les hommes a se grouper en villes toujours plus grandes, d`ou la Nature fut chassee et qui accumulerent les catastrophes. Dans l`Emile, par exemple, Rousseau tonne contre les grandes villes comme Paris et Londres, ou l`homme vit a l`encontre des lois de la Nature et se ruine en succombant aux epidemies, en renoncant a faire des enfants, en degradant ses moeurs. Il pretend aussi que la societe humaine a, par l`intervention des arts, des sciences, des aises de la vie, introduit le mal dans le monde, et que l`etat primitif ou l`etat de nature est le seul bon et desirable. Toutefois, dans l`etat ou sont desormais les choses, un homme abandonne des sa naissance a lui-meme parmi les autres serait le plus defigure de tous. Il faut donc le former. C`est l`objet de l`education, qui nous donne ?tout ce que nous n`avons pas a notre naissance et dont nous avons besoin etant grands?. Cependant, il en conclut que l`education est un art extremement difficile, et il lui semble meme a peu pres impossible qu`il reussisse. Tout ce qu`on peut faire a force de soins est d`approcher plus ou moins du but, mais il faut du bonheur pour y atteindre. C`est de se diriger selon la nature. Elle seule est intelligente, elle seule produit le bien, elle seule donne les indications justes qu`il convient de suivre. Tout ce qui deforme la nature est mauvais; tout ce qui y obeit, s`y adapte, l`observe fidelement, la developpe regulierement, est bon et doit etre execute. Il s`agit donc de former un homme, au sens naturel du mot, un homme selon que la nature le veut et le ferait d`elle-meme.

      • 대구경 비구면 렌즈의 설계 및 가공기술의 개발

        곽민석(Min-Seok Kwak),박재현(Jae-Hyoun Park),정호승(Ho-Seung Jeong),김정렬(Jung-Ryul Kim),김동균(Dong-Kyun Kim),한종석(Jong-Suk Han)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6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

        This study is described the modeling of aspheric lens, manufacturing and inspection. The aspheric lens is different from a convex lens and concave lens in that is useful to aspherical, but modeling method of this isn't open to the public. Therefore, This study is designed to the aspheric lens of geometric form, manufactured a sample by CAM, which is applied to Euler method. So, we have verified modeling and CAM process for aspheric lens through a experiment.

      • KCI등재후보

        투시자 Voyant에서 "일하는 자 Travailleur"로의 랭보 Rimbaud 시론의 변모

        곽민석 ( Min Seok Kwak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11 유럽사회문화 Vol.6 No.-

        Si Une Saison en enfer est, pour Rimbaud, un recueil poetique d`adieu a son passe, et annonce un recommencement et un nouveau depart, les Illuminations nous montrent l`univers dans lequel la quete de sa nouvelle poetique se realise splendidement avec des images traitees tout a fait autrement que dans ses poemes precedents. Dans les lettres dites "du voyant", Rimbaud reclame "un long, immense et raisonne dereglement de tous les sens" pour se faire "voyant". On le sait, cette theorie du voyant revele une etape poetique de l`exploitation par Rimbaud du monde mysterieux et cache dans les mots, les choses et meme son "moi", en utilisant tous les moyens: "dereglement", "hallucination", "force surhumaine", "poisons", "folies", "amours", etc. En resume, pour devenir poete, il a fallut que Rimbaud se fasse voyant a travers tous ces moyens. Chez Rimbaud, cette voyance correspond a tous les moyens disponibles pour lui, principalement aux hallucinations des visions, des images et des mots, avec lesquelles il a tente de trouver l`inconnu en se debarrassant de la realite des objets poetiques, et a atteint son but. Bien que ce procede poetique ait ete prepare et employe scrupuleusement, l`issue de sa tentative a ete fantasmagorique, et a menace sa vie, comme le montrent les poemes d`Une Saison en enfer. C`est ainsi que Rimbaud a du changer de methode comme il a essaye de "changer la vie". Pour parvenir au nouveau but poetique, il fallait pour Rimbaud une destruction de tout l`ordre des choses et une recreation du monde poetique selon un nouvel ordre. De ce fait, c`est par le dynamisme des images poetiques, des mots abrupts, ainsi que le melange d`elements heteroclites et leurs reactions reciproques, que les Illuminations marquent le passage de Rimbaud du "plan passif de la voyance au plan actif de la poesie" Dans les Illuminations, Rimbaud montre, tout d`abord, non pas la poesie privee de sa realite comme dans Une Saison en enfer, mais la poesie bien placee, c`est-a-dire fondee sur la realite, puisque la realite est, pour lui, l`espace ou il est "presse de trouver le lieu et le formule". Les Illuminations, malgre des traces de situation chaotique face au nouveau monde poetique, sont donc une tentative et un resultat litteraires d`un poete-travailleur qui a surmonte la crise artistico-spirituelle et est parvenu a trouver la nouveaute poetique en cherchant la place et le secret de la poesie dans le realite prise comme materiel poetique et en les traitant avec une imagination creatrice et splendide, et dans les Illuminations, cela nous fait entrevoir un monde poetique tout a fait nouveau et jamais visite.

