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장애인을 위한 촉각 그래픽에 등장하는 시각 중심적 표현 고찰

        고아라(Ara Ko),홍재영(Jaeyoung Hong)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4 시각장애연구 Vol.40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제작된 촉각 그래픽에 등장하는 시각 중심적 표현의 유형과 시각장애인이 시각 중심적 표현을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를 연구한 문헌 고찰연구이다. 이 연구는 시각장애 학생에게 유의미한 촉각 그래픽을 제작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1990년대 이후 발표된 문헌 중 시각장애인을 위한 촉각 자료 관련 문헌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귀납적 내용분석 절차에 따라 문헌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촉각 그래픽에 등장하는 시각 중심적 표현에는 ‘시점, 원근법, 가려짐, 비일관성, 복잡성, 관용적 표현’ 등이 있었다. 시점, 원근법, 가려짐은 시각으로 대상을 관찰하거나, 시각으로 관찰한 대상을 평면에 옮길 때 발생하였다. 이는 촉각으로 대상을 탐색할 때는 발생하지 않는 시각 중심적 표현이다. 시각으로 대상을 관찰할 때는 어렵게 여겨지지 않는 비일관성, 복잡성, 관용적 표현도 시각적 경험이 없는 시각장애인에게는 자료 탐색에 어려움을 가중하는 요소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장애 학생에게 유의미한 촉각 그래픽을 제작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a literature review that investigated the types of visually centered expressions found in tactile graphic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reasons why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fou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se expressions. The purpose was to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creating meaningful tactile graphic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Method: The study focused on literature related to tactile materials for the visually impaired published since the 1990s and conducted an inductive content analysis of the selected documents. Results: Visually centered expressions identified in tactile graphic include ‘viewpoint, perspective, occlusion, inconsistency, complexity, and visual graphic habits.’ Viewpoint, perspective and occlusion occur when translating observed objects into tactile graphic, which do not arise when exploring objects through touch. Inconsistencies, complexity and visual graphic habits, typically not challenging when observed visually, exacerbated the difficulty for individuals with congenital blindnes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strategies for developing meaningful tactile material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 예비교사를 위한 수업 멘토링 사례 연구

        고아라(Ara Ko),박지은(Ji Eun Park),고상훈(Sang Hoon Ko)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3 초등교육연구 Vol.- No.27

        본 연구는 교육대학 재학생과 현장 교사가 수업 탐구대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실시한 일대일 멘토링 사례를 담고 있다. 멘토링 과정에서 작성한 수업계획안, 논의 내용, 성찰록을 토대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수업 멘토링의 필요성과 방법과 제안하고자 한다. 1절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정리했다. 2절에서는 멘토링의 과정과 내용을 시간적 순서에 따라 상세히 기술하였다. 3절은 멘토링의 결과를 서술하고 사례를 통해 얻게 된 시사점을 정리해 보았다. This study contains a one-on-one mentoring case conducted by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and field teacher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a class exploration contest Based on the class plan, discussion contents, and reflection minutes prepared in the mentoring process, I would like to propose the necessity, method, and method of class mentoring for pre-service teachers. Section 1 summariz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In Section 2, the process and content of mentoring are described in detail in chronological order. Section 3 describes the results of mentoring and summarizes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examples.

      • 성별에 따른 SW·AI 분야의 진로 선호도 요인 탐색

        고아라(Ara Ko),배진아(Jinah Bae),조정원(Jungwon Cho)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7 No.2

        정부는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을 위해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 기본계획’을 기반으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공계 분야의 성별 불균형은 여전히 존재한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여학생들이 이공계열 전공 및 직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데이터 기반의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대-가치 이론을 바탕으로 성별에 따른 진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SW·AI 캠프에 참여한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대는 자기효능감, 가치는 내적 가치와 유용 가치로 구분하여 진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고, 결과적으로 내적 가치와 유용 가치가 진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성별에 따른 분석 결과, 남학생들은 전체 데이터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유용 가치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학생들은 내적 가치만이 진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성별에 따라 진로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달라서 여학생들의 이공계열 유입을 위해서는 해당 분야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 설계가 필요하다.

