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합병증이 병발된 슬관절 치환술에 시행한 관절경술의 효용성

        김경태,이송,고동오,김관수,김태우,박순열,Kim, Kyung-Tae,Lee, Song,Ko, Dong-Oh,Kim, Kwan-Soo,Kim, Tae-Woo,Park, Soon-Youl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1

        목적: 슬관절 치환술 후에 발생한 합병증의 치료를 위해 시행한 관절경술의 결과를 알아보고 그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5월부터 2008년 6월까지 본원에서 슬관절 치환술을 시행받은 후 합병증으로 인하여 관절경적 치료를 받았던 25예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25예 중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았던 경우가 19예, 부분치환술을 시행받았던 예가 6예였다. 모든 환자에서 관절경을 시행하기 전에 합병증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 이학적 검사와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관절액 천자 및 혈액학적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결과: 관절경술 시행 시 진단으로는 전치환술을 시행한 예에서는 감염 11예, 관절의 유착 및 섬유화로 인한 운동 제한 6예, 연부 조직의 충돌 2예 등이 있었으며, 부분 치환술을 시행한 예에서는 반월상 연골 파열, 유동성 치환물의 아탈구, 혈관절증, 관절 내 시멘트 유리체, 연부 조직 충돌 및 슬관절 강직으로 인한 운동 제한이 각각 1예 씩 총 6예가 있었다. 감염이 있던 11예 중 9예에서 관절경술만으로 치료가 되었고, 관절 강직이 있던 7예는 평균 슬관절 운동 범위가 술 전 $65^{\circ}$에서 최종 추시 시 $105^{\circ}$로 향상 되었으며, 나머지 예에서도 관절경술로 성공적인 치료 결과를 보였다. 결론: 슬관절 치환술 후 발생한 합병증의 치료로 시행한 관절경술은 적절한 환자의 선택 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outcome of arthroscopic treatment for the complications of knee arthroplasty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rthroscopy.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25 patients who underwent arthroscopy to treat complications of knee arthroplasty between May 1992 and June 2008. Nineteen cases out of 25 had total knee arthroplasty (TKA) and the remaining 6 cases had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Before arthroscopy, physical examinations and radiographic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to find out the causes of complications. Joint fluid aspiration and hematologic evaluation were added when infection was suspected. Results: Among the diagnosis at the time of arthroscopy, there were 11 cases of infection, 6 cases of stiffness due to adhesion and fibrosis, and 2 cases of soft tissue impingement in the cases of TKA. Among the cases of UKA, one for each case of meniscal tear, subluxation of mobile insert, hemarthrosis, cement loose body, soft tissue impingement, and stiff knee was found. Nine out of 11 patients who had infection were treated successfully with arthroscopy but the remaining 2 cases underwent revision arthroplasty. Seven patients with arthrofibrosis had improved range of motion from $65^{\circ}$ preoperatively to $105^{\circ}$ postoperatively. The others also showed successful results after arthroscopy. Conclusion: Arthroscopy to treat complications after knee arthroplasty was a safe and effective method when appropriate selection of patients was made.

      • 3개의 유관 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족근 관절 고정술

        김경태,이송,고동오,양승진,전태환,양종화,Kim, Kyung-Tae,Lee, Song,Ko, Dong-Oh,Yang, Seung-Jin,Chun, Tae-Hwan,Yang, Jong-Hwa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3

