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대상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

        고은현,문은경,홍찬의,이경희,최순덕,이영석,조정원,Koh, Eun-Hyeon,Moon, Eunkyung,Hong, Chan-Ui,Lee, KyungHee,Choi, Soonduk,Lee, Youngseok,Cho, Jungwon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0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대상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및 유아교육, 컴퓨터교육, 교육공학 전문가 집단의 3차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여 교수역량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 교육목적·목표 및 교육내용 선정',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계획 및 운영',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평가 및 환류'의 3개 역량군 및 15개 역량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연구결과 도출된 교수역량과 선행연구와의 관련성을 논의하고 결과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된 교수역량은 이후 교사교육 및 교육실행 관점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eaching competency for softwa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aching competency was derived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Delphi survey of expert groups. The derived competences are composed of 'selection of software education objectives-goals and educational contents', 'software curriculum planning and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feedback of software curriculum'. The derived competencies were found to be 15 competencies in a total of 3 competencies group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rived competencies and previous studies was discussed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he teaching competency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for teacher education and instructional practice.

      • KCI등재

        대학교원 학습공동체의 상호 동료코칭 가능성

        고은현(Koh, Eun-Hyeon),박혜림(Park, Hye-R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1

        이 연구는 A대학교 대학교원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사례를 분석하여 동료코칭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시행 되었다. 분석대상이 된 대학교원 학습공동체는 한 팀당 5~6명으로 구성되어 해당학기에 진행되는 수업개선을 위해 수업촬영 및 수업자료에 대한 팀내 상호 동료코칭이 진행된 사례이다. 이를 통하여 개인별 수업개선 보고서가 작성되 었고, 팀의 문헌연구와 경험을 토대로 개발된 수업조언(Teaching Tip)이 학내에 공유되었다. 학습공동체 참여경험에 대한 설문과 인터뷰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자신과 동료들의 수업관찰이 성찰적 실행을 위한 계기가 되었으며 비디오 에 근거한 수업관찰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동료코칭은 코치 개인의 경험에 근거한 의미있는 조언들이 제 공되었으나, 다소 전문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프로그램의 참여자들에 대한 설문과 인터뷰를 통하여 동료코칭 프로그램 효과를 토대로 상호 동료코칭의 전문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faculty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A university. Employing a case study method, the present research conducted a survey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on FLC. The FLC were designed to enhance the teaching ability by reciprocal peer coaching and developing Teaching Tips, during the semester with 5~6 faculty members of each FLC. They reported personal CQI and community paper and presented their learning process and outcomes.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observation of their own and peer’s lecture was meaningful experience led to reflective practice. Morever, peer coaches provided useful advice and good insight of education based on their practice, though the service was not professional enough. Based on the results, how to effectively foster peer coaching in FLC was discussed.

      • KCI등재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 분석

        고은현(Eun-hyeon Koh),박혜림(Hye-Rim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2

        이 연구는 수업이 지향해야 하는 가치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여 선행연구에서 밝혀왔던 좋은 수업의 세부 요소 및 특성들과 더불어 좋은 수업의 가치를 지향할 수 있는 수업의 우세 가치 유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과 관점을 객관적으로 지표화한 TPI를 활용하여, 예비 및 현직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우세 가치 유형을 교차분석 및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증(Tukey의 HSD)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수업의 우세가치는 학교유형과 관계없이 “양육” 관점으로, 대학교 수업은 “도제”관점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수업에 관한 연구결과는 “양육”이 우세 관점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외 연구 결과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학 수업의 경우 영미권에서는 도제 관점을 우세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국내 연구에서는 도제 관점이 우세하여 드러나 차이를 보였다. 또한 현직 유아교사가 실습경험 없는 예비교사보다 “도제” 관점을 우세하게 인식하였다. 국내외 연구와 본 연구 결과를 비교․고찰하여 좋은 수업의 가치를 논의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학교급과 전공을 세분화하여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분석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s several factors of good instruction that have been studied by precedent studies as well as the dominated perspective of teaching that validates the value of good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explore an understanding of the perspective that lessons ought to pursue. The authors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dominated perspective of good instruction of pre-service teacher and teachers through the study methodology of chi-square, one-way analyses of variance, and post-hoc test. The research subjects were enrolled students and graduate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s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The TPI that had been objectively indexed with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and viewpoints of good instruction was also applied. The study result shows that high schools" dominated perspective is "nursing" and colleges" is "apprenticing", regardless of the kind of school. The article discusses the perspective of good instruction by comparing the results of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and this study. Some ideas were suggested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프로젝트 학습에서 대인관계 유능성 및 인지된 성취감의 관계에 대한 팀효능감의 매개효과

