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든(Gordon)의 음악학습이론에 근거한 표준보육과정 내 음악활동의 내용분석과 재구성

        강순미(Kang Soon Mee),조대현(Cho Dae H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유아기의 통합적 음악교육을 강조하고 그 실제를 다양하게 제시한 고든(Gordon)의 음악학습이론을 기초로 하여 표준보육과정 내 음악활동을 분석하고, 이를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음악적 환경으로 재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표준보육과정이 제시하는 만 3, 4, 5세의 음악활동 내용을 분석하였고, 고든의 관점에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국가 수준의 표준보육과정이 제시하는 음악활동의 경우 고든이 중요하게 다루는 다양한 음악적 요소가 결여되어 있다. 둘째, 고든의 경우, 표준보육과정 내 음악활동과는 달리 놀이적 요소가 매우 중요하게 다뤄지는데 이는 유아들의 자발적이고 직접적인 경험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셋째, 두 관점 모두 공통적 특징으로 교사의 자율성이 강조된다. 이는 유아의 발달수준 및 관심 등을 고려한 유아음악환경의 제공을 의미하며, 따라서 고든과 표준보육과정 모두 높은 수준의 음악 교육적 자질을 교사에게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보육현장에서의 효과적인 유아음악교육을 위해서는 교사양성과정 및 재교육과정에서의 지속적인 변화와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show our perspective after analyzing the Musical Activity Programs of the National Standard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Gordon's Musical Learning Theory. We analyzed musical activities of the National Standard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age 3, 4, and 5 in an attempt to provide three suggestions for reorganizing the musical environment, so that it can be applied on the fields of the infant education. First, various musical components which Gordon emphasized are lacking in the National Standard Education Curriculum. Second, playing factors and the environment Gordon emphasized is to be inserted in order to draw infant's voluntary and intimate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Third, as a feature of the two education concepts, teacher's self-control is needed. In order to provide each infant individual with an environment pertinent to its development level and needs, high level of teacher's musical ability is required. As the National Standard Education Curriculum infa anly defifan integral environmental data for gener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children, for the specific purpose of efficient musical education, re-training opportunities should be given to teachers as a continuing effort for the sustainable reform prior to the program proceeds.

      • KCI등재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의 적용과 효과 연구

        강순미(Kang Soon Mee),김수연(Kim Soo youn),오지혜(Oh Gi Hye)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3 Global Creative Leader Vol.3 No.2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 인성교육프로그램을 보육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5세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학부모 면담과 설문지를 실시하여 요구사항을 알아보았다. 또한 유아 인성교육프로그램은 보육기관의 교사들과 협의하여 10개월간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인성교육프로그램의 내용과 구성은 기존의 프로그램을 그대로 적용하기 보다는, 각 기관의 실정에 맞게 설계되어야 하며, 유아 인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유아, 학부모 그리고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교사에게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A the children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process of Nuri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its effect. Examined the requirements for conducting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20 infants to 5 years of age, parent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infant character education program was 10 months of the program in consultation with the teachers of the nursery. The study of the infant character education program and configuration, rather than applying existing programs sh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each institution's sleep, and the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toughness infants, parents, and teachers to conduct a program for a positive effect was shown.

      • KCI등재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문학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순미 ( Soon Mee Kang ),이세나 ( Sae Na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문학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감 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3년제 대학교 유아 교육과에 재학 중인 48명의 예비유아교사였다. 이들 중 24명은 실험집단으로 분류되어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문학교육프로그램을 경험하도록 하였고, 나머지 24명은 비교집단으로 유아문학교육프로그램을 경험하도록 하였다.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문학교육프로그램은 유아문학이론강의, 소집단토론, 다문화그림책 읽기, 모의수업, 수업반성활동, 반성적 저널쓰기로 구성되었고, 본 교육프로그램에서 소개된 다문화그림책은 교육인적자원부 추천 다문화 관련 어린이도서에서 선정하 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사전과 사후에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하여 유아문 학교육프로그램을 경험한 예비유아교사들은 그렇지 않은 예비유아교사들에 비해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 early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program using multi-culture picturebooks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were 4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 college. Twenty-four of them were put in the experiment group and went through the literatur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making use of the multi-culture picture books, while the others, the control group, used literature from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The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program using multi-culture picture books consisted of lectures on theories of literature in early childhood, small group discussions, reading multi-culture picture books, trial classes, reflective activities in the classes and writing reflective journals. In addition, the multi-culture picture books introduced by the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program were selected from children`s books which were associated with multiple cultures and strongly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program, tests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ere carried out and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by ANCOVA. From the results,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n the experimen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5세 누리과정 내실화를 위한 창의성 교육의 적용사례와 재구성 연구

