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우스를 이용한 비만연구에서 활용되는 물리적 표현형 분석 기술

        김현경(Hyunkyung Kim),고광웅(Gwang-woong Go) 한국식품과학회 2018 식품과학과 산업 Vol.51 No.1

        The prevalence of obesity is continually increasing in South Korea; about 1/3 of adults are diagnosed with obesity and 1/2 of adults are overweight in 2016. Abnormal body fat mass increased th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cluding hypertension, type II diabetes, dyslipidemia), chronic kidney failure, osteoarthritis, and cardiovascular diseas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in Korea established the validation and approval system for “functional food” based on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guideline of MFDS, the biomarkers for obesity study in vitro, in vivo, and clinical trial are well summarized. The analysis of physical phenotypes is necessary condition to study further molecular phenotypes and pathway analysis in vivo study. Thus, we will review currently available physical phenotype analysis;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and Oxylet gas analysis will be examined in-depth.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총설 : 액상과당의 영양대사학적 특성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혜미 ( Hyemi Kim ),정정호 ( Jeongho Jeong ),고광웅 ( Gwang Woong Go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5 산업 식품공학 Vol.19 No.2

        High fructose corn syrup (HFCS) is a liquid sweetener of glucose-fructose monomer mixture, commonly known as replacement for sucrose (table sugar). HFCS was first applied to food companies in the early 1970s ever since there was a huge increase of its use worldwide, especially in beverage and processed food. While the metabolic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HFCS have been widely studied, only recently has the role of HFCS in metabolic syndrome and other health issues emerged. Studies in many laboratories worldwide have built the evidence that excessive consumption of HFCS plays a crucial role in insulin resistance, dyslipidemia, obesity, hypertension, and kidney disease. This manuscript reviews the history, manufacturing process, and nutritional and metabolic traits of HFCS and describes its involvement in the pathogenesis of metabolic syndromes and obesity.

      • 한국에서의 삼겹살 소비 특성과 그 특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최지환 ( Jee-hwan Choe ),양한술 ( Han-sul Yang ),이상훈 ( Sang-hoon Lee ),고광웅 ( Gwang-woong Go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5 축산기술과 산업 Vol.6 No.2

        삼겹살은 한국에서 가장 선호되는 돈육 부위로서 일일 평균 식육 섭취량의 약 59%를 차지한다- 삼겹살은 양질의 단백질뿐만 아니라 지용성 비타민 및 다양한 무기질을 공급하는 식품이다. 그러나 삼겹살은 지방함량이 약 30%에 이르며, 이 지방의 대부분은 포화지방산이다 포화지방산의 과다한 섭취는 인체 내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질단백질, 그리고 중성지방의 함량을 증가시키며, 고밀도 지질단백질의 함량은 감소시킨다. 이러한 포화지방산의 과다섭취가 지속될 경우 고지혈증의 위험성이 증가하며, 궁극적으로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논문은 한국에서 선호되는 삼겹살의 소비 및 생산 특성, 그리고 삼겹살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소비특성이 건강에 미칠수 있는 영향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소비자의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지 한다.

      • SCOPUSKCI등재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식품유래 생리활성소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강은영(Eun Young Kang),최봉교(Fengjiao Cui),김현경(Hyun Kyung Kim),고광웅(Gwang-woong Go) 한국식품과학회 202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3 No.3