        목적: 말기 족근 관절염 환자에서 시행한 3개의 유관 나사와 관절경을 이용한 족근 관절 고정술의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평가하여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5월부터 2009년 2월까지, 관절경하에 3개의 유관 나사를 이용하여 족근 관절 고정술을 시행한 족근 관절 관절염 환자 15명,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8명, 여자가 7명 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62.2세였다. 임상적으로 수술 전과 수술 후의 미국 정형외과 족부 족관절 학회(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의 족관절-후족부 기능 평가 기준(ankle-hindfoot functional scale), 시각 상사 척도 동통 점수(visual analogue scale pain score) 및 환자의 만족도를 평가하였고, 방사선적으로 방사선 전후, 측면과 mortise 사진을 측정하여 골유합을 확인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4.2개월이었다. 결과: 족관절-후족부 기능 평가 기준은 수술 전 평균 47.4점에서 수술 후 최종 추시에서 평균 82.5점으로 향상되었고, 시각 상사 척도 동통 점수는 수술 전 평균 8.6에서 최종 추시 시 평균 2.4로 감소되었다. 환자의 만족도는 7예(41.2%)에서 매우 만족, 8예(47.0%)에서 만족(good), 1예(5.9%)에서 보통, 1예(5.9%)에서 불만족 소견을 보였다. 모든 예에서 족근관절은 성공적으로 골유합이 되었으며 유합의 평균 시간은 9.1주였다. 결론: 관절경하에서 3개의 유관 나사를 이용한 족근 관절 고정술은 좋은 임상 결과와 높은 골유합을 얻을 수 있어 진행된 족근 관절염에서 시행 할 수 있는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evaluated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of arthroscopic ankle arthrodesis using 3 cannulated screws for the treatment of arthritis of ankle.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06 to February 2009, 17 cases of arthritis of ankle were treated by ankle arthrodesis using 3 cannulated screws under arthroscopy. There were 8 male and 7 female and the average age was 62.2 years. We evaluated them clinically using AOFAS ankle-hindfoot functional scale, VAS pain score and patient’s satisfaction. For the radiographic evaluation, we checked them by simple AP, lateral and mortise view.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4.2 months. Results: The ankle-hindfoot functional scale was improved from an average of 47.4 points preoperatively to an average of 82.5 points at the last follow-up. The visual analogue scale pain score was decreased from an average of 8.6 to 2.4. Patient's satisfaction had favorable results with excellent in 7 cases(41.2%), good in 8 cases(47.0%), fair in 1 case(5.9%) and poor in1 case(5.9%). All ankles were successfully fused and the mean period of fusion was 9.1 weeks. Conclusion: Arthroscopic ankle arthrodesis using 3 cannulated screws was good modality of ankle arthrodesis with good clinical results and high union rate in the case of advanced ankle arthritis.

      • KCI등재
      • KCI등재

        슬관절 부분치환술 실패 후 시행한 슬관절 전치환술

        김경태(Kyung Tae Kim),이송(Song Lee),고동오(Dong Oh Ko),이정수(Jung Soo Lee),부경환(Kyung Hwan Boo),홍성원(Sung Won H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5