      • 잔류농약의 식이노출량 평가를 위한 국민건강영양조사 미산출 식품 섭취량 산출 연구

        고아라 ( Ara Ko ),주효정 ( Hyojung Ju ),이헌주 ( Hunjoo Lee ),이중근 ( Joong Keun Lee ),김문숙 ( Moon Sook Kim ),정해랑 ( Hae Rang Chung )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농산물에 적용되는 농약의 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해서는 우리나라 국민의 섭취량에 대한 정확 한 이해가 매우 중요한 데 현재 국민건강영양조사 (이하 국건영) 섭취량 자료이나 본 조사의 식품 코드 체계로는, 혼합식품에 사용된 원재료별 섭취량을 산출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식품 중 잔류농약 위해평가에 필요한 식품 원재료 섭취량 DB와 이를 이용한 원재료 섭취량 산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잔류농약 위해평가를 위한 주요국의 식품 섭취량 산출 방법을 조사하고, 국건영 자료를 식약처의 “유해물질 모니터링 자료관리·평가 시스템(MIMS/MAP)”과 연계하여, 제5기(2010- 2012년) 및 제6기(2013-2015년) 총 6개년의 연차별 내지는 전체 통합 섭취량 산출을 위한 DB 및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산출한 국건영 자료 품목 중 다른 품목 레시피의 구성 성분으로 속한 품 목의 경우, 기존 식약처 보유 국제특허인 “식품원재료 섭취량 산출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및 알고리즘을 분석, 적용하였다. 또한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오류를 보정하고 정확성과 신속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B+Tree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섭취량 산출이 필요한 대상 총 653 품목 중국건영에서 섭취한 것으로 조사된 품목은 총 448 종이었다. 현재까지 224 품목에 대한 섭취량을 산출하였으며, 이 중 50여 품목에 대하여는 레시피를 반영하여 정교한 섭취량을 산출하고 있다. 국건영에서 조사되지 않은 품목은 총 205 종으로, 이는 주로 국건영에서 섭취량 파악이 어려운 소규모 면적의 재배작물이거나 최근 수입이 급증한 품목이다. 본 품목에 대해서는, 생산량, 수입량 및 재배면적 등을 고려한 추정 방법을 검토 중에 있다. 본 시스템이 구축되면 국건영 섭취량 자료의 식품코드 만으로도 완결성을 가진 식품에 대한 섭취량을 산출하고, 가공식품 등 혼합식품에 사용된 양을 포함하여 개별 원재료의 섭취량을 산출하며 소규모 면적 재배 작물 등 국건영에 포함되지 않은 식품 원재료의 섭취량도 산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인성 함양 지속가능발전교육 융합 모델 개발

        고아라(Ara Ko),남영숙(Young-Sook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이 연구는 인성 함양 지속가능발전교육 융합 모델을 강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 상의 초등학교 5~6학년군 교과 목표, 내용요소와 성취기준과 학습활동을 분석, 인성 요소와 융합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문헌연구로 진행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인성 함양 지속가능발전교육 융합 모델 주제를 선정하고, 인성 함양 지속가능발전교육 융합 모델 및 사례를 개발하였다. 타당도 제고를 위해서는 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하여 학습 주제 선정, 교육역량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모델 개발 전반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 함양 지속가능발전교육 융합 모델 개발의 원칙은 융합된 역량 선정, 융합 성취기준 활용, 삶과 연계한 방식 진행이다. 둘째, 인성 함양 지속가능발전교육 융합 모델 개발을 위한 주제를 선정하기 위해 관련 교과별 성취기준을 추출하고, ESD 성취기준을 개발하며, 융합 목표를 도출한 후, 융합 모델 주제를 선정하였다. 셋째, 인성 함양 지속가능발전교육 융합 모델 및 사례를 개발하기 위해 기획, 준비, 개발, 개선의 단계를 거친다. 2022 개정 5~6학년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도시’를 소재로 한 ‘우리 도시를 더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한 협력과 아이디어’를 주제로한 인성 함양 지속가능발전교육 융합 모델의 프로젝트 10차시를 개발하였다. 결론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요소별 성취기준이 필요하다. 인성 함양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다양한 융합 모델이 중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convergence model for character cultivation and edu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ESD). Methods To this end,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ubject goals, content elements,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activities of the 5th to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contents of ESD fused with personality elements. Based on the analysis, the subject of the personality cultivation ESD convergence model was selected, and the personality cultivation ESD convergence model and case were developed. To improve the validit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five experts to collect opinions on the selection of learning topics, educational competencies and goals,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valuation, and model development as a whol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le of developing a convergence model for person-ality cultivation and ESD is to select convergent competencies, use convergence achievement standards, and pro-ceed in a way linked to life. Second, after extracting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related subject, developing ESD achievement standards, and deriving convergence goals, convergence model topics were selected to select topics for the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model for personality cultivation and ESD. Third, it goes through the stages of planning,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to develop a convergence model and case for personality cultivation and ESD. For the 2022 revised 5th to 6th grade curriculum, the 10th session of the project of a convergence model for personality cultivation and ESD under the theme of “Cooperation and Ideas to Make Our City a Better Place” was developed. Conclusions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element of ESD are needed. Various convergence models for per-sonality cultivation and ESD are important.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분석 및 교과서 개발 방향 제시

