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개방형 학교도서관의 배치유형과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공순구,박지훈,신한솔,Kong, Soon-Ku,Park, Ji-Hun,Shin, Han-Sol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도서관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역 개방형 학교도서관에 대한 연구로서 기존의 학교도서관으로 이용하던 시설일부를 개방하여 지역주민에게 공공도서관의 소분관으로 제공함으로써 도서관접근성 향상 및 지역주민의 평생교육 제공에 목적을 갖는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이용활성화를 통해 국민생활의 정보이용 복지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논의로 교육과학기술부와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는 도서관 접근성 향상 및 활성화를 위한 대책으로 공공도서관의 분관에 속하는 소규모도서관과 작은 도서관 확충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에 거점도서관의 소분관 설치 증가도 의미는 있겠지만 지역주민의 접근이 용이한 학교도서관에 같은 기능을 접목시켜 설치할 경우 도서관 조성시 대지 및 공간확보에 대한 예산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학교도서관 자체의 질적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은 기능과 성격이 공공도서관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학교도서관을 지역개방하여 활용할 경우에 대한 공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을 지역사회에 개방하기 위한 배치와 규모 그리고 공간구성에 지향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조성될 개방형 학교도서관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for a small sized library to expand the functions of public libraries in the community. This study aims to encourage local residents utilizing information and public libraries by opening parted facilities to public and naming it a substitut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icher welfare system. In detail, the study discusses progression of the small sized library as well as budgeting and hiring staffs in Committee on Library and Policy. However, there is limitations in terms of capabilities because school library is different from public library target users, space, unit plan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a small sized library as a function to find out type, plan, and space availability and size of ideal open school library.

      • KCI등재

        일본 학교도서관의 지역개방현황과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공순구,박지훈,신한솔,Kong, Soon-Ku,Park, Ji-Hun,Shin, Han-Sol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일본에서의 지역사회에 개방하는 학교도서관에 대한 개방과 배치유형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로서 학교내 설치되어 있는 학교도서관을 여러 가지 대안으로 개방함으로써 지역주민의 도서관 이용접근성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시민의 정보접근환경을 개선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일본의 경우 1953년에 학교도서관법의 단일법령을 세계 최초로 제정하였을 정도로 학교교육에서 차지하는 도서관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움직임에 힘입어 학교도서관의 설치율이 100%에 이르는 성과를 이뤄냈다. 또한 이런 도서관이 지역에 개방되어 지역주민의 도서관 이용을 증진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체 소 중 고교 중 11.6%에 달하는 학교도서관이 주민에게 개방되었다. 점차 노령화되고 초등학교 시설내의 이용이 저감되는 시점에서 학교교사의 활용방안을 도서관의 확장과 개방화를 통해 이용대안을 모색하고 학교와 지역마다의 특성을 다양하게 반영할 수 있는 여러 대안이 제시된다면 학교도서관 개방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며, 이는 정보화시대에 국민의 평등한 정보접근환경제공과 평생교육의 제공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학교도서관이 지역사회와 적합한 규모와 형태로 설치되기 위한 유형과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이 개방되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is a study on types and current status of school library in japan that are open to public. it aims to increase library access and further improvement of accessible information environment by opening the libraries within schools. In case of Japan, libraries' importance to school education enacted world's first School library act by 1953 and installation rate of school libraries is achieved up to 100%. These libraries opened to its local community is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library usage and now in total of 11.6% of lower, middle, and upper school are already opened to their local community. Considering decreasing usage of facilities in schools, teacher vacant time, expanding libraries, and other various alternative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It will lead to equal access to information environment and lifelong education. The study suggests ways of installing school libraries in appropriate sizes and forms within their local societies. It also propose possible ways to open school libraries to perform their own functions.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표준모델에 관한 연구

        공순구,김형석,이승근,Kong, Soon-Ku,Kim, Hyeong-Seok,Lee, Sung-Geu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1 No.4

