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필터링구간 설정에 따른 환기역치와 EMG 역치의 적합성 평가

        강성기 ( Seoung Ki Kang ),엄한주 ( Han Joo Eo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8 체육과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강성기와 엄한주(2006)의 무산소성 역치시점 추정방안에 대한 연구: 환기역치와 EMG 방법의 실증적 비교에 후속연구로써 구간 설정의 필터링 시간에 따른 환기역치와 EMG 역치의 일치성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EMG를 이용한 역치 추정방법은 환기역치 추정에 적용되고 있는 회귀모형을 이용하였으며, 필터링구간은 9초, 15초, 20초, 25초 30초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는 총 71명(일반인 36명, 대학운동선수 35명)이었으며, 자료처리는 SPSS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든 자료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각각의 필터링구간에 따라 일반인과 운동선수의 환기역치와 EMG 역치시점 시간의 평균차이 검증은 삼원 변량분석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G-이론 모형을 이용하여 피험자(p), 추정방법(m), 필터링 시간(t)을 국면으로 설정한 교차설계로 분산성분 추정치를 통해 각 오차원의 상대적인 크기(%)를 비교하였다. 필터링구간별 환기역치와 EMG역치 추정 방법의 타당도 평가를 위해 상관분석 (Pearson`s r)과 Bland-Altman plot을 이용하였다. 필터링구간별 환기와 EMG 역치시점에 대한 변량분석 결과 모든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며(p>.05), VT와 EMG 방법의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분산성분 추정치 결과에서도 전체변량의 대부분이 피험자에 의한 것이었으며, 측정방법 차이에 의한 변량은 일반인 0.18%, 운동선수는 0%였으며, 필터링 시간에 의한 변량도 매우 적게 나타났다. 그리고 모든 필터링구간(9초, 15초, 20초, 25초, 30초)에서 환기역치와 EMG역치 시점이 매우 유사하였으나 EMG역치 평균이 환기역치보다 비교적 안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환기역치와 EMG역치 추정 값의 상관계수는 각 필터링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필터링구간이 짧은 9초와 15초의 상관계수는 다른 구간보다 다소 낮았으며, 특히 환기역치 자료에서 이러한 형태가 뚜렷하여 안정적인 무산소성 역치 추정을 위해서는 필터링구간이 최소 20초 이상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EMG에 의한 역치 추정방법은 필터링구간을 다양하게 세분화하여도 추정된 역치시점 결과가 V-slope 방법에 의한 환기역치 결과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므로 EMG를 이용한 새로운 무산소성 역치 추정방법은 환기역치 방법의 대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특히 객관성 및 효율성 측면에서 현장 적용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evaluate the measures of anaerobic threshold(AT) estimated by Ventilatory(VT) and EMG methods, and conducted as a follow-up study of "An alternative determination for Anaerobic Threshold: Empirical comparisons of ventilation threshold and EMG (Kang & Eom, 2006). The estimates of AT was obtained using 5 different filtering intervals (9sec, 15sec, 20sec, 25sec, and 30sec.) from the two methods. Seventy-one subjects in total (36 ordinary people, 35 university athletes 35). Various statistical procedures such as a 3-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factor, correlations, a three-faceted crossed design of G-theory model, and Bland-Altman confidence interval approach, were employed to compute the necessary statistics using SPSS 11.0 program. From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e overall mean value of the athletes group was significant higher than the ordinary group; however, none of the other effects, including all two-way and a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stimates of AT by VT and EMG methods were fairly comparable and stable across the five filtering intervals. The value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T and EMG estimat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ubstantially high in size, in general. However, the correlations for the intervals 9 sec. and 15 sec., were relatively a bit smaller, compared to those for the other filtering intervals. And this was especially so when the correlations were computed among the AT estimates of five filtering intervals.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AT estimates produced by EMG method at various filtering time intervals were very similar in size with those of VT method, suggesting that the EMG estimate, which is an oxygen-free threshold,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VT threshold estimate, and be utilized more efficiently and objectively in a research and/or field setting.

