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부 도재관의 변연 및 내면 간극에 대한 micro CT와 절단 시편 측정법의 비교

        고인석,김정미,조혜원,Ko, In-Seok,Kim, Jeong-Mi,Cho, Hye-W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4 No.3

        목적: 본 연구는 수복물의 적합도를 계측하는 두 가지 측정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CAD-CAM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과 열가압 소성법으로 전부 도재관을 제작하고 micro CT와 cross-section technique으로 전부 도재관의 적합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하악 제 1대구치 레진 치아를 전부 도재관을 위한 지대치를 형성하고 PMMA (polymethylmethacrylate) 레진 블록을 가공하여 10개의 시편을 복제하였다. 복제한 레진 다이의 인상을 채득하고 모형을 제작하여 5개는 열가압 소성법으로 IPS e.max Press (Ivoclar Vivadent, Schaan, Liechtenstein) 도재관을 제작하였다. 다른 5개의 시편은 CAD-CAM 가공법(Ceramil motion 2, Amann Girrbach, Koblach, Austria)을 이용하여 IPS e.max CAD 도재관을 제작하였다. 각 레진 다이에 전부 도재관을 인산아연 시멘트(Fleck's zinc cement, Keystone industries, Gibbstown, NJ, USA)로 손가락 압력에 의해 합착하였다.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합착된 시편 10개를 먼저 micro CT로 촬영하여 협-설 시상면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였다. 그 후 절단 시편을 만들어 주사전자현미경으로 micro CT와 동일한 지점의 간극을 측정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측정 지점에서 제작 방식별, 측정 방식별로 Mann-Whitney 검정 방법을 통해 유의차 검증을 시행하였다. 결과: Micro CT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변연 및 내면 적합도는 유사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가지 제작법의 도재관은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CAD-CAM과 열가압소성으로 제작한 전부 도재관은 적합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며, Micro CT와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측정 방식 모두 임상적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daptation of lithium disilicate crowns fabricated by CAD-CAM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 and heat-press technique to compare two different measurement methods in assessing fit of the ceramic crowns: micro CT and cross-section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A prepared typodont mandibular molar for ceramic crown was duplicated and ten dies were produced by milling the PMMA (polymethylmethacrylate) resin. Ten vinyl polysiloxane impressions were made and stone casts were produced. Five dies were used for IPS e.max Press crowns with heat-press technique. The other five dies were used for IPS e.max CAD crowns with CAD-CAM technique. Ten lithium disilicate crowns were cemented on the resin dies using zinc phosphate cement with finger pressure.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s in central buccolingual plane were evaluated using a micro CT. Then the specimens were embedded and cross-sectioned and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s were measured using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 The two measurement methods and two manufacturing methods were compared using Mann-Whitney U test (SPSS 22.0). Results: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 values using micro CT and cross-section technique were similar,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aptation between lithium disilicate crowns fabricated with CAD-CAM and heat-press technique. Conclusion: Both micro CT and cross-section technique were acceptable methods in the evaluation of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lithium disilicate crown. There was no difference in adaptation between lithium disilicate crowns fabricated with CAD-CAM and heat-press technique except occlusal fit.