        목적: 슬관절 부분치환술 후 발생한 실패의 원인을 규명하고 전치환술로 재치환술 시행 시 수술 수기상의 고려해야 할 사항과 임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11년 6월까지 852예의 슬관절 부분치환술을 시행한 후 실패가 발생한 47예를 대상으로 실패의 원인을 분석하였고, 실패가 발생하여 전치환술로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소견 및 수술 방법을 분석하고 임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부분치환술 후 실패의 원인으로는 치환물의 조기 해리가 22예, 유동성 삽입물의 단독 탈구가 17예, 감염으로 인한 실패가 5예, 내측 경골과 골절 1예 및 원인을 알 수 없는 통증으로 인한 실패가 2예 있었다. 전치환술로 치료한 35예의 수술 소견상 27예에서 치료가 필요한 골 결손이 발견되었으며 수술 시 자가골 이식 5예, 금속 보강물 사용 21예 및 금속 보강물과 자가골 이식을 같이 사용한 경우가 1예 있었으며 주대는 경골부에만 사용한 경우가 19예, 경골과 대퇴부에 모두 사용한 예가 1예였다. 술 후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총 30예에서 슬관절 점수와 기능 점수는 수술 전 평균 68.2점과 67.7점에서 최종 추시 시 85.2점과 78.0점으로 향상되었다. 슬관절의 운동 범위는 술 전 평균 107.2o에서 최종 추시 시 120.7o로 회복되었고 체중 부하 방사선 사진상 대퇴경골각은 수술 전 평균 외반 1.7o에서 외반 5.2o로 변화하였다. 결론: 슬관절 부분치환술 실패 후 시행하는 전치환술에서는 경골부의 골 결손이 가장 중요한 문제로 자가골 이식과 금속 보강물 및 주대 등을 사용하여 정확히 수술하고 이와 함께 적절하게 적응증을 선택한다면 슬관절 부분치환술 후 전치환술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identify the causes of failure after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and to evaluate considerations for surgical procedures and the results of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TKA) performed after failure of UKA. Materials and Methods: Eight hundreds and fifty-two cases of UKA were performed from January 2002 to June 2011. Fortyseven cases of failures after UKA were analyzed for the cause of the failures, and thirty-five cases of revision TKA after failure were analyzed for the operative findings and surgical technique. The clinical results were measured for thirty cases which were followedup on at least two years after TKA.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four years and one month after revision TKA and the mean patient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sixty-five years. Results: For the cause of failures after UKA, there were twenty-two cases of early loosening of prosthesis, seventeen cases of simple mobile bearing dislocation, five cases of infection, one case of fracture of medial tibial condyle and two cases of unknown origin pain. In operative findings of thirty-five cases of TKA after failed UKA, there were twenty-seven cases of bone defect requiring treatment and the mean thickness of the defect was 10.6 mm. For the treatment of bone defect, there were five cases of autogenous bone graft, twenty-one cases of metal blocks, and one case of autogenous bone graft with metal block. The stem was used in tibial implants for nineteen cases, and one case of use in tibial and femoral implants. For thirty cases where follow-ups were possible at least two years after operation, the mean knee score was improved from 68.2 to 85.2 and the mean knee function score was improved from 67.7 to 78.0 at the last follow-up, respectively. The mean range of knee motion was 107.2o pre-operatively, which was recovered to 120.7o after the operation. The mean tibiofemoral angle was changed from 1.7o of valgus to 5.2o of valgus. Conclusion: As shown in this study, the tibial bone defect was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revision TKA after failure of UKA. Therefore, proper indication and accurate surgical technique using autogenous bone graft, metal block and stemmed implants would be able to achieve satisfactory results in revision TKA after failure of UKA.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2차 관절경 검사 소견 - 이식건 주위의 변화 -

        한성호,양보규,이승림,정선욱,황훈,고동오,권기두,Hahn Sung-Ho,Yang Bo-Kyu,Yi Seung-Rim,Chung Shun-Wook,Hwang Hoon,Ko Dong-Oh,Kwon Gi-Doo 대한관절경학회 2001 대한관절경학회지 Vol.5 No.1

        목적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후 시행한2차 관절경 소견을 통하여 이식건 주위의 반흔 조직의 형태와 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11월부터 1999년 6월 사이에 본원에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고 2차 관절경 검사를 시행한 환자중 임상적 증상이 없는 14명 1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학적 검사 및 단순 측면 방사선 검사 상 터널의 위치를 측정하였는데 경골 터널은 경골 고평부 전-후방 길이에서 터널 위치를 백분율로 표시하였고 대퇴골 터널은 Blumensaal선 전-후방 길이에서 터널 위치를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2차 관절경 검사에서 이식건 주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단순 방사선 측면 사진 상 경골 터널의 위치는 $27\%$에서 $58\%$로 평균 $41\%$였으며 대퇴 골 터널의 위치는 $58\%$에서 $83\%$로 평균 $76\%$로 모든 예에서 이상적으로 위치하였으며 관절경 소견상 모든 예에서 이식건 감입 현상은 없었으며 3예를 제외한 대부분의 예에서 대퇴과간 절흔과 이식건 사이 혹은 이식건 주위에 섬유성 반흔 조직 형성을 하였는데 그 형태로는 세동성 섬유(fibrillated fiber)가 6예, 섬유성 결절(fibrous nodule)이 5예, 섬유성 띠 (fibrous band)가 1예 있었다. 결론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후 이식건의 감입 현상 없어도 이식건 주위에 섬유조직의 형성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Purpose : To evaluate the types of the fibrous scar formation around graft after ACL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Nov 1997 and Jun. 1999, the second look arthroscopy was performed on 15 knees of 14 patients. We evaluated the changes around graft and measured the tunnel position that the tibial tunnel position as a percentage along the length of the tibial plateau from the anterior-to-posterior as seen on a lateral radiograph and the femoral tunnel position as a percentage along Blumensaat's line from anterior-to-posterior as seen on a lateral radiograph. Results : The tibial tunnel position was from $27\%\;to\;58\%(mean\;41\%)$ and the femoral tunnel position was from $58\%\;to\;83\%(mean\;76\%)$, so the tunnel position was ideal in almost cases. By arthroscopic findings, the grafts were not impinged in all cases and tile fibrous scar was formed between intercondylar notch and graft in almost cases except 3 cases. The types of fibrous scar formation were 6 cases of fibrillated fiber and 5 cases of fibrous nodule and 1 case of fibrous band. Conclusion : There was no impingement on graft in all cases and various types of fibrous scars were formed around grafts.

