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to Derive Energetics of Coronal Magnetic Structures

        강지혜,이환희,안준모,Kang, Jihye,Magara, Tetsuya,Inoue, Satoshi,Lee, Hwanhee,An, Jun-Mo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Space weather prediction related to flares and CMEs is an important issue these days. It is, however, hard to estimate magnetic energy of invisible coronal magnetic structure. The virial theorem is one of the ways to determine the magnetic energy.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series of MHD simulation of an emerging flux tube and apply the virial theorem to the simulation results and derive energetics of coronal structures. We then analyze real observational data on NOAA 11302 to derive the distributions of physical quantities, such as density, temperature, velocity and magnetic field. We also use knowledge form simulation analysis to estimate the magnetic energy of NOAA 11302.

      • KCI등재

        대학 교수자가 인지한 수업 문제상황 해결을 위한 플립드러닝 적용사례

        강지혜 ( Jihye Kang ),이지연 ( Ji-yeon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교수목표와 수업여건이 상이한 수업의 교수자들이 각자 당면한 교수학습 관련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외부적 지원없이 자발적으로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두수업사례들을 다각적인 관점에서 분석해보고, 다양한 수업맥락에서 지속가능한 플립드러닝 적용을 고민하고 있는 대학의 교수자들을 위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4년제 A대학에서 팀티칭으로 진행된 <경영학원론>의 교수자 2인과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교수자 1인, 총 3인의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수업관찰 및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강의평가 자료들을 분석하여 각 사례별 교수자가 인지한 수업 문제상황 해결을 위해 플립드러닝이 어떻게 활용되었으며 그 효과는 어떠한지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대학교육에서 플립드러닝을 지속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주요 이슈들과 대응전략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수업별로 상이한 교수목표와 학습자, 교수환경 등을 고려하여 보다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플립드러닝 설계 및 운영 전략을 탐색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의 학업성취 및 만족도 등 표준화된 척도 외에도,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새로운 수업방식이 기존 수업의 문제해결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보다 맥락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수업 전 학습과 수업 중 활동의 유기적 연계에 있어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수업설계가 필요하다. The study analyzed two instructional cases in which two college instructors voluntarily designed and implemented flipped learning classes to solve different instructional problems. Three instructors (two instructors who team-taught different sections of < Principles of Business Administration > and the instructor of < Instructional Methods and Technology >) were interviewed and course evaluation data were collected for further analysis. Based on comparison and contradiction of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collected from these two flipped learning cases, the study presented a set of guidelines to help college instructors make informed decisions on how to apply flipped learning to solve unique instructional problems faced with different instructional goals, learners, and class environments. The guidelines includes 1) more diverse and flexible flipped learning course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are necessary to address various instructional goals, individual learner differences, and course environments; 2) we need to consider more context-sensitive approach to measure the benefits of flipped learning in addition to standardized measurements such as student achievement or course satisfaction; and 3) systemic alignments between student-led learning activities prior to each class and in-class course activities are critical to facilitat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active engagement.

      • 클라우드 기반 프로젝트 일정 관리 서비스

        강지혜(Jihye Kang),권이슬(Iseul Kwon),윤혜진(Hyejin Yun),정성진(Sungjin Jung),정예린(Yerin Jeong),고주영(Jooyoung Ko),김현기(Hyenki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16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6 No.6

        클라우드 서비스를 바탕으로 스마트 폰에서든 PC에서든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그룹 내의 누구든 개개인이 프로젝트 일정을 관리하고 손쉽게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간단하게 그룹별로 공유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방을 만들어 팀을 구성할 수 있으며 방이 만들어 지면 방을 만든 사용자뿐만 아니라 방에 초대된 팀원들도 방을 관리할 수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프로젝트 일정관리 서비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The individuals in the smartphone or PC allows you to manage the project schedule based on cloud service and it is the benefits that can be shared in real time simply by groups of project progres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the project schedule management, cloud-based service to manage the room that the user can make room for a team room is created, the user made the room as well as the invited team members in the room.