      • KCI등재

        영국의 지방분권과 지방자치의 발전과정

        고인석(Ko, In Seok) 한국법학회 2018 법학연구 Vol.69 No.-

        영국의 지방자치는 중앙정부로부터 주정부로의 사무권한 및 재정권의 대폭적 이양에 따른 주민자치권의 실질적 보장에서 큰 의미가 있다. 영국의 지방분권은 중앙정부로부터 각 주로의 분권의 진행과정에서 개별 주에 따라 권한의 위임정도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스코틀랜드, 웨일즈 및 북아일랜드에서는 권한의 위임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주정부의 권력구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정부 및 주의회의 권한에 있어서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 잉글랜드의 경우는 독립된 지방의회가 없으며, 스코틀랜드, 웨일즈 및 북아일랜드에서는 집행부에 비하여 주의회가 우선하는 독립된 지방의회로 구성되어 있다. 스코틀랜드는 연방국가 차원에서 지방의회의 설치근거로서 제정된 스코틀랜드법(The Scotland Act, 1998), 웨일즈의 경우는 웨일즈정부법(Government of Wales Act, 1998)의 제정을 통하여 주정부 차원에서 지방의회가 우선하는 지방자치를 이루어 왔다. 단일국가인 영국의 경우 지방정부인 주정부차원에서 상당한 행정권과 재정권의 위임에 따른 권한을 가짐으로써 독자적 입법권에 근거한 행정권의 행사를 통하여 지방정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즉, 영국에서의 주정부인 스코틀랜드는 스코틀랜드법(The Scotland Act, 1998: 스코틀랜드 지방의회법)에 의해 주의 행정·재정과 관계된 독자적인 입법권을 가지고 있다. 웨일즈의 경우 웨일즈법(Government of Wales Act, 1998)에 근거하여 웨일즈의회는 영국정부로부터 이양받은 제한된 권한 내에서 행정·재정과 관계된 입법권을 가지고 있으며 나아가 웨일즈는 자신의 주와 관계된 정책에 있어서 영국국회의 입법을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영국의 지방자치는 중앙정부로부터 주정부의 행정·재정과 관계된 상당한 권한의 위임이 있어서 실질적 주민자치권의 보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개별주의 정치적 상황과 재정능력에 따라 입법권 및 재정권과 관련하여 중앙정부로부터 지방정부에 부여하는 권한에 있어서 각 주의 역사적·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위임의 정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우리의 지방분권형 헌법개정 시에도 영국의 사례에서 보듯이 지방자치에 대한 욕구가 분출되는 상황이라고 할지라도 중앙정부권력의 무조건적 위임으로 이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한국의 권력구조 및 정치적 상황과 개별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능력의 현실에 부합하는 지방분권이 이루어져야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경쟁력을 함께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Local autonomy in the UK is very meaningful in the real guarantee of the autonomy of the citizens in accordance with the transfer of the office authorit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the financial right. The decentralization of the UK shows a grea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mandate according to individual states. In Scotland, Wales and Northern Ireland, they are organized in the form of different states’ power structur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mandate, and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powers of state government and state council. In England, there is no independent provincial council, and in Scotland, Wales and Northern Ireland, an independent provincial council is formed, with the legislature giving priority over the executive. In Scotland, at the federal level, the provincial council takes precedence over the provincial government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Scottish Act (1998) and the Wales via Government of Wales Act (1998), local autonomy has been achieved. The local government has authority to delegate the executive power and the budget authority to the provincial government, so that local governments can effectively implement local policies through the exercise of executive power based on independent legislative powers. However, the state of Scotland in the United Kingdom has independent legislative power in relation to the administration and finance of the state under the Scottish provincial council Act (The Scotland Act, 1998). In Wales, based on the Government of Wales Act (1998), the Welsh Assembly has legislative powers related to administration and finance within the limited powers transferred from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and furthermore, she have authority of modify the legislation of the United Kingdom. In this way, the local autonomy of the UK has substantial delegation authority related to the administration and finance of the state from the central government, so that the actual local autonomy is secured. However, depending on the political situation and financial ability of the individual local government have some different in the authorities which have been mandated under the law. Even in the case of the amendment of Korean constitution, also known as decentralization amendment, as in the case of Britain, even if the desire for local autonomy is erupted, it should not lead to unconditional delegation of central government power. The decentraliz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structure and political situation of Korea and the financial reality of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will ensure the competitiveness of central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together.

