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난자 세포질내 정자 주입술시 정자 기원에 따른 산과적 결과와 선천성 기형에 관한 연구

        강지현 ( Ji Hyun Kang ),강경화 ( Kyoung Hwa Kang ),최영식 ( Young Sik Choi ),이정렬 ( Jeong Lyol Lee ),정연경 ( Youn Kyung Chung ),지병철 ( Byung Chul Jee ),구승엽 ( Seung Yup Ku ),서창석 ( Chang Suk Suh ),최영민 ( Young Min Ch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0

        목적: 본 연구는 난자 세포질내 정자 주입술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후 임신된 예 및 태어난 신생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정자의 기원별로 산과적 결과, 선천성 기형 및 염색체 이상의 빈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4년 1월까지 ICSI 시술 후 임신된 예는 105예이었으며, 출생한 신생아는 103명이었고 정자의 기원에 따라 사정 정자군 (n=77), 부고환 정자군 (n=15), 고환 정자군 (n=13)으로 나누었다. 정자 기원에 따른 임신율, 조산율, 유산율, 다태아 임신율, 출생 시 임신주수, 출생 시 체중, 저체중아의 빈도 등 산과적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정자 기원에 따른 기형 및 염색체 이상의 빈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임신율, 조산율, 유산율, 다태 임신율, 출생 시 임신 주수, 출생 체중은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저체중아의 출생률, 극저체중아의 출생률도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 기형은 사정 정자군에서 2예 (2.7%), 고환 정자군에서 1예 (7.7%)이었고 2예는 소화기기형이었고, 1예는 구순열이었다. 부 기형은 사정 정자군에서 3예 (4.1%), 고환 정자군에서 1예 (7.7%)이었다. 염색체 이상은 105 임신 중 6예 (5.7%)에서 관찰되었고 모두 사정 정자군이었다. 상염색체수의 이상이 2예, 구조적 이상이 4예이었으며 성염색체 이상은 없었다. 결론: ICSI 시술 후 임신한 경우 정자 기원에 따른 산과적 결과의 차이는 없었으며, 선천성 기형아의 발생률, 염색체 이상의 빈도도 정자 기원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선천성 기형과 염색체 이상에 대한 보다 정확한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향후 장기간의 대규모 추적조사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analyze the obstetric outcomes, the incidence of congenital malformations and chromosomal anomalies of neonates born after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according to the origin of sperm. Methods: A total of 103 neonates born from ICSI between January 1995 and January 2004 was include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ejaculated (n=73), epididymal (n=17) and testicular (n=13) groups. We compared obstetric outcomes such as pregnancy rates, preterm birth rates, abortion rates, multiple pregnancy rates, gestational age at birth, birth-weight, and the incidence of congenital malformations and chromosomal anomalies.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pregnancy rates, preterm birth rates, abortion rates, multiple pregnancy rates, gestational age at birth and birth-weigh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of low birth-weight babies and very low birth-weight babies. Major malformations were observed in two cases of ejaculatory group (2.7%) and one of testicular group (7.7%). Major malformations included two gastrointestinal malformations and one cleft lip. Minor malformations were observed in three cases of ejaculatory group (4.1%) and one of testicular group (7.7%). Chromosomal anomalies were observed in 6 cases of 105 pregnancies (5.7%), and all of them were from the ejaculatory group. Two cases had autosomal numerical anomalies and 4 cases autosomal structural anomalies. However, sex chromosomal anomalies were not detected in this study. Conclusion: The obstetric outcomes, the incidence of congenital malformations and chromosomal anomalies in ICSI babies were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origin of sperm. These findings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in larger long-term studies.

