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블루베리에서 블루베리혹파리(Dasineura oxycoccana) 발생 예찰 및 친환경 방제

        강택준,조명래,안승준,김형환,김세진,이성찬,이흥식,Kang, Taek-Jun,Cho, Myoung-Rae,Ahn, Seung-Joon,Kim, Hyeong-Hwan,Kim, Se-Jin,Lee, Seong-Chan,Lee, Heung-Sik 한국유기농업학회 2012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0 No.4

        Dasineura oxycoccana는 미국, 캐나다, 유럽 등에 분포하는 해충으로, 블루베리에 발생할 경우 신초와 꽃눈을 가해하여 막대한 피해를 유발하는 주요 문제 해충이다. 국내에서는 2010년 경기도 화성시 블루베리 재배지에서 유사증상이 발견되어 피해조사 및 정밀동정을 실시한 결과 D. oxycoccana에 의한 피해로 확인되어 블루베리혹파리로 명명하였고 검역관리해충으로 지정되었다. 2011년 전국적인 조사 결과 대부분 블루베리 재배지역에서 블루베리혹파리 발생 및 피해가 확인되었다. 시설 비가림 재배 농가에서 건조한 펄라이트나 친환경 부산물인 왕겨 등을 이용하여 블루베리혹파리 유충 및 번데기 증식에 불리한 물리적 환경조건을 조성함으로써 블루베리혹파리 발생 및 그에 의한 신초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블루베리혹파리의 친환경 방제 수단으로 활용 가치가 높았다. The blueberry gall midge, Dasineura oxycoccana (Diptera: Cecidomyiidae), has known as a key pest of blueberries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Europe and Canada. It can cause considerable damage to developing flower buds and also injure vegetative growth by distorting and blackening shoot tips on blueberries. In 2010, same damage symptoms were observed on blueberries, Vaccinium spp., in Hwaseong-si, Gyeonggi-do. And, D. oxycoccana was identified from the farms and it was designated as a quarantine pest in Korea. The occurrences of D. oxycoccana and its damages were investigated in the blueberry greenhouse in 2011. Nationwide survey revealed that most of the blueberry greenhouses were infected by D. oxycoccana. An environment-friendly management method for D. oxycoccana was developed by changing soil environment in the blueberry greenhouse.

      • KCI등재

        서양란에서 양란혹피리(Contarinia maculipennis) 발생 및 피해

        강택준,이흥식,오시헌,조명래,김형환,정재아,Kang, Taek-Jun,Lee, Heung-Sik,Oh, Si-Heon,Cho, Myoung-Rae,Kim, Hyeong-Hwan,Jung, Jae-A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4

        The blossom midge, Contarinia maculipennis Felt (Diptera: Cecidomyiidae) originated in Southeast Asia and is present in Japan, the continental USA, and Hawaii. Recently, C. maculipennis was intercepted in Japan, USA and the Netherlands by using orchid flowers imported from Southeast Asian countries. This pest is designated as a quarantine pest in Korea because of its potential damages to vegetables and ornamental plants. In Korea, similar symptoms of damage, which mighty be caused by C. maculipennis, have been investigated in western orchids, especially on Dendrobium phalaenopsis, from Mid-2000s. Official recognition was given to C. maculipennis in 2007, followed by an investigation on the occurrences of C. maculipennis and its damages, mainly on D. phalaenopsis, in 2008~2009. We emphasize caution concerning the possibilities that C. maculipennis could infest flower buds of orchids and carry out management strategies for this pest in the future. Contarinia maculipennis Felt (Diptera: Cecidomyiidae)는 동남아시아가 원산인 해충으로 일본, 미국, 하와이에 분포하는 종이며 최근 일본, 미국, 네델란드에서는 태국으로부터 수입된 양란에서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우리니라에서는 발생시 채소 및 관상식물 등에 피해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되어 현재 식물방역법상 관리해충으로 지정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2000년 중반을 전후하여 비공식적으로 양란에서 유사증세가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어 왔고 2007년에서야 공식적으로 C. maculipennis의 발생에 의한 피해로 확인되어 양란혹파리로 명명하였다. 이후 덴파레 농가를 중심으로 양란혹파리 발생 피해가 주기적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번 조사는 2008~2009년 동안 덴파레를 중심으로 한 양란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양란혹파리의 발생과 피해를 집중적으로 조사하였고 위 결과를 근거로 향후 합리적인 방제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를 확립하고자 한다.