      • KCI등재

        해방된 글쓰기로서 초현실주의 시적 이미지들

        곽민석 ( Kwak Min-seok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18 유럽사회문화 Vol.0 No.20

        앙드레 브르통은 그의 초현실주의 선언(1924)에서 문학의 새로운 방향, 즉 초현실주의에 대한 관점을 이론으로 공식화 한다. 초현실주의라는 용어는 브르통에 의해 본격적으로 사용되지만, 실은 프랑스 시인 기욤 아폴리네르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브르통은 다다에서 발전한 초현실주의 문학 운동을 본격적으로 그리고 조직적으로 실천하게 된다. 초현실주의 근간을 이루는 사상은 바로 인간 상상력의 해방이며, 합리주의가 도달한 관념적인 막다른 길에 대한 도전과 새로운 사고의 구축이었다. 브르통이 초현실주의 선언에서 “초현실주의는 (...) 모든 방법으로 사고의 참된 작용을 표현하려고 하는 순수한 심적 오토마티즘이다. 이성에 의한 일체의 통제 없이, 또한 미학적, 윤리적인 일체의 선입관 없이 행해지는 사고의 진실을 기록한 것이다”라고 주장한다. 예술가의 자유로운 상상 속에서 태어난 해방된 언어와 이미지 사이를 기존에 구애받지 않고 임의적으로 다양하게 연관시킴으로써 현실의 논리적 질서를 비켜난 새로운 세계를 드러내려고 한다. 이러한 과정과 창작 작업을 통해 결과적으로, 초현실주의 텍스트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임의적이고 놀라운 이미지를 풍부하고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미지는 깊은 자아의 욕망과 환상이 포착되어 표현되는 특권적인 장소가 되고, 그것은 경이로움에 대한 인간의 갈망을 충족시키는 다른 세계로의 개방을 허용하게 된다. 동시에 시적 또는 문학적 이미지와 자동기술법 이론은 "객관적 기회"의 영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미지들의 자유로운 연상은 자발적이고 즉각적인 특징으로 초현실주의 이론을 보여주는 중요한 축을 구성한다. 왜냐하면 초혀실주의 작가들에게 있어 시적 이미지는 해방되고 임의적인 글쓰기 기회가 실현되는 특권적인 장소로서, 이를 통해 자동기술법이 무의식과 심리의 깊은 내면을 드러내 보이기 때문이다 Andre Breton in the famous Manifeste du surrealisme(1924) formulates the first ideas of a new direction. This date was considered as the beginning of the shaping of surrealist thought, although the name "surrealism" was already used by the poet Guillaume Apollinaire, known for his ingenuity of word name. Since the Manifesto the surrealist Andre Breton has become one of the most famous and interactive programs in the art of the 20th century. The author has defined the hypotheses a new direction: "Surrealism is a pure mental automatism through which it will be expressed in words, in writing, or in any other way true functioning of thoughts." Surrealist works have broken the logical order of reality through associating various elements between them, born in nothing unbridled imagination of the artist.These are visions of the limit of awakening, sleep or fantasy, often inspired by dreams, art children and mentally patient Andre Breton in the Manifesto of Surrealism wrote: "Surrealism depends on the higher reality of certain associations that we had not seen before, in the omnipotence of dreams, in the disinterested play of thoughts. It aims the last one to destroy all the other mental mechanisms and replace them by solving the fundamental problems of life. As a result,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urrealist texts is the abundant and systematic use of arbitrary and astonishing images. The image is the privileged place where the desire and the fantasy of the deep self are captured and expressed. It allows the opening to another world satisfying man's thirst for wonder. It is like a spontaneous spurt that is born within the subject who thinks, perceives, desires or speaks. The theory of images and automatic writing is intricate closely with the domain of "objective chance": the free association, by its spontaneous and immediate character, constitutes the axis linking these three surrealist theories. For, the image is the privileged place where the objective chance is realized and "the automatic writing is nothing other than the reintroduction of the chance in the language, whereas the objective chance is the automatic writing of the destiny in the seemingly raw facts," as Michel Carrouges writes. Thus, automatism was a means of exploring objective chance.

