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개인 피부 특성, 라이프스타일, 유전자 데이터 기반 진단 알고리즘 개발

        고은비 ( Eunbi Ko ),( Kyoungmin Cho ),( Ji Hye Kim ),( Hyun-jung Shin ),( Byung-fhy Suh ),( Hye One Kim ),( Taeyoung Park ) 한국피부장벽학회 2023 한국피부장벽학회지 Vol.25 No.2

        Customers have used various skin care and functional cosmetics to prevent their skin aging as well as improve current condition of the skin. It is important to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ir skin to select optimized skin care solut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ffect of environment, lifestyle, and innate genes on the current skin condition. For this purpose, degree of hydration, sebum, wrinkles, melanin, dullness and redness in a highly controlled condition were collected in conjunction with a questionnaire survey analyzing their lifestyles and genetic data from about 3000 women. We classified participants based on the types of skin, using 6 kinds of index representing skin properties, questionnaire survey on lifestyle and genetic data with Gaussian Mixture Model and Decision Tree for classification model.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divide the skin of Korean women into 12 clusters according to wrinkles, melanin, redness, dullness and oil/moisture balance with Gaussian Mixture Model. Also, we were able to identify a pattern in which each factor was correlated. Next, we tried to discover factors for predicting skin condition change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ith lifestyle, climate/environment, and innate genes that affect the current skin condition.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future skin condition using big data and AI technology. This knowledge will enable us to provide more proactive and personalized solutions not only for cosmetics but also for life care such as lifestyle, eating habits, and environmental response.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교 문ㆍ이과별 교육투자 비교 분석

        고은비(Ko, Eunbi),송헌재(Song, Heonjae) 한국노동연구원 2022 노동정책연구 Vol.22 No.1

        일반계 고등학교의 문 · 이과 계열별 특성은 대학전공 선택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노동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서 선택하는 문 · 이과 계열별 특성 중 교육투자에 초점을 두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과생이 문과생 대비 연간 약 214만원의 사교육비를 더 투자하며 일주일에 6시간 정도를 더 자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의 문 · 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도입으로 명시적인 계열 구분은 사라졌지만 대학입시에서의 필요에 따라 암묵적으로는 여전히 계열이 구분되는 현재, 문 · 이과 계열 간에 격차가 발생하는 근본적 원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characteristics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track in high school like educational investments can affect the selection of college majors and the results of CSAT, which in turn can affect the labor market. In this paper, we compare educational investments between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track in high school. We find that natural sciences students invest about 2.14 million KRW more in private education per year and spent more time on self-study than students who choose liberal arts. Although the explicit division of disciplines has disappeared, the disciplines are still implicitly divided due to the need for CSAT. Therefor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analyze the root cause of the gap between liberal arts students and natural sciences students.

      • KCI등재

        대학특성화사업 효과 분석

        고은비(Eunbi Ko),김진영(Jinyeong Kim),송헌재(Heonjae Song)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21 재정학연구 Vol.14 No.1