      • KCI등재후보

        동대문 활성화를 위한 지역 역사문화 답사 콘텐츠 개발 연구

        강지혜(Kang, Jihye),서혜영(Suh, Hyeyoung),노다운(Roh, Daun),임덕환(Im, Deokhwan),신윤재(Shin, Yoonjae)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4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3 No.4

        본 연구는 2014년 3월 개관한 동대문과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를 중심으로 패션 쇼핑 뿐 아니라 문화 역사 콘텐츠의 중심지로서의 지역 동반 상생 및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문화에 대한 방문객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지역문화 조사 발굴과 답사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동대문 지역은 서울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60%가 방문하고 있으며 한국여행의 주요 방문지 중 2위이자, 좋았던 관광지 2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동대문 지역이 가진 많은 역사유적과 전통시장, 먹거리, 골목 등의 독특한 지역문화의 경험보다는 패션관련 쇼핑 목적에 한정된 방문이 대다수였고, 동대문 지역을 소개하는 대부분의 관광안내서와 지도는 현대적 패션상가 소개 위주로 구성되었다. 지역문화는 동대문으로 통칭되는 흥인지문 인근의 역사와 발달사, 현황을 살펴보고 현장 방문을 실시하여 발굴하였다. 이를 통해 분류체계를 마련해 분석하고, 관광 및 방문정보와 각각에 얽힌 이야기를 확인하였다. 동대문 지역문화를 5개 분류체계로 역사/유적, 전통시장/골목, 문화예술, 쇼핑, 경관의 위계를 구분하였다. 또한 답사 콘텐츠 개발에 앞서, 지역의 정보를 모두 포함하기 보다는 역사 문화 중심의 지역적인 테마에 부합하는 정보를 역사/유적, 시장/골목, 예술/문화, 쇼핑으로 체계화하였다. 동대문 주변 지역이 가진 역사와 문화 이야기를 볼 수 있는 전통시장과 골목 중심으로 지역문화 답사 콘텐츠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동대문과 DDP를 찾는 시민과 관광객에게 이 지역만의 지역문화 답사 정보를 제공하고 문화적 가치를 경험케 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 자료가 되길 바라며, 나아가 지역문화를 보존, 발전시키고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는 간접효과에 이르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local culture and create cultural and tourism content in the Dongdaemun area, including the DDP(Dongdaemun Design Plaza). Among tourists to Korea, the Dongdaemun area is ranked as the second best tourist spot with the second most popular attractions, and roughly 60 percent of visitors to Seoul flock to this commercial district. However, the majority of them come here to shop for clothes rather than experience Korean culture and history through the area"s traditional markets and food and historical alleys and relics. Most tour guide books and maps that introduce Dongdaemun focus heavily on the modern fashion malls in the area. I conducted research on the history of Heunginjimun, which is commonly referred to as Dongdaemun, and the surrounding area, and paid a visit in person to discover the various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 then developed a classification system to analyze and classify the tourism-related data I had collected. I organized the local culture of the Dongdaemun area into five categories, including history/relics, traditional markets/alleys, culture and art, shopping, and landscape, and created diverse content, including a three-hour tour route and various itineraries based on traditional markets and alley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visitors to the Dongdaemun area, including the DDP, with a wealth of information about the area so that they may experience the cultural value that Dongdaemun possesses, as well as contribute to preserving and developing the local culture and vitalizing local businesses.

      • KCI등재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요소 분석 : 교원의 인식 및 요구를 중심으로

        강지혜(Kang, Jihye),이소민(Lee, Somin),김경리(Kim, Kyungl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질을 관리하기 위한 주요 요소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부(학과, 전공) 소속으로 실제 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를 경험한 교원 75명을 대상으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고, 설문기법을 통한 교원 요구의 우선순위를 보다 타당하게 결정하기 위하여 t 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순차적으로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 교원들은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 질 관리에 다음의 8개 요소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 기업 및 산업체가 요구하는 전문역량에 대한 의견수렴, (2) 학과 관련 분야의 직무역량에 대한 의견수렴, (3) 기업 및 산업체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대한 의견수렴, (4) 요구분석을 반영한 학과의 교육목표 수립, (5) 요구분석을 반영한 학과의 교육과정의 비전 수립, (6) 요구분석을 반영한 직무역량 설정, (7) 직무역량에 따른 전공역량 도출, (8) 학년별 교육과정 로드맵 구성이 그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요소들은 공통적으로 교육과정 개편 내용과 연계되어 있으며,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해서는 학부(학과, 전공) 교육과정 개발 과정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준비하고 있는 대학 및 교수자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jor factors for quality management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75 professors and their assessment items derived from prior studies. As a result, the eight evaluation factors were derived from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conclusion obtained in the study is that the professors have a high demand for 8-factors for quality management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higher education. (1) First, by gathering opinions on the expertise required by companies and industries, (2) second, collecting opinions on job competency in department-related fields; (3) third, collecting opinions on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companies and industries. (4) Fourth,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objectives reflected needs analysis for departments, (5) fifth, establishing the vision reflecting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department. (6) Deriving the job competency reflected needs analysis, (7) Deriving the major competency based on the job competency, and, lastly, (8) by organizing a curriculum roadmap for each gr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derived that the key factors for quality management are commonly linked to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and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is important for quality management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undergraduates and professors preparing to develop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e future.