        현대과학기술의 발전은 한 사회의 문화와 사회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존의 정보를 수집, 정리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던 도서관은 현대사회의 변화에 발맞추어 다양한 역할을 부여받게 되었다. 최근 공공도서관 신축 또는 리모델링 수요의 급증이 예상되고 있지만 우리는 아직 도서관의 유형과 서비스 규모를 고려한 도서관 공간운영에 대한 모델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 도서관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공간운영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과 사례를 검토하고 공간구성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해결대안이 될 수 있는 공간요소의 재구성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공간구성체계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증하는 도서관의 조립과 리모델링 사업계획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도서관의 특성과 서비스 규모에 상응하는 합리적인 공간운영 표준모델의 개발을 위해, 첫째, 국내 공공도서관 공간구성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둘째, 국내 및 해외의 도서관 건축물 공간구성 사례 수집분석하며, 셋째, 향후 신축할 국내 공공도서관 건축물을 유형별로 정의하여 공간구성에 대한 합리적인 권장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has a tremendous impact on culture and communication. Therefore a library that typically serves to collect, arrange and provide information is required to perform more diversified roles to stay abreast with changing modern society. Recent surge in demand for public library construction or remodeling is expected, but we still are in an actual condition that there is no model about the library spatial operation which considers the type and a service size of libr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ditions for the rational and systematic spatial management of public library in today`s changing information society, to make a case study on the state of spatial management, and to suggest the efficient rearrangement of spatial component as a solution. In this study, for rapid assembly and remodeling business plan of the library can be referred to, we should do following things for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model which has a rational space operations that correspond to the library features and services size. Firstly, analyze the space configuration of our nation's public libraries. Secondly, collect and analyze the libraries' spatial configuration in our nation and at abroad. Thirdly, define the next stretch of public library buildings by their types and develop a reasonable model as to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present it.

      • KCI등재

        지역중앙 지방기록물보존관의 공간구성체계 및 공간모형에 관한 연구 -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공순구 ( Kong Soonku ),권혁진 ( Kwon Hyukji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에서 생산된 유의미한 지식과 정보를 지역 내에 전문인력과 기록보존을 위한 시설을 갖춘 ‘지방기록물보존관’을 설립하여 지방기록물 관리 원칙에 따라 자주적으로 생산관리하고 활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향후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의 기초적인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행정의 책임성과 투명성 강화’, ‘주민 참여 정치 활성화’, ‘지역사회에 유의미한 지식 및 정보 축적’,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개발 능력 강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적합하며 기록물 관리체계에 따른 지역중앙 지방기록물보존관의 공간 구성체계 및 공간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일본의 공문서관은 기록물관리 인프라 형성이 지방기록관리에서 발현하여 그 역사와 관리체계가 잘 형성되어 있다. 국내 법률상의 분류에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에 속하는 일본 지방 공문서관을 사례 대상관으로 선정하였으며 설립주체에 따라 세부적으로 도도부현 2개, 시정촌 4개를 분석하였다. 각 기관에서 발행하는 연보 및 문헌조사를 통해 시설의 일반현황, 도면수집, 공간구성, 소요공간, 면적구성 등을 분석하였으며 문헌에서 분석하기 어려운 세부 사항은 담당자와의 서신 인터뷰 등의 방법을 통해 실증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사례대상관의 분석을 통하여 위계에 따라 지방기록물보존관의 역할이 구분되며 이에 따라 공간구성체계가 다름을 도출했다. 현립 공문서관과 시립 공문서관은 정립 공문 서관에 비하여 기록보존의 업무가 중요함에 따라 더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정립 공문서관은 현립 공무서관과 시립 공무서관보다 기록물 활용 및 공공서비스에 대한 면적대비 공간 할애가 더 높았다. 특히 공용영역이 정립 공문서관에서는 월등하게 높게 나오는데 이는 공공서비스 제공측면에서 시설의 복합화여부에 따라 면적구성비에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복합형 공문서관의 경우에는 이용자의 방문목적에 따라 시설의 영역을 독립적으로 배치하여 공간을 부분적으로 폐쇄하여도 시설 운영에 차질이 없게 하였다. 