      • KCI등재

        스포츠 분야 ODA 연수사업 지속가능성 증대를 위한 요인 도출

        강지현(Jee hyun Kang),권기성(Ki sung Kwon) 국제개발협력학회 2018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0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발도상국 스포츠 분야 연수사업 결과의 지속가능성을 증대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즉 기존 경로를 탈피하여 새로운 경로 생성을 촉진 또는 저해시킨 요인을 탐험적으로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의 중요성: 스포츠 분야 ODA 연수사업 예산이 증대하고 사업의 다양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ODA 전반에서 강조하고 있는 지속가능성은 연수사업에서 역시 중요한 과제로서 인식되고 있다. 연구방법론: 연구 참여자는 스포츠 ODA 연수사업에 참여하였던 개발도상국 학생 7명이며 문헌조사, 서면조사, 심층면담과 같은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귀납적 범주화 및 항목화 과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촉진요인과 저해요인을 살펴본 결과 개인역랑, 공적제도, 스포츠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정부정책, 사회문화가 주요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및 시사점: 이를 통해 도출된 요인은 향후 ODA 연수사업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계획, 실시, 및 평가 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개발도상국은 귀국한 인력들이 역량을 적극 발휘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회를 마련하여 연수사업 결과의 지속가능성을 증대시키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t factors for enhancing the substantiality of sport oriented ODA training programs. Practically, this study pays an attention to figure out facilitating and constraint factors for path creation from the existing path. Originality: The amount of budget and diversity of ODA training programs has been increased in sport field. According to this phenomenon, a substantiality also becomes one of important agenda concerning with development effectiveness. Methods: The participants are seven students who graduated a certain sport ODA training program.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s utilized for collecting data with literature search, written interview, and in-depth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by a categorization and itemization. Results: individual capacity, public system, public awareness on sport, government policy, and social culture are deducted as facilitating and constraint factors. Conclusions and Implication: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for index related to promote substantiality for future ODA training program from planning and implementing to evaluating phrase. The partner countries will be able to consider providing institutionalized opportunities to the participants in order to enhance sustainability of ODA training program result.

      • KCI우수등재

        원저 : 혈청 ferritin 농도와 복부 비만 및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

        조영신 ( Young Shin Cho ),강지현 ( Jee Hyun Kang ),김수아 ( Soo A Kim ),심경원 ( Kyung Won Shim ),이홍수 ( Hong Soo Lee ) 대한비만학회 200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4 No.2

        배경: 철 저장능을 반영하는 혈청 ferritin은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에서 비만 및 인슐린 저항성과 혈청 ferritin 농도와의 연관성에 대한 논문은 거의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건강한 성인 남성에서 혈청 ferritin과 비만 및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건강한 성인 남성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체중, 허리둘레, 혈청지질, 공복혈당, 인슐린농도,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이하 hs CRP)를 측정하였고, 혈청 ferritin은 방사면역법으로 정량분석하였다. 혈청 ferritin과 다른 변수와의 연관성을 보기 위하여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으며, 연령, 허리둘레, 체지방률, Log-CRP, 인슐린 저항성, 중성지방이 ferritin을 독립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변수인지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160명의 건강한 성인 남성에서 혈청 ferritin은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인 HOMA score와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체중, 체지방률, Log CRP, 중성지방, 공복혈당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단계별 다중 회귀 분석 결과 허리둘레, HOMA score가 독립적으로 혈청 ferritin 농도의 변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혈청 ferritin은 건강한 성인 남성에서 인슐린 저항성 및 복부 비만과 독립적으로 연관되어 있었다. Background: Serum ferritin indicating iron stores is a putative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However few domestic study has been reported on the association of serum ferritin and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is association. Method: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160 healthy men who visited the hospital health examination center. The body fat mass(%), body mass index, weight, waist circumference, blood Lipid Level, fasting glucose, insulin, hsCRP and serum ferritin were measur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g ferritin and various obesity related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Log ferritin and age, wait circumference, body fat mass (%), Log-CRP, triglyceride and HOMA score. Results: Log ferriti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sulin resistance (HOMA score), weight, body fat mass (%),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fasting glucose, insulin, triglyceride, and log CRP.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ist circumference and HOMA score are shown to independently contribute to Log ferritin Conclusions: Ferritin is shown to be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HOMA score) and waist circumference independently. Complementary study for women remains as a future study.