      • KCI등재

        65세 이상의 고령에서 사용한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의 하이브리드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최소 5년 이상 추시 결과-

        이송 ( Song Lee ),김진학 ( Jin Hak Kim ),고동오 ( Dong Oh Ko ),전영원 ( Young Won Jeon ),양승진 ( Seung Jin Yang ),류창욱 ( Chang Wook Ryu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2

        목적: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하고 대퇴 스템만을 시멘트로 고정한 하이브리드형(Hybrid Type)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5년 이상의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2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65세 이상의 환자에게 시행한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하고 대퇴 스템을 시멘트로 고정한 하이브리드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47명(47고관절) 중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29명(29고관 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68.9세(65~73세)였으며, 추시 관찰 기간은 평균 74.6 개월(61~107 개월)이었으며 최소 5년 이상 추시하였다.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가 21예, 퇴행성 고관절염 2예, 류마티스 관절염 1예, 대퇴 경부 골절 4예, 결핵성 고관절염 1예였다. 임상적으로는 Harris Hip Score(HHS)를 측정하고 서혜부 및 대퇴부 동통 유무를 평가하였고, 방사선 학적으로는 비구컵과 대퇴 스템 주변 각각의 골 용해, 응력차폐 효과에 의한 골흡수, 불안정성, 비구 전염각과 경사각, 경부 전염각 대퇴 스템의 고정 위치를 평가하였다. 결과: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수술 전 56.3±1.4점에서 최종 추시시 92.3±1.1 점으로 향상되었고(p=0.013), 우수가 21 예 (72.4%), 양호가 8 예(27.6%) 였으며, 서혜부 및 대퇴부 동통은 없었다. 최종 추시 방사선 소견 상 비구컵과 대퇴 스템 주위 골용해가 발생한 경우는 한 예도 없었고, 응력 차폐 효과에 의한 골흡수 소견은 비구측 6예(20.7%), 대퇴부 3예(10.3%)에서 보였고, 안정성의 평가에서 비구컵은 모든 예에서 골성 안정성이였고, 대퇴스템은 1예(3.4%)에서만 가능성 해리를 보였다. 비구 전염각 평균은 18.4°±1.1, 경부 전염각 평균은 13.1°±0.9였고, 비구 경사각은 평균은 41.5°±1.3였고, 대퇴 스템은 모든 예에서 중립으로 삽입되었다. 합병증으로 고관절 후방 탈구는 1예(3.4%), 대퇴 삽입물 주위 골절이 1예(3.4%)였고 세라믹 관절의 파손은 없었다. 결론: 65세 이상의 고령에서의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시멘트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중기 추시 결과는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inimum five-year results of hybrid type total hip arthroplasty (THA) with ceramic-on-ceramic articulation and femoral stem fixation using cement in patients older than 65 yea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1999 to November 2002, a hybrid type THA with ceramic-on-ceramic articulation and femoral stem fixation using cement were performed in 47 patients (47 hips) older than 65 years of age. Among the 47 patients, 29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5 years. The mean age of these patients was 68.9 years (65~73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74.6 months (61~107 months). The postoperative diagnosis included AVN of the femoral head in 21 hips, Osteoarthritis in 2 hips, rhematoid arhthritis in 1 hip, femoral neck fracture in 4 hips and Tuberculosis in 1 hip. The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by the Harris hip score (HHS), hip and thigh pain, and radiologically by the level of osteolysis around acetabular cup and femoral stem, bone reabsorption by stress shielding, instability, acetabular and femoral stem anteversion, acetabular inclination and the femoral stem fixation site. Results: After surgery, the overall HHS improved from 56.3 ± 1.4 to 92.3 ± 1.1 points (p=0.013). Excellent and good results were obtained in 21 (72.4%) and 8 hips (27.6%), respectively. There was no case of thigh pain. Radiologically, there was no acetabular and femoral component osteolysis. Absorption by stress shielding was observed in 6 cases (20.7%) with an acetabular cup and 3 cases (10.3%) with a femoral stem. Bony stability was observed in all cases treated with an acetabular cup and possible loosening in 1 case (3.4%) treated with a femoral stem. Acetabular and femoral stem anteversion was 18.4°± 1.1 and 13.1°± 0.9 respectively. Acetabular inclination was 41.5°± 1.3. The femoral stem was inserted centrally in all cases. Complications included posterior dislocation of 1 hip (3.4%) and periprosthetic fracture of the femur in 1 hip (3.4%). There was no fracture of the ceramic component Conclusion: The mid-term results of hybrid type THA with ceramic-on-ceramic articulation and femoral stem fixation using cement were effective both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in patients older than 65 years.