서고의 배치 및 운영은 보존하는 기록물의 증가량을 고려하여 저층에는 고문서 및 귀중기록물 서고를 배치하고 상대적으로 기록물 증가량이 많은 일반기록물 서고를 고층에 배치하였다. 상대적으로 현립 공문서관 대비 공간 및 예산적인 제약사항이 더 많은 시급과 정급 공문서관에서 보존처리 및 인수등록 공간은 결합하여 활용했으며 서고내부공간을 구분하여 기록물의 유형에 따라 관리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앞서 국내의 사례는 서울기록원과 경상남도기록원에 그치며 아직 지방기록물보존관의 상호협력체계가 전무한 시점에서 국내의 기록물관리체계와 지방행정체계가 유사한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했다. 하지만 연구의 시간적 범위에서 사례대상관보다 기록물관리체계가 발전한 시점에서 연구를 진행한 점을 감안하여 다소 거시적인 관점에서 기초적인 단계의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이후 연구에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한다. 또한 기록물관리체계 및 기록물 전문요원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기록물보존에 이바지하며 기록자치문화의 정착을 위해 향후 기록물활용에 대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regional archive professional facility by creating a network system that produces, manages, and utilizes regional archive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fundamental role in balancing national development and local self-government system in the future. Additionally, transparency in administration, participation of local self-government, accumulating quality information from the local community, and enhancing the ability of local governments to develop policy were expected. This study further aimed to propose a space composition and spatial model planning for local central regional archive considering the regional archive network system. (Method) In Japan's regional archive infrastructure started from local records management and its history and management system are well formed. The archives of two prefectures and four basic units of local governm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annuals and literature surveys issued by the respective institutions; general status of the facility, architecture plans, space composition, required space, and area composition were also examined. Details that were difficult to analyze from the literature were obtained via emails. (Results)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the spatial composition result from the local archives varied depending on their role. Prefectural archives and municipal archives occupied a larger proportion in preserving records than town archives, as the task of record keeping was important. However, town archives had a higher space proportion for the use of records and public services than prefectural and municipal archives. In particular, the common area was much higher in town archives, which is thought to be a difference in the area composition ratio depending on whether the facility is complexed in terms of public service. Layout of the storage space for regional archive is important considering future expansion. It is ideal to have regional archives that are expected to have a steep increase rate on the higher level to adjacent future storage areas with the existing storage. (Conclusion) Cases in Korea were preceded only by the Seoul Archives and the Gyeongsangnam-do Archives. At the time when there were no networking systems between archives,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of overseas cases similar to domestic records management systems and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Considering the timeline of when the study was conducted and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developed compared to the cases, it proceeded from the somewhat macroscopic viewpoint to the basic stage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of records through an ongoing research on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records specialists, and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contents in terms of utilization to establish a culture of local-government records.

