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앙시기가 중산간지 고품질 쌀 생산에 미치는 영향

        강종래,김정태,백인열,김정일,Kang Jong-Rae,Kim Jung-Tae,Beg In-Youl,Kim Jeong-Il 한국작물학회 2005 한국작물학회지 Vol.50 No.suppl1

        재배시기가 중산간지에서 생산된 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중산간지에 추천된 품종(삼천벼, 상미벼, 화영벼, 주남벼)을 대상으로 5월 10일부터 6월 9일까지 10일 간격으로 4회에 걸쳐 이앙${\cdot}$재배한 3년간의 결과를 분석한 쌀품질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미치 분석결과 재배시기와 품종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어, 5월 10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 화영벼, 주남벼가 삼천벼에 비해, 5월 20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주남벼가 삼천벼에 비해, 5월 30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화영벼가 삼천벼와 주남벼에 비해, 6월 9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삼천벼가 화영벼와 주남벼에 비해 식미치가 높았다. 따라서 상미벼가 4처리의 모든 이앙기에서 식미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아미로스 함량도 재배시기와 품종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인정된바, 5월 10일과 5월 30일 이앙재배에서는 품종간의 아미로스함량에 유의차가 없었고, 5월 20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삼천벼가 주남벼보다, 6월 9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삼천벼가 화영벼와 주남벼 보다 아미로스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3. 단백질 함량은 이앙시기 중 6월 9일 이앙이, 품종 중에서는 주남벼가 가장 낮았다. 4. 완전미의 수량은 이앙시기 및 품종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5. 백미의 수량은 5월 20일 이앙이 5월 30일과 6월 9일 이앙재배보다 높았고, 품종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6. 본 실험 처리 중 중산간지 고품질 쌀 생산에 가장 유리한 이앙기는 5월 20일, 품종은 상미벼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order to find out better cultivation practices in mid-mountainous area to produce high quality rice, an experiment involving four transplanting times and four varieties was carried out, during past three years $(2002\~2004)$.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on palatability of rice between transplanting time, but an interaction effect was between transplanting time and variety, The palatability of milled rice of Sangmibyeo, Hwayongbyeo and Junambyeo transplanted at May 10th were higher than Samcheonbyeo. The palatability of milled rice grown by May 20th day's transplanted, Sangmibyeo and Junambyeo were higher than Samcheonbyeo. The palatability of milled rice grown by May 30th day's trans-planted, Sangmibyeo and Hwayongbyeo were higher than Samcheonbyeo and Junambyeo. And the palatability of milled rice grown by June 9th day's transplanted, Sangmibyeo and Samcheonbyeo were higher than Hwayongbyeo and Junambyeo. It can infer that Sangmibyeo is one of the best option over the transplanting times in term of palatability, Amylose content of milled rice was showed withou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ansplanting time, bu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ransplanting time and variety. The amylose content of grown by May 20th day's transplanted, Sangmibyeo and Samcheonbyeo were lower than Junambyeo. The amylose content of milled rice grown by June 9th day's transplanted, Sangmibyeo and Samcheonbyeo were lower than Hwayongbyeo and Junambyeo. And the amylose content of milled rice grown by May 10th day's and May 30th day's transplanted, was showed withou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ariety. The protein content of milled rice grown by later season transplanted was lower than grown by earlier, The head rice yield wasn't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the treatment of transplanting times and varieties. But the yield of milled rice grown by transplanted at May 20th day was high most in between the treatment of transplanting time. In a conclusion gathering all above the results, 20th May day's transplanting time and Sangmibyeo was one of the best option for producing high quality rice among the treatments in considering with head rice yield, palatability, amylose${\cdot}$protein content and productivity, at Mid-mountainous area.