      • KCI등재

        시설 온실에서 진딧물에 대한 무인 연무방제기의 방제 효과 보고

        강택준,김세진,김동환,양창열,김형환,조명래,Kang, Taek-Jun,Kim, Se-Jin,Kim, Dong-Hwan,Yang, Chang Yeol,Kim, Hyeong-Hwan,Cho, Myoung-Rae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4

        1990년대 초반 이후 국내 시설 원예작물 재배면적은 급격히 증가하였지만 농가당 재배면적은 협소하여 생산성 증대를 위한 생력관리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시설하우스에서는 해충들이 다발생하고 방제가 어려워 많은 양의 살충제를 사용하고 있어 생력재배를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과도하고 부적절한 살충제의 사용은 저항성 해충의 출현과 농약중독이라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 재배 온실에서 무인 연무방제기를 이용한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과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의 효율적 방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무인 연무방제기를 가동시키는 동안 시설 내 측창과 출입구가 완전히 폐쇄된 조건하에서는 시설 내 상대습도가 높게 유지되었고(>95%) 관행방제 약제처리구와 유사한 방제 효과를 보였다(방제가 61.0~94.1%). 반면 무인 연무방제기 가동 시간 동안 측창과 출입구를 50% 정도 개방한 조건에서는 시설 내 상대습도가 상대적으로 낮았고(<95%) 측창과 출입구가 모두 폐쇄된 온실 조건보다 방제 효율이 낮았다(방제가 36.0~54.4%). The area of greenhouse horticulture has increased dramatically since the early 1990s in Korea. However, area per farmer still very small and diverse pest species occurs in greenhouse abundantly because of its protected condition. To manage pests, farmers use many pesticides frequently. Incessant and improper use of chemicals provoked pesticide resistance in pest and poisoning of farme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iciencies of automatic dry fog sprayer for controlling two aphid species, Aphis gossypii and Myzus persicae, in greenhouse horticulture. When doors and side windows were completely closed in automatic dry fog sprayer treatment greenhouse, aphids were controlled similar level with conventional spraying method (percent control: 61.0~94.1%). However, when half of the doors and side windows of the greenhouse were opened, aphids were controlled poorly (percent control: 36.0~54.4%).

      • KCI등재

        갈색날개매미충 월동 알의 부화율과 온도발육기간

        강택준,김세진,김동환,양창열,안승준,이성찬,김형환,Kang, Taek-Jun,Kim, Se-Jin,Kim, Dong Hwan,Yang, Chang Yul,Ahn, Seung-Joon,Lee, Seong Chan,Kim, Hyeong-Hwa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4

        갈색날개매미충(Ricania sp.)은 블루베리에서 흡즙에 의한 양분손실과 감로로 인한 그을음을 유발하고, 암컷 성충은 1년생 가지의 목질부속에 산란하여 가지를 고사시키는 해충이다. 본 연구는 갈색날개매미충 월동 알들의 실내 온도발육 실험과 노지에서 약충의 부화 시기 조사를 위하여 실시하였다. 충남 예산의 노지재배 블루베리에서 갈색날개매미충 난괴를 채집하여 10, 14, 18, 22, 26, 30, $34^{\circ}C$ (14L:10D) 조건하에서 매일 부화하는 약충수를 조사하였다. 전혀 부화하지 않은 $10^{\circ}C$ 처리구를 제외한 월동 난괴의 온도별 부화소요기간은 평균 107.1, 54.5, 33.9, 25.3, 25.1, 16.7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짧아졌고 부화율은 23.1, 30.8, 13.8, 21.7, 11.9, 0.6%로 조사되었다. 노지에서 정확한 부화시기 조사를 위하여 약충으로 부화하자마자 끈끈이트랩에 포획되도록 클립케이지를 설치하여 3~4일 간격으로 포획된 약충수를 조사하였다. 약충은 5월 19일과 22일 사이에 처음 발견되었으며 평균 19.6%의 부화율을 보였다. 조사한 40개의 피해 가지 중 15개의 가지에서는 약충이 전혀 부화하지 않았다. Ricania sp. lay eggs into the new twigs of blueberry and suck nutrients causing growth retardation and a sooty mold sympto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mergence success and developmental period of overwintered eggs of Ricania sp. under the seven constant temperatures from 10 to $34^{\circ}C$ by $4^{\circ}C$ intervals (14L:10D). We also monitored the emergence time of the Ricania sp. nymph at blueberry by 3 ~ 4 day interval using a modified leaf clip cage. Development times from the overwintered egg to $1^{st}$ nymph were 107.1, 54.5, 33.9, 25.3, 25.1 and 16.7 days and the emergence successes were 23.1, 30.8, 13.8, 21.7, 11.9, and 0.6% at 14, 18, 22, 26, 30 and $34^{\circ}C$, respectively except at $10^{\circ}C$. The developmental period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s. First emergence date of the nymphs in the field was between 19 and 22 May, and the average emergence success was 19.6%. The present study might be helpful to establish the management strategy of Ricania sp. based on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