      • KCI등재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교육목표-교육과정-평가의 유기적인 연계를 위한 설계 전략의 탐색

        강지혜 ( Jihye Kang ),이병길 ( Byoungkil Lee ),권승아 ( Seung-a Kwon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S

        본 연구는 초·중등교육, 고등교육, 평생교육 등 다양한 교육수요 계층을 대상으로 강조되고 있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교육목표-교육과정-평가의 유기적 연계를 위한 설계전략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4년제 A대학교에서 교육인증을 취득한 4개 학과의 교육목표 및 교육과정 구성, 운영, 지원, 성과, 개선 등 역량기반 교육과정 전반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의 연계를 위해서는 학교구성원의 요구와 사회수요기반의 트렌드와 니즈 분석하여 교육목표를 탐색하고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한다. 둘째,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교육과정과 평가의 연계를 위하여 교수자는 교과목별 학습목표 및 수행준거와 교수학습, 평가방법을 고려하여 수업을 설계해야 한다. 셋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교육목표-교육과정-평가의 연계를 종합적으로 점검하기 위하여 교과목 역량 달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기반의 평가체계를 구축하여 분석해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결과에서는 향후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를 고민하고 있는 교수자들을 위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n exploratory case analysis o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that obtained the educational accreditation in University A,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in order to derive a designing strategy for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universities and make an organic linkage among educational object-curriculum-assessment.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nnect the educational object with the curriculum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emands of school members as well as the trend of societal demands and their needs, explore the educational object, and reflect it into the curriculum. Second, in order to connect the curriculum with the assessment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instructor shall design the class by making ties among the learning goals and performance criteria of each subject,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Third, in order to examine the connection of educational object-curriculum-assessment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analyze an assessment system that can measure the achievement of competence based on subjects.

      • KCI등재

        쪽방 거주 독거노인의 주거공간 분석 연구

        강지혜 ( Jihye Kang ),강병길 ( Byungkil Kang ),백승현 ( Seunghyun Baek ),양영완 ( Youngwan Y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1

