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 교원 임용확대 및 지원을 위한 방안 제고

        고혜정 ( Koh Hye-jung ),김병건 ( Kim Byung-keon ),박유정 ( Park Yu-jeo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4

        연구목적: 장애인 교원 양성 기회 및 임용기회 확대를 위한 법적·제도적 마련에도 불구하고 그 실효성 및 구체적 적용 방향은 미흡하다고 평가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심도 깊은 연구의 필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교원에 대한 연구가 어떤 주제 및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장애를 가진 교원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장애교원 관련 학술논문 30편을 분석하였다. 첫째, 장애인 교원 연구의 년도별, 학술지별 게재현황 분석. 둘째, 장애인 교원 관련 연구들의 연구대상 분석. 셋째, 장애교원 관련 연구의 연구방법 분석. 넷째, 장애교원 관련 연구의 주제에 대한 심측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교원 관련 연구의 년도별 게재현황은 미비한 수준이며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학술지는 시각장애연구였다. 연구대상은 장애인 교원 당사자에 관한 연구, 시각장애교원, 중등교원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장애인 교원 관련 주제별 동향을 살펴보면 장애교원의 재직 중 겪는 교직적응상의 어려움과 개선방안을 주로 다루고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교원관련 연구는 장애교원의 양성단계부터, 임용 및 배치, 재직단계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활발히 시행되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각 단계별로 필요한 구체적인 지원이 제공되어야함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In spite of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increased training opportunities and employment of teachers with disabilities, their effectiveness and specific applications are often judged to be insufficient. Therefore, the needs for in-depth research to solve this problem are growing.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amining what topics and methods were adopted in studies on teachers with disabilities and providing fundamental data drawn from the examination that suggested practical supports plans. Method: This study analyzed 30 academic studies related to teacher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teachers with disabilities. First, the studies related to teachers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ublication status by year and journal. Second, th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Third, th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Fourth,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topic of each study related to teachers with disabilitie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ublication status of studies related to teachers with disabilities by year was insignificant and that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was the journal that published the majority of studies. As for research subjects, a lo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teachers with disabilities, visually impaired teacher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the trend by topic, the studies related to teachers with disabilities mainly addresse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with disabilities in adapting to the teaching profession during their service and improvement measures thereof.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research on teachers with disabilities needed to be conducted vigorously on the entire career of teachers with disabilities, from the training stage to appointment and placement, and in-service stage, and that specific support should be provided at each stag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dea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일반 유아를 위한 장애 이해 프로그램연구 메타 분석

        고혜정 ( Hye Jung Koh ),김지영 ( Jee Young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3

        일반 유아의 장애 이해 및 수용도는 통합 교육의 성공여부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다양한 장애 이해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현재까지 이루어진 일반유아 대상 장애 이해 프로그램 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메타 분석을 통해 장애 이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 종합하고자 한다. 효과성 검증을 위한 효과크기의 산출은 메타분석을 위한 통계 프로그램인 CMA2(Comprehensive Meta-Analysis vision2)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첫째, 장애 이해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를 분석하였으며, 둘째, 중재유형, 중재 실시자, 중재 실시 횟수, 통합교육의 직접 경험 유, 무 등의 하위 요소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애 이해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영상자료를 활용한 장애이해 활동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제공에 있어서는, 중재횟수가 11회 이상인 경우가 10회 이하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며, 통합 상황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sability understanding program o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or this study, 108 effect sizes from 25 studies were analyzed by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zed overall effect size of disability understanding program was very high. Second, this study analyzed effect size by intervention types, intervention deliverers, and intervention settings. Specifically, the interventions using videos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and intervention by researchers showed higher effect size than by teachers. The more intervention was practiced, the higher the effect size was, and the interventions in inclusive settings were higher than in separate setting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성취수준별 분수와 소수 문제해결력 분석