      • KCI등재

        벼 논에서 토양 유기물 함량, 논 유형 및 농업기후대가 CH<sub>4</sub> 배출에 미치는 영향

        고지연,이재생,우관식,송석보,강종래,서명철,곽도연,오병근,남민희,Ko, Jee-Yeon,Lee, Jae-Saeng,Woo, Koan-Sik,Song, Seok-Bo,Kang, Jong-Rae,Seo, Myung-Chul,Kwak, Do-Yeon,Oh, Byeong-Gun,Nam, Min-H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5

        영남지역에서 자연적 입지조건이 논토양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2004년, 2005 및 2007년의 3년간 경남 밀양에 위치한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시험포장과 인근 포장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논토양에서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 깊은 자연적 요인인 논토양 유기물 함량, 논 유형 (보통답, 미숙답, 습답 및 사질답) 및 농업기후대별 (영남내륙지대, 영남내륙산간지대 평지 및 산지, 동해안중부지대) 로 $CH_4$ 배출량을 조사하였다. 논토양 유기물 함량에 따른 $CH_4$ 배출량은 동일비료의 장기연용에 의하여 인접한 토양임에도 토양유기물 함량이 서로 다른 시험구에서 벼 표준재배법에 따라 동일하게 시비관리하면서 조사하였다. 논토양 $CH_4$ 배출량은 GWP 기준으로 3요소+퇴비 장기시용에 의하여 유기물 함량이 가장 높았던 처리구에서 $CH_4$ 배출량이 $3,597kg\;CO_2\;ha^{-1}\;yr^{-1}$ (100%)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퇴비 72.1%, 3요소 70.5%, 3요소+규산 49.9% 및 무비 41.1%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 유기물 함량의 순서와 일치하였으며, 논토양 온실가스 배출량과 토양 유기물 함량 사이에는 r = $0.963^{**}$의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y = $4.3096x^{1.81314}$, 단 x는 토양 유기물함량, g $kg^{-1}$).논 유형별 $CH_4$ 배출량 (GWP) 은 토양 투수속도가 느리고, 유기물 함량이 높아 토양의 혐기상태가 강하게 유지되는 습답에서 $14,160kg\;CO_2\;ha^{-1}\;yr^{-1}$ (100%)로 가장 많았고, 미숙답은 64.0%, 보통답 46.8%, 사질답 23.8%의 순으로 나타났다. 농업기후대에 따른 논토양 $CH_4$ 배출량 (GWP)은 벼 재배기간 중 평균기온이 가장 높았던 영남내륙지대 (밀양)에서 $4,967kg\;CO_2\;ha^{-1}\;yr^{-1}$ (100%)로 가장 배출량이 많았 고, 동해안중부지대 (영덕) 94.6%, 영남내륙산간 평지 (상주 신봉) 91.7% 및 영남내륙산간 산지 (상주 화서) 78.9%의 순이었다. 기후대별 온도인자 중 7-9월 평균기온과 논토양 온실가스 배출량 사이의 회귀식은 y = 389.7x-4,287(단 x는 농업기후대별 7-9월 평균기온, $R^2=0.906^*$)이었다. 이와 같은 자연적 입지조건이 논토양 $CH_4$ 배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논토양 입지조건을 고려한 온실가스 저감방법 구명 및 개발에 기초연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 evaluate the effects of abiotic factors of paddy fields on greenhouse gases (GHGs) emissions from rice paddy fields, $CH_4$ emission amounts were investigated from rice paddy fields by different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paddy types, and agricultural climatic zone in Yeongnam area during 3 years. $CH_4$ emission amounts according to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in paddy field were conducted at having different contents of 5 soil organic matters fields (23.6, 28.7, 31.0, 34.5, and $38.0g\;kg^{-1}$), The highest $CH_4$ emission amount was recorded in the highest soil organic matters plot of $38.0g\;kg^{-1}$.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r=$0.963^{**}$) was obtained between $CH_4$ emissions from paddy fields and their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According to paddy field types, $CH_4$ emission amounts were investigated at 4 different paddy fields as wet paddy, sandy paddy, immature paddy, and mature paddy. The highest $CH_4$ emissions was recorded in wet paddy (100%) and followed as immature paddy 64.0%, mature paddy 46.8%, and sandy paddy 23.8%, respectively. For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CH_4$ emissions from paddy fields, 4 agricultural climatic zones were investigated, which were Yeongnam inland zone (YIZ), eastern coast of central zone (ECZ), plain area of Yeongnam inland mountainous zone (PMZ), and mountainous area of Yeongnam inland mountainous zone (MMZ). The order of $CH_4$ emission amounts from paddy fields by agricultural climatic zone were YIZ (100%) > ECZ (94.6%) > PMZ (91.6%) > MMZ (78.9%).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CH_4$ emission amounts from paddy fields and average air temperature of Jul. to Sep. of agricultural climatic zone was y = 389.7x-4,287 (x means average temperature of Jul. to Sep. of agricultural climatic zone, $R^2=0.906^*$)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수수 도정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우관식(Koan Sik Woo),서명철(Myung Chul Seo),강종래(Jong Rae Kang),고지연(Jee Yeon Ko),송석보(Seuk Bo Song),이재생(Jae Saeng Lee),오병근(Byeong Geun Oh),박기도(Gi Do Park),이용환(Yong Hwan Lee),남민희(Min Hee Nam),정헌상(Heon Sang J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11