      • KCI등재

        입법로비의 법제도화에 관한 연구

        고인석(Ko, In Seok) 한국법학회 2017 법학연구 Vol.67 No.-

        정보화와 다원화사회로의 변화는 특정 정책관련 입법에 있어서 개인이나 집단의 다양한 욕구의 분출과 이해관계의 표출로 이어지고 있다. 민주화와 지방분권의 가속화는 국민의 입법과정에서의 더 큰 참여의지로 작용하고 있다. 2000년 이후 대표적 입법로비사건인 청목회 입법로비사건(2009)이후 입법로비의 합법화는 지속적으로 공론화의 과정을 걷고 있다. 입법과정에서 국민의 다양한 참여는 입법의 실효성을 향상하고 입법갈등을 감소한다는 측면에서는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합법을 가장한 불법적 입법로비의 양산 또한 적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우리의 중앙집권적 권력구조는 항상 이해관계를 가진 개인이나 집단의 불법로비에 대한 유혹을 야기한다. 입법을 통하여 정책의 결정권을 가진 입법자인 국회의원과 정책의 기획자이자 집행권자인 중앙부처 공무원에 대하여 음성적 ․ 불법적 입법로비에 쉽게 빠지게 한다. 그동안 한국사회의 경제•정치구조의 다원화와 국민의 성숙도를 감안할 때 입법로비활동의 법제화는 충분히 시행가능한 시기가 도래된 듯하다. 합리적 입법로비활동을 위한 로비스트의 자격설정, 로비스트의 활동영역의 한계설정, 로비스트활동의 지출 및 활동에 대한 보고의무, 로비스트의 의무위반시 제재 등을 명확히 함으로써 로비스트활동의 순기능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불법적 입법로비를 통한 청탁으로 인한 입법의 성안은 이해관계인 외에도 국가적으로 큰 손실과 사회적 비용을 초래한다. 국민의 성숙한 정치참여의식과 시민의식을 고려할 때 로비스트활동의 합법화를 통하여 입법의 효율성을 향상하고, 입법갈등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국가입법의 경쟁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In the process of legislation, changes in Informatization and diversified society have expressed their thoughts on the interests of individuals and group. The faster progress of democratization and local decentralization has led to greater participation in the legislative process. Since the leading legislative lobby events of our society in 「Security police Act」revision, legalization of lobbying activities is continuously required. Participation in the legislative process can be a big advantage in terms of improving legislative effectiveness and decreasing legislative conflicts. The structure of our centralized power structure always leads to the temptation of illegal lobbying of individuals or groups. A person who has interests in the legislation will easily fall into the lobby of a negative and illegal legislative lobby toward the policymakers who decide to implement and enforce policies and lawmakers who make the law. Given the diversification of the economy and politics and the maturity of the people in the Korean society, legislation of legislative lobbying seems to be fully enforceable. For rational lobbying activities, lobbyists be required qualification and registration of lobbyists. Also, lobbyists be required determination of the scope of the activity and duty of reporting for lobbying activities and expenditure. By stipulating the penalties imposed by on the violation of lobbyists, our society will be able to achieve good functionality of lobbyist activities. Legislation resulting from illegal legislative lobbying leads to national losses and social costs. When considering mature citizenship, the effectiveness of legislative legislation and is enhanced through legalizing lobbying activities. Furthermore, it can also reduce the likelihood of legislative conflicts and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national legislation.

      • KCI등재

        지방의 정책역량 강화를 위한 자치입법의 개선과제 - 자치입법권의 확대를 통한 지방의 정책역량 강화방안을 중심으로 -

        고인석(Ko, In Seok) 한국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연구 Vol.29 No.4

        우리나라에서의 지방분권정책이 지방자치단체장의 사무와 권한의 확대에 중심을 두고 진행이 된 결과, 지방자치단체장의 인기영합적 정책과 선심성 정책의 증가에 따른 지방재정의 위기현상을 초래하면서 주민의 지방자치단체장에 대한 정책불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장에 상응하는 지방의회의 기능과 권한이 「헌법」과 「지방자치법」상 명확히 규정되지 못한 결과 지방의 정책역량을 담아낼 수 있는 지방의 대의기구로서 지방의회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었다. 지방의회가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책에 대한 심의·의결기구로서만이 아니라 지방의 대의기관으로서 주민의사의 적극적 반영과 대립하는 주민의사의 정치적 통합을 통하여 지방 대의기구이자 자치입법기관으로서의 제기능을 수행할 때 실질적 주민주권의 실현과 효율적 지방자치 정책의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시행에서 지방정책의 효율성 달성에 있어서 법제도적 한계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고, 나아가 지방정책을 담아내는 자치입법권을 제약하는 「헌법」과 「지방자치법」상 입법구조적 한계를 분석하여 자치입법권 확대를 통한 지방의 정책역량 강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s a result of the decentralization policy in Korea focusing on expanding the affairs and authority of local government heads, it causes a crisis in local finance due to the increase in populist policies and benevolent policies of local government heads, causing residents to distrust their policies. Since the functions and powers of local councils corresponding to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were not clearly defined in the Constitution and Local Autonomy Act, they could not properly play the role of local councils as representative organizations that could contain local policy capabilities. When local councils perform their functions as local representatives and autonomous legislative bodies through active reflection and political integration of residents" intentions as local representatives, it will be possible to realize practical resident sovereignty and efficient local autonomy polic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limiting factors in achieving the efficiency of local policies in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in Korea.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legislativ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Constitution and the Local Autonomy Act, which restrict autonomous legislative rights, it is intended to present measures to strengthen local policy capabilities by expanding autonomous legislative rights.

