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어 형용사 유의어의 사전 의미 기술과공기어 분석을 통한 의미 변별 연구

        고은숙 ( Eun Sook Ko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6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5

        형용사에는 섬세한 의미의 차이를 가지는 유의어들이 많이 존재하는데, 유의어는 어휘의 의미가 중첩되거나 의미가 연접되거나 포함되는 경우를 말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형용사 ``新しい류``의 유의어(新しい·眞新しい·新た·新鮮·フレッシュ)를 중심으로 이들 형용사들의 의미 관계를 살펴보고, 유의어들이 실제 사용환경에서 나타나는 공기어와의 관계를 살펴 의미의 변별적 요소를 파악해 보았다. 일본어 형용사 유의어 선정 기준은 『似た言葉使い分け辭典』(1993)에 제시된 표제어와 그에 따른 형용사 유의어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일본어 형용사 유의어의 개별 의미 표현은 일본 국어사전과 우리나라 일한사전의 정보를 살펴 비교한 후 일본 코퍼스 BCCWJ에서 형용사 유의어의 공기어 출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中納言」을 이용하여 표기가 일치하는 書字形 검색과 다른 표기형을 포함하는 어휘소 검색을 통해 ``新しい>新た>新鮮>フレッシュ>眞新しい`` 순으로 다용되어 출현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新た``를 제외한 4개의 형용사와 공기하는 단어에는 ``感じ/もの``가 검색되었으며, 이들 공기어는 본고의 대상어인 형용사 유의어들과 밀접하게 결합 관계를 가질 수 있는 단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氣持ち`` 등의 단어는 3개의 형용사 유의어와 공기하여 나타났으며, 각각의 공기어와 공유하는 형용사 유의어는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テレビ, パソコン`` 등은 2개의 형용사와 공기하고 있으며, 실제로 공유하는 공기어를 가장 많이 갖는 형용사 유의어는 ``新しい``와 ``新た``라고 할 수 있다. ``制服/くつ``등과 같은 구체명사의 공기어는 특히 ``眞新しい``와 공기하여 나타나는 경향이 뚜렷함을 파악할 수 있다. There are many synonymous vocabularies of Japanese adjectives which shows delicate semantic differences. Here, the synonymous vocabularies may mean the cases of meaning overlapping, meaning connection, or meaning inclusiveness. This paper studies the synonymous vocabularies of the ``atarashii`` class (atarashii, maatarashii, arata, sinsen, and huressyu), and tries to figure out distinctive factors through the research of co-occurrent words in authentic contexts. As for the individual semantic description of synonymous vocabularies of Japanese adjectives, this paper compares the pieces of information from Japanese dictionaries and Japanese-Korean dictionaries, and then studies the aspects of emergence of co-occurrent words of adjectives through Japanese corpus BCCWJ.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hierarchy with respect to frequency of use is atarashii > arata > sinsen > huressyu > maatarashii. According to research result of the corpus, there are several kinds of co-occurrence with 4, 3, or 2 synonymous vocabularies of adjectives according to the aspects of co-occurrent words. Also, co-occurrent words and the synonymous adjectives are different with respect to the types of vocabularies. The synonymous vocabularies of adjectives are ``atarashii`` and ``arata`` which have the most co-occurrent words. As for the aspects of co-occurrent words in the corpus, we can infer that the adjective ``maatarashii`` has more strong tendency of co-occurrence by combining with concrete objects. It means that case has a distinctive semantic characteristic different from other synonyms.

      • KCI등재

        후기 중세국어의 차등 비교 표지에 관하여

        고은숙 ( Ko Eun-sook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2 국제어문 Vol.54 No.-

        본고는 후기 중세국어 차등 비교 표지들의 특성을 세밀히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후기 중세국어의 차등 비교 표지들로는 `이라와`, `두고`, `두곤`, `롯`, `록`, `론` 등이 있다. 이들은 후기 중세국어의 비교 구문이나 비교 조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많은 특성이 밝혀졌지만 유사하면서도 조금씩 차이를 보이는, 이들 표지들을 한데 모아 각각의 특성을 세밀히 살핀 연구는 드물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들의 특성을 자세히 살펴보고 각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각각의 기본 특성과 사용환경 등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markers of the inequal comparative construction in Middle Korean. These include `ilawa`, `twuko`, `twukon`, `lot`, `lok`, `lon`. As comparative constructions of Middle Korean, their characteristics have been broadly examined in studies that researched postpositions of Middle Korean.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to examine the markers in greater details as they are similar and yet vary slightly. In this context, the study closel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kers, and identifies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result shows that the markers differ slightly according to their basic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 IPv6 기반 이동 노드의 잦은 근접 거리 이동 시 효과적인 라우팅 기법