      • KCI등재

        자동차 뮤지엄에서 나타나는 형태생성 요소와 공간 구성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공순구 ( Kong Soonku ),최원성 ( Choi Wons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뮤지엄의 건축적 성향은 구현되는 방식에 따라 지역적 컨텍스트, 공공성의 재생과 확장성, 형태의 조형적 표현성 등 다양한 양태를 드러내고 있다. 이 중 형태의 조형적 표현성은 뮤지엄의 상징성이 외적조형 언어로 구현되는 방식으로서 뮤지엄 자체가 랜드마크적인 흡인력을 표출하여 지역의 대표적인 관광자원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자동차 뮤지엄 은 조형성이라는 특수성이 더욱 부각될 수 있는 뮤지엄이지만 국내의 경우에는 조형적인 상징성의 고취가 미흡한 실정이다. 반대로 해외 자동차의 뮤지엄은 그 자체가 하나의 작품으로서 형태와 공간 구성에서 조형적인 표현성을 표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해외 자동차 뮤지엄의 형태 구성과 공간 구성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조형적 형태에 따른 공간성을 구성하는 통일된 언어를 구축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0년 이후 생겨난 자동차 뮤지엄 중 조형적 특성이 나타나는 해외 자동차 뮤지엄 네 곳을 선정하였다. 형태생성의 조형적 표현성에 대한 광의적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형성의 배경이 되는 시대사조를 양식론적 관점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는 웹 서치와 참고문헌을 통해 진행하였다. (결과) 이론적 고찰을 통해 형태의 조형적 표현성의 가치 개념을 상징성, 역동성, 유동성, 투명성 측면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건축적인 세부 요소를 분류하였다. 상징성 측면의 경우 자동차 브랜드의 아이덴티티가 외부 형태와 내부 공간인 중정에 표상되어 나타났다. 역동성 측면의 경우 형태에서 곡면화, 선의 접힘, 비틀림이 나타났으며 이는 속도감이 느껴지는 전시 공간을 형성하였다. 유동성 측면의 경우 자유곡선의 비선형적인 형태로 형상화 되었으며 이는 관람자로 하여금 단방향의 순환 동선, 나선형의 속도감 있는 동선 등 확고한 동적 움직임을 지각하게 하였다. 투명성 측면의 경우 형태에서 매스의 중첩이 나타났으며 이는 상호관입의 투명성으로 내부에 연속적이며 역동적인 전시 공간으로 표출되었다. (결론) 이런 결과들을 통해 형태생성의 세부 요소들이 내 외부에서 상호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형태의 조형적 표현성에 따른 공간성 구축을 위해서는 유사성이 강한 표현 요소끼리 조합되어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류를 통해 분류체계의 기초적 방안을 설정하였음에 연구의 의의를 상기하였으며 본 연구의 분류체계가 향후 자동차 뮤지엄 계획 시 구축의 기반이 되는 설계 요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architectural tendency of a museum reveals various aspects, such as the regional context, reproduction and scalability of publicity, and formative expression of form, depending on how it is implemented. Among them, formative expressiveness means that the museum itself serves as a representative tourism resource in the region by expressing its landmark attractiveness as a method in which the symbolism of the museum is embodied in an external sculptural language. Specifically, the automobile museum is a museum where the specificity of formability can be further highlighted; however, in Korea, the promotion of formative symbolism is insufficient. On the contrary, the museum of overseas automobiles itself is a work of art, expressing formative expression in its form and spatial composition.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orm composition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overseas automobile museums in this flow, this study aims to build a unified language that constitutes spatiality according to the formative form. (Method) Among the automobile museums that have been created since 2000, four overseas automobile museums with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In order to interpret the broad meaning of morphogenesis' formative expressiveness, contemporary thought, which is the background of formation, was considered from a stylistic perspective, and this was conducted through web searches and referencing. (Result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the concept of the value of formative expression was derived in terms of symbolism, dynamics, liquidity, and transparency, and detailed architectural elements were classified around this definition. In terms of symbolism, the identity of the automobile brand was represented in the middle with an external shape and an internal space. In the case of dynamics, curvature, line folding, and twisting appeared in the shape, which formed an exhibition space with a sense of speed. In the case of fluidity, it was shaped in a nonlinear form of a free curve, which made the viewer aware of solid dynamic movements such as unidirectional circulating movements and spiral speeding movements. In the case of transparency, the overlap of mass appeared in the form, which was expressed as a continuous and dynamic exhibition space inside with the transparency of interven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found that detailed elements of morphogenesis were mutually influenced from within and outside, and it was concluded that expression elements with strong similarities should be combined to build spatiality according to the formative expression of form.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as that the basic plan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established through this classific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design element that is the basis for the construction when planning the automobile museum in the future.