      • KCI등재

        규제입법의 개선 및 합리화 방안

        고인석(KO, In Seok) 유럽헌법학회 2015 유럽헌법연구 Vol.18 No.-

        경제성장과 다원화사회로의 변화속에서 우리사회에서의 규제입법의 개선을 위한 쟁점은 정부규제 부작용의 문제를 해소하고 행정, 경제, 생활 영역에서의 국민적 편의성과 자율성을 확보하여 국민의 질적 생활의 개선과 국가경쟁력의 향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최근 규제의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관이 주도하던 관료주의 지배하의 복잡한 행정절차의 간소화와 경제영역의 효율성 측면에서 시장의 자율성을 강화하고 시장기능을 확대하여 사회적 유연성을 강화함과 동시에 행 정비용의 감소 및 사회경제적 경쟁력의 향상을 위한 규제입법의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제도적 장치들이 도입되고 있다. 또한 정부는 지속되어온 만연한 관료주의 사회에서 민이 자율성을 가지고 끊임없이 외부사회와 경쟁하는 민간 중심사회로의 변화를 위하여 노력해 나가고 있다. 규제의 문제는 우리의 사회문화영역에서 세분화되어 다양한 영역별로 적용이 될 수 있다. 국민의 안전생활과 관련된 분야는 규제강화의 측면에 초점을 두고 제도화 되어 헌법상 보장된 행복추구권 실현의 가치 하에 국민의 안전한 생활이 질적으로 보장되어야 할 것이며, 행정절차의 측면에서는 행정절차의 간소화와 비용절감을 통하여 국민의 행정관련 경제비용을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경제적 측면에서는 개인과 기업의 자유와 창의보장 측면에서 완화된 규제 및 적정규제를 적용하여 경제성 장의 기제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규제개혁 및 개선은 규제완화냐 규제강화냐의 이원론적 측면이 아니라 ‘합리적 규제와 규제의 적정성’이라는 문제에 핵심이 있다. 규제의 합리적 적정기준의 설정이 개별법에서의 입법정책적 규제개선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규제개혁의 최선의 목표는 합리적·적정규제가 실현된 최적의 입법목적의 실현을 통하여 국민 삶의 질적 변화와 지속적 경제성장의 환경을 조성해 나가는 것이다. In the meantime, in the midst of change by growth of the economy and diversifying, the issues for the improvement of regulatory legislation in our society have been focused i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that could acquire public convenience and autonomy of administrative, economic, living to relieve the problem of government regulation. For the purpose of improvement of the regulatory, the purpose for the improvement of regulatory legislation was to introduced the institutional devices that can enhance social flexibility by simplified the complex administrative procedures in the bureaucracy and enhanced autonomy in economic terms. In addition, the society are in the midst of change of the society that citizen has led to the government out of bureaucracy. Regulatory issues can be applied in our various living areas. Public safety-related areas should rationalize the unfair life by more strengthen the safety regulation in terms of the safety in the value of the right of pursuing happiness that constitutionally guaranteed and simplified of the complex administrative procedures in terms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Also in economic terms, Regulatory reform is able to achieve economic growth by applying a relaxed regulatory in terms of the freedom of individuals and garantee of creativity. The regulatory reform is in the intrinsic problem not dualism of regulatory or regulatory relief but reasonable or appropriate regulation. The setting of appropriate standards of regulation can be maximized the effect of regulatory reform in the legislation. The best purpose of regulatory reform is to relieve the discomfort of the people and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by reasonable or appropriate regulation.