        강순미 ( Soon Mee K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미래사회를 살아갈 유아들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의 하나인 창의성 교육활동의 내용을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현장 적용사례를 알아보고, 그 적합성을 살펴서 창의적 사고 기법을 접목시킨 활동을 소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5세 누리과정에서 창의성 교육이 제대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첫째, 창의성 관련활동의 목표와 내용,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및 통합적 요소가 중요하다. 둘째, 교육내용 영역을 균형있게 제공하면서 발달에 적합한 교수방법이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의 실정에 맞게 창의성 교육은 구체적이며 탄력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넷째, 교사들이 창의성 교육과정과 교육활동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show the application examples of creativity education, one of core competence necessary for promising children, on the basis of teacher`s guide for Nun-curriculum for 5-year-olds, and their suitability, including a variety of activities adopted the way of creative thinking. To achieve the goal of Nun-curriculum for 5-year-olds effectively, the aim and information of creativity-related activities,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ratings, and organizational elements were crucial in the first place.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relevant teaching methods be adopted including balanced aspects of the curriculum. Third, the creativity education was supposed to be done in a concrete and flexible way to the practical conditions of the facilities for kids. Finally, the teachers we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hands for the facilities to re-organize the creativity education courses and activities.

      • KCI등재

        ‘생각의 탄생’-13가지 생각도구를 기초한 유아교사의 유아 창의성교육의 의미 탐색

        강순미(Soon Mee Ka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Root-Bernstein(2007)의 ‘생각의 탄생’에 소개된 13가지 생각도구를 기초로 하여 유아교사의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유아 창의성교육 관련 강좌를 수강하는 유아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은 매주 유아 창의성 관련 이론 수업과 13가지 생각도구를 주제로 발표와 토의, 반성적 저널 작성과 총 3회의 면담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13가지 생각도구를 기초한 유아교사의 유아 창의성교육의 의미는 ‘돌아보기’, ‘13가지 생각도구-창의적 사고력 높이기’, ‘새롭게 접근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유아교사들은 다양한 교육적 접근 방법에 의해 창의성에 관한 인식이 변화될 수 있다는 것과, 유아교사 스스로가 창의적인 교사가 되기 위해 꾸준한 자기 연수와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based on the 13 thinking tools introduced in 'THE BIRTH OF THOUGHTS' by Root-Bernstein (2007), intends to seek the meaning of children's creativity education by childhood teachers. The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are preschool teachers taking courses related to childhood creativity, and were interviewed three times, with weekly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on the theme of 13 thinking tools and child creativity-related theory, and reflection journal composition. The study found out that the meaning of children's creativity education by childhood teachers indicates 'self-communion,' '13 thinking tools-enhancement of creative thinking power,' and 'new approach.' It was found out that by the mea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hildhood teachers could be changed by a variety of creative education methods, and in order to be creative, steadfastness, consistent self-reflection, and aspiration are needed as well.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아개념이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강순미 ( Soon Mee K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자아개념이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과 수도권에 위치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157명이다. 검사도구는 자아개념 검사와 창의적 리더십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두 변인 간의 상관관계와 설명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아개념은 창의적 리더십과 의미있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문제해결 리더십과 사회적 리더십은 자아개념 합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리더십을 가장 잘 설명하는 자아개념의 요인으로는 인지적 자아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개인적 리더십, 문제해결 리더십, 사회적 리더십 모두 인지적 자아의 설명력이 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가 되기 직전 단계인 대학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리더십을 증진시키고, 지원해 줄 수 있는 구체적이고 다양한 교육적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고자 한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concept on creative leadership. 157 college students, majoring preschool education in colleges located near and in, were selected as subjects. Self-concept and creative leadership tests as assesment tools were carried out to confirm explainable factors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both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out that the self-concep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related meaningfully to the creative leadership. When it comes to the secondary-factors, it was proved that a problem-solving leadership and a sociable leadership were static-correlated to the total self concept. Second, it was found out that it was cognitive-self that could explain the early teachers` creative leadership as the factors of self-concept. As secondary-factors respectively, private leadership, problem solving leadership, and social leadership all take up a great deal of proportion in explainable factors for cognitive self.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some extent, concrete and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encourage and support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leadership are essential.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보육교사 연수 공공성 강화 방안