      • KCI등재

        파에서 정식초기 파총채벌레의 경제적피해수준 설정

        강택준,조명래,김형환,전흥용,김동순,Kang, Taek-Jun,Cho, Myoung-Rae,Kim, Hyeong-Hwan,Jeon, Heung-Yong,Kim, Dong-S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4

        파정식 초기 파총채벌레의 경제적피해허용수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온실에서 파총채벌레 접종기간에 따른 파의 생육, 피해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파 정식초기에는 파총채벌레 접종기간(즉 가해정도)에 따른 수량감소율은 5일, 10일, 15일, 20일 접종기간에서 각각 17.0%, 53.3%, 38.4%, 80.8%로 증가하였다. 파총채벌레 발생정도와 파 수량감소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파총채벌레 누적밀도일(Cumulative Insect Days, CID)과 수량 감수량(%) 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선형식인 logistic 모형에 잘 적용되었다. 이 식으로부터 경험적인 수익한계(Gain Threshold) 5%와 통상적 상품화율(93%)를 감안한 수량 감소율 12% 수준에서 파총채벌레 경제적피해허용수준은 30 CID로 추정되었다. 또한 요방제밀도는 경제적피해수준의 80%가 되는 24 CID로 추정되었다. 본 결과는 더 개선된 모형이 개발될 때까지 파 생육초기 파총채벌레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파 노지포장에서 생육후기(정식 후 120일 접종) 파총채벌레 피해가 파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파 생육후기에는 낮은 밀도에서 오히려 수량이 증가하였고, 그 후 밀도가 더 증가함에 따라 수량이 감소하는 등 전형적인 보상적 반응(over-compensatory response)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conomic injury level (EIL) of onion thrips, Thrips tabaci, on welsh onion (Allium fistulosum L. var) in the early transplanting stage. The changes of welsh onion biomass, yield loss, and T. tabaci density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inoculation periods of T. tabaci. In the early transplanting stage of welsh onion, the yield loss (%) increased with increasing inoculation periods: 17.0, 53.3, 38.4, and 80.8% yield loss in 5, 10, 15, and 20 d inoculation periods,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Cumulative Insect Days (CID) of T. tabaci and yield loss (%) of welsh onion was well described by a nonlinear logistic equation. Using the estimated equation, EIL of T. tabaci on welsh onion was estimated to 30 CID per plant based on the yield loss 12% (an empirical gain threshold 5% + marketable rate 93% of welsh onion). ET was calculated to 24 CID, which corresponds to 80% of EIL. Until a more defined EIL-model is developed, the present results should be useful for T. tabaci management in early growth stage of welsh onion. The effect of T. tabaci attack on the yield of welsh onion in late growing season (120 days after transplanting) was also examined. The yield of welsh onion increased at a low population density of T. tabaci and decreased at higher densities, showing a typical over-compensatory response.