      • KCI등재

        프랑스 현대 문학의 다매체성과 상호매체성

        곽민석 ( Kwak Min Seok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科學 Vol.112 No.-

        문학텍스트는 다른 문학텍스트와의 관계 속에 탄생한다. 작가는 작품을 창작하기 이전에 독자이다. 독자로서 작가는 자신이 소비하는 작품에 대하여 자신의 견해를 가지게 되고 이러한 견해는 작품의 생산에 참여하게 된다. 문학은 다른 문학과의 갈등관계에 의해 생산되어 하나의 문학사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생산된 작품들은 미래에 탄생될 새로운 작품의 원천이 되는 것이다. 사회의 문화적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문학 체험의 양상도 변화하고 문학텍스트도 변모한다. 시를 상호텍스트적인 구조물로 보는 최근의 개념은 시가 과거의 시들의 반향과 과거의 시들이 통제할 수 없는 반향에 의해 활성화 되는 것이다. 다매체, 상호매체 그리고 그것들의 상호작용성 및 상호행위성은 기술매체 시대에 실현되기 시작한 문화-예술적 다양성과 새 영역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과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사실상 상호작용성은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상호작용적 글쓰기는 이미 문학이론에서 구상되고 논의된 바 있으므로 이제까지의 매체사에서 나타난 상호작용적 글쓰기의 계보적 관계를 밝히고, 이를 통해 상호매체성의 개념을 분석하는 것은 쌍방향소통을 통해 이해되고 있는 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설명하기 위한 필수 전제가 된다. 상호텍스트성, 상호매체성에 이어 쌍방향소통은 20세기와 21세기를 연결해 주는 고리로서 또한 그 전환기에 관찰되는 인간의 언어 활동을 특징짓는 중요한 키워드이다. 문학이론에서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하는 저자와 독자 사이의 상호작용성에 대한 토의가 진행되는 동안 인공지능학에서도 쌍방향소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인공지능학에서 인간의 인식과정에 대한 연구는 기술사적으로 볼 때 인간-기계-상호작용의 주제를 통해 논의될 수 있다. 매체를 중심으로 볼 때 책이나 텍스트에서 인간 사이의 직접적인 대화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호작용적인 서술방식이 텍스트 구조적으로 논의될 수 있을 뿐이다. 전화, 라디오, 텔레비전 등의 전자 전기 매체는 텍스트를 둘러싼 발화자와 수신자 간을 또 다른 방식으로 매개한다. 디지털매체의 스토리텔링은 매체를 통해 실현된 인간-인간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인간-기계 사이의 인터랙티비티를 바탕으로 한 의사소통형태 또한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Literary texts are born in relation to other literary texts. The artist is already the reader before the work is created. As a reader, the artist has his own view of the work he considers, and this view becomes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the work. Literature is produced by conflicts with other literatures and forms a literary history. The works thus produced are the source of new works to be born in the future. As the cultural environment of society changes, the aspect of literary experience changes and literature text changes. A recent concept of poetry as a textual structure is that poetry is activated by the repercussions of past poetry and the uncontrollable repercussions of past poetry. Thus, multimedia, interactive media and their interactivity and inter-activity play an important role and position in expanding the cultural-artistic diversity and new realities that are beginning to be realized in the technology media age. In reality, however, interactivity is not a new concept. Since interactive writing has already been conceived and discussed in literary theor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genealogical relationship of interactive writing in the past and to analyze the concept of reciprocal communication, It is a necessary premise to explain the new paradigm. Interactive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intertextuality and mutual media, is a key linking the twentieth and twenty - first centuries, and is also an important keyword that characterizes human language activities observed in the transition period. In literary theory, there is a study on interactive communication in artificial intelligence while discussing the interaction between author and reader centering on text. In artificial intelligence, the study of human cognitive processes can be discussed through the theme of human-machine-interaction in the technological context. Direct dialogue between books and texts and humans is impossible, given the medium. Thus, the interactive narrative method can only be discussed in textual structure. Electronic media such as telephones, radios, and televisions mediate between a speaker and a receiver surrounding text in another manner. Storytelling of digital media is noteworthy in that it enables not only human-human interaction realized through media, but also communication form based on human-machine interaction.