        고혜정 ( Koh Hye-jung ),조영희 ( Cho Young-hee ),김동일 ( Kim Dong-il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9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성취수준별 분수와 소수 문장제 문제해결능력을 인지진단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초등학생 4학년 437명을 대상으로 분수와 소수에 관한 수학문장제 검사를 시행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먼저, 4학년 교육과정의 내용 중분수와 소수에 관한 인지요소 6개를 추출하여 문항과 인지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큐매트릭스를 작성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인지진단분석방법 중 하나인 DINA모델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인지요소 6개 모두 고성취, 중간성취, 저성취 순으로 숙달확률을 보였으며, 인지진단상태는 저성취 학생들의 경우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결론: 인지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현재 수행상태와 보유하고 있는 인지요소를 확인하고, 부재상태인 인지요소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이 제공되어야함을 제시하였고, 이에 대한 논의와 향후 연구를 제언하였다. Purpose: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fractions and decimals in the 4th grade using cognitive diagnostic model. Method: Fourth grades(N=437) were measured on word problems test about fractions and decimals. As an analysis method for DINA model, first, we analyzed 4th mathematics curriculum and defined attributes about fractions and decimals. Second, we developed Q matrix that indicate which attributes are required for each item. After then, we analyzed this data using DINA model. Results: In 6 attributes about fractions and decimals, it showed high probability of mastery in high achievement group and showed low probability of mastery in low achievement group. Also, there were more various cognitive attribute patterns in low achievement group than middle and high achievement group. Conclusion: This result would be very helpful to understand the students` mastery attributes and to teach non-mastery attributes for achievement.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 연구 접근 관점 고찰

        고혜정 ( Hye Jung Koh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에 관한 국내외 논문을 리뷰하고 삶의 질을 바라보는 관점을 분석함으로써, 이후의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에 관한 접근관점과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에 관한 국내외 논문 35편을 리뷰하고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을 바라보는 객관적, 주관적 접근 관점으로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체적, 정서적 안녕을 보장받을 수 있는 주거환경, 스스로 근로의 권리와 의무를 누리며 임금이라는 생계유지 수단을 받는 취업, 신체적·정신적 건강과 관련한 사항들은 지적장애인들의 삶의 질의 주요 객관적 지표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결정과 가족, 교육은 삶의 질의 주요 주관적 지표로써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프로그램 및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basis for program and policy develop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through a paper review. This study reviews 35 pieces of paper about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were analyzed in an objective and subjective point of view overlooking approach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a result,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can guarantee the physical and emotional well-being, jobs for maintaining professional potential realization and sustenance and details relating to mental health are found to be the main objective indicators of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ddition, self-determination and their families, education was found to have a very important meaning to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dicators. Finall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suggested the implications and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중등 특수교사의 중도·중복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

        고혜정 ( Koh Hye-jung ),이미숙 ( Lee Mi-suk ),박재국 ( Park Jae-koo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8 지적장애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실태와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조사를 위하여 중등특수교사에게 설문지 250를 배부하였으며, 총 221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들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진로·직업교육은 단순노무직에 한정되어 있다고 하였고,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에게 시행하고 있는 진로·직업교육은 일상생활 기능교육, 개인-사회간 기능교육, 직업적 기능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셋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은 직업교육을 표시과목으로 전공하지 않은 타교과 담당의 중등교사들이 80% 이상 실시하고 있었고, 넷째,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은 지역사회 통합, 타인의 도움 최소화, 여가시간 활용 등을 위해서 진로·직업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다섯째, 특수교사들은 학교에서의 진로·직업교육이 이들의 졸업 후 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진로·직업교육의 시작 시기는 중학교 또는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실시되어야한다고 하였다. 또한, 특수교사들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은 기초작업 기술 교육과 모의체험, 현장체험, 직장체험 등을 통한 체험식 교육을 통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앞으로의 진로·직업교육의 내용과 방향을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status of students ' career and job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special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For the purposes of this survey,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econdary special teachers, and a total of 22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special teachers said that career and job education currently in effect is limited to simple work, and second, career and job education provided to students was providing functional educ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and vocational education. Third,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was conducted more than 80 percent by secondary teachers in other departments who did not major in vocational education. Fourth, most special teachers said that career education is necessary for community integration, minimizing assistance from others, and making use of leisure time. Fifth, special teachers said that career and job education in schools significantly affects their post-graduate lives, and the beginning of career education should take place in the middle school or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special teachers stressed that students' career and career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hrough basic work skills, field and work experience programs.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tents and direction of future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여가활동 중재관련 실험연구 분석

        고혜정 ( Hye Jung Koh ),김지영 ( Jee Young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3