        본 연구는 인지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는 천연기능성소재를 선발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2020년 10월 06일 기준 문헌검색을 통해 16,184건을 수집하였고 선택 및 배제 기준에 따라 총 27건의 문헌을 선별하였다. 27건 중 ω-3 지방산 관련 논문 12건, 비타민 B군 관련 논문 8건, 비타민 D와 E 관련 논문 각각 1건이었으며, 안세린/카르노신, 베테인, 카페인, 크로뮴, 피소스티그민 관련 논문이 각각 1건이었다. 각 문헌의 비뚤림 위험 평가를 진행한 결과 ω-3 지방산 관련 논문 2건, 비타민 B군 관련 논문 1건, 베테인, 카페인, 피소스티그민 관련 논문의 비뚤림 위험이 ‘높음’으로 평가되었고, 비뚤림 위험이 높다고 평가된 6건의 논문들을 제외하고 근거수준평가 및 결과분석을 시행하였다. ω-3 지방산 관련 논문은 6-24개월동안 DHA 0.48-2.2 g, EPA 203-720 mg의 용량을 함께 또는 따로 중재하여 총 1,031명의 대상자 중 437명의 유의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ω-3 지방산 논문에서는 인지기능영역(공간력, 기억력, 회상력, 언어력)과 인지기능 관련 바이오마커(Aβ-42, APP mRNA)를 개선시키는 등 치매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ω-3 지방산 연구에서는 인지기능평가에 대한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비타민 B 관련 논문은 6 또는 24개월 동안 엽산 400-800 μg, 비타민 B<SUB>12</SUB> 25-500 μg, 비타민 B<SUB>6</SUB> 20 mg의 용량을 함께 또는 따로 중재하여 총 1,180명의 대상자 중 530명에서 유의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비타민 B군의 섭취는 치매 위험성과 관련된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감소시켰으며, 혈중 ω-3 지방산의 농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 비타민 D와 E는 인지기능관련 바이오마커(Aβ-42, APP mRNA, PS1mRNA)를 감소시키고 인지기능평가(WAIS-RC, ADAS-cog) 개선효과를 나타냈으며 안세린/카르노신은 치매척도검사를 개선하였고 크로뮴 섭취는 기억력 부분의 인지기능영역을 유의적으로 개선하였다. 그러나 ω-3 지방산과 비타민 B를 제외한 연구들은 선별된 문헌의 개수가 제한적이며, 개선 효과를 판단할 근거가 부족하였다. 중재 기간 및 용량에 따라 결과를 종합하면, ω-3 지방산은 6개월 이상 DHA 0.48-2.2 g, EPA 203-720 mg의 용량을 복합 또는 DHA 단독으로 중재했을 경우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엽산 400-800 μg, 비타민 B<SUB>12</SUB> 25-500 μg, 비타민 B<SUB>6</SUB> 20 mg의 용량을 복합 또는 엽산을 단독으로 6개월 이상 중재할 경우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 감소와 인지능력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rapid aging of society has led to a surge in cognitive dysfunction in the elderly. As there is limited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dementia in medicine, a shift in focus on prevention strategies using bioactive compounds in food is required. This systematic review evaluated the effects of various bioactive compounds on age-associated cognitive decline. The literature was searched for terms related to bioactive compounds in cognitive decline and article selection was limited to clinic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for a single bioactive compound. We identified 21 studies that evaluated the strength of the evidence. ω-3 fatty acids and vitamin B presented a strong evidence level, whereas vitamin D and E, anserine/carnosine, and chromium were defined as having moderate levels of evidence. ω-3 fatty acids relieved cognitive decline and reduced amyloid β-related protein accumulation. Vitamin B decreased homocysteine levels, which is accompanied by alleviation of cognitive function. In conclusion, ω-3 and vitamin B have the potential to improve age-associated cognitive decline.

      • KCI등재

        천연 기능성 물질(Functional Ingredients)을 활용한 LDL 수용체과(科) 조절과 지질항상성 개선

        정정호 ( Jeongho Jeong ),류융선 ( Yungsun Ryu ),박기범 ( Kibeum Park ),고광웅 ( Gwang-woong Go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7 산업 식품공학 Vol.21 No.1

        Dyslipidemia, defined as elevated triglyceride (TG), total- and LDL-C, and/or decreased HDL-C levels, is considered a principal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The 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 (LDLR) family has been considered a key player in the prevention of dyslipidemia. The LDLR family consists of cytoplasmic membrane protein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ligand-receptor binding and uptake, but also in various cell signaling pathways. Emerging reports state that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s dynamically modulate the function of the LDLR family. For instance, oats stimulated the LDLR function in vivo, resulting in decreased body weight and improved serum lipid profiles. The stimulation of LRP6 by functional ingredients in vitro activated the Wnt/β-catenin pathway, subsequently suppressing the intracellular TG via inhibition of SREBP1, PPARγ, and C/EBPα. Furthermore, the extract of Cistanchetubulosa enhanced the expression of the mRNA of VLDLR, followed by a reduction in the serum cholesterol level. In addition, fermented soy milk diminished TG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while increasing HDL-C levels via activation of LRP1. To summarize, modulating the function of the LDLR family by diverse functional ingredients may be a potent therapeutic remedy for the treatment of dyslipidemia and cardiovascular diseas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고지방식이유도 비만(High-fat diet-induced) 마우스를 이용한 혼합유산균(Bifidobacterium animalis ssp. Lactis, Lactobacillus rhamnosus)의 항비만 효과 검증