        고은숙(Eun-Sook Ko),최종원(Jong-Won Choe)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Ⅲ

        IPv6 기반의 이동 노드는 이웃 발견 프로토콜과 주소 자동설정 기능을 이용하여 스스로 의탁 주소(Care-of-Address: 이하 COA)를 구성한다. 이 때, 이동 노드가 가까이 있는 여러 개의 라우터 경계 사이를 짧은 시간동안 자주 이동한다면 이동 노드는 자신의 COA를 구성하는 과정을 빈번하게 반복하면서 이동 노드의 과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잦은 이동을 하는 이동 노드의 주소 자동설정 기능으로 인한 노드의 과부하를 줄이고 COA를 구성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동 노드의 주변을 가상의 셀로 설정하고 주변 셀에 대한 라우터들의 prefix를 라벨화(labeling)하여 이동 노드의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를 설정해 놓고 라벨의 확인만으로 COA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한일사전에 나타난 동형다품사의 어휘정보에 관한 연구

        高恩淑 ( Ko Eun-sook ) 한국일어교육학회 2023 일본어교육연구 Vol.- No.62

        본 연구는 한일사전에 나타난 <동형다품사>의 어휘정보 기술에 관해 조사 분석한 것이다. 본고에서 대상으로 하는 <동형다품사>는 모양이 같으면서 [동사]로도 쓰이고 [형용사]로도 쓰이는 단어를 말한다. 한국어에는 형태가 동일하지만 복수의 품사로 사용되는 단어가 존재한다. 즉 이와 같이 어기가 같은 단어가 형태가 동일하고 동사와 형용사로 사용되는 것에는 【감사하다 / 고르다 / 굳다 / 까지다 / 늦다/ 당황하다/ 더하다 / 모자라다 / 밝다 / 있다 / 크다 / 흐리다】 등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대상 어휘를 중심으로 광복이전 발행한 한일사전, 광복이후 발행한 한일사전, 일본에서 발행한 한일사전으로 나눠 대상 어휘의 정보를 시기별로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 삼은 한일사전에서 대상 어휘의 표제어 등재 여부, 품사 정보, 의미 정보를 조사하여 그 특징을 기술하였다. 광복이전 발행한 사전에는 ‘늦다/ 모자라다/ 밝다/ 있다/ 크다/ 흐리다’가 표제어로 등재되어 있으며, 이중에서 ‘당황하다’는 ㉯『鮮和新辭典』에만 표제어 등재 정보가 있다. 광복이전의 사전은 동사와 형용사 품사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하고 있지는 않다. 그리고 광복이후 발행한 한일사전과 일본에서 발행한 한일사전은 대부분 표제어로 등재되어 있지만, 사전에 따라 등재되지 않은 단어들도 발견된다. 품사 정보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동사와 형용사 각각의 표제어로 정보를 제공하는 사전이 있는 반면, 하나의 표제어 안에 하위 품사 정보로 제공하는 경우도 다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에서도 품사 문제로 자주 제기되는 ‘있다’는 한일사전에서 동사와 형용사로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가 많지만, ㋑『コスモス朝和辞典』과 ㋓『朝鮮語辞典』 2종에서만 품사 정보는 [존재사]로 제시되어 있다. 외국어 학습을 할 때 단어를 이해하고 사용함에 있어 사전 정보는 학습자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료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일사전의 정보 제공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한 본 연구는 앞으로 사전편찬의 방향과 올바른 정보 제공의 길잡이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ocabulary information technology of multiple parts of speech appeared in Korean-Japanese dictionaries. In this study, ‘multiple parts of speech’ refers to a word that is used as a verb as well as an adjective. In other words, there are Korean words that have the same form but are used as multiple parts. The vocabulary subject to this study is as follows: ‘감사하다, 고르다, 굳다, 까지다, 늦다, 당황하다, 더하다, 모자라다, 밝다, 있다, 크다, 흐리다.’ An information analysis of Korean-Japanese dictionaries was carried out by period, focusing on these target vocabularies that appeared in Korean-Japanese dictionaries published before liberation and those published after national independence from Japanese rule, and those published in Japan. This study analyzes and investigates the problems of providing information on Korean-Japanese dictionaries,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 of dictionary compilation, and can be used as a guide to the use of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 KCI등재