      • KCI등재

        양배추에서 생육초기 도둑나방의 경제적피해수준 설정

        강택준,전흥용,김형환,양창열,김동순,Kang, Taek-Jun,Jeon, Heung-Yong,Kim, Hyeong-Hwan,Yang, Chang-Yeol,Kim, Dong-S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2

        양배추 유묘에서 도둑나방 유충의 경제적 피해허용수준과 요방제 수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도둑나방 유충 접종 밀도에 따른 양배추의 생육, 피해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포장실험에서 파종 40일 양배추 유묘에 주당 0, 1, 4, 8, 16마리의 도둑나방 2령 유충들을 접종하고 30일 후 수량조사결과 처리 간 사이가 없었고, 양배추는 도둑나방 가해에 대하여 보상적 반응을 보였다. 반면, 유리온실 실험에서 정식 25일 양배추 유묘에 주당 0, 2, 5, 8, 12마리의 도둑나방 2령 유충들을 접종한 결과 15일 후 양배추의 평균생체중은 무처리에서 38.3g, 2마리 접종구에서 36.7g, 5마리 접종구에서 21.7g, 8마리 접종구에서 23.3g, 12마리 접종구에서 16.7g으로 도둑나방 유충의 접종수가 증가할수록 양배추의 생체중은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도둑나방 유충 발생과 수량손실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누적발생일수(cumulative insect days)와 양배추 유묘의 손실률(%)과의 관계를 회귀분석한 결과 비선형식인 logistic 모형에 잘 적용되었다. 이 식으로부터 수익한계인(gain threshold) 5%와 양배추 상품화율(91%)을 감안했을 때, 수량 감소율 14%에서 도둑나방 2령 유충의 경제적피해수준은 44 CID 이었다. 또한 요방제 밀도는 경제적 피해수준의 80%가 되는 35 CID로 추정되었다. 본 결과는 양배추 유묘시기에 도둑나방 유충을 방제하기 위한 경제적인 방제적기를 제공함으로써 본 해충의 효율적인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conomic injury level (ElL) and economic threshold (ET) of Cabbage armyworm, Mamestra brassicae L. on cabbage (Brassica oleracea L. var). The changes of cabbage biomass and M. brassicae density were investigated after introduction of larval M. brassicae (2nd instar) at different densities: 0, 1, 2, 4, 8, and 16 larvae per plant at 40 d after planting for an open field experiment, and 0, 2, 5, 8 and 12 larvae per plant at 25 d after planting for a glass house experiment. In the field experiment, the yield loss of cabbag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ed-plots at 30 d after the larval introduction, showing an over-compensatory response of cabbage plants to M. brassicae attack. In the glasshouse experiment, however, the biomass of cabbage at 15 d after the larval introdu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initial introduced number of M. brassicae, resulting in 38.3, 36.7, 21.7, 23.3 and 16.7g in above treated-plots,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cumulative insect days (CID) and yield loss (%) of cabbage was well described by a nonlinear logistic equation. Using the estimated equation, ElL of M. brassicae on cabbage was estimated at 44 CID per plant based on the yield loss 14%, which take into account of an empirical gain threshold 5% and marketable rate 91% of cabbage. Also, ET was calculated at 80% of the EIL: 35 CID per plant. Until a more elaborate EIL-model is developed, the present result may be useful for M. brassicae management at early growth stage of cabbage.

      • KCI등재

        절화장미 검역대상 해충 생력방제 체계 개발

        강택준(Taek-Jun Kang),전흥용(Heung-Yong Jeon),양창열(Chang-Yul Yang),김형환(Hyeong-Hwan Kim),조명래(Myoung-Rae Cho) 한국원예학회 2007 원예과학기술지 Vol.25 No.4