        대학특성화사업(University for Creative Korea)은 대학이 지역사회의 수요에 기반을 둔 비교우위 분야를 특성화함으로써 대학의 창의적 인재 육성 기능을 강화하고 지역과 동반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부의 대학재정지원사업 중 하나이다. 2014년부터 시행되었던 대학특성화사업에는 연간 최소 약 1,700억 원에서 최대 약 2,500억 원이 투입되어 5년간 총 1조 1,0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교육부가 대학에 대한 재정지원사업을 재구조화함에 따라 대학특성화사업은 종료되었으나 유사한 대학재정지원사업에 많은 예산이 계속해서 투입되고 있기 때문에 사업의 성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사업의 성과는 사업에 대한 인지도 및 만족도, 대학의 역량 강화, 특성화 관련 학과의 재학생충원율과 입학성적 변화 등의 지표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18년까지 5년간 시행되었던 대학특성화사업의 성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정량평가에 초점을 두고 대학특성화사업에 참여한 학과의 신입생충원율과 입학경쟁률, 취업률 등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대학알리미에서 제공하는 대학공시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및 학과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대학특성화사업은 사업에 참여한 학과의 입학경쟁률과 신입생충원율을 높이고, 중도탈락학생비율을 낮춘 것으로 나타나 수험생의 대학-학과에 대한 인식, 재학생의 학과에 대한 만족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률의 경우 사업에 참여한 학과에서 비참여학과에 비해 낮게 나타나 졸업생에 대한 성과지표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특성화사업은 2018년을 마지막으로 종료되었으나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사한 대학재정지원사업이 진행될 시 각 대학에서는 대학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업의 목표를 세우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프로그램을 설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CK-University for Creative Korea- project is a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roject by Ministry of Education that supports the university’s ability to foster creative talents and the co-growth of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In the CK project, which was implemented in 2014 and ended in 2018, a total of KRW 1.1 trillion has been invested over 5 years, with a minimum of KRW 170 billion and a maximum of KRW 250 billion per year.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restructured the financial support project for universities, the CK project was terminated. But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outcome of the project because a large amount of budget continues to be invested in similar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rojects.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 can be measured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indicators such as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the project, the strengthening of the university’s ability, and the change in admission rate and admission grade, etc. This study focuses o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how achievements of the CK project were observed, and analyses the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rate of levy with new students and the admission rate of new students, and employment rate of department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Looking at each indicators, we find that the CK projec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rate of levy new students, the admission rate of new students, and dropout rate. It is also found that the CK projec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rate.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CK projec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xaminees’ perception of college-department and enrolle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department, but does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for graduates. Based on these results, when similar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rojects are carried out in the future, each university will need to set a project goal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and design an appropriate program to achieve the goal.

      • 해양 · 수중 IoT 표준화 현황

        고은비(Eunbi Ko),신수영(Soo Young Shin),임용곤(Yong Kon Lim),박수현(Soo-Hyun Park)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해양수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 기술로서 사물인터넷은 개발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해양/수중 IoT의 표준화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식표준으로서 국내 TTA 및 국제 ISO/IEC JTC 1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해양/수중 IoT 표준화 현황을 제시하고, 향후 표준개발 방향 및 전문가로서의 활동 방향을 예측해 본다.

      • KCI등재

        대학교수의 여성 비율이 여학생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고은비 ( Eunbi Ko ),김진영 ( Jin Yeong Kim ),송헌재 ( Heonjae Song ) 한국노동경제학회 2020 勞動經濟論集 Vol.43 No.1

        롤모델 효과에 따라 여성 교수의 존재는 여학생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남학생이 많은 ‘남초학과’로 전공을 선택하거나, 대학원으로의 진학을 결정하는 데 여성 교수의 존재가 연관이 있을 수 있다. 다만 학부 입학, 박사과정 학생의 성취도 등과 관련하여 교수의 성별이 여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있으나 교수의 성비에 따른 여학생 취업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하여 실제로 여성 교원의 비율이 여학생의 취업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 교수의 존재가 여성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학알리미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합동회귀모형 추정에서는 전임교원 중 여성의 비율이 1%포인트 증가하면 여학생의 취업률이 0.102%포인트 유의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교-학과의 고정효과를 고려한 분석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성 교원의 비율이 여학생의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을 전공계열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아도 이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학생의 취업률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수 외에 관측되지 않는 개인의 성향, 능력, 가정환경 등 여러 기타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본 연구의 추정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의 여학생 취업에 있어서 여성 교수의 롤모델 효과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According to the role model effect, gender of facul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udents’ employmen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female faculties on female college students’ employment in Korea. The fixed effect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percentage of female faculty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emale students’ employment rate, although the 1%p increase of female faculty appears to be related with the employment rate of female students by 0.102%p in estimation using pooled OLS estimation. We have the almost same results even with dividing female students by major fields.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e students’ employment rate may be influenced by many other factors, such as personal characteristics, abilities, and family background besides faculty gender. We find that there is no empirical evidence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the faculty gender on the employment rate of femal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