        본 연구에서는 황금찰수수의 도정분획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항산 화성분으로 총 polyphenol, flavonoid, tannin, anthocyanin 및 proanthocyanidin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은 ABTS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수율은 각각 수수의 hull, bran 및 grain으로 구분하여 80% 메탄올로 추출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수율을 측정한 결과 9.95, 19.05 및 2.94%로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hull, bran 및 grain층에서 각각 9.95, 19.05 및 2.94%의 수율을 보였다. 실험결과 bran의 추출물이 hull이나 grain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의 항산화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항산화성분이 다량 분포하는 bran 추출물이 ABTS와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각각 66.37 및 36.56 ㎎ TE/g sample으로 나타나 hull이나 grain 추출물보다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수수의 bran은 기능성식품 제조에 있어 좋은 소재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compounds and their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sorghum.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compounds in the methanolic extract from the milling fractions, the content of polyphenol, flavonoids, tannin, anthocyanins and proanthocyanidin were measured by spectrophotometric methods. These were evaluated for antioxidative activities by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s. The extraction yield of hull, bran and grain of sorghum were 9.95, 19.05 and 2.94%, respectively.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sorghum bran showed generally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e extracts from hull and grain of sorghum. In addition, antioxidant compounds distributed much higher contents in sorghum bran extract than in the extracts from hull and grain of sorghum.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also noted between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olyphenolic compou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notable antioxidant activity in sorghum bran is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 health benefits.

      • KCI등재

        수수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재배지역의 영향

        우관식(Koan Sik Woo),이재생(Jae Saeng Lee),강종래(Jong Rae Kang),고지연(Jee Yeon Ko),송석보(Seuk Bo Song),오병근(Byeong Geun Oh),서명철(Myung Chul Seo),곽도연(Do Yeon Kwak),남민희(Min Hee Na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1

        재배지역에 따른 수수 품종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내륙평야지인 경남 밀양과 산간지인 강원 원주, 해안지인 전남 신안에서 5개의 수수를 재배하여 수확된 수수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성분 함량 분석 및 항산화활성을 검정하였다. 재배환경에 따른 수수 종자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강원 원주에서 재배한 메수수와 대풍수 수가 19.64 및 19.32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경남 밀양에서 재배한 흰찰수수가 2.63 mg/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강원 원주에서 재배한 대풍수수가 7.54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경남 밀양에서 재배한 흰찰수수가 1.24 mg/g으로 가장 낮았다. 대체적으로 항산화성분의 함량은 산간지인 강원 원주에서 재배한 수수가 높은 함량을 보였고 품종에 따라서는 황금찰수수와 대풍수수, 메수수가 높은 항산화성분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환경에 따른 수수 종자 상태의 메탄올 추출물 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체적으로 radical 소거활성은 재배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품종에 따라서는 유색의 종피를 가진 황금찰수수, 대풍수수, 토종수수, 메수수가 높은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항산화성분의 함량과 항산화활성은 재배지역과 품종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cultivated area on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rghum were determined. The cultivated areas were Miryang (plain area of interior), Wonju (mountainous territory), and Sinan (coastal area), and the cultivated varieties were Hwanggeumchal-susu (HGCS), Daepung-susu (DPS), Whinchal-susu (WCS), Tojong-susu (TJS), and Mae-susu (MS).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methanolic extracts were 19.64 and 19.32 mg gallic acid equivalent (GE)/g in un-hulled MS and DPS on the cultivated Wonju. The highest total flavonoid content was 7.54 mg catechin equivalent (CE)/g in un-hulled DPS on cultivated Wonju. Generally, antioxidant compound contents of sorghum on cultivated Wonju were higher than those of Miryang and Sinan. Further, un-hulled HGCS, DPS, and MS were higher than un-hulled WCS and TJS.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of sorghum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with the cultivated areas, wherea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with cultivated varieties.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un-hulled HGCS, DPS, and MS with red or dark brown seed coats were higher than those of un-hulled WCS and TJS with white seed coats.