      • KCI등재

        국립민속박물관 권역별 수장센터의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공순구 ( Kong¸ Soonku ),이원구 ( Lee¸ Wong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박물관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물의 양적, 질적 증대가 이루어졌으며, 관리와 분석에 대한 중요도가 한층 더 높아지게 되었다. 여러 종류의 박물관 중 특히 민속계 박물관은 유물의 수와 종류가 다양하며, 유물 특성상 마을의 공동체와 지역 중심의 문화가 전승되는 것이 특징이다. 국가 발전으로 인한 산업화, 도시와 및 인구의 대규모 이동으로 인하여 민속유물과 민속문화자료에 대한 소실이 크다. 이것은 단순히 민속자료와 유물을 잃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전통과 우리민족의 삶과 지혜를 잃어버리는 것과 같다. 현제 국립민속박물관의 확장을 통하여 규모와 시설이 확대될 수 있겠지만 각 지역에서 발굴되는 민속유물을 수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유물이 원적지를 떠나 다른 지역의 시설에서 관리되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국내에 적합한 인프라의 정립을 위하여 민속계 박물관의 상호협력체계를 제안하고 권역별 국립민속박물관 수장센터의 공간구성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내 최근 5년이내에 건립된 수장보존센터나 수장센터형 박물관 3관과 일본의 박물관 중 수장보존영역이 특화되어 있으며 10년 이내 새롭게 리뉴얼된 박물관 3관을 선정하여 상호협력체계의 필요와 구성, 민속계 박물관 유물의 정의와 분류, 박물관의 수장환경 및 유사사례의 현황 및 시설배치, 프로그램, 면적구성비 동선체계를 통해 공간구성 체계를 도출한다. 각 기관들에서 제공되어지는 연보와 문헌조사를 통해 전반적인 내용 및 도면 수집을 통해 시설의 공간의 구성 및 면적 등을 파악하였으며, 문헌을 통하여 분석이 어려운 세부사항의 경우 현장답사와 담당자와의 서신 및 인터뷰를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사례관들의 각 기능별 영역과 공간구성체계 및 면적구성비를 분석한 결과 수장보존영역의 면적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물을 관리하고 수집 및 보존, 연구하는 업무가 중요함에 따라 다른 기능의 영역보다 큰 비율을 차지하고, 과거의 비공개영역이었던 부분을 일부 개방화하여 전시 및 체험, 교육영역에 있어 기능을 더해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례관들의 공통점으로는 수장보존영역의 공간구성이 유물과 관리자의 동선에 적합하게 구성되었으며 대학원이나 연구시설이 설치 되어있는 규모있는 박물관의 경우 수장보존영역 내에 있거나 각 독립된 동으로 인접배치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민속유물 관리와 발전을 위하여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제2장 20조, 33조에 근거하여 민속계 박물관 상호협력체계로 국내의 6개의 권역으로 나누어 권역별 수장센터 설치 제안을 통해 원적지 유물관리를 실현하고 민속 유물의 체계적인 분류를 통해 발전된 유물의 관리 및 보존,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며, 향후 대한민국의 수장센터 및 수장센터형 박물관을 계획 시 중앙관으로부터 지역대표관, 지역분관까지 연결되어지는 협력체계와 수장보존영역이 특화되고 보존과학실의 부분 개방화 및 개방형 수장고를 활용한 계획에 실직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한다. 본 연구가 국립민속박물관의 권역별 수장 센터 공간구성체계에 관련된 선행연구의 개념의 거기적인 관점에서 진행되어 수장보존영역의 공간구성에 집중되었다. 향후 민속계 박물관에 알맞은 협력체계와 세부적인 유물관리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and type of museums, the quantity and quality of artifacts have increased, as has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and analysis. Among the various museums, the folk museum, with a variety, and types of relics, is characterized by the transmission of local culture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relics. The loss of folk relics is large because of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population movement. This loss is akin to losing our country's tradition, the lives, and the wisdom of our ancestors. Currently, the scale of accommodating such relics can be expande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however, there is a limit to accommodate folk relics excavated from each region; further, they are managed by facilities in other regions. Therefore, to build infrastructure suitable for Korea, we propose a cooperation system for folk museums and a space composition system for the main building of the National Folk Museum, by region. (Method) In Korea, three preservation centers or storage-type museums built within the last five years and three newly built museums within ten years, will be selected to derive a space composition system through cooperation systems,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folk museum relics, museum status, and facilities and programs. The composition and the area of facility space were identified through annual reports and literature surveys by each institution, and detailed matters that are difficult to analyze in the literature were studied through field trips, and communication and interviews with the person in charge. (Results) Analyzing the area, spatial composition system, and area composition ratio of case halls, remarkably, we found that the preservation area occupies a larger proportion than other functional areas, adding functions to exhibitions and experiences. What the case halls have in common is tha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storage area is suitable for the movement of relics and managers. In the case of large museums with graduate schools and research facilities, these are within the storage area or adjacent to each independent building. (Conclusions) In this study, based on the Museum and Art Museum Promotion Act, six regions in Korea are classified into cooperation systems for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artifacts through systematic classifi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concept of a prior research perspective related to the spatial composition system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focusing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conservation area.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on the cooperative system suitable for the folk museum and detailed relics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공공도서관 분관 복합화에 의한 유형 및 공간구성 분석에 관한 연구-지역사회 기반의 분관 도서관 중심으로-