        장미 수출농가의 연간 살충제 및 살비제의 살포횟수는 40회 이상으로 조사되었으며 방제횟수가 많은 대상 해충은 응애, 총채벌레, 진딧물, 가루이, 나방류 순이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관행방제구에 사용되는 약제의 품목수가 단조로워 해충의 약제저항성 유발이 높았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에 관행방제 대비 적용 약제의 종류 및 조합에 차이를 두어 방제 횟수를 1/3 이상 줄인 개선방제력을 작성하여 처리구별 해충발생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2003년, 2004년 모두 관행방제체계 대비 개선방제체계에서 주요 해충의 밀도가 비슷한 밀도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2005년의 경우도 생력방제체계에서 해충의 발생 밀도는 전반적으로 관행 방제구와 큰 차이가 없이 유지되었지만, 가루이류의 경우 5월 하순에서 7월 사이에 높은 발생 밀도를 보였다. 점박이응애의 발생밀도는 5월~6월 사이 집중방제에 의해서 발생밀도가 낮게 유지되었지만 생력방제구의 경우 관행방제구에 비해 발생밀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발생예찰 및 방제체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졌다. 시설 장미농가에서의 점박이응애의 공간분포를 알기위해서 엽당 평균 밀도와 분산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집중분포 지수 (Talyor b = 1.61 >1)를 보였고 고정정밀도 표본조사법을 이용하여 발생 밀도 수준별 필요한 적정 표본수를 설정할 수 있었다. 점박이응애와 같은 미소 해충의 경우는 임계밀도 수준 설정을 통한 이항표본조사법을 활용하여 경제적인 간이예찰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labor-saving pest management system by reduced pesticide sprays for cut flower rose cultivation in greenhouses. The number of pesticide spray in conventional rose greenhouses was estimated as over 40 times per year, and the major pests related with the pesticide sprays wer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western flower thrip (Frankliniella occidentalis),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aphids, and moths. Major problems in conventional spray were resistance of pests against pesticides and too high pest management cost. So, we developed pest management system with reduced pesticide sprays by considering occurrences and control efficiencies of each pest in cut-rose cultivations. In a comparison of pest control efficiencies between reduced and conventional sprays, the pest densities in reduced sprays were similar to those of conventional sprays. Spatial distribution of two-spotted spider mites in a commercial rose greenhouse in Gimje was analyzed with the Taylor’s power law. The two-spotted spider mites showed a clumped distribution (TPL b = 1.61 > 1), and a simple sampling method was developed by using binomial counts of the mites in the leaves. The results show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successfully manage insect pests in rose cultivation by timely spray of pesticides with reduced number for labor and cost savings in commercial cut flower rose cultivations.

      • KCI등재

        호박과실파리 발생생태 및 계절초기 성충우화시기 예찰 모형

        강택준 ( Taek Jun Kang ),전흥용 ( Heung Yong Jeon ),김형환 ( Hyeong Hwan Kim ),양창열 ( Chang Yeol Yang ),김동순 ( Dong Soon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2008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0 No.4

        호박과실파리(Bactrocera depressus)는 파리목 과실파리과에 속한 곤충으로 박과류 작물의 중요한 해충이다. 이 연구는 호박과실파리의 호박 피해관련 기초생태를 구명하고 성충우화시기 예찰모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애호박 생산농가에서 호박과실파리 산란 흔적은 7월 중하순부터 발생되기 시작하여 8월 하순 최성기를 보였으며 9월 하순부터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 기간이 호박과실파리 산란활동 시기로 판단되었다. 숙과호박 농가에서는 7월 하순 어린 과실에 산란 흔적이 발견되었고 8월 이후 유충에 의한 호박의 부패가 시작, 10월까지 피해과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호박과실파리 산란흔적은 호박 과실 당 평균 2.2개가 발견 되었으며, 과실 당 28.8~29.8개의 산란수를 보였다. 우화트랩으로 조사한 호박과실파리 월동번데기의 우화시기는 초발일이 5월 중순에서 하순 사이로 나타났고, 최성기는 5월 하순 내지 6월 상순이었다. 호박과실파리 월동번데기의 우화까지 발육기간은 15℃에서 59.0일, 20℃ 39.3일, 25℃ 25.8일, 30℃ 21.4일이었고 35℃에서는 발육하지 못하였다. 온도와 월동번데기 발육기간 관계에 대한 선형모형 추정결과는 발육영점온도는 6.8℃로 추정되었고 발육완료에 필요한 적산온도는 482.3 DD 이었다. 또한 월동번데기 발육률과 온도와 비선형적 관계는 Gaussian 모형으로 잘 설명되었다. 적산온도 모형으로 50% 성충우화일을 예측한 결과 실측치와 편차가 1일로 적중률이 높았다. 또한 발육모형과 발육완료시기 분포모형(Weibull 함수)을 이용한 발율률 적산모형의 예측치는 실측치의 우화양상과 유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호박과실파리의 관리전략 수립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mpkin fruit fly, Bactrocera depressa (Tephritidae: Dipter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ests in Cucurbitaceae pl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asic ecology of B. depressa, and to develop a forecasting model for predicting the time of adult emergence in early season. In green pumpkin producing farms, the oviposition punctures caused by the oviposition of B. depressa occurred first between mid- and late July, peaked in late August, and then decreased in mid-September followed by disappearance of the symptoms in late September, during which oviposition activity of B. depressa is considered active. In full-ripened pumpkin producing farms, damaged fruits abruptly increased from early Auguest, because the decay of pumpkins caused by larval development began from that time. B. depressa produced a mean oviposition puncture of 2.2 per fruit and total 28.8-29.8 eggs per fruit. Adult emergence from overwintering pupae, which was monitored using a ground emergence trap, was first observed between mid- and late May, and peaked during late May to early June. The development times from overwintering pupae to adult emergence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59.0 days at 15℃, 39.3 days at 20℃, 25.8 days at 25℃, and 21.4 days at 30℃. The pupae did not develop to adult at 35℃.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temperature was calculated as 6.8℃ by linear regression. The thermal constant was 482.3 degree-days. The non-linear model of Gaussian equation well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rate and temperature. The Weibull function provided a good fit for the distribution of development times of overwintering pupae. The predicted date of 50% adult emergence by a degree-day model showed one day deviation from the observed actual date. Also, the output estimated by rate summation model, which was consisted of the developmental model and the Weibull function, well pursued the actual pattern of cumulative frequency curve of B. depressa adult emergence. Consequently, 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results could be used to establish the management strategy of B. depressa.