        (연구배경 및 목적)노령인구의 비율이 현저히 높아지고 노인들에 대한 부양과 배려의 문제는 우리 모두가 함께 풀어나가야 할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기초단위 생활공간에 거주하는 독거노인들이 느끼고 있는 소외된 감정과 정신적 박탈감은 앞으로의 사회적 문제로 크게 부각되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 경제적으로 소외된 계층, 특히 기초단위 생활공간인 쪽방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독거노인 대상으로 주거공간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통해 그들의 삶의 질을 제고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서울 `쪽방촌` 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이라는 명확한 대상을 선정하였다. 첫째, 쪽방, 소형주택, 독거노인, 고령화 사회를 키워드로 사전조사를 진행하였다. 둘째, 연구의 실증적 결과와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집중 연구 대상 지역인 종로구 창신1동 일대를 방문하여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 분석을 하였다. 셋째, 동대문쪽방상담센터의 협조를 통해 쪽방촌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들을 직접 방문하여 독거노인들의 생활 실태를 확인하였다. (결과)쪽방 거주자의 생활 환경 유형을 분석한 결과, 생계가 어려워 쪽방 안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고, 방안에 세간물품들을 쌓아 놓고 정리 하지 못한 채 좁은 공간에서 생활을 하고 있었다. 쪽방 내부공간에서의 생활은 기본적인 의식주 문제 해결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물건은 보관이 용의하고 간편해야 하며, 위생적이고 안전한 환경이 제공돼야 한다. 이를 위해 거주하는 공간은 최소한의 공간이 제공되어져야 하지만, 최저주거기준(총 주거면적 14㎡(4.5평))에 부적합한 1.06평으로 쪽방 공간 안에서의 취사생활을 겸하고 있었다. 따라서 쪽방거주 독거노인이 소유하고 있는 필수 생활물품들이 최소한의 공간 내에서 조화롭게 배치하는 방법 및 독거노인들이 사용하는 물건 중에서 중·소 물건들을 대상으로 효율적으로 공간에 분류하기 위한 수납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론)쪽방거주 독거노인들의 실제 거주 환경과 실상은 신문이나 방송 등 각종 매체를 통해 소개한 것보다 훨씬 열악한 환경이었다. 디자인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제한이 있을 수 있지만 앞으로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디자인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사회적 배려대상, 즉 소외된 계층을 위한 디자인은 조형성이나 기능성보다는 사용자들에게 감동을 선사하는 감성 디자인이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가시적 성과를 중시하는 연구보다는 구현 가능성이 크고 현실적인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 셋째, 사용재료선택에 있어 경제적 논리에 치중하여 저비용만을 추구하기보다는 인체에 해롭거나 환경을 저해하는 요소를 배제하는 환경 친화적인 디자인이어야 한다. 넷째, 연구결과물은 그 자체에만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향후 지속가능한 디자인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As the ratio of aged population has increased dramatically, the support and consideration for the elderly have become an important challenge for everyone of 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reate new value of housing space for the socially and economically isolated class, or the single elders at the age of 65 of older who are residing in slice rooms, which are the basic living unit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Method)This study strictly limited the subjects to the `single elders` residing in the `slice room town` in Seoul. First, literature such as preceding studies and publications and the periodicals of research institutes were searched, collected, and studied under the keywords of slice rooms, small-sized houses, single elders, and aging society. Second, the major research area in Changsin-1-dong, Jongno-gu was visited for a spatial analysis to identify the problems to resolve first to secure the substantial findings and subjectivity of research. Third, the single elders residing at the slice room town were visited with the cooperation of Dongdaemun Slice Room Counseling Center to examine their living situations. Single elders in the target area were followed through their daily schedule to be observed and interviewed to identify their complaints. (Results)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slice room residers, they spent much of their time in the slice rooms due to financial hardships and were living in narrow spaces with the living goods piled and unorganized in the rooms. Living inside the slice rooms primarily requires solutions for the basic clothing, food, and housing needs. The living goods should be easy to store and the environment should be sanitary and safe. The living space should provide minimal square footage, but they were residing and cooking in 1.06 py rooms that do not meed the minimum housing standards(14㎡).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ways to arrange the essential living goods owned by the single elders residing in slice rooms within the minimum living space. It studied the ways to store the small/medium goods efficiently for the single elders. (Conclusions) A solution with a design may have limitations, but the following design solution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first, designs for the socially isolated class should be emotionally touching for the users before providing aesthetics or functionality. Second, the design should be attainable and realistic than a design with viable performance. Third, the design should be built using environmentally-friendly designs without any harm for the body or the environment rather than pursuing low cost for the economical value. Fourth, the findings should not be limited to this study, but consider possible development into a sustainable design.

      • KCI등재

        중등학교 역사수업에 적용된 플립드 러닝에 대한 학습효과 분석

        강지혜(Kang, Jihye),김영롱(Kim, Youngl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5

        In order to explore the usefulness of Flipped Learn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arners’ perception and their class satisfaction of Flipped Learning in a middle-school history class. 259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surveyed. The participants were ninth grade students from a school located in Kyeonggi-do,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s have positive opinions about both watching videos as a pre-activity and their ease of accessibility. However, the amount of content and the length of each video was not perceived positively. Participants think around ten minutes is enough for each video. Secondly, the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constant access to learning materials, even in advance, was considered as a positive factor through pre-activity. However, the connection between pre-activity and while-activity needed to be strengthened through short class lectures or specific examples. Lastly, while-activities in class encouraged learners to be active participants; and it also increased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learners, and between peers. Also, a more specific guideline of activities and roles for team members was needed for improving the clas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study proposed an elaborated instructional design.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역사수업에 적용된 플립드 러닝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수업 만족도를 조사하여 플립드 러닝의 교육적 유용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에 2015-1학기, 경기도 소재 A 중학교 역사 교사의 기존 수업방식과 플립드 러닝 수업을 모두 경험한 3학년 학생 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사전학습 활동에 제시된 사전 동영상의 내용구성이나 접근성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학습량이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응답자들은 사전 동영상을 통해 개별적으로 심화 및 반복학습이 가능하여 유의미한 학습이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수업 중에 교사의 미니강의나 사례 등을 제공하여 사전학습과 수업 중 활동을 연계하여 유기적인 학습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셋째, 본 연구 참여자들은 수업 중에 진행하였던 다양한 활동이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고 교사-학생, 학생 간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촉진시킨다고 보았으며, 교사가 팀 활동에 대한 방향이나 팀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안내할 경우 보다 더 효과적인 활동이 가능할 것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 및 운영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