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Overexpression of EFGR as Prognostic Factor and Effect of EGF in the Progression of Hypopharyngeal Cancer

        임영창,최은창,김윤태,김장희,황혜숙,강성운,장재원,신유섭,김철호,Lim, Young Chang,Choi, Eun Chang,Kim, Yoon Tae,Kim, Jang Hee,Hwang, Hye Sook,Kang, Sung Un,Chang, Jae Won,Shin, Yoo Seob,Kim, Chul-Ho The Korean Society for Head and Neck Oncology 2013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9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표피성장인자수용체(EGFR)는 HER2/neu(erbB2), HER3(erbB3), HER4(erbB4)를 포함하는 receptor tyrosine ki-nase의 erbB 그룹에 속하는 수용체이다.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과발현은 다양한 종류의 암, 특히 두경부편평세포암에서 예후를 악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하인두편평세포암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 및 분포를 확인하고, 하인두암에서 표피성장인자(EGF)가 암세포의 증식과 침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57명의 하인두편평세포암 환자의 조직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을 면역화학적염색을 통해 확인하고, 이에 대해 임상병리학적 요인과 생존율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 일부 환자의 정상 및 암조직에서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하인두편평세포암 세포주인 FaDu에서 proliferative assay, colony dispersion, wound healing assay, invasion assay를 시행하여, 하인두암의 진행에서 표피성장인자의 역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RT-PCR과 Zymography를 통하여 Matrix metalloproteinase(MMP)-2, 9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결 과 63.2%의 하인두편평세포암 조직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은 정상조직에서 비하여 하인두암 조직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며, 병리학적 병기(p=0.022)가 올라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증례수의 제한으로 생존율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얻지는 못했다(p=0.053). in vitro의 결과로 표피성장인자를 FaDu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FaDu 세포주의 증식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05), Transwell invasion chamber상 침습의 증가가 확인되었다(p<0.05). RT-PCR과 zymogram 실험상 표피성장인자처리시 FaDu 세포주의 MMP-2, 9이 발현이 증가되고 활성화되는 것이 확인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과발현이 하인두암의 예후 인자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표피성장인자가 하인두편평세포암의 증식과 침습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구강암편평세포암에서 c-Met 발현여부에 따른 (-)-Epigallocatechin-3-Gallate의 세포사멸 및 종양침습억제효과의 변화분석

        신유섭(Yoo Seob Shin),고윤우(Yoon Woo Koh),최은창(, Eun Chang Choi),강성운(Sung Un Kang),황혜숙(Hye Sook Hwang),추옥성(Oak-Sung Choo),이한빈(Han Bin Lee),김철호(Chul-Ho Kim)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1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7 No.1

        Hepatocyte growth factor(HGF) and c-Me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ntrol of tumor growth and inva-sion, and they are known to be good prognostic indicators of patient outcome.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has been shown to have chemopreventive and therapeutic properties by modulating multiple signal pathways regarding the control of proliferation and invasion of cell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ole of c-Met in EGCG-induced inhibition of invasion and apoptosis in an oral cancer cell line. In KB cells where c-Met was knocked down with siRNA, we performed invasion assay and FACS with Annexin V-FITC/PT staining. In addition, we checked the change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MMP) and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ROS). EGCG-induced inhibition of invasivene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knock-down of c-Met. EGCG-induced apoptosis, MMP change and ROS generation was also reduced in c-Met knock-ed-down KB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Met is involved in EGCG-induced apoptosis and inhibition of invasiveness of oral cancer cell line.

      • Overexpression of EFGR as Prognostic Factor and Effect of EGF in the Progression of Hypopharyngeal Cancer

        Young Chang Lim(임영창),Eun Chang Choi(최은창),Yoon Tae Kim(김윤태),Jang Hee Kim(김장희),Hye Sook Hwang(황혜숙),Sung Un Kang(강성운),Jae Won Chang(장재원),Yoo Seob Shin(신유섭),Chul-Ho Kim(김철호)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3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9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표피성장인자수용체(EGFR)는 HER2/neu(erbB2), HER3(erbB3), HER4(erbB4)를 포함하는 receptor tyrosine kinase의 erbB 그룹에 속하는 수용체이다.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과발현은 다양한 종류의 암, 특히 두경부편평세포암에서 예후를 악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하인두편평세포암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 및 분포를 확인하고, 하인두암에서 표피성장인자(EGF)가 암세포의 증식과 침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57명의 하인두편평세포암 환자의 조직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을 면역화학적염색을 통해 확인하고, 이에 대해 임상병리학적 요인과 생존율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 일부 환자의 정상 및 암조직에서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하인두편평세포암 세포주인 FaDu에서 proliferative assay, colony dispersion, wound healing assay, invasion assay를 시행하여, 하인두암의 진행에서 표피성장인자의 역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RT-PCR과 Zymography를 통하여 Matrix metalloproteinase(MMP)-2, 9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결 과 63.2%의 하인두편평세포암 조직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은 정상조직에서 비하여 하인두암 조직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며, 병리학적 병기( p=0.022)가 올라갈수록 유의 하게 증가하였으나, 증례수의 제한으로 생존율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얻지는 못했다( p=0.053). in vitro 의 결과로 표피성장인자를 FaDu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FaDu 세포주의 증식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p<0.05), Transwell invasion chamber상 침습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p<0.05). RT-PCR과 zymogram 실험상 표피성장인자처리시 FaDu세포주의 MMP-2, 9이 발현이 증가되고 활성화되는 것이 확인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과발현이 하인두암의 예후 인자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표피성장인자가 하인두편평세포암의 증식과 침습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