      • KCI등재

        배추의 생육초기에 복숭아혹진딧물의 경제적 피해수준 설정

        전흥용,강택준,김형환,양창열,김동순,Jeon, Heung-Yong,Kang, Taek-Jun,Kim, Hyeong-Hwan,Yang, Chang-Yeol,Kim, Dong-S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conomic injury level (EIL) and economic threshold (ET) of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on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The changes of biomass of Chinese cabbage and M. persicae density were investigated after introduction of M. persicae at different density (0, 2, 5, 10, 15, and 20 per plant; inoculated at 10d after planting). The densities of M. persicae largely increased from the above initial densities to 0, 92.3, 177.4, 406.9, 440.4, and 471.3 aphids per plant at 18d after the initial inoculation, respectively. The biomass of Chinese cabbag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initial inoculated density of M. persicae: 602.0, 264.2, 262.0, 109.3, 151.0, and 67.3 g in above plots with different initial densities,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cumulative aphid days (CAD) and yield loss (%) of Chinese cabbage was well described by a nonlinear logistic equation. Using the estimated equation, EIL of M. persicae on Chinese cabbage was estimated 25 CAD per plant based on the yield loss 13%, which take into account of an empirical gain threshold 5% and marketable rate 92% of spring Chinese cabbage. Also, ET was calculated at 80% of EIL: 20 aphids per plant. Until a more elaborate EIL-model is developed, the present result may be useful for M. persicae management at early growth stage of Chinese cabbage. 봄 배추 생육초기에 복숭아혹진딧물의 접종밀도에 따른 진딧물의 밀도 증가가 배추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경제적 피해수준과 요방제 수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을 배추정식 후 10일에 포기당 2, 5, 10, 15 및 20마리 접종한 경우 접종 후 18일의 복숭아혹진딧물의 밀도는 각각 92.3, 177.4, 406.9, 440.4, 471.3마리로 증가하였으며, 배추의 생체중은 복숭아혹진딧물의 무처리, 2, 5, 10, 15 및 20마리 접종구에서 각각 602.0, 264.2, 262.0, 109.3, 151.0, 67.3 g으로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배추의 생체중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의 발생밀도와 배추의 생체중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진딧물의 누적발생일수(cumulative aphid days)와 배추 생체중과의 관계식을 구한 결과 비선형의 대수모형에 잘 적용되었다. 이 관계식에서 경험적인 수익한계(gain threshold) 5%와 봄 배추 상품율(92%)을 감안하여 복숭아혹진딧물 5마리가 5일 동안 흡즙하여 13%의 수량감소를 유발시킨 경제적 피해수준을 추정한 결과 CAD 값이 25가 되었다. 또한 요방제밀도는 경제적 피해수준의 80%가 되는 CAD 값이 20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본 결과는 봄 배추 생육초기에 복숭아혹진딧물의 요방제 밀도 설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