      • KCI등재

        학교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법적 지원방안연구

        고인석(Ko, In Seok) 한국법학회 2018 법학연구 Vol.70 No.-

        학교예술교육의 활성화는 미래세대인 학생들에게 질적 문화적 향유능력을 향상하고 문화소비활동을 활성화함으로써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도모함과 동시에 국민으로써의 문화생활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동안 문화예술의 진흥을 위한 사업과 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1972년 「문화예술진흥법」의 제정을 통하여 우리의 전통문화예술을 계승하고, 국민의 문화예술활동을 권장 · 보호 · 육성에 관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여 왔다. 문화예술교육의 체계화와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이 제정되어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두 영역으로 나누어 국가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져 왔다. 문화예술교육을 포괄하는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근거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법적 지원이 이루어져 왔으나 학교와 사회 두 영역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하여 통합적인 지원과 관리가 진행되다 보니, 학교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지원과 관리할 수 있는 체계성과 지원정책이 미흡하여 전국적인 학교문화예술교육정책의 시행에 있어서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 현행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은 문화체육관광부 소관법률로 기능을 하고 있어서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시행에 있어서는 합리성이 있다고 할 것이나, 학교에서의 문화예술교육까지 포함하여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시행하는 것은 교육부의 학교예술교육에 대한 영역의 침해와 혼선을 초래할 소지가 있고 학교내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에 한정되어야 할 문화체육관광부가 오히려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주체가 되는 모순이 발생하고 있다. 학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의 체계성과 효율성의 달성을 위해서는 현행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근거하여 문화체육관광부가 소관하고 있는 학교예술교육정책을 교육부 소관정책으로 분리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을 통합운영하여 발생하는 비효율성의 극복을 위해서 학교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독자적 개별법의 입안을 통하여 학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의 내실화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학생들의 국민으로써의 문화적 향유권과 문화생활의 보장을 통하여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에 충실하여 우리사회의 문화역량의 강화를 통하여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고 국가의 문화적 경쟁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학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념으로써 학교문화예술교육과 학교예술교육에 대한 정의 또한 명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의 합리성 · 효율성 달성을 위하여 다양한 해외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정책과 법제도의 분석에 근거하여 우리의 학교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정책적 목표와 영역을 명확히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의 영역이 포괄적이 측면이 있으므로 예술교육의 영역에 한정하여 학교예술교육도 범교과차원에서 교육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향후 학교예술교육에 관한 단행법이 제정된다면 학교에서의 예술교육을 통한 예술수행능력개발과 문화예술향유의 두 측면에서 학교예술교육에 관한 프로그램을 체계화하고 교육의 질을 향상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학교체육진흥법」의 제정을 통하여 학생의 체육활동의 강화와 균형 있는 신체적 성장을 도모해온 정책사례에서 보듯이 향후 (가칭)「학교예술교육진흥법」의 제정에 기반한 학교예술교육정책의 체계화를 통하여 학교예술교육이 내실화, 학교예술교육에 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지원의 보장, 학교예술교육에 특화된 전문가의 양성, 학교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과의 연계강화를 통한 학교예술교육에 대한 프로그램의 다양화 등을 추진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가칭)「학교예술교육진흥법」의 제정은 학교현장에서의 학교예술교육 기반을 구축하도록 하여 학생들의 문화적 소양과 문화적 창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학교예술교육의 정책적 목표의 달성이 가능하게 할 것이다. Since the Cultural Art Education Support Act was enacted in 2005, the Cultural Art Education Support Act have been established as legal grounds for implementing cultural and arts education on two levels of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or soci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Cultural Art Education Support Act provided a legal basis for implementing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but lacks detailed provisions to manage and operate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an integrated manner of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or soci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According to the Cultural Art Education Support Act,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anages culture and art instructors. Culture and art instructors engaged in cultural and arts education by support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can support and manage instructor who are engaged in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or soci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However, instructors and teachers working in school culture and arts will have to be supported and manag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Currently, the Cultural Art Education Assistance Act,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bines the suppor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t school and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social.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at schools and in society by the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is emerging as inefficiency. In order to overcome this in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enact (tentative name)the School Arts Education Promotion Act. Support and management of school art education under (tentative name)the School Art Education Promotion Act will guarantee students the right to quality education and cultural enjoyment.

      • KCI등재후보

        핀테크(FinTech) 산업의 변화와 입법과제 - 핀테크(FinTech) 산업 활성화를 위한 관련법제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고인석 ( Ko In-seok ) 한국지급결제학회 2021 지급결제학회지 Vol.13 No.1