      • KCI등재

        60세 미만과 60세 이상의 환자에서 시행한 슬관절 부분치환술의 결과 비교

        김경태(Kyung Tae Kim),이송(Song Lee),고동오(Dong Oh Ko),조근호(Kun Ho Cho),김관수(Kwan Soo Kim),김태우(Tae W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2

        목적: 60세 미만의 상대적으로 젊은 환자와 60세 이상의 고령의 환자에서 시행한 슬관절 부분치환술의 임상적 결과와 합병증 및 생존율 등을 비교 분석하여 연령과 부분치환술의 결과간에 상관 관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슬관절 부분치환술을 시행받은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 중에서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80명, 230예(60세 미만 89예-이하 Ⅰ군, 60세 이상 141예-이하 Ⅱ군)을 대상으로 추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슬관절 점수와 기능점수는 Ⅰ 군에서 술 전 평균 54.2점과 57.1점에서 최종 추시 시 87.3점과 85.2점으로 증가하였고 Ⅱ 군에서는 술 전 평균 54.7점과 54.3점에서 89.5점과 81.7점으로 향상되었다. 최종 추시 시 슬관절 운동 범위는 Ⅰ 군에서 평균 132.9°, Ⅱ 군에서 133.2°였다. 합병증으로 인한 치환술의 실패가 Ⅰ 군에서 5예, Ⅱ 군에서 5예가 각각 발생하였으며 치환물의 5년 누적 생존율은 Ⅰ 군이 94.7%, Ⅱ 군이 96.6%였다. 결론: 슬관절 부분치환술은 두 군 모두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최종 추시 시 슬관절의 기능 점수가 Ⅰ군에서 Ⅱ군보다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그 외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슬관절 부분치환술은 60세 미만의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서 시행할 수 있는 유용한 치료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wanted to assess the relations between age and the outcome of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based on a comparative study of UKA patients younger than 60 years and UKA patients older than 60 years of age.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patients who underwent a UKA between January 2002 and June 2003, 230 cases (the group of patients with ages under sixty consisted of 89 knees - group Ⅰ, and the group of patients with ages over sixty consisted of 141 knees - group Ⅱ)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5 years after the operation. Clinical assessments were made using the Knee Society Score (KSS) rating system. Results: The average KSS knee and function scores improved from 54.2 and 57.1 preoperatively to 87.3 and 85.2 at the last follow-up in group Ⅰ, and from 54.7 and 54.3 to 89.5 and 81.7 in group Ⅱ, respectively. The mean range of knee motion also improved from 129.4° to 132.9° in group Ⅰ and from 126.8° to 133.2° in group Ⅱ, respectively. There were 5 cases of failed UKAs in each group, and the survival rate of the implant at 5 years was 94.7% in group Ⅰ and 96.6% in group Ⅱ. Conclusion: The clinical results of UKA were satisfactory in both age groups. Group Ⅰ had better results on the knee function score at the last follow-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age groups. UKA can be a one of the reliable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in patients younger than 60 years of age.