      • KCI등재

        랭보의 시적 공간과 그 변화 - 『 일류미나시옹 Illuminations 』 을 중심으로 -

        곽민석(Min Seok Kwak) 한국불어불문학회 2001 불어불문학연구 Vol.46 No.-

        Dans l`univers poe´tique de Rimbaud, surtout dans les Illuminations, en subissant la force en me^me temps destructive et cre´ative, l`espace poe´tique est la plupart du temps fragile, pre´caire, transforme´, et nous donne l`impression d`assister a` la renaissance d`un nouveau monde qui ne cesse de bouger, changer et se renouveler. Autrement dit, l`espace rimbaldien est dans un perpe´tuel devenir. Cette instabilite´ et ce mouvement proviennent de ce que Rimbaud a toujours conside´re´ son univers litte´raire comme une sorte de ≪lieu de passage≫, c`est-a`-dire que dans sa vie litte´raire autant que re´elle, aucun espace imaginatif ou concret ne me´rite de demeurer plus longtemps a` ses yeux, mais simplement de passer. Son espace peut e^tre pris pour une e^tape a` franchir ne´cessairement afin de partir, puis d`arriver a` l`ailleurs. En choisissant successivement comme espace essentiel de son univers poe´tique la nature, la ville et l`ailleurs inte´rieur ou exte´rieur, Rimbaud nous montre bien qu`il est toujours pre^t a` partir ≪n`importe ou`≫. Il ne cesse d`errer. a` l`image du ≪Juif errant≫, et de se de´placer d`un espace a` l`autre. me^me s`il y demeure un court moment pour l`explorer. De ce fait, chez Rimbaud, l`espace devient un lieu de passage pour une nouvelle aventure. Bien que de´signe´e souvent par des noms pre´cis, la ville, espace majeur de ce recueil, nous montre le mieux cette ouverture. Il est vrai que l`espace concre`tement nomme´ et pre´cis dans ce recueil apparai^t solide, fixe´, et, a` partir des e´le´ments re´els et concrets, organise une autre re´alite´ poe´tique jamais vue comme si nous assistions a` un spectacle the´a^tral inimaginable, lorsque le poe`te le de´crit en y pe´ne´trant. Pourtant c`est un effet instantane´ et fragile, mais dynamique et intense comme les feux d`artifice. Me^me si tous les e´le´ments spatiaux se concentrent et se condensent par ≪la force centripe`te≫ pour former un instant un merveilleux paysage urbain, cet espace ne cesse d`e´clater, fuir et se dissoudre, a` cause de son dynamisme ou ≪force centrifuge≫. Ensuite laissant derrie`re lui ces images pre´caires, le poe`te cherche d`autres espaces imaginaires ou re´els. Ce de´part incessant sera a` son tour un the`me essentiel de la modernite´ poe´tique du XXe sie`cle.

      • KCI등재
      • KCI등재

        랭보와 라포르그 시세계에 나타난 시적 파괴와 혁신

        곽민석 ( Kwak Min-seok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9 프랑스문화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프랑스 현대시의 특징중 하나이며, 현대 시인들의 주된 관심 대상인‘시어 langage poetique’와 ‘시 형식 forme poetique’의 변화와 개혁 그리고 그 결과로서 나타나는 시적 현대성 modernite poetique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다시 말하면, 전통적 시적 규칙과 경향에서 벗어나 현대성을 추구하는 현대시의 장르적, 주제적 파괴와 개혁을 주로 파괴적이자 개혁적 시인으로 인식되는 랭보와 라포르 그 두 시인을 중심으로 접근해보았다. 프랑스 현대시에 있어, 전통적인 시문학 기법과 형식 또는 규칙으로 표현된 세계는 시, 공간적으로 급격한 변화와 이전과는 전혀 새로운 면모를 보이는 현대 시문학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런 현대시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것이 바로 시적 형식과 시어에 대한 시인들의 이전과는 다른 견해와 접근방식이다. 예를 들면 시어나시적 이미지 image poetique의 ‘직접성’을 들 수 있다. 시어가 시 외부의 어떤 대상에 대해 간접적인 표상이나 의미 전달의 매개체 기능을 담당하던 이전 시기의 시 세계와는 달리, 현대시에서는 시어가 그 자체로서 직접적인 표상 작용의 기능을 담당하고, 더 나아가 시적 이미지 그 자체도 이차적 의미 전달이 아닌 일차적이며 직접적인 시어 역할을 함으로써 현대 프랑스 시인들이 어느 정도로 시어에 대해 모색하며 관심을 집중하고 있는지 보여주고 있다. 이는 정형시에서 산문시 나아가 자유시라는 시적 규칙이나 제약의 파괴와 개혁에도 적용된다. 현대시는 바로 ‘새로운 언어 예술’이 그 주된 관심사였고, 그 새로운 표현 기법으로서의 언어와 형식의 탐구와 모색 안에서 현대 시문학이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시어과 시형식 자체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문제점 제시는 바로 언어와 그 형식의 예술인 시본질 자체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정이자 끊임없이 거듭나려는 시의 자기 성찰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시어 그 자체에 대한 문제 제기와 탐구라는 프랑스 현대시의 중요한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