        핀테크(fintech)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이 결합한 금융서비스 또는 관련 산업을 의미하는 개념으로써 전통적 금융제도와 IT기술, IOT, 빅데이터, 블록체인, 인공지능(AI)기술이 접목하여 새로운 혁신금융서비스와 디지털 금융산업으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이는 기존의 전통적 금융시스템에서의 입출금, 송금, 대출평가, 주택담보대출, 펀드가입 등 금융서비스에서 인터넷상에서의 간편결제, 송금, 대출평가, 로보어드바이즈와 모바일, SNS 기반의 뱅킹, 간편결제, 증권거래, 파생상품거래 등 빅데이터와 블록체인기반의 혁신금융서비스를 의미한다. 핀테크(fintech) 혁신금융서비스의 시대는 금융생활에서 편의성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개인정보침해와 금융제도의 혼란, 국가간 금융산업분야에서의 경쟁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핀테크(fintech) 금융서비스 사회에서 국내외적으로 전자금융 융복합서비스 분야의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 금융산업 분야의 규제의 완화와 빅테크기업과 중소 핀테크기업의 공정경쟁시장의 구축 등 제도적 보완이 요청된다. 본 논문에서는 핀테크 사회에서의 디지털금융혁신의 장애요인과 문제점을 검토하여 핀테크 혁신금융서비스 제공과 핀테크 금융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관련법제의 개선과 빅테크와 중소 핀테크 사업자의 공정경쟁을 위한 제도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핀테크 산업분야의 제도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 금융시장의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지속적 「금융혁신지원특별법」 및 「전자금융거래법」의 개정과 「핀테크육성지원법」의 제정을 위한 입법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입법개선에 기반한 인공지능시대 핀테크 디지털 금융산업 분야의 다변화와 경쟁력 확보는 금융산업 뿐만 아니라 국가경제전반의 경쟁력확보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Fintech” is a concept that refers to financial services or related industries that combine “finance” and “technology.” In other words, the fintech industry combines traditional financial systems with IT technology, IOT, big data, blockchain, and artificial intelligence(AI) technology to mean a transformation into new innovative financial services and digital financial industries. This refers to big data and blockchain-based innovative financial services such as Internet payment, remittance, mortgage, and fund subscription in financial services such as RoboAdvice and mobile, SNS-based banking, simple payment, securities transactions, and derivative transactions. The era of “fintech” innovative financial services has also provided convenience in financial life, but it is accelerating privacy violations, confusion in the financial system, and competition in the financial industry between countries. At a time when competition in the electronic financial convergence service sector is accelerating at home and abroad in the “fintech” financial service society,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required, such as easing regulations in the domestic financial industry and establishing a fair competition market for big and small "fintech" companies. In this paper, we will review the obstacles and problems of digital financial innovation in fintech society and propose ways to improve related laws to provide fintech innovative financial services and revitalize the fintech financial industry. As a way to improve the system in the fintech industry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legislative direction of the Special Act on Financial Innovation Support and the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 which actively reflect the changes in the financial marke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presented. Furthermore, the direction of the enactment of the FinTech Promotion Support Act for the promotion of the FinTech financial industry is presented.