      • KCI등재후보

        고관절 이극성 반치환술 후 비구 연골의 퇴화에 영향을 주는 위험 요인들의 분석

        김진학 ( Jin Hak Kim ),이송 ( Song Lee ),고동오 ( Dong Oh Ko ),박관영 ( Kwan Young Park ),전영원 ( Young Won Jeon ),양승진 ( Seung Jin Yang ) 대한고관절학회 2007 Hip and Pelvis Vol.19 No.2

        목적: 대퇴 경부 골절이나 전자간 골절로 진단받고 고관절 이극성 반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에 비구 연골의 퇴화 정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주는 위험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대퇴 경부 골절이나 전자간 골절로 진단받고 고관절 이극성 반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구 연골의 퇴화와 여러 위험 요인들의 연관성을 알기 위하여 임상적으로 Harris Hip Score(HHS), 활동력, 골다공증 유무, 좌식 생활 여부를 조사하였고, 방사선학적으로 수술 전후와 최종 추시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여 비구 연골의 침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고관절 이극성 반치환술 후 측정한 관절 간격의 감소는 평균 0.20 mm/yr이었다. 비구 연골의 퇴화는 남자는 평균 0.26mm/yr, 여자는 평균 0.19 mm/yr이었으며(p=0.039), 평균 70세 미만은 평균 0.29 mm/yr이었고, 70세 이상은 0.13 mm/yr이었다(p=0.021). 좌식 생활을 하는 환자는 0.24 mm/yr, 입식생활을 하는 환자는 0.18 mm/yr이었다(p=0.037). 시멘트를 사용한 환자는 0.22 mm/yr,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는 0.21 mm/yr이었다 (p=0.237). 골밀도 검사상 비구 연골 퇴화가 평균 이상인 군에서는 T-score가 -3.7, 평균 이하인 군에서는 -3.9이었고(p=0.254), 활동력 점수는 각각 4.3과 3.2이었고 (p=0.041), HHS는 각각 75점과 87점이었고(p=0.027), 대퇴 스템 정렬은 각각 내반 2도와 내반 1도였다(p=0.438). 결론: 비구 연골의 퇴화는 성별, 골다공증 유무, 대퇴스템 시멘트 유무와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나이가 젊을수록, 좌식 생활을 할수록, 활동력이 높을수록, HHS가 낮을수록 비구 연골의 퇴화가 심하였다. 따라서, 고관절 치환술시 환자의 나이, 좌식 생활여부, 활동력에 따라 반치환술 혹은 전치환술을 선별하여 시행하는 것이 좋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ate of acetabular cartilage wear, as well as the risk factors that are related to degeneration, for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femur neck or intertrochanteric fracture and who underwent bipolar hemi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3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femur neck or intertrochanteric fracture and who underwent bipolar hemiarthroplasty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and they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2 years. We examined potent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degeneration of acetabular cartilage and the various risk factors by comparing radiographs taken before and after operations. Results: After bipolar hemiarthroplasty, the average degenerative change in the acetabular cartilage was 0.20mm/yr. Specifically, the average appeared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p=0.039, Male: 0.26 mm/yr, Female: 0.19 mm/yr), age (p=0.02, the under 70-year olds: 0.29 mm/yr, the upper 70-year olds: 0.13 mm/yr), the life style, (p=0.037, the stand-up life style: 0.18 mm/yr, the sit-down life style: 0.24 mm/yr), (ED note: stand up and sit down made no sense.) and using femoral stem cementing (p=0.237, cement: 0.22 mm/yr, non-cement: 0.21 mm/yr). The bone mineral density score (p=0.254), activity score (p=0.041), HHS (p=0.027) and femoral stem alignment (p=0.438) were shown to be -3.7, 3.2, 87 and varus 1 degree for people with less than average degeneration of the acetabular cartilage and -3.9, 4.3, 75 and varus 2 degrees for people with more than average degeneration of the acetabular cartilage,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egeneration of the acetabular cartilage and patient gender, the presence of osteoporosis and using femoral stem cement. The degeneration of acetabular cartilage was faster for young patients, for patients with a sit-down life style, for a higher activity score or for a lower HHS. It is strongly recommended for surgeons to consider the patients` various conditions such as age, activity and a sit-down lifestyle when deciding between hemiarthroplasty and total hip arthroplasty.