      • KCI등재

        일개 병원의 65세 이상 노인 급성 충수염 환자의 임상적 특성

        서근영(Keun-young Seo),강지현(Jee-hyun Kang),박선영(Seon-young Park),유병연(Byoung-yeon Yu),최원준(Won-jun Choi)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8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9 No.4

        연구배경: 급성 충수염은 모든 연령층에서 흔한 질환이다. 그러나 노인의 경우 초기 증상의 모호함 및 사회적인 원인으로 인한 진단 지연으로 입원 기간의 연장 및 사망률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 급성 충수염 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고찰하여 초진시의 오진과 합병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일개 대학병원에서 병리학적으로 급성 충수염으로 진단된 환자 3,293명 중 의무기록이 완비된 505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자는 65세 미만이 338명, 65세 이상이 167명이었다. 증상 발현부터 내원까지의 기간은 65세 이상군이 65세 미만군보다 짧았고(2.42±3.61/2.20±2.64, P=0.000), 1차 진료 기관을 경유한 경우는 65세 이상군이 76.0%, 65세 미만군이 61.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이학적 검사 소견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5세 이상에서 평균 백혈구 수치가 낮았고(13.30±10.18/11.57±4.07, P=0.035) 정상 백혈구 수치를 나타낸 비율은 65세 이상군에서 높았다(35.3%, P=0.003). 천공 빈도는 65세 이상에서 유의하게 높았고(15.1%/33.5%, P=0.000), 농양 형성의 비율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14.4%/9.2% P=0.095). 조직 소견은 65세 이상에서 화농성, 괴저성, 삼출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65세 미만에서 화농성, 삼출성, 괴저성 순으로 나타났다(P=0.000). 결론: 노인 급성 충수염 환자는 다양한 소화기 증상이 동반되고 백혈구 또한 정상 수치를 보이는 경우가 많아 초기 진단이 어려운데 반해 진단 당시에 천공 등의 합병증이 발견되는 빈도가 높으므로 노인 환자에 있어서 충수염의 정확한 조기 진단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일차 진료를 담당하는 가정의의 역할이 중요하다. Background: Acute appendeicitis is a common disease in all age. But there is extended admission period and high mortality rate in old age because of delayed diagnosis due to vague initial symptoms and social reasons. This research is aimed at being of help to reducing misdiagnosis and complication by studying clinical traits of old aged acute appendicitis. Methods: Retrospective analyzed 505 of 3,293 cases of pathologically confirmed acute appendicitis at a university hospital from February 2003 to March 2007. Results: There was 338 cases under age of 65, 167 cases over age of 65. The onset of symtoms was shorter in old age (2.42±3.61/2.20±2.64, P=0.000). The rate visited private clinic was higher in age over 65 (76%/61.1%, P=0.001). Physical eaxmina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s of age over 65, WBC count was low (13.30±10.18/11.57±4.07, P=0.035), the rate of nomal WBC count was high (35.3%, P=0.003). Perforation was high in groups of age over 65 (15.1%/33.5%, P=0.000). Abscess was high,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14.4%/9.2% P=0.095). Histologic finding was in order of suppurative, gangraneous, exudative in age over 65. And the order is suppurative, exudative, gangraneous in age under 65 (P=0.000). Conclusion: In old age, diagnosis of acute appendicitis is difficult due to variable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normal leukocytosis count, but at the time of diagnosis, the rate of complication is high. So, early and accurate diagnosis of acute appendicitis in old age group is important. Role of family medicine doctor whose performing primary care is important.