        여가 기술은 지적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또한 지역사회에서의 통합을 촉진하는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여가기술 및 활동을 중재한 국내 연구를 고찰하여 그 동향을 살펴보고 현장에서의 적용 방법 및 성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최근 10년간 발표된 국내문헌을 검색하였으며,그 결과 총 16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선정한 논문을 대상으로 먼저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본 후, 실험설계,연구 참여자, 립변인,종속변인, 중재전달방법의 질적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여가 기술 중재 논문의 편수가 매우 제한적이었으며,연구대상은 대부분 중고등학교 학생이었다. 둘째,가장 높은 빈도로 활용된 여가 영역은 건강. 스포츠 영역이 었으며 중재는 주로 지역사회시설에서 이루어졌으며, 개별지도와 소그룹지도를 활용하였다. 셋째, 모든 논문이 종속변인으로 사회적 행동 및 사회적 기술을 포함하고 있었다.마지막으로 분석결과에 따른 지적장애학생의 여가 기술 및 활동 중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 발전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A leisure skill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romotes inclusion into a local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xplore the trend of intervention on leisure skills and activiti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e last 10 years. 16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between 2000 and 2013 were reviewed. This review investigated general features(research type, participants), dependent variablesOeisure areas, intervention types, delivery methods such as group size, location, and duration), and independent variables(social skills, leisure skills, measure tools, and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ew intervention studies of leisure skills and activiti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participants in most studies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most frequent area of leisures was health and sports, and intervention was commonly conducted in local community facilities using individual instruction and small group activities. Third, all research deal with social skills and activities as dependent variables. Finally,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 KCI등재

        지적장애,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의 도형학습 중재 연구 메타분석

        고혜정 ( Koh Hye-jung ),조영희 ( Cho Young-h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2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도형학습에 관한 중재연구를 메타분석하여 그 효과크기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메타분석을 위해 분석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발간된 19편의 연구를 분석하였으며, 이 중 집단연구는 9편, 단일대상 연구는 10편이었다. 집단연구의 효과크기는 Hedges’ g로 산출하였으며, 단일대상연구의 효과크기는 Tau-U로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메타분석 결과, 집단연구의 전체 효과크기는 0.3934로 낮은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장애유형, 중재방법, 중재자, 중재기간에 따라 효과 크기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단일대상 10편의 분석결과, 전체 효과크기는 Tau-U=9.333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고, 초등학생과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을 중재했을 때 더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지적장애보다는 학습부진 및 장애를 중재했을 때 더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또한 중재방법에 있어서는 구체물 보조자료를 활용한 연구보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가 더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그러나 중재자와 중재기간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형 중재를 위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synthesized geometry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earning difficul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Method: This study analyzed 19 domestic or international publications, of which 9 were group studies and 10 were single case studies. The effect size of the group study was calculated as Hedges’ g, and the effect size of the single subject study was calculated as Tau-U. Results: As the results, the experimental studies showe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was 0.3934, showing a small effect size.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moderators, grade, disability, intervention method, and intervenor. On the contrary, the overall effect size of single case studies was Tau-U=9.333, showing a high effect size. Moreo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grade, disability, intervention method. However,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intervenor and duration.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d and suggested that the effective geometry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earning difficul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학생의 폭력적 문제행동에 노출된 특수교사의 리질리언스 과정: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김동일 ( Dong Il Kim ),고혜정 ( Hye Jung Koh ),이윤희 ( Yun Hee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2

        최근 연구에서는 리질리언스를 역경을 이겨내는 발달과정으로 바라보며, 개인의 타고난 요인(trait)과 외부 환경적 요인(states)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으로 이해한다. 즉, 리질리언스는 개인의 특성과 외부환경의 상태가 복합되어 있는 개념으로 역경을 극복하는 역동적인 전체 과정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정서·행동장애 학생들을 직접 지도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으로 인해 특수교사가 겪게 되는 역경과 함께 이들이 이를 어떻게 대처해나가며 리질리언스를 형성해가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폭력적인 문제행동을 보이는 정서·행동장애 학생들로 인해 예상치 못한 스트레스 사건을 경험한 특수교사들은 심리적인 상처가 만들어낸 감정의 붕괴와 정서적인 소진, 신체적 상해와 같은 역경을 겪게 되나, 낙관주의, 영성, 의미추구, 미래에 대한 희망, 개방적 태도와 창의적 문제해결과 같은 개인 심리적인 내부요인과 가족, 동료들로부터의 심리적 지지, 멘토를 통한 조언과 같은 외부 환경적 요인들의 작용으로 인해, 스트레스 사건이 일어나기 이전보다 수용적이고 도전적인 리질리언트한 재통합 과정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발달 과정에서 리질리언스라는 개념을 토대로 그들의 역경과 극복과정을 바라보고 시사점과 제언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current literature described resilience as a developmental process caused by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states. This research interviewed three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who experienced violence by their student with the emotional-behavioral disorders. Then,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rotective factors that activate during the process of resilience in order to overcome their advers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sonal protective factors are self efficacy, creative problem solving, optimism, openness and the environmental protective factors were psychological supports and cares by families, other teachers and their mentos. The teacher who went through the process of adversity showed the resilient characteristics which are more acceptable and adaptive rather than before they experienced the adversiti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mentioned.