      • KCI등재

        지혈대 압력에 따른 인공 슬관절 치환술 후 발생한 피하출혈양의 관계

        김지형 ( Jee Hyoung Kim ),이송 ( Song Lee ),김경태 ( Kyung Tae Kim ),고동오 ( Dong Oh Ko ),양종화 ( Jong Hwa Yang ),이정수 ( Jung Soo Lee ),김대근 ( Dae Geun Kim ) 대한슬관절학회 2011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3 No.1

        목적: 인공 슬관절 치환술 중 지혈대의 압력 차에 따른 수술 후 피하출혈의 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3월 4일부터 9월 16일까지 본원에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136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지혈대의 압력은 250 mm Hg와 320 mm Hg를 무작위로 선택 적용하였으며, I군 250 mm Hg 69예, II군 320 mm Hg 67예였다. 피하출혈 정도의 평가는 수술 후 3일 6일째 출혈이 가장 넓게 보이는 부분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모든 수술은 한 명의 술자에 의해 이뤄졌다. 결과: 250 mm Hg (I군)은 2예에서만 피하출혈이 관찰되었으나 320 mm Hg (II군)은 3일째 32예, 6일째 33예에서 피하 출혈이 발생하였다. 피하출혈은 3일과 6일 모두에서 유의하게 I군이 적었다(각각 p=0.000,p=0.000). 지혈대 압력에 따른 두 군의 지혈대 사용시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p=0.814), 다중회기분석 결과 두 군의 나이와 지혈대 적용 시간, 먼저 수술한 다리인지 나중 수술한 다리인지의 변수(1차 수술, 2차 수술 변수)는 무의미하였으나 지혈대 압력은 3일째, 6일째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고 250 mmHg (I군)의 피하출혈 양이 적었다(p=0.001). 결론: 피하 출혈의 발생과 지혈대 압력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지혈대의 압력을 낮춤으로 피하 출혈의 양을 낮출 수 있었다. 환자의 나이, 지혈대를 적용한 시간, 1차 수술 및 2차 수술 여부 등은 피하출 혈의 양과 무관하였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amount of subcutaneous bleeding according to the tourniquet pressure during total knee replacement.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136 patients who had undergone total knee replacement at our hospital from March 4th, 2010 to September 16th, 2010. A tourniquet pressure of 250 mm Hg was applied to 69 patients (group I) and a tourniquet pressure of 320 mm Hg was applied to the other 67 patients (group II). Subcutaneous bleeding was evaluated on the 3rd and 6th days after the operations. All of the total knee replacements were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Results: Among the group I patients, subcutaneous bleeding was seen in just 2 patients, yet among the group II patients, there were 32 patients with subcutaneous bleeding on the 3rd day and 33 patients with subcutaneous bleeding on the 6th day.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s, the tourniquet time and the orders between the two groups. Group 1 had significantly less subcutaneous bleeding than did group II on the 3rd and 6th days after the operations (p=0.001).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amount of subcutaneous bleeding amount according to the tourniquet pressure. We were able to decrease the post-operative amount of subcutaneous bleeding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by lowering the tourniquet pressure to 250 mm H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