      • KCI우수등재

        목둘레와 심혈관계 위험인자와의 연관성

        강지현,유병연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2

        연구배경: 최근 단순 비만 지표로서의 목둘레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목둘레와 심혈관계 위험인자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이에 한국 성인 남녀에서 목둘레와 심혈관계 위험인자들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체지방률 등과 비만 지표로서의 목둘레의 유용성을 비교해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일개 대학 병원 종합 검진 센터에 내원한 남녀 292명을 대상으로 목둘fp와 심혈관계 위험인자와의 상관관차를 알아보고 목둘fp를 4분위 (quartiles)로 나누어 가장 낮은 목둘레 4분위군과 가장 높은 목둘레 4분위군 간 심혈관계 질환들의 교차비 (odds ratio)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구해 보았다.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체지방률 등과 비교하여 목둘레가 독립적으로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을 설명할 수 있는 변수인지를 단계별 다중 회기 분석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목둘레는 남자에서 수축기 혈압 및 요산, 여자에서 이완기 혈압. 총콜레스데롤 및 저밀도 콜레스테롤을 제외한 심혈관계 위험인자들과 유의한 상관관차를 보였으며, 가장 높은 목둘레 사분위군에서 가장 낮은 목둘레 사분위군에 비해 HOMA score는 남자 29.2배, 여자 5.1배 증가하였곤, hsCRP는 남자2.0배, 여자 6.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별 다중 회기 분석에서 목둘레는 다른 비만 지표들에 독립적으로 남자에서는 이완기 혈압. 혈당,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시 인슐린, HOMA score, 여자에서는 공복시 혈당, 고밀도 콜레스테롤, 공복시 인슐린 HOMA score의 변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목둘레는 인슐린 저항성 및 hsCRP의 상승과 관련된 심혈관계 위험인자들과 연관되어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증가되어 있는 비만 환자의 선별 검사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association of neck circumfernce with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Methods: We examined 292 persons, who visited a health examination center. The correlation between neck circumference and othe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as tested, and the odds ratio was calculated for various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the highest quartile of neck circumference compared to lowest. We us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o find out whether the neck circumference could be the independent variable to other obesity indices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Results: Neck circumferen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except diastolic blood pressure, uric acid in men and systolic blood pressure, total and LDL cholesterol in women. This odds ratio for HOMA score in the highest quartile of neck circumference compared to lowest was 29.2 in men, 5.1 in women, and for hsCRP the odds ratios was 2.0 in men, 6.6 in women.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neck circumference accounted for diastolic blood pressure, total and LDL cholesterol, triglyceride, insulin, HOMA score in men, glucose, HDL cholesterol insulin, HOMA score in women independently to other obesity indices. Conclusion: Neck circumference is associated with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and hsCRP. The measurement of neck circumference could be useful in clinical screening for obese person at an enhanced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s.

      • KCI우수등재

        단순 비만 지표로서의 목둘레의 분별점

        강지현,유병연,서희선,심경원 대한비만학회 2002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1 No.2

        연구배경 : 목둘레는 인슐린저항성과 관련된 여러 질환과 연관되어 있으며 인슐린저항성의 위험이 증가되어 있는 환자들에서 목둘레가 임상적인 선별검사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리라고 제시되어진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둘레와 비만 관련 지표 및 인슐린저항성의 지표로서의 HOMA score 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비만 환자를 예측할 수 있는 최적의 목둘레 분별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건양대학병원 종합검진센터에 내원하여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남녀 대상자 364명 (남자 199명, 여자 165명) 중 249명 (남자 136명, 여자 113명) 실험군(test group)로 하여 receiver output curve (ROC) 분석을 통해 체질량지수 25 kg/㎡에 대한 최적의 (optimal) 민감도와 특이도를 가지는 목둘레 분별점을 구하였으며, 나머지 115명 (남자 63명, 여자 52명)을 유효군 (validation group)으로 하여 실험군에서 얻어진 목둘레 분별점을 적용하여 그 유효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묵둘레와 비만 관련 지표 및 인슐린저항성의 지표로서의 HOMA score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 목둘레는 남녀 대상군 모두에서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엉덩이허리둘레비,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공복시 혈중 인슐린, HOMA score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실험군에서 비만 환자를 예측할 수 있는 최적의 목둘레의 분별점은 남자에서는 36.6 cm 여자에서는 32.3 cm 였다. 이때의 민감도는 남자 81.92%, 여자 91.5%, 특이도는 남자 77.4%, 여자 69.7%, 정확도는 남자 80.2%, 여자 85%였다. 또한 실험군에서 얻어진 목둘레의 분별점을 유효군에 적용한 결과 남자에서는 민감도 91.9%, 특이도 53.9%, 정확도 76.1%로 나타났으며 여자에서는 민감도 81.25%, 특이도 85%, 정확도 82.69%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측정이 간편한 단순 비만 지표로서의 목둘레와 흔히 사용되는 비만 관련 지표 및 인슐린저항성과의 관련성을 밝혔으며 비만환자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남자 36.6 cm, 여자 32.3 cm라는 목둘레의 분별점을 제시하였다. 향후 보다 일반화할 수 있는 보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Neck circumference has been reported to be related to the other anthropometric measures of obesity and also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disorders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The measurement of neck circumference could be useful in clinical screening for persons at an enhanced risk for insulin resista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 single measure of neck circumference might be correlated with other obesity indices and HOMA score and to define neck circumference cutoff levels for obesity. Methods : We examined 364 consecutive persons (199 men and 165 women), who visited konyang university hospital health examination center during August, 2002. To find the optimal, maximal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neck circumference, the receiver output curve (ROC) analysis of cutoff points against BMI (25 kg/㎡) was performed using the test group (136 men and 113 women). We validated the cutoff level using validation group (63 men and 52 women). Other obesity indices and fasting glucose and insulin were measur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neck circumference. Results : Neck circumferen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waist hip ratio, BMI, total body fat percent, fasting insulin and HOMA score. Neck circumference 36.6 cm for men and 32.3 cm for women was the best cutoff levels for determining the subjects with BMI over 25 kg/㎡. In the validation unrelated group, the test characteristics were acceptable with 91.9% sensitivity, 53.9% specificity, and 76.1% accuracy for men, and 81.25% sensitivity, 85% specificity, and 82.69% accuracy for women. Conclusion : Neck circumference as a simple and easy screening method for obesity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other conventional obesity indices and HOMA score as a index of insulin resistance and we defined neck circumference cutoff level for obesity according existing BMI cutoff levels.