        김하윤 ( Ha Yoon Kim ),강수민 ( Su Min Kang ),김현경 ( Hyun Kyung Kim ),강은영 ( Eun Young Kang ),고광웅 ( Gwang-woong Go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21 산업 식품공학 Vol.25 No.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혼합유산균 2종(Bifidobacterium animalis ssp. Lactis Bf141와 Lactobacillus rhamnosus Lb102)의 섭취는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체중, 체지방, 제지방, 골밀도 등 주요 체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혼합유산균은 식욕 조절 효과를 위해 측정한 사료 섭취량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간 조직 무게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인슐린저항성과 포도당신생합성의 주요 지표인 공복혈당량 또한 혼합유산균 급여에 의해 변화하지 않았다. 또한 혼합유산균은 심혈관질환의 지표로 사용되는 혈중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체내 지방의 소화 및 흡수율에서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고지방식이유도 비만 마우스를 이용하여 혼합유산균(Bf141 + Lb102)의 항비만 생리활성을 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물리적, 대사적 표현형 개선은 검증되지 않았다. 따라서, 추후 개별 보다 다양한 혼합 조건 및 농도로 연구를 설계하여 혼합유산균의 항비만 효과를 검증할 필요성이 있다. The prevalence of obesity is steadily growing worldwide, causing several severe complications, including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With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approaches to obesity, related nutraceuticals and compounds are developing. Probiotic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substance that is effective against obesity. Among the probiotics, Lactobacillus rhamnosus Lb102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Bf141 individually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metabolic syndrome, including anti-obesity. Therefore, we examined the effect of a mixture of Lactobacillus rhamnosus Lb102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Bf141. The mixture of Lactobacillus rhamnosus Lb102 (Lb102)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Bf141 (Bf141) was administered to a high-fat diet (HFD, 60% kcal from fat)-induced obese mice for eight weeks. The probiotics mixture did not alter body weight, feed intake, and body adiposity, meaning the rescue of obesity was ineffective. Furthermor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iver weight, which is the center of lipid synthesis. In addition, the probiotics mixture did not modify fecal lipid content, an indicator of lipid digestion and absorption. Serum triglycerides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also remained unchanged.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robiotics mixture of Lb102 and Bf141 had no anti-obesity outcome in HFD-induced obese mice.

      • SCOPUSKCI등재

        중쇄지방산 강화 디아실글리세롤(MCE-DAG)이 간세포 내 콜레스테롤 흡수 및 합성 기전에 미치는 영향

        김현경(Hyun Kyung Kim),최종훈(Jong Hun Choi),김훈중(Hun Jung Kim),김우기(Wooki Kim),고광웅(Gwang-woong Go) 한국식품과학회 201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1 No.3

        본 연구진은 선행연구에서 MCE-DAG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의 감소를 보고한 바 있어, 본 연구에서 in vitro를 통해 MCE-DAG와 간의 콜레스테롤 항상성 기전의 관련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LDLR과 같은 콜레스테롤 흡수 관련 인자의 발현이 MCE-DAG에 의해 증가한 반면, LDLR을 억제하는 PCSK9의 발현은 감소하였다. 또한, 콜레스테롤 합성 관련 인자인 HMGCR의 발현이 MCE-DAG에 의해 증가하였고, 전사조절인자인 SREBP2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콜레스테롤의 합성과 흡수가 동시에 증가하였음을 뒷받침한다. 즉, 간 내 콜레스테롤 필요량이 증가함에 따라, 간의 콜레스테롤 합성 및 흡수를 활성화시켜 콜레스테롤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전이 촉진되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간 세포 내 총 콜레스테롤 양은 MCE-DAG에서 영향을 받지 않았다. 콜레스테롤 흡수 및 합성 기전이 촉진되었음에도 세포 내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하지 않은 현상은 담즙산 등 콜레스테롤 분비 촉진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추론은 추후 콜레스테롤 분비 기전을 검증할 수 있는 실험을 설계하여 검증해볼 필요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MCE-DAG는 세포 내 콜레스테롤 흡수 작용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추후 기능성 유지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effects of medium-chain enriched diacylglycerol (MCE-DAG) oil on hepatic cholesterol homeostasis were investigated. HepG2 hepatocytes were treated with either 0.5, 1.0, or 1.5 μg/mL of MCE-DAG for 48 h. There was no evidence of cytotoxicity by MCE-DAG up to 1.5 μg/mL. The level of proteins for cholesterol uptake including CLATHRIN and LDL receptor increased by MCE-DAG in a dose-dependent manner (p<0.05). Furthermore,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 an inhibitor of LDLR, was dose-dependently diminished (p<0.05), indicating cholesterol clearance raised. MCE-DAG significantly increased 3-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reductase and acetyl-CoA acetyltransferase2 (p<0.05), required for cholesterol synthesis, and their transcriptional regulator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2 (p<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iven conditions of prolonged sterol fasting in the current study activated both hepatic cholesterol synthesis and clearance by MCE-DAG. However, total intracellular level of cholesterol was not altered by MCE-DAG. Taken together, MCE-DAG has the potential to prevent hypercholesterolemia by increasing hepatic cholesterol uptake without affecting intracellular cholestero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