        강순미(Kang, Soon-Mee)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8 Global Creative Leader Vol.8 No.2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새 정부의 보육정책에 따라 영유아의 전인발달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보육교사 대상 현직연수에 관하여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연수 공공성 강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과 공공성이라는 정책적 변화와 관련해서 보육교사 에게 요구되는 것은 당연히 전문성이라 할 수 있기에 의무교육의 성격을 갖고 있는 법정연수 현황을 통하여 그들에게 유용한 현직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자기 개발을 위한 연수도 제안한다. 첫째, 보육교사의 근무조건 개선과 같은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 환경 조성이다. 둘째, 공공보육의 현실화 방안으로 교사별 지원 프로그램 운영이다. 셋째, 보육교사의 보수교육방법 및 평가방법의 개선이다. 넷째,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 대상자 확대와 실천적 지식 전문가의 보육기술 요구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제안점을 토대로 향후 보육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공공성이 더욱 강화 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service education of childcare teachers, which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he new government s childcare policy, and find ways to strengthen publicness of in-service educa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pport environment for professional improvement such as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it is the implementation of the support program for each teacher as a realization of public child care. Third, improvement of in-service training and evaluation method of childcare teacher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will strengthen the publicness of in-servic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창의적 가정환경,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 간의 구조모형 관계연구

        유경훈 ( Kyoung Hoon Lew ),강순미 ( Soon Mee K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창의적 가정환경,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선 행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각 변인들 간의 관계 및 설명력에 관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이를 검정하 는 것에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의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 182명의 자아존중감, 창의적 환경, 또래유 능성을 유아와 그들의 교사와 부모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창의적 가정환경,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의 하위변인들 간에는 의미 있는 상관이 있었으며 높은 정 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경험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적합지수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창의적 가정환경은 자아존중감과 또래유능성을 직접적으로 설명하고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은 또래유능성을 직접적으로 설명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among the creative environment, self-esteem and peer competence of preschoolers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 confluence approa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82 preschoolers, selected for a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 In this study, Creative home environment(Oh & Choi, 2006), Self-esteem(Jee et al, 2003), Peer competence of preschoolers Test(Lee, 2011)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by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ub factors of creative environment, Self-esteem, Peer competence were very positive relationship. Second, creative environment variables 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self-esteem and peer competence. Third, self-esteem variables 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peer competence.

      • KCI등재

        유아의 성격과 기질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유경훈(Lew, Kyoung-Hoon),강순미(Kang, Soon-M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2

        본 논문에서는 유아의 성격, 기질, 또래유능성 간의 관련성 및 설명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 다. 연구대상으로 수도권에 위치한 5곳의 유치원에서 만 4세, 만 5세의 유아들의 성격, 기질, 또래유능성 검사를 실시 하여 수집된 총 137명을 대상으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유아의 기질과 성격은 또래유능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유아의 기질에서 적응성이 또래유 능성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격의 외향성과 내향성 하위요인과 기질의 적응성과 생 리적 규칙성은 또래유능성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를 고려하여 또래관계에서 유능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아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at effect personal relationship personality and temperament have on peer competence of a child. To carry out the research, this experiment subjected 137 preschoolers with age range of 4 to 5 years old attending in 5 education institution for preschoolers in Seoul. The result showed that personal relationship personality of a child and his temperament hold certain influence on peer competence. To take a detailed look on this matter we divided the independent variable into low facto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peer competence was influenced by the introverted personality and outgoing personality which are the sub factors of personality and was also affected by physiological regulation and adaptability which is the sub factor of the temperament.

      • KCI등재

        다문화 경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태도,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이세나 ( Sae Na Lee ),강순미 ( Soon Mee K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경험에 따른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태도, 다문화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3년제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295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경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태도,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실습경험, 다문화교육, 타문화친구, 다문화에 대한 관심정도에 따라 다문화감수성에 차이를 보였으며, 실습경험, 다문화봉사활동, 종교활동, 다문화에 대한 관심정도에 따라 다문화교육태도에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다문화교육, 종교활동, 다문화에 대한 관심정도에 따라 다문화교수효능감에 차이를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감수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실습경험이었으며, 다문화교육태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다문화교수효능감이었다. 그리고 다문화교수효능감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다문화교육태도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태도, 다문화교수효능감은 경험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하는 신념이므로,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적 신념과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양성과정에서 양질의 다문화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efficacy based on teachers`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examined the variable that influence on their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e subjects were 29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ending to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about multicultural experience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e data were analysed by SPSS WIN 1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multicultural sensitivity according as early childhood practicum, multicultural education, friends who had different culture, and levels of interest in multiculture.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multicultural attitude according as early childhood practicum, multicultural education, religion activities, and levels of interest in multiculture. Also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multicultural efficacy according as multicultural education, religion activities, and levels of interest in multiculture. Second, early childhood practicum was found to effect on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attitude was found to effect on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efficacy was found to effect on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