        공순구 ( Soonku Kong ),김종민 ( Jongmi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도서관법에 의하면 지역 특성에 따른 공공도서관 분관을 건립 및 육성하고 있다. 이러한 분관은 지역사회 중심의 도서관이라는 특징으로 우수한 접근성을 가지며, 도서 대출 기능을 중점으로 다양한 계층의 주민들에게 지식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공공도서관의 분관은 지역 생활권을 중심으로 주민들에게 서비스를 하고 있고, 중앙관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분관의 이용 활성화를 위해 도서관의 기능뿐만이 아니라 문화시설과 복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향이다. 공공도서관 분관이 지역 특성에 맞는 문화 및 공공시설과 복합화 된다면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 공간으로 발전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지역사회 기반의 분관 도서관을 효과적인 복합화를 위해 분관의 역할과 기능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복합화에 의한 유형 및 공간구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중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 서비스 반경이 1km 미만인 분관급 도서관이 적합하며, 대상으로는 도심지에 위치한 국내사례와 공공도서관 분관의 시스템이 활성화되어있는 일본과 유럽 지역을 선정하여 복합화된 분관급 도서관으로 하였다. 그중에서도 동종 시설과 복합화된 공공도서관 분관의 복합유형에 따른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 분석을 통하여 합리적인 공간구성체계를 제시한다. (결과) 복합화된 분관급 도서관의 사례 분석을 통한 복합유형으로는 수직적 복합이 주로 구성되어 있었고, 열람 및 대출을 담당하는 자료 서비스 부문이 가장 높은 비율로 구성되어 있었고, 문화 교육 및 업무관리 공간은 복합시설과 같이 사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낮게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는 공공도서관 분관의 복합화가 이루어질 때 수직적 복합으로 도서관과 복합시설이 동등한 규모에서 복합화가 이루어져야 된다. 이는 복합되는 시설의 비율이 낮으면 주 시설인 도서관의 부속실로 될 수 있고, 제 기능을 가진 공간구성이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공간 및 형태는 중정형 구성을 통해 채광과 환기가 잘 되는 쾌적한 열람실을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중심 분관 도서관의 복합화를 구성할 때 효과적인 공간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ccording to the Library Act, branches of public libraries are constructed and promoted in compliance with local characteristics. These branches have excellent accessibility, as they are community-oriented libraries, and they provide information to residents of diverse classes, focusing on book lending function. For the revitalized use of these branches, the tendency is to ensure the functions of the library and its compositeness with the cultural facilities. It is expected that the public library branch will be developed into a central space for local communities if it is combined with cultural and public facilities that satisfy lo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type and spatial structure of the library branch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branch to combine effectively the library branch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Method) Public library branches with a service radius of less than 1 km within the community were selected; for combined public library branches, we selected areas in Japan and Europe where the system of public library branches is revitalized. Using them as cases, the study proposed a reasonable spatial composition system by analyzing their program and spatial composition based on the complex type of the public library branch that combines similar facilities. (Results) For the composite type, obtained through case analysis of the composite library branch, the vertical combination was mainly composed. As for the spatial composition ratio, the data service sector was 28%, cultural education sector was 4%, business management sector was 10%, and public part was 7%. As for the ratio of combination with a complex facility, the library part was analyzed as 46% of the facility and the complex facility as 54%. The data service sector, which is responsible for promoting reading and lending, consisted of the highest percentage of area occupied, whereas the cultural education and work management space was relatively low because it was combined with a complex facility.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program and spatial composition based on the complex type of combined library branch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ibrary and complex facility have to be combined in the same size when the public library branch is a combined type. This tendency is because it would become the subsidiary room of a library, as the main facility, and it is difficult to ensure the space composition with the appropriate function if the ratio of the complex facilities is low. Thus, it is possible to compose an effective space when planning a combined community-oriented library branch.