      • KCI등재

        미국실새삼 발생밀도가 콩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송석보(Seok Bo Song),이재생(Jae Saeing Lee),강종래(Jong Rae Kang),고지연(Jee Yeon Ko),서명철(Myung Chul Seo),우관식(Koan Sik Woo),오병근(Byeong Geun Oh),남민희(Min Hee Nam) 韓國雜草學會 2010 Weed&Turfgrass Science Vol.30 No.4

        콩재배시 발생하고 있는 기생잡초인 미국실새삼의 발생밀도가 콩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고 이들 경합에 의한 콩의 피해를 예측하여 콩 재배시 효율적인 잡초방제체계 관리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미국실새삼의 발생밀도가 높아지더라도 콩의 생육초기에는 경장과 분지수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생육후기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식물체 건물중, 백립중, 협수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콩에 미치는 피해정도는 협수> 백립중> 건물중> 분지수> 경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국실새삼 경합밀도가 1~48본 m-2일때 콩 수량은 각각 80.3~99.7%의 수량감소를 보였으며, 미국실새삼 경합밀도별로 조사된 콩의 수량 자료에 따른 콩 수량 예측 모델은 Y = 274.6783/(1+4.3522X), R²=0.999$였으며 50% 수량감소를 유발하는 미국실새삼의 잡초밀도는 ㎡당 0.23개로 추정되어 콩 재배지에 발생시 심각하게 피해를 줄 잡초로 예상된다. 생산 및 증수비용을 고려한 콩밭 미국실새삼의 경제적 피해한계 밀도 수준은 ㎡당 0.004개로 예측할 수 있었으며 이보다 발생밀도가 많을 경우에는 잡초를 방제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dict reduction of soybean yield as affected by different densities of Cuscuta pentagona. All data were fitted to Cousens" rectangular hyperbola model to estimate parameters for predicting soybean yield loss. The yield of soybean in the various densities (1 to 48 plants m-2 of C. pentagona reduced by 80.3 to 99.7%, respectively. Among yield components, number of pods was the mos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eed interferences. The prediction model for soybean yield as affected by weed competition was as follows: Y= 274.6783/(1+4.3522X), r²=0.999 in C. pentagona. Economic threshold levels calculated using cousens" equation was 0.004 plants m-2 in C. pentagona.

      • KCI등재

        바랭이 발생밀도가 콩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송석보(Seok Bo Song),이재생(Jae Saeng Lee),강종래(Jong Rae Kang),고지연(Jee Yeon Ko),서명철(Myung Chul Seo),우관식(Koa Sik Woo),오병근(Byeong Geun Oh),남민희(Min Hee Nam) 韓國雜草學會 2009 Weed&Turfgrass Science Vol.29 No.4

        통 재배시 많이 발생하고 있는 일년생 잡초인 바랭이의 발생밀도가 콩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고 이들 경합에 의한 콩의 피해를 예측하여 콩 재배시 효율적인 잡초방제체계 관리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바랭이의 발생밀도가 높아지더라도 콩의 경장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분지수, 백립중, 협수를 크게 감소하였으며 콩 수량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은 협수> 백립중> 분지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바랭이 경합밀도가 4~492본 m-2 일 때 콩 수량은 각각 17~57%의 수량감소를 보였으며, 바랭이 경합밀도별로 조사된 콩의 수량 자료에 따른 콩 수량 예측모델은 Y=204.462/(1+0.0069X), R²=0.896이였으며, 50% 수량감소를 유발하는 바랭이의 잡초밀도는 m²당 145본으로 추정된다. 생산 및 증수비용을 고려한 콩밭 바랭이의 경제적 피해한계 밀도 수준은 1㎡당 3.4개로 예측할 수 있었으며 이보다 발생밀도가 많을 경우에는 잡초를 방제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dict reduction of soybean yield as affected by different densities of Digitaria sanguinalis. All data were fitted to Cousens’ rectangular hyperbola model to estimate parameters for predicting soybean yield loss. The yield of soybean in the various densities (4 tod 192 plants m-2) of D. sanguinalis was reduced by 17 to 57%, respectively. Among yield components, number of pods was the mos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eed interferences. The prediction model for soybean yield as affected by competitive density of D. sanguinalis was as follows : Y=204.462/(1+0.0069X), r²=0.896. Economic threshold levels calculated using Cousens’ equation was 3.4 plants m-2 in D. sanguinalis.