      • KCI우수등재

        한국 비만 여성의 신체 계측에 의한 체지방 추정

        심경원,김지연,서희선,이홍수,이상화,강지현 대한비만학회 2002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1 No.2

        연구배경 : 국내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비용이 적게 들고 단순하면서도 보다 정확하게 체지방률을 추정할 수 있는 체지방률 추정식을 작성함으로써 쉽게 체지방률과 조절해야하는 지방의 양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방법 : 이대목동병원 비만클리닉을 처음으로 내원한 19세 이상의 성인 여자 607명 중 체질량지수가 25 kg/㎡ 이상인 5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목, 가슴, 허리, 엉덩이, 대퇴, 하퇴, 발목, 상완, 전완, 손목의 10부위의 둘레와 생체전기저항분석법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방식의 체성분 분석기를 이용하여 체지방률을 측정하였다. 체지방률 추정식을 구하기 위해 BIA에 의한 체지방률을 종속변수로 하고 , 신체 둘레 계측기 및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연령을 독립변수로 하여 단계별 다중회귀분석 (multiple stepwis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결과 : 신장과 체중, 연령, 체질량지수 및 신체 둘레 측정치 중 체지방률을 반영하는 지표는 체질량 지수, 전완둘레, 신장, 엉덩이 둘레, 하퇴둘레였고, 이 다섯가지 지표를 이용한 체지방률 추정식은 66.1%의 예측력과 2.86%의 측정 오차를 나타냈다 (R^2=0.661, SEE=2.86). 결론 : 비만한 성인 여성에서 신장과 체중, 연령 및 신체 둘레 계측치를 이용한 본 연구의 추정식은 체지방률(%)을 적은 오차범위로 비교적 정확하게 반영하였다. Backgrou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regression equation that accurately estimates body fat percentage using relatively easy and inexpensive method in adult obese Korean women. Method : Data were collected among 500 obese Korean women visiting obesity clinic in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Seoul, Korea. Height, weight, and circumferences at ten body sites (neck, chest, waist, hip, thigh, calf, ankle, arm, forearm, wrist) were measured s well as total body bioelectrical impedance. Results : The full regression equation estimates body fat percentage included six variables : BMI, forearm circumference, height, hip circumference, thigh circumference. This equation accounted for 66.1% of the variance in body weight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d their standard error of estimate was 2.86%. Conclusion : For the obese Korean women in this study, circumference measurements provided a s relatively good estimation of body fat percen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