      • KCI등재

        초등학교의 ICT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전시유형 및 체험매체의 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 - 과학관의 델파이(Delphi)기법 분석을 중심으로 -

        공순구 ( Soon-ku Kong ),강경묵 ( Kyung-muk Kang ),이승용 ( Seung-yong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5

        (연구배경 및 목적) 과학전시관은 우리 사회는 어린이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오늘날 과학관은 관람객의 참여도를 높이는 것에 그 목적성을 가지고 전시를 기획하는 실정이다. 그 결과 전시관 내부는 체험, 특수영상, 동적영상, 놀이전시, 인터렉티브등의 소요예산과 정책적인 면에서 한계를 가져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과학관은 적절한 체험의 요소와 특수 전시등이 함께 기획되어 다양한 이야기와 체험, 과학적 지식의 이론을 통해 교육의 질적 효과를 끌어올려야 한다. 하지만 오늘날 과학관은 무리한 예산 편성과 고도의 특수장비로 인해 정작 필요한 전시관 교육의 질적 효과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관의 전시기법에서 어떤 전시기획이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의 효과가 나타나는지 그에따른 전시유형과 체험매체의 선호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ICT를 적용한 국내 과학관의 사례분석을 통해 전시와 교육적 효과의 중요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한고, 전시체험공간과 전시형태 및 ICT를 접목한 체험프로그램 요소를 전문가들의 견해와 신뢰 있는 예측으로 연구를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첫째, 국내 전시형태, 전시체험공간의 기능과 목적, 전시공간 구성 등의 특징을 파악한다. 둘째, ICT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그로 인해 구성된 전시형태 및 체험공간 구성을 분석하여 전시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하여 알아본다. 셋째, 실제 국내 ICT를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설치되어 있는 체험공간 구성 및 요소를 전문가들의 견해와 예측을 통해 비교·분석한다. (결과) 국내의 과학관은 ICT를 접목할 경우 변화가능성이 가장 높은 전시유형 중 조사대상지에서 참여전시 30.9%, 동적영상전시 37.9%가 가장 높게 구성이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조작식 전시 30.3%와 인터렉티브 전시 9.3%, 특수영상전시 10.6%로 반영이 일부 되었으며, 반면에 실험전시 1.3%, 놀이전시 3.3%로 매우 저조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ICT를 적용한 국내 과학관의 델파이 분석을 통해 전시프로그램 및 전시형태 구조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고, 그에따른 결과는 조작식, 인터렉티브, 참여, 실험, 동적영상, 특수영상, 놀이 전시와 같은 변화가능성이 높은 전시형태와 체험공간은 관람자의 참여도를 높이고 호기심을 유발하는 체험공간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과학관과 체험관의 전시공간 특성은 과학의 원리와 체험을 통해 그 무엇을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는 전시아이템을 어떻게 구성하지, 또 정보통신기술 (ICT)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있어 과학관의 전시에 학술적 이론으로 큰 도움이 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Science museums have made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ren's education, but nowadays, exhibitions at science museums are planned with the aim of raising the participation of visitors. As a result, the interior of the pavilion has faced limitations in terms of budget and policy that have affected experience, special video, dynamic video, play display, and interactive elements. Science museums should be designed with appropriate experience elements and special exhibitions to raise the qualitative effect of education through various stories, experiences, and theories of scientific knowledge. However, today's science museums have not achieved the qualitative effect of the education of the pavilion, which requires an excessive budget and highly specialized equi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hibition type and the preference of experiential media according to which exhibition plan is most effective in the exhibition techniques of science museums. (Method) In this study, we conducted research on the importance of exhibitions and their educational effects through the analysis of domestic science museums applying ICT, experiential opinions, and reliable prediction. The research proceeds as follows. First, the study gathers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exhibitions’ forms, functions, purposes of exhibition space, and composition of exhibition space. Second, the study analyzes the theoretical examination of ICT and the composition of the exhibition form and space that are informed by ICT, and its effects on the exhibition. Third, we analyze the case applying ICT in Korea and analyze the structure and elements of experiential space that are installed through expert opinion and prediction. (Results) In domestic science museums, 30.9% of participating exhibits and 37.9% of dynamic image exhibits are the highest among the most common types of exhibits, and 30.3% of operation-operated exhibits, 9.3% of interactive exhibits, and 10.6% of special images were partly reflected, while the experimental exhibitions were 1.3% and the play exhibitions were 3.3%.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exhibition program and exhibition form structure through the Delphi analysis of domestic science museums applying ICT, and the result was derived from the qualities of manipulation, interactive, participation, experiment, dynamic image, and special i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 space of science museums and experiential museums, and to understand how to organize exhibition item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accessed by the public through the principles and experiences of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