      • KCI등재

        발아에 따른 조, 기장, 수수의 화학적 성분 변화

        고지연(Jee Yeon Ko),송석보(Seuk Bo Song),이재생(Jae Saeng Lee),강종래(Jong Rae Kang),서명철(Myung Chul Seo),오병근(Byeong Geun Oh),곽도연(Do Yeon Kwak),남민희(Min Hee Nam),정헌상(Heon Sang Jeong),우관식(Koan Sik W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8

        발아시간에 따른 잡곡류의 싹 길이, 단백질, 식이섬유, GABA,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검토한 결과 싹 길이는 수수가 가장 빠르게 크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장, 조 순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및 총 식이섬유 함량은 발아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단백질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발아 황금조, 청차조, 붉은기장, 노란찰기장, 황금찰수수 및 흰찰수수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각각 6.3, 7.3, 6.2, 5.2, 7.0 및 9.0 g/100 g으로 나타났으며, 96시간 발아시킨 시료는 각각 16.3, 13.9, 9.4, 6.5, 15.9 및 12.5 g/100 g으로 증가하였다. 발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GABA 함량은 일정시간 동안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발아시간은 조는 24시간(각각 347.4 및 336.5 ㎍/g), 붉은기장은 84시간(347.4 ㎍/g), 노란찰기장은 36시간(344.9 ㎍/g), 황금찰수수는 48시간(410.4 ㎍/g), 흰찰수수는 72시간(444.0 ㎍/g)으로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탄닌 등 항산화성분 함량은 전반적으로 조와 기장 각각 두 품종과 흰찰수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황금찰수수는 초반에 급격히 감소하다가 발아가 진행되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황금찰수수는 무발아 시료 및 96시간 발아시킨 시료에서 각각 201.00 및 137.17 ㎎/g을 보였으며, 흰찰수수는 각각 54.23 및 97.90 ㎎/g으로 나타났다. 황금조 및 붉은기장 무발아 시료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40.29 및 19.81 ㎎ TE/g의 활성을 보였으며, 96시간 발아시료에서 각각 51.96 및 26.17 ㎎ TE/g의 활성을 보였다. 황금찰수수 무발아 시료는 176.03 ㎎ TE/g의 활성을 보였으며, 발아시료는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황금찰수수를 이용한 발아잡곡의 제조는 살수를 하는 공정이 없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고 조, 기장 등의 잡곡은 발아기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양호할 것으로 판단된다.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three cereals,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during germination were determined. The crude protein contents of the three cereal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during germination, whereas the contents of total dietary fiber of the three cereals increased during germination. The contents of γ-aminobutyric acid (GABA) of Whanggeum-cho (347.4 ㎍/g), Chongcha-cho (336.5 ㎍/g), Bulgeun-gijang (347.4 ㎍/g), Noranchal-gijang (344.9 ㎍/g), Whanggeumchal-susu (410.4 ㎍/g), and Whinchal-susu (444.0 ㎍/g) increased after 24, 24, 84, 36, 48, and 72 hr of germination, respectively, and then sharply decreased.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flavonoids, and tannin in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Whinchal-susu tended to increase during germination. However,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Whanggeumchal-susu greatly decreased by 48 hr of germination and then considerably increased, whereas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Whanggeumchalsusu greatly decreased during germination. Total tannin content of Whanggeumchal-susu greatly decreased by 36 hr of germination and then slowly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hanggeumchal-susu greatly decreased by 36 hr of germination and then remained constant, whereas those of other cereals did not greatly change during germin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three cereals during ger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