        한일 성서의 복합조사 대응어에 관한 연구 -일본어 「との」「への」「からの」「としての」를 중심으로-

        고은숙 ( Ko Eun-sook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2 日語日文學硏究 Vol.121 No.-

        稿は日本語の「との」「への」「からの」「としての」を研究対象語に選定し、これに対応する韓国語「와(과)의」「에의」「에서의」「(으)로서의」の成立過程を調査した。本稿の調査でわかるように、韓国開化期と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の後半以前までは、「との」「への」「からの」「としての」を直訳して使われた「와(과)의」「에의」「에서의」「(으)로서의」の使用例がほとんどない。 しかし、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語になって現れ始め、光復以降からは「との」「への」「からの」「としての」に対応する韓国語「와(과)의」「에의」「에서의」「(으)로서의」が使われ始め、現在では習慣的に使用している。特に「との」の場合、韓国語「와(과)의」の表現は現在聖書にも使われるほど馴染みのある表現となっている。本稿は日本語を韓国語に翻訳した資料を歴史的に調査した。韓国開化期の資料は、『日韓會話辭典』(1906), 『警察學』(1909), 『日文譯法』(1909) などであり、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の資料は、『旅乃出直志』(1923), 『同じ海へ』(1924), 『道志る扁』(1926), 『汝等の背後より』(1926), 『眞宗信仰の精髓』(1928), 『新生の力』(1928), 『光への導き』(1930), 『淸福乃道』(1933), 『求安錄』(1934), 『麥と兵隊』(1939), 『昭和國民讀本』(1939), 『わが愛する生活』(1941), 『西住戦車長傳』(1941), 『二千六百年史抄』(1941) などである。そして光復以降の資料には、『長崎の鐘』(1949), 『敗戰學校』(1950), 『流れる星は生きている』(1950), 『愛と認識との出発』(1954), 『死線を越えて』(1956) などを調査した。韓国と日本との聖書の資料はテキストを収集してコーパスを構築して検索した。 言語は昨日の姿が今日の姿と違うのは当然のことだ。現在の言語を過去の姿の言語として使うことはできないのだ。しかし、慣用的に固まっている言葉でも、根本的な言葉の表現を考え直す必要はある。韓国語の表現に日本語の影響で発生した語法を使う時は、無理がなければもう一度他の表現を探してみる努力は必要である。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xamples of usage in Japanese , mainly in the Japanese complex postposition 「との」「への」「からの」「としての」and 「(와)과의」「에의」「에서의」「(으)로서의」use to the Korean language that corresponds to it. Translation materials were divided and examine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Biblical material between Korea and Japan was collected and a corpus was constructed and searched. The Bible is still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famous books compared to general novels, newspapers, and other writings when it comes to language materials. As such objective language data, it is cited in many articles and used for educational sentence expressions, so I think it is a valuable resource that should be investigated first. It is natural that language is different from what it was in the past. The present language cannot be used as the language of the past.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fundamental expression of words, even if they are becoming idiomatic. When using the grammar generated by the influence of Japanese in Korean expressions, it is necessary to try to find another expression if it is not too difficult.

      • KCI등재
      • KCI등재

        한일사전의 색채형용사 의미 정보 구축에 관한 연구

        고은숙 ( Ko Eun-sook )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7 日本硏究 Vol.0 No.72

        The color phenomenon is symbolized in language, and the color word has a basic meaning for expressing color. This paper systematically analyzes and analyzes semantic information items presented in Korean-Japanese dictionary focusing on Korean color adjectives including basic color vocabulary among coloring words. We also examined the headword information, which is necessary for semantic information analysis. In contrast to Japanese,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color adjectives is that various similar types of color adjectives are differentiated in one color se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emantic information of various Korean color adjectives presented in the Korean-Japanese dictionary and to search for the direction of semantic information technology of Korean color adjectives by comparing information between Korean-Japanese dictionaries. The Korean-Japanese dictionary aims at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ve language and the speaker in that it is a so-called transliteration dictionary in which Korean is translated into Japanes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elect appropriate words and present them in the same or similar meaning. Especially, in the dictionary of the semantic information of the color adjective, the relation between the vocabulary based on the basic word should be explained.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find more specific ways to deal with the selection problem of color adjectives, semantic information, and type information to be presented in microstructure items through systematic analysis and construction of systematic semantic information of color adjectives I think. This will be the subject of further research based on this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한일 대중가요에 나타난 감정어휘의 대응관계 연구 - 한일대역 자료를 중심으로 -

