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출혈성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변화 및 연관 요인에 대한 추적조사

        박민수(Minsu Park),민지홍(Ji Hong Min),고성화(Sung Hwa Ko),이상원(Sang Won Lee),고현윤(Hyun Yoon Ko),신용일(Yong Il Shi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2

        출혈성 뇌졸중 후 인지기능의 저하는 장기적 기능회복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인자이다. 이에 저자들은 출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주요 회복시기에 따른 인지기능의 변화와 일상생활활동 독립수준 및 삶의 질의 변화를 추적하고, 인지 기능 변화와 관련된 연관 요인을 파악하며, 이를 통한 향후 관리 방안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1개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초발 출혈성 뇌졸중 환자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발병 후 7일, 발병 후 3개월, 발병 후 6개월, 발병 후 12개월 시점에 Glasgow Coma Scale (GCS), 한국형 정신상태 간이검사(K-MMSE), 한국판 수정바델 지수(K-MBI), 건강관련 삶의 질 지수(EQ-5D)를 사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인지기능을 포함한 전반적인 기능 변화와 관련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K-MMSE는 발병 후 7일 13.32±11.80점, 3개월 15점, 6개월 17점, 12개월에 18점으로 의미 있는 회복을 보였으며(p=0.007), GCS, K-MBI, EQ-5D와 같은 다른 기능 평가에서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의미 있는 개선을 보였다(p<0.01). 발병 12개월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서 발병 당시의 연령 및 출혈성 뇌졸중의 유형, 발병 7일의 GCS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출혈성 뇌졸중 환자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인지 기능을 포함한 전반적인 기능 회복이 발병 후 1년까지도 이루어짐을 확인하였고, 이에 관련된 연관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출혈성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에 대한 이해와 그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 및 치료의 필요성을 높일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We investigated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s,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and quality of life (QoL) after hemorrhagic stroke and identified associated factors. For this research, twenty-five patients with a hemorrhagic stroke were enrolled. We measured cognitive func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and quality of life (QoL) from 7 days to 12 months after onset of stroke. Then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other risk factors. According to results, cognitive functions improved during 12 month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ther functions were similar to cognitive functions.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s were correlated with age, the type of hemorrhagic stroke and Glasgow coma scale at 7 days after stroke. Overall,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hemorrhagic stroke recovered from acute to 12 months after onset of stroke. And,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t this phase were associated with age, the type of hemorrhagic stroke and GCS score at 7 days. These results would provide us an information to plan cognitive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hemorrhagic stroke.

      • KCI등재

        뇌졸중 후 우울의 장기적 변화 및 연관 요인

        김은주(Kim Eun Joo),신용일(Shin Yong Il),김경미(Kim Kyeong Mi),박민수(Park Min Su),허성철(Huh Sung Chul),이해인(Lee Hae In),고성화(Ko Sung Hwa)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5 재활복지 Vol.19 No.4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발병 24개월 동안 추적관찰을 통해 발병 이후 시기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의 발생빈도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229명의 국내 초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급성기 또는 아급성기(T0), 발병 6개월(T1), 발병 12개월(T2), 발병 24개월(T3)에 단축형 우울 검사, 한국형 정신상태 간이검사, Fugl-Meyer Asessment기능적 보행능력 검사, 한국판 수정바델 지수를 이용하여 각각 우울, 인지기능, 운동기능, 보행능력, 일상생활동작능력을 평가하였다. 발병 시기별 우울빈도는 T0에 37%, T1에 19%, T2에 16%,T3에 8%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이중 성별 및 발병원인에 따른 빈도차이는 없었으나,연령에서 65세 이상의 환자가 더 높은 빈도를 보였다. 우울과 관련된 요인은 T0, T1, T2에서는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고, T3에는 인지기능과 보행기능이 뇌졸중 후 우울과 연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장기적 우울 평가의 필요 성과 각 시기별 환자의 기능에 따른 우울 정도를 추정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우울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post-stroke depression. This study design is prospective longitudinal follow-up. A total of 229 patients of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pression was measured using the 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The prevalence assessments were performed at acute or subacute stage (T0), 6 months after onset of stroke (T1), 12 months after onset of stroke (T2) and 24 months after onset of stroke (T3).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post-stroke depression, we evaluated cognitive function, motor function, ambulatory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e prevalence of post-stroke depression were 37%, 19%, 16% and 8% at T0, T1, T2 and T3, respectively. Post-stroke depression were more frequent in over 65 years old. Post-stroke depression was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at all T0 to T3, activity of daily living at T0 to T2 and ambulatory function at T3. The prevalence of post-stroke depression was decreased gradually after onset of stroke. Cognitive function affected post-stroke depression from acute to 24 months after onset of stroke. This study showed the assessment and understanding of the post-stroke depression is an important part of rehabilitation after stro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