        고은현(Eun-hyeon Koh),박혜림(Hye-Rim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2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 수업에서 대인관계 유능성과 인지된 성취도에 팀효능감이 매개효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 고찰을 토대로 팀효능감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프로젝트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프로젝트 학습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 172명에게 이들 팀효능감, 대인관계 유능성, 인지된 성취도에 대해 설문하고, 그 응답 결과를 Baron과 Kenny(1986)이 제안한 매개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하위 요인 중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 변인이 인지된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며 팀효능감은 이 관계를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팀효능감과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프로젝트 학습 과정에서 촉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젝트 학습에서 능동적인 학습역량 함양과 동시에 교사양성의 한 측면에서 요구되는 교수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efficacy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erceived learning in project learn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eam 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identified as variables having an effect on project learn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72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project learning course offered by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and were analyzed by Baron & Kenny"s (1986) framework. As a result, team efficacy was found to act as a partial mediator between the two variables, understanding of and consideration for other people and perceived learn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eam efficacy and understanding of and consideration for other people should be facilitated in project learning courses. The possibility that some teaching strategies could enhance the project learning effect for learners and pre-service teachers is discussed.

      • KCI등재

        e-러닝에서의 교수실재감 구인 요인에 대한 실증적 탐색

        고은현 ( Eun Hyeon Koh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4

        교수실재감 연구는 탐구 공동체 모형과 배려이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그 개념의 구성요인에 대한 실증적인 접근에서는 일관되지 않은 결과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교수실재감의 개념이 문자 기반환경에서 제안되었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제공되는 e-러닝 환경에서의 교수실재감 개념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e-러닝 환경에서의 교수실재감 구성요인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학습자의 인지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요인들의 영향력을 비교해봄으로써 제안된 교수실재감의 개념과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개발된 교수실재감 측정도구는 서울시 교육청 사이버가정학습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행되었다. 235명의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단계적 중다 회귀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교수실재감에 대한 구인 타당성 검증결과, ① 수업의 체계적 실행, ② 학습 촉진 및 점검, ③ 의사소통 촉진, ④ 콘텐츠 충실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안된 교수실재감 구인은 학습자의 인지된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의 교수실재감에 대한 접근들을 정리하여 e-러닝 환경에서의 교수실재감을 제안하고 구인으로서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paper focused on two components of `teaching presence` and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rough a review of recent literature it is proposed that teaching presence viewed as a related construct with student`s satisfaction and learning. However, recent studies based on text-based learning environment did not coincided with empirical result and theory construct. Therefore, this paper suggested teaching presence focused on rich multi-media based online learning context with contents. Teaching presence in this study has four components-(Ⅰ)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 (Ⅱ) Facilitating and monitoring learning, (Ⅲ) Facilitating discourse, (Ⅳ) Substantiality in contents. The data from 235 students were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developed teaching presence scale had meaningful construct validity and high reliability. It was also investigated effect of the four components on students` perceived satisfaction. Facilitation and monitoring learning factor is the most predictable variable for students` satisfaction;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 substantiality in contents and facilitating discourse in the order named. Some further research ques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교육 품질 향상을 위한 수업 평가 및 환류 모델

        김도현(Kim, Do-Hyeun),고은현(Koh, Eun-Hyeon),박정환(Park, Jung-Hw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최근 전국의 각 대학교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는 대학교 경쟁력을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에 있다고 보고, 교육 활동에 비중을 높이고 강의 및 학생 지도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지금까지 대학교육 활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수업에 대한 평가는 학생의견을 바탕으로 한 강의평가와 교수업적 반영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육 활동영역에서 수업의 평가 지표를 마련하고 체계적인 수업 개선을 위해 수업 평가 요인을 도출하고, 평가 결과물을 토대로 평가 요인에 적합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환류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강의평가 결과가 평가 항목에 따른 측정 결과 제시에서 수업 개선의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체계적으로 수업의 품질을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