      • KCI등재

        지방의회 자치입법권 강화방안

        고인석(Ko, In-Seok)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1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1 No.4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는 1991년 구·시·군 의회 선거와 시·도 의회 의원선거가 시행되면서 본격화되었다. 지방정치에 있어서 견제와 균형의 원리의 실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견제기구이자 자치입법기관으로서 지방의회는 지방자치에 있어서 민주주의 실천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나가고 있다. 2017년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자문위원회의 본격적 활동과 함께 지방의 경쟁력 확대를 위한 지방분권형 개헌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지방의회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헌법적 재구성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그동안 2013년 「지방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의 시행이후 지방사무와 지방재정권의 확대에 따른 지방분권을 위한 노력이 상당부분 결실을 거두어 온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여전히 지방의회의 자치입법권에 대한 헌법과 법률상의 제약은 지방자치의 활성화와 효율성의 달성을 어렵게 하고 있다. 지방의회가 자치입법권의 행사를 통하여 주민의 권리와 의무관계를 명확히 규정하고, 지방자치단체의 대의기관으로서 주민의 의사를 적극 반영하고 정치적 통합을 이루어 냄으로써 자치입법기관으로서의 제기능을 수행할 때 주민자치를 통한 주민주권원리의 적극적 실천이 가능할 것이다. 지방자치의 발전과 지방분권의 지속적 확대 과정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사무와 정책권한 및 재정권의 확대는 지방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확대하여 실질적 지방자치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장 권한의 확대에 수반된 지방의회의 자치입법권과 의결권 및 감시권의 확대는 지방의회의 대의기구로서의 역할을 더욱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지방의회의 자치입법권의 강화는 지방분권형 「헌법」 개정과 「지방자치법」 개정 및 「지방의회법」의 제정에 따른 지방의회의 지방자치단체장에 대한 정책통제기능과 정책형성기능의 확대를 통한 자치입법권의 강화가 필수적 요소이다. 나아가 지방의회의 독립기관으로서의 법적 지위의 향상이 중요하다. 또한 헌법개정이 어려운 상황에서 영국의 사례에서 보듯이 우리의 경우도 지방자치 관련법령의 대폭적 개정이나 「지방의회법」의 제정을 통한 지방의회의 기능과 권한의 확대에 따른 자치입법권의 강화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주민주권 및 주민자치권의 실질적 보장을 통한 지방의회 자치입법권의 강화는 지방자치의 효율성 달성과 경쟁력 확대로 이어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진행과정에서 「헌법」과 「지방자치법」상 지방의회의 구성상 법률구조적 한계로 인한 지방의회의 기능과 역할수행의 제약요인과 지방의회 운영상의 입법역량 약화요인을 검토하여 주민자치권의 실질적 보장과 지방자치의 활성화를 위한 지방의회의 자치입법권 강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민주권 및 주민자치권의 실질적 보장을 통한 지방의회 자치입법권의 강화는 지방자치의 효율성 달성과 경쟁력 확대로 이어질 것이다. Local autonomy in Korea began in earnest in 1991 with the election of the district, city, and county council and the election of city and provincial council members. As a self-governing legislative body for the realization of the principle of checks and balances in local politics, local councils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practicing democracy in local autonomy. With the start of the National Assembly s Special Committee on Constitutional Amendment in 2017, discussions on the constitutional reorganization of the functions and roles of local councils began in earnest as the need for decentralized constitutional amendments to expand local competitiveness was raised.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Special Act on Decentralization and Reorganization of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efforts for decentralization have been showing considerable results due to the expansion of local affairs and local fiscal powers. However, constitutional and legal restrictions on the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of local councils still make it difficult to revitalize local autonomy and achieve efficiency. When local councils clearly define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residents through the exercise of autonomous legislative rights and perform their functions as an autonomous legislative body by reflecting residents intentions as a representative agency of local governments, it will be possible to actively practice the principle of resident sovereignt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local autonomy and continuing to expand decentralization, the expansion of local government s autonomous affairs, policy authority, and fiscal authority expands local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enabling the realization of local autonomy. The expansion of local council s autonomous legislative, policy voting, and monitoring rights accompanied by the expansion of the authority of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will make it possible to faithfully play a role as a representative body of local council. The strengthening of local council s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is an essential factor in strengthening local council s policy control and policy formation function following the revision of the decentralized Constitutional Law, the Local Autonomy Act, and the enactment of the Local Council Act.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legal status of local councils as independent institutions. In addition, as seen in the case of the UK in a situation where constitutional amendment is difficult, Korea can also consider strengthening its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by expanding the functions and powers of local councils through extensive revision of local government-related laws and the Local Council Act. Reinforcement of local council self-governing legislative rights through practical guarantees of resident sovereignty and resident autonomy will lead to the achievement of local autonomy efficiency and expansion of competitivenes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straints of the function and role of local councils due to constitutional structural limitations in the composition of local councils under the Constitution and Local Autonomy Act in the process of local autonomy in Korea. As a result, I would like to propose an alternative to strengthen the legislative power of local councils to substantially guarantee resident autonomy and revitalize local autonomy.

      • KCI등재후보

        의료행위의 적정규제와 안전확보에 관한 연구

        고인석(Ko, In-Seok)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1 법률실무연구 Vol.9 No.3

