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영어 수준별 수업에서 교사의 코드스위칭 차이

        고정민 ( Jungmin K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교사가 상반과 하반에서 영어로 수업을 진행할 때 목표어 사용량과 코드스위칭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학교 2학년 상반과 하반 각각 한반과 이들을 함께 가르치는 교사가 참여하였다. 녹음된 자료는 AS-유닛으로 나눈 후, Duff & Polio(1990)의 분류방법을 이용했다. 또한 코드스위칭 발생에 대해서는 통사적 차원에서 문장 간, 문장 내, 문장간/문장내 코드스위칭 동시 발생이라는 세 가지 분류기준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반에서 목표어 사용량이 더 많았고, 특히 문장 전체를 영어로 발화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반해 하반에서는 모국어 사용량이 더 많았으며 한 단어를 제외하고 모국어를 사용한 경우가 상반에 비해 더 많이 발생했다. 코드스위칭의 경우, 상반에서는 문장 간 스위칭, 하반에서는 상대적으로 문장 내 스위칭 발생빈도가 높았다. 또한 상반에서는 문장 간 스위칭의 경우 영어→한국어, 하반에서는 한국어→영어 발생빈도가 높았다. 문장 내 스위칭은 하반에서 더 많이 발생했으며, 상반에서는 매트릭스 언어가 영어, 하반에서는 한국어였다. 이러한 차이는 학습자의 수준 차이를 고려한 교사의 코드스위칭 전략이며, 코드스위칭 기능과 관련된 후속연구가 계속 되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a middle school teacher differs lower-level class from higher-level class in terms of amount of the target language used in class and types of code-switching. Two classes in Grade 8 and their teach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Classes were audio-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The transcribed data was coded into AS-units, followed by TL, TLc, L1, L1c, and Mix (Duff & Polio, 1990). Afterwards, code-switching was classified as inter-sentential, intra-sentential, and inter/intra-sentential. In the higher-level class, the teacher used higher amount of the target language and TLc whereas she used greater amount of the native language and L1c for lower-level students. Inter-sentential codeswitching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higher-level class; however, the teacher used more intra-sentential switching for lower-level students. Also, the matrix language was English in the higher-level class whereas it was Korean in the lower-level class. Further studies are expected to focus on functions of codeswitching in terms of differences in students’ proficiencies.

      • KCI등재후보

        중등영어 수준별 수업의 과업 난이도

        고정민(Jungmin Ko)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57 No.-

        본 연구는 수준별 영어수업을 진행하는 교사가 하반과 상반을 가르칠 때 과업 난이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경기도에 위치한 한 중학교 교사와 해당 교사가 가르치는 하반과 상반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하반과 상반에서 각각 네 번의 수업을 동영상 촬영하였고 녹음하였다. 자료는 모두 전사되었고 전사된 자료는 과업의 수와 단계, 수업목표의 명시화, 학습자의 인지활동, 상호작용 및 학습자에게 주어지는 언어입력과 출력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상반 학생들은 보다 많은 과업의 수와 단계를 수행하였고, 수업목표를 명시화하여 메타인지적인 활동을 수행하였으며, 교사는 상반 학생의 추론활동을 자극하였다. 상호작용의 경우 상반은 모둠활동을, 하반은 개별활동과 교사-전체학생 활동을 많이 사용하였다. 언어입력과 출력의 경우 하반 학생들은 주로 문장단위 이하의 입력과 출력에 관여하였지만, 상반 학생들은 문장단위 이하와 문장 단위를 넘어선 담화를 비슷하게 사용하였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ask complexities of 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One female teacher and her students at middle school in Kyu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re were 40 students in an intermediate class whereas there were 20 students in a lower class. Four classes were audiotaped and videotaped for the intermediate class and the lower class. The data were transcribed and then analyzed. The two classes showed differences in terms of the number of tasks and steps, explicitness of class objectives, mental operations the learners went through, interaction patterns, and forms of input and output. In the intermediate class, the students dealt with more tasks and steps, where the teacher made the objectives of class explicit by asking her students to read them aloud. Translation and applying what they have learned were the most active mental operation for both classes, but inference was actively used for the students in the intermediate class. The students in the lower class were more involved in teacher-whole class activities and individual activities whereas those in the intermediate class were more involved in group work and teacher-whole class interaction. Oral input on the level of words, phrases, and sentences was most given to the learners in the lower class and the same results applied to output produced by them. On the other hand, more input on discourse level was given to the intermediate students and output was evenly distributed between below-sentence level and beyond-sentence level for them.

      • KCI등재후보

        교수법,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 원어민 교사 및 수준별 수업을 중심으로 살펴본 초등 영어교육 실태

        고정민(Ko, Jungmin)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10 영어교과교육 Vol.9 No.3

        This study investigates realities of teaching methods, teaching English in English, native English speakers, and differentiated classes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One hundred and twenty-fiv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participated. Survey question items were distributed via the web. They chose communicative approaches as their main teaching methods, followed by audiolingual teaching methods, which has been a great change since 2005 (Boo, 2005). In terms of four skills in the textbook, a great portion of listening and speaking are covered while only a few of grammar and writing are covered. With regards to speaking, teacher-whole class interaction takes place the most, followed by pair work and then group work. As teaching English in English is perceived as effective, a lot of teachers uses English for around half of the class. Native English teachers are thought to be necessary but only a few schools have them at their schools. Native English teachers teach speaking classes, advanced classes, and listening classes. Around 75% of the participants were in favor of running differentiated classes with three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 KCI등재후보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서 현직 교사의 영어수업 능력 개선