      • KCI등재

        학습장애아동의 읽기성취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박유정 ( Yu Jeong Park ),고혜정 ( Hye Jung Koh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아동의 읽기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교사, 수업 및 아동 관련 특성들 간의 관계와 학습장애아동의 읽기성취에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검증을 적용하여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미국 초등학교의 교사들과 학교 단위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부모(부모참여정도, 부모교육수준), 교사(수업그룹형태, 교수?학습시간, 교사 자기효능감, 교육과정 수정)들의 잠재변인들과 장애학생들의 읽기능력 변인들을 구조방정식에 투입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의 교육수준은 부모의 참여정도에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부모의 참여정도는 학습장애아동의 수업참여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자기효능감은 학습장애아동의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수정과 수업그룹형태 제공, 읽기 교수?학습 시간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학습장애아동의 수준에 따른 수업그룹형태 제공 여부는 단어인지 능력 향상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학습장애아동의 수업참여도는 읽기이해 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특수교육 현장 지원 및 특수교사 지원을 위한 향후 연구 방향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owerful evidence demonstrating parents` and teachers` impact on students` reading achievement has led to an intensive focus on identifying levers for improving reading outcome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Previous research has begun to indicate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structional quality and parent invovlement and educational level may be one such lever, even after controlling for student demographics and other school related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 and teacher-related variables an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s. Data from the Special Education Elementary Longitudinal Study (SEELS)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on causal relationships among latent and observed parent, teacher, and student variables. Results revealed that parents` educational level positively influenced on parent involvement, which, in turn, influenced their children`s academic engagement. Teachers` self-efficacy and instructional quality, which, in turn, influenced their students` reading outcomes. Instructional grouping based on the students` academic abilities highly influenced on word recognition; whereas children`s academic engagement on reading comprehension. Implications to special education field in Korea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사회성 중재 연구 동향

        김우리 ( Woo Ri Kim ),고혜정 ( Hye Jung Koh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성 중재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질적지표 평가기준에 따라 연구의 질을 평가하여 현장적용에 유용한 사회성 중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총 34편의 논문이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선정된 연구의 일반적 특성과 사회성 중재유형을 살펴본 다음, 각 유형별 연구대상, 유형별 중재특성, 유형별 사회성 하위 영역을 살펴보았다. 또한 Gersten 외(2005)와 Horner 외(2005)의 질적지표의 평가기준에 따라 사회성 중재 연구의 질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성 중재 연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연구대상 대부분이 경도 지적장애학생이었고, 주로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성 중재유형은 신체활동, 치료프로그램, 전환교육, 대인관계훈련, 기타로 분류되었고, 이 중 신체활동을 이용한 사회성 중재가 가장 많았다. 셋째, 각 중재유형별로 연구대상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신체활동과 치료프로그램은 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전환교육은 주로 중ㆍ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넷째, 각 중재유형별로 중재장소 및 집단크기, 중재기간에 대해서는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재유형별로 목표로 하는 사회성 하위 영역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신체활동은 사회적기술과 사회성숙도 향상에 집중하였고, 전환교육은 사회적응행동 향상에 집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질적지표의 충족도 평가 결과, (준)집단설계연구와 단일대상 연구 중 증거기반 실제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연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성 중재연구에 관한 논의와 함께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xamine trends in studies of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valuate the quality of the studies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of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A total of 34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were reviewed. This review investigated general features of the studies and types of social skills interventions used in the studies. This review also examined trends in participants, intervention delivery methods, and sub-social skills targeted by the types of intervention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tudies of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increasing over time and the participants in most studies were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social skills intervention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a) physical activities, (b) therapy, (c) transition education, (d) interpersonal skills, (e) others. Third, participants varied by the intervention types. Participants in the studies of physical activities and therapy were most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ost participants in the studies of transition education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urth, studies did not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of delivery methods of the interventions. Fifth, sub-social skills targeted varied across the intervention types. While the studies of physical activities focused on improving social behaviors (cooperation, assertion, and self-control) and social maturity, the studies of transition education focused on improving adaptive behaviors. Lastly,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intervention studies, no study met with the criteria of evidence-based practice.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