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가뭄지도제작 시스템

        이광야 ( Gwang Ya Lee ),이상일 ( Sang-il Lee ),고보성 ( Bo Sung Koh ),한정호 ( Jeong Ho Han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농업가뭄지도제작 시스템은 2016년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2017년 1월부터 범부처 가뭄 예·경보제도 정식 운영에 따른 지원방안 마련 필요성(운영지원)과 농업분야 대외상황 및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통합적인 접근 대두에 따라 현재 까지 진행 되었던 저수율과 토양수분만으로 농업가뭄을 판단하는데 한계점이 있어 유관기관 간에 기초자료의 시스템 연계 방안 마련, 영농대비 용수확보 방안 제시, 한해대책 시행 시기 결정 등의 보다 효과적인 농업가뭄 예측과 대책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업·농촌부문 가뭄대응 종합대책」 중 가뭄대책(4대전략 16대과제) 일환으로 농업가뭄지도 및 가뭄상황판단을 통한 선제적 가뭄대처를 위해서 농업용수 정책 의사지원 및 대농민 가뭄(물 절약) 대응 기반 구축과 범부처 가뭄 예·경보 운영지원을 통한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가뭄의 과학적 분석 및 의사결정지원 체계마련을 하고, 농업가뭄 관련 기초DB 구축 확대 및 농업가뭄 분석능력 강화를 통한 농업가뭄의 선제적 대처를 위한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며, 가뭄분석 및 예측정보 공유를 통한 항구적 가뭄대책 추진 지원을 통한 대내외 가뭄정보 제공으로 상시가뭄대응체계를 구축한다. 궁극적으로 농업·농촌 가뭄관련 각종 기초정보를 수집·생산·통합하고, 가뭄상황 분석 및 향후 전망을 통하여 가뭄 전 주기(예방-대비-대응-복구)를 대상으로 선제적·체계적 가뭄관리가 가능하도록 농업가뭄지도제작시스템을 구축한다.

      • 농업용수 유역 물수지 분석 모델 개발 및 적용

        윤동현 ( Dong-hyun Yoon ),남원호 ( Won-ho Nam ),정석제 ( Seok-je Jeong ),고보성 ( Bo-sung Koh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국가물관리기본법에 의거하여 통합물관리 정책에 부합하는 농어촌용수 계획 및 관리를 위한 유역 및 용수구역 단위의 농업용수의 공급 및 수요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현재 농업용수는 개수로 방식 용수공급체계 및 수문 직접조작에 의한 용수배분체계로 공급량 대비 사용량의 비율이 48%에 불과하고, 농경지 상류와 하류의 공급량 차이가 크게 발생하며, 경지면적 감소가 공급 필요량 감소로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농업용수의 경우 기존 국가유역수자원 모델(K-WEAP, MODISM)을 통한 물수지 분석시 순물소모량 개념의 회귀수량 산정으로 공급량과 회귀량의 왜곡이 발생하고 있으며, 소규모 유역 단위의 수리시설물들을 하나의 수요처로 가정한 후 분석하여 농어촌용수구역의 특성 및 실제현장을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실제 농업용수의 물수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용수 공급 우선순위, 실제유역 내 수요처별 물수급, 세분화된 인자 구축 등 개념 및 방법론적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안성에 위치한 안서 농어촌용수구역을 대상으로 용수구역 내 수리시설물, 수혜면적, 하천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소유역별 유입량, 농업용수 수요량 및 공급량 자료를 활용하여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현장조사를 통한 주 수원공 및 보조 수원공의 면적 누락 및 오류 등 노후화된 수혜면적 자료를 보정하고 시군 및 공사 관리 저수지, 양수장, 취입보, 관정 등 총 106개 개별 시설물을 39개 지구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 유역단위 농업용수 연계 물수지 분석 모델 개발 및 적용

        윤동현 ( Dong-hyun Yoon ),남원호 ( Won-ho Nam ),정석제 ( Seok-je Jeong ),고보성 ( Bo-sung Koh ),김경모 ( Kyung-mo Kim ),김상우 ( Sang-woo Kim ),박진현 ( Jin-hyeon Park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통합물관리 정책에 따른 농어촌용수 이용 효율화, 농어촌용수구역 단위의 농업용수 물수지 분석 등 농업용수의 정량화·과학적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농업용수는 내리흘림식 개수로 방식의 용수 공급과 경험적인 용수 배분 체계로 공급 효율이 48%에 불과하며, 기초자료가 부족하여 농업용수의 수요량, 공급량, 회귀량 등과 같은 정량적 용수량 추정에 한계점이 있다. 농업용수의 물수지 분석은 국가물관리기본계획, 농어촌용수이용합리화계획 등 물관련 법정 계획 수립시 수행되고 있다. 각 계획은 목적에 맞는 물수지 분석 모델을 활용하고 있으나, 농업용수 분석시 방법론적 측면에서의 한계점이 있다.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의 경우 저수지와 하천시설의 수요처를 구분하지 않아 분석 결과가 현장의 물공급 실태와 차이가 있으며, 순물소모량 개념의 일률적인 회귀율 반영으로 물수지 분석 전반의 왜곡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농어촌용수이용합리화계획의 경우 하천용수량을 고려하지 않고 단일 저수지 대상의 물수지 분석만 수행하며, 하천 연계, 시설물 간 연계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물수지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고 실제 현장을 반영할 수 있는 유역 단위의 연계 물수지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안성천 중권역을 대상으로 저수지, 양수장, 취입보 등 수리시설물의 공간 자료를 구축하여 농업수리시설물의 상하류 관계를 정의하고, 이에 따른 물수지 분석과 하천 흐름에 기반한 소유역 단위의 하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향후 국가 물수급 표준모델(K-MODSIM)과의 연계, 농어촌용수이용합리화계획의 농업용수 유역단위로 물수지 분석이 가능한 표준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GIS를 이용한 농촌용수구역 정보 검색시스템 개발

        고보성,김선주,이광야 한국농업정보과학회 2003 농업정보과학 Vol.4 No.1

        The main issues on the demand and supply of water in rural areas are optimization of th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rovision of infrastructure in agriculture by appropriate utilization and conservation, and conservation of rural environment. However, the characteristics in using rural water was not properly considered in the management of rural water, since rural water has not been managed by the watershed unit but by the administrative unit due to the conven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neate rural water districts to reflect property of rural water and to build spatial database for analysis of using rural water, to develop a prototype GIS system for query an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system with applying it to a tested site. This system also aims to provide various analyses based on a standardized common watershed map, which was generated and harmonized by different ministries of the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