        高恩淑 ( Ko Eun-Sook ) 한국일어교육학회 2021 일본어교육연구 Vol.- No.57

        본 연구는 대역 자료를 중심으로 한일 대중가요 대역 코퍼스에 나타난 감정어휘의 대응관계를 조사 분석한 것이다. 대역 자료 코퍼스 구축을 통해 감정어휘 중 특히 감정형용사를 분석 대상 어휘로 삼아 대중가요에 나타난 대응관계를 살펴 감정 의미별로 그 양상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 어휘 중 대역 코퍼스에서 ‘苦悩, 悲哀’의 감정 의미 형용사가 현저히 다양한 표현의 대응관계로 나타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속하는 형용사로는 ‘苦しい, 苦い, つらい, せつない, 狂おしい, 寂しい, わびしい, 人恋しい, 悲しい’ 등이다. 이 중 ‘つらい, 寂しい’는 일본가요에 비해 한국가요쪽에서 여러 다양한 표현으로 대응관계를 이룬다. 또한 ‘せつない’는 한일 가요 양쪽 모두에서 다양한 표현의 대응관계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한일 대중가요에는 다른 감정 의미의 분류에 비해 고뇌와 비애의 감정을 담은 노래 가사가 많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好悪, 愛憎’의 감정 의미에 속하는 대상 어휘는 다른 감정 의미의 대상 어휘보다 분석 대상 어휘가 수적으로는 많지만, 대역 코퍼스에서 대응관계 표현 양상은 그다지 다양하지는 않았다. 다만, ‘優しい’는 한일 대중가요 모두에서 다양한 여러 표현의 대응관계 양상으로 나타났다. ‘安心, 焦燥, 満足’의 감정 의미 대상 어휘에는 ‘心細い, 歯がゆい, じれったい, 物足りない’가 속하는데, 이들 형용사 모두 한국가요에서는 대응관계 예가 하나도 출현하지 않는 특징을 보였다. 분석 대상 어휘 중 대역 코퍼스에서 한국가요의 경우 대응관계가 하나도 출현하지 않은 감정형용사는 ‘おもしろい, 心細い, 歯がゆい, じれったい, 物足りない, 苦い, 人恋しい, 温かい, 誇らしい, 恥ずかしい’로 파악되었다. 반면, 일본가요의 경우는 감정형용사 ‘心地よい, 惜しい, 憎い, いとおしい, 慕わしい, いじらしい, ゆかしい, 厚い’가 대역 코퍼스에서 대응관계 예가 출현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 survey and analysis of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of emotional vocabulary in the Korean and Japanese songs, focusing on parallel corpus data.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parallel corpus data, we tried to grasp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emotional meaning by examining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that appeared in popular songs, especially emotional adjectives. Among the words to be analyzed,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tendency of the adjectives that express emotions of ‘苦悩, 悲哀’ to appear as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of remarkably various expressions in the parallel corpus. Adjectives belonging to this include ‘苦しい, 苦い, つらい, せつない, 狂おしい, 寂 しい, わびしい, 人恋しい, 悲しい’ Among them, ‘つらい, 寂しい’ has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with various expressions in Korean songs compared to Japanese songs. In addition, ‘せつない’ showed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of various expressions in both Korean and Japanese songs. In this respect,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more lyrics of songs containing emotions of agony and sadness than other categories of emotional meanings in Korean and Japanese songs. The target vocabulary belonging to the emotional meaning of ‘好悪, 愛憎’ has more vocabulary to be analyzed than the target vocabulary of other emotional meanings, but the pattern of expressing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did not appear very diverse in the parallel corpus. However, ‘優しい’ appeared as a response pattern to various expressions in both Korean and Japanese songs. The vocabulary subject to the emotional meaning of ‘安心, 焦燥, 満足’ includes ‘心細い, 歯がゆい, じれった い, 物足りない’ and all of these adjectives showed no correspondence examples in Korean so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