        우리나라에서는 의료인으로서 의사만이 단독으로 할 수 있는 절대적인 의료행위의 범위가 의료법상 상당히 넓게 규정되어, 의사에게 과중한 업무부담이 가해지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간호사 등 다른 의료인에 대하여 전문적 교육의 확대를 통하여 의료안전을 확보하면서 의사가 간호사 등 다른 의료인력과 적절한 업무 분담을 통하여 의료서비스의 범위를 확보하여 질적 의료서비스 영역을 확보해야 한다는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고령화사회로의 급속한 사회변화에 따른 의료인력의 부족과 그에 따른 의료서비스영역의 확대는 의사의 지도하에 다른 의료인력들의 업무확대에 대한 요구로 이어지고 있다. 의료기관에서 의사의 의료행위에 환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최소한의 규제가 당연히 필요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의료행위에 대한 과도한 규제가 오히려 의료의 질적 서비스를 침해하여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거나, 부실치료로 이어진다면 규제가 의료행위에 있어서 사회적 안전망을 해체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의료법상 의료행위에 있어서 과도한 규제로 나타나고 있는 법제도상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의료행위에 있어서 적정규제를 통한 환자의 의료안전과 질적 의료서비스의 보장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absolute range of medical practices that only doctors can do in Korea is too wide, and the heavy burden of doctors is the realit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medical practice of doctors should be appropriately shared with other medical staff, such as nurses, to secure the medical safety of other medical staff, while ensuring the medical safety of other medical staff, such as well. In some cases, adequate regulation is required in medical institutions where discretionary judgment is required to ensure patient safety for medical practice by doctors. Excessive regulations on medical practices may not guarantee patient safety by violating the qualitative service of medical care, or may lead to poor treatment, which may lead to the dissolution of the social safety net of medical practice.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review the legal systems problems that have emerged as excessive regulations in medical practice under the Medical Law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medical safety and qualitative medical service of patients through proper regulations.

      • KCI등재

        지방자치의 활성화를 위한 지방분권형 헌법의 방향

        고인석(In Seok Ko) 한국토지공법학회 2022 土地公法硏究 Vol.100 No.-

        지방자치의 활성화와 지방분권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인구감소로 인한 지방의 소멸위기와 재정력 위기를 원인으로 여전히 지방균형발전과 지방의 경쟁력 확보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방균형발전과 지방경쟁력의 확보는 「헌법」과 지방자치관련 법령상 법제도적 개선을 통한 획기적 대안의 제시가 없다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동안 2000년 이후 지방분권형 개헌논의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2022년 전면개정 「지방자치법」의 시행상황에서도 지방분권의 획기적 전환점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지방분권 및 지방자치 발전의 저해원인을 우리 「헌법」 제8장 제117조와 제118조의 지방자치에 관한 선언적 규정으로 말미암아 지방자치관련 법령에서의 지방사무, 정책범위, 재정권, 자치조직권 등에 관한 지방의 권한확대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지방분권을 통한 지방자치단체의 실질적 권한 행사와 지방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지방자치제도의 근거규정인 현행 「헌법」 제117조와 제118조에서 나아가 제8장 지방자치의 장에서 지방분권, 주민자치권, 자치사무의 범위, 자치입법권, 자주과세권, 지방의 국정참여권 등의 근거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지방자치는 현행 지방자치관련 법령의 개선을 통해서는 실질적 지방자치의 실현과 보장이 어려운 현실을 고려할 때 헌법상 지방자치의 실질적 보장을 위한 근거규정의 신설을 통하여 지방자치관련 법령의 개선범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지방분권형 헌법개정은 지방자치의 실질적 보장과 주민자치권의 실현에 근거한 지방의 경쟁력 확보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지방의 경쟁력이 국가경쟁력의 기반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 「헌법」과 지방자치관련 법령에서 지방자치 활성화와 지방분권의 한계로 작용하는 내용을 분석하고, 해외 지방분권 관련 헌법의 동향을 파악하여 지방자치의 발전을 위한 지방분권형 헌법개정안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Despite the process of policy efforts for revitalizing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the crisis of local extinction and deepening fiscal power due to population decline are still not very helpful in balanced local development and securing local competitiveness. The reality is that securing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local competitiveness is difficult without the presentation of innovative alternatives through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the meantime, discussions on the decentralization-type constitutional amendment have continued since 2000, and even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full revision of the Local Autonomy Act in 2022, a breakthrough point for decentraliz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In order to exercise the actual authority of local governments through decentralization and balanced local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prepare basis regulations such as self-governing rights, expansion of autonomous affairs, and local government participation rights in Chapter 8 in addition to the current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it is difficult to realize and guarantee local autonomy through improvement of local autonomy-related laws, local autonomy should be expand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new basis for substantial guarantee of local autonomy. The decentralized constitutional amendment can lead to securing local competitiveness by substantial guarantee of local autonomy and realization of the right to self-governing. Local competitiveness will be the basis of the nation's competitiveness.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Korean Constitution and local autonomy laws that act as the limitations of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identifies trends in overseas decentralization, and suggests alternatives to the local decentralization-type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