        고아라(Ara Ko),남영숙(Young-Sook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5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시안)과 교과별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에 제시된 내용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 핵심 내용과 관련 내용 요소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과서 개발 방향 도출에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과 각론의 교과별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에 서술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내용 분석을 위해서는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속가능발전교육 핵심내용과 관련 내용 요소를 선정하여 준거로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에는 지속가능발전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는데, 사회적·환경적·경제적 관점을 각각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관점별 분석결과 사회적 관점의 9개의 내용 영역 중 7개가, 환경적 관점은 9개의 내용 영역 중 4개, 경제적 관점은 4개의 내용 영역 중 1개만이 반영되어 있다. 이로써 관점별로 균형있는 보완이 필요한데, 특히 경제적 관점에서의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각론 중 5~6학년 교과별 목표에는 수학을 제외한 모든 교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을 포함한 대부분의 목표는 사회적 관점의 내용영역에 치중되어 있다. 성취기준은 목표, 내용 체계보다도 많은 지속가능발전교육 핵심 내용과 내용 요소를 담고 있다. 셋째, 2022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한 교과서 개발 시에 지속가능발전교육 세 가지 관점을 골고루 반영하도록 해야 한다. 관점 내에서도 다양한 내용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은 모든 교과 과목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결론 불확실한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요구가 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이 연구의 결과는 2022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 (draft) and its alignment with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extbook development. Methods The research examines the subject-specific objectives, content system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erms of their relevance to the core content and elements of ESD. The study's objective is implemented by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draft), subject-specific objectives, content systems, and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subject, while selecting relevant elements of ESD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sults Firstly, the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draft) is evaluated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encompassing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spectives of ESD. The analysis reveals that seven out of the nine social perspectives are reflected, while only four out of the nine environmental perspectives and one out of the four economic perspectives are included.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a more balanced approach across all perspectives. Secondly, all subjects except mathematics incorporate elements of ESD in their subject-specific objectives for fifth and sixth grades. However, apart from some environmental perspectives found in ethics, society, and practical arts, the objectives predominantly align with the social perspective. Achievement standards demonstrate a higher inclusion of core contents and content elemen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compared to objectives and content systems. Lastly, textbook development based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hould ensure equal representation of all three perspectives of ESD, with diverse content elements included within each perspective. It is crucial to incorporate ESD into all subjects. Conclusions The study emphasizes the growing demand for ESD to prepare for future societies. The findings serve as fundamental guidelines for the application of ESD in textbook development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desirable textbooks.

      • KCI등재

        특수교육 분야 국내 내러티브 탐구 동향분석(2000~2021)

        고아라(Ara Ko),홍재영(Jaeyoung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이 연구는 국내 특수교육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특수교육 분야에서 내러티브 연구를 실행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의 방향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1년까지의 국내 특수교육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 연구 51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분석 준거를 설정하였으며, ‘학술지, 발행 연도, 연구 참여자, 참여자 수, 연구 주제, 장애 영역, 참여자 수, 자료형성 방법, 면담 기간 및 횟수’를 준거로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분석대상 논문 중 6편(11.8%)이 ‘유아특수교육연구’, 5편(9.8%)이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에 실려 있어 51편의 논문 중 11편(21.6%)이 2개의 학술지에 게재되어 있었다. 발행 연도는 2004년 1편을 시작으로 2021년에 8건이 발행되어 내러티브 탐구 연구의 증가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교사 24편(40.7%), 일반교사 12(20.3%)편으로 교사 참여 연구가 많았으며, 참여자의 수는 3명(25.5%), 1명(21.6%), 2명(15.7%)으로 1~3명인 경우가 다수를 차지했다. 연구 주제는 교육과정 및 수업, 통합교육과 같은 직접적인 학생 지도를 주제로 한 연구가 많았다. 장애 영역의 경우 특정 장애 영역을 한정하지 않고 장애 전반을 다룬 연구가 26편(46.4%)으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단일 장애 영역으로는 시각장애, 중복장애가 각 5편(8.9%)으로 가장 많았다. 자료형성 방법은 개별 면담과 현장 자료를 함께 수집한 경우가 33편(64.7%)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면담 기간은 1개월 미만에서 12개월까지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개별 면담 횟수는 3~4회가 17편(27.4%)으로 가장 많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내러티브 탐구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researchers who want to carry out narrative inquiry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Methods 51 narrative stud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were analyzed from 2000 to 2021. For analysis, analysis criteria were established through a review of prior research, and based on this, analyzed by journal, publication year, research participants, number of participants, research topics, disability area, number of participants, data formation methods, interview period and number of tim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1.8% of the papers to be analyzed were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9.8% i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with a total of 21.6% published in two journals. The publication started with 1 paper in 2004, 8 papers were published in 2021, confirming the increasing trend of narrative inquiry research. As for the participants, 40.7%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20.3% of general teachers were involved in the study.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1~3 people accounting for the majority. Most of the research topics were instruction and curriculum operation experiences. In the case of the disability area, 46.4% of the studies dealt with the overall disability without limiting the specific disability area, and 8.9% of the single disability area were visual impairment and Multiple disability, respectively. As for the data formation method, 64.7% of them collected individual interviews and field text together. The interview period showed an even distribution from less than 1 month to 12 months. As for the number of individual interviews, 3~4 times were the most at 27.4%.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inquiry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