        고정민 ( Jungmin Ko )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2014 중등영어교육 Vol.7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in-service English teacherschange their teaching techniques in a four-week intensive teacher trainingprogram. One case teacher and her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rainees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Her two listening practicum classes wereaudio recorded and transcribed. In addition, her reflective essays,comments from her trainer, conversation about the class observation withher peers and trainer were collected. The two classes were analyzed interms of establishing rapport, teaching vocabulary and giving instructions. Compared to the first listening class, the teacher in the second class,allowed the students to ask any questions to her, which led to morestudent-initiated questions and established rapport with her students in asafer classroom environment. Also, the teacher covered form, meaning anduse for all the lexical words in the second class, whereas only four out ofnine lexical words ended up with use in the first class. Last, she modeledthe technique more effectively and gave comprehension check-upquestions for the instructions in the second clas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중학교 수준별 TEE 수업에서 수업활동과 교사발화의 차이

        고정민(Ko, Jungmin) 한국응용언어학회 2011 응용 언어학 Vol.27 No.1

        This study investigates differences in classroom activities and teacher talks in differentiated TEE classes. One middle school teacher and her two classes in Grade 8 participated in the study. Around half of the participants were in a higher-proficiency class whereas others were in a lower-proficiency class. One lesson from each class was videotaped and then transcribed.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 terms of classroom activities the students performed and teacher talks. In the higher-proficiency class, the teacher used more fluent and complex English and used more difficult classroom activities than the other class. In the lower-proficiency class, however, the teacher used more Korean and used much more repetition than the higher-proficiency class. In addition, the teacher frequently asked the lower-level students what the meanings of target English words were in Korean and elicited more target English words from them. The teacher helped the lower-level students to understand the target English words and provided them with the chance to produce the target words.

      • KCI등재

        중학교 TEE 수업에서 L1사용량 및 기능

        고정민 ( Ko Jungm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중학교에서 영어를 사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가 모국어를 얼마나 사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지 그리고 왜 모국어를 사용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중학교 TEE 수업을 녹음하고 전사하였다. Duff와 Polio(1990)의 분류기준에 따라 모국어 사용량을 조사했으며, 모국어의 기능은 Kim과 Elder(2005) 그리고 de la Campa와 Nassaji(2009)의 분류 기준표를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해당 교사는 목표 단어나 목표 표현을 학생들이 이해했는지 확인하거나 가르치고자 할 때 모국어를 사용하였다. 또한 담화표지를 발화할 경우에는 영어와 한국어를 비슷하게 사용하였다. 교사가 가장 많이 사용한 기능은 영어를 먼저 발화하고 한국어로 번역해서 발화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자 한 것이었다. 이외에도 학습자가 모국어로 발화한 경우 이를 따라할 때,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때, 전체 수업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각 활동의 학습 목표가 무엇인지를 전달할 때 한국어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가 수업에서 사용한 모국어에서 무엇이 적절한 것이고 무엇이 불필요한 부분이었는지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at how much a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 used L1 and why the teacher used L1 in a TEE class. The TEE class was audio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The amount of L1 was counted based on Duff and Polio`s(1990) categorization. L1 was classified based on the functions presented in Kim and Elder(2005) and de la Campa and Nassaji(2009). The teacher used the target language and the first language in checking her students` understanding of and teaching the target words or phrases. Also, she used both of the languages for producing discourse markers. The most frequently used function was translation from English to Korean, which helped the students understand her utterances. In addition, the teacher used L1 in repeating her students` responses to her questions,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and explaining how the class was organized and what the objectives of each activity were. This study suggests what was relevant and not necessary in using L1 in her class.

      • KCI등재

        중학교 영어 수준별 수업 진행시 교사발화에서 Okay 사용량 및 기능

        고정민 ( Ko Jungmi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7 외국어교육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서 중학교 교사가 상반과 하반을 가르칠 때 Okay의 사용량과 기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중학교 2학년 상반과 하반에 속한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수업은 녹음되고 전사하였고, 전사한 자료는 에피소드와 단계로 구분되었다. 하나의 에피소드만 제외하고는, 하반에서 Okay 사용량이 상반보다 더 많았다. 그러나 Okay 사용량이 많다는 것이 수업이 효과적이지 아니었다고는 말할 수 없다. 상반에서 TV 프로그램 평가표 작성이 유일하게 Okay 사용량이 하반보다 많은 에피소드였다. 해당 에피소드에서는 교사가 `review`라는 단어의 의미를 학생들에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단서를 제공하고 지엽적인 내용에서 본론으로 돌아가기 위해 Okay를 사용했다. 따라서 보다 건설적인 상호작용에서 Okay가 사용되었다. 하반에서는 모둠활동 에피소드에서 부가의문문 형태의 `Okay?` 사용이 많았다. 학습자가 영어로 전달된 교사의 활동지침을 이해하지 못하자 이를 명확하게 하거나 이해했는지를 확인하고자 할 때 `Okay?`를 사용하였다. 앞으로의 연구는 교사가 사용하는 Okay가 얼마나 효과적인지, 그리고 여러 명의 교사와 비교하여 그 사용과 기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mount and functions of okays used by a middle school teacher in her TEE level-differentiated classes. The students both in lower-level classes and higher-level clas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ranscribed data were categorized into episodes and phases. The teacher used more okays in the lower-level class except one episode. The higher amount of okay, however,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class is ineffective. Filling out the TV review table was the only episode which had more okays in the higher-level class. In this episode, more okays indicated a constructive way of interaction with students. However, the teacher in the lower-level class used `okay?` as a form of tag question at the end of the sentence to check comprehension and clarify her direction. The use of `okay?` indicated that the students in the lower-level class did not understand the teacher`s instructions of activities and their performance after her comments was corr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