      • KCI등재

        농구 체육특기자 대학입학전형을 위한 주요 경기력요인 분석연구

        강성기(Seoung-Ki KANG),신승윤(Seung-Yun SHIN),박우석(Woo-Suk PARK),김범준(Bum-Jun KIM),박지훈(Ji-Hoon PARK)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2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체육특기자 선발제도의 개선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체육특기자 선발을 위한 객관적 경기력 지표개발”의 기초연구로서, 체육특기자 대학입시의 주요개선방안과 농구종목의 주요 경기력 평가요소를 규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21학년도 농구 체육특기자 전형요소와 한국농구중•고연맹의 공인 경기기록지를 분석하였고, 전문가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농구 체육특기자 입시현황은 전체 모집인원 81명이었고. 성별 및 포지션을 지정하지 않은 대학이 일부 있었다. 지원자격 요건에서 14대학이 16강 이내 실적을 요구하였고, 2대학은 선수등록만을 자격요건으로 제시하고 있었으며, 전형요소는 경기실적이 6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여 가장 높았다. 둘째, 프로리그, 대학연맹, 중•고연맹의 공인 경기기록지를 비교한 결과 고교경기의 공인기록지에는 필드골 성공률, 성공/시도, 공•수 리바운드, 속공 성공/실패, 실책, 페인트존 점수, 출전시 팀 득점마진이 기록되고 있지 않았다. 셋째, 전문가의견조사 결과 우수선수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은 포지션별로 상이하였으며, 각 포지션별 기록항목의 중요도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입시전형에서 경기실적증명서에만 의존하는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단체 속 개인을 평가할 수 있는 개인경기력 평가지표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 둘째, 경기기록지와 경기실적증명서에는 개인 경기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개인기록 변인들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농구선수의 경기력 평가지표는 포지션을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a precedent study of "the development of objective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drafting of student-athletes," which is presented as a solution to improve the selection system of student-athle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necessary improvements to the college athlete selection system and major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elements of the 2021 college basketball player selection process and the Korean Secondary School Basketball Federation"s official records and conducted an expert survey. The result showed that 81 student-athlete places were available overall, and some schools did not specify gender or position. Fourteen universities required performance within the round of 16 or above, two universities only required player registration, and performance accounted for more than 60% of selection factors. Second, when official records of Korean Basketball League, Korea University Basketball Federation, and KSSBF were compared, KSSBF did not record FG%(Field Goals %), Made-Attempt, Offensive & Defensive Rebound, FB%(Fastbreaks %), TO(Turnover), PP(Paint-zone Points), On/Off Court Margin. Third, the expert survey showed that the abilities evaluated to determine elite athletes and the order of priority in recorded items would differ among positions.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in college entrance due to heavy reliance on proof of game performances, it is critical to develop and apply an individual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that can evaluate an individual within a group. Second, official records and game performance certificates should include individual record variables to evaluate an individual athlete"s performance. Finally,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has to be developed to consider the different positions.

      • KCI등재

        2012년 런던올림픽 국가대표 유도선수의 경기기술 내용분석

        강성기(Seoung Ki Kang)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4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스포츠 코드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012년 런던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국가대표 남.여 유도선수 의 경기기술 내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12년 런던올림픽에 출전한 국가대표 남.여 유도선수 의 경기(총 35경기)로 선정하였으며, 남자 국가대표 유도선수의 경우 모든 체급 경기(총 29경기)를 분석하였고, 여자 국가대표 유도선수의 경우 -63kg, -70kg(총 9경기)의 두 체급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국가대표 남자 유도선수 의 체급별 주 사용기술을 살펴보면, -66kg선수는 양팔업어치기(26.8%), 허벅다리걸기(16.4%), -73kg선수는 배대뒤치 기(23.7%), 양팔업어치기(11.8%), 한팔업어치기(11.8%)가 주요한 기술로써 손기술과 다리기술을 균형 있게 사용하고 있었다. -81kg선수는 발목받치기(29.3%), 양팔업어치기(19.0%), 안다리후리기(19.0%)를 사용하고 있어 주요기술을 다 리기술과 손기술을 함께 사용했지만 다리기술의 사용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60kg선수는 양팔업어치기(50.0%), -90kg선수는 양팔업어치기(25.0%)와 외깃업어치기(25.0%), -100kg선수는 양팔업어치기(15.0%)와 외깃업어치기 (15.0%)의 손기술만을 주요 기술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100kg선수는 모두걸기(30.8%)로 다리기술을 주요기술로 사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대표 여자 -63kg선수는 밭다리 걸기(28.2%)의 기술빈도가 가장 높았고, -70kg선수는 모 두걸기(38.2%), 안다리후리기(35.3%)의 기술빈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기술패턴을 분석한 결과 국가대표 남.여 유도 선수 모두 연결기술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잡기의 상황에서 한 가지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체급별로 선수가 사용하는 주된 기술에는 차이를 보였으며, 남.여 선수 모두 연결기술은 사용하 지 않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a Judoist`s technic frequency and contents using sports code program in KOREA national team who were participated on 2012 London Olympic. Subjects were selected by total thirty-five games, incase of male was analysed twenty-nine games and woman was nine games(-63kg, -70kg). Results as follow; first, male judoist(-66kg) of major technic used both hand and foot in balanced such as, Morote-Seoi-Nage(26.8%), Uchi-Mata(16.4%) and 73kg judoist was Tomoe-Nage(23.7%), Morote-Seoi-Nage(11.8%), Ippon-Seoi-Nage(11.8%). -81kg judoist used Sasae-Tsuri-komi-Ashi(29.3%), Morote-Seoi-Nage(19.0%), Oh-Uchi-Gari(19.0%), using foot techniques showed higher than hand techniques. -60kg judoist used Morote-Seoi-Nage(50%), -90kg judoist used Morote-Seoi-Nage(25%) and Yama-Seoi-Nage(25%), -100kg judoist used mostly hand techniques such as Morote-Seoi-Nage(15%) and Yama-Seoi-Nage(15%). Also, +100kg judoist used mostly foot techniques such as Okuri-Ashi-Harai(30.8%). Whereas in case of woman, -63kg woman was most high frequency on Oh-Soto-Garhi(28.2%) and -70kg woman was high frequency on Oh-Uchi-Gari. There was not used linking technique according to analysis the techniques patten in all judoist, and both male and woman used only one technique during Kumi-Kata. These results means that there was showed difference major techniques according to weight class, all judoist was not used linking technique.

      • KCI등재

        혈액분석 시 대기온도에 의한 혈중지질 성분과 젖산 농도의 변화

        강성기 ( Seoung Ki Kang ),김종규 ( Jong Kyu Kim ),엄한주 ( Han Joo Eo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5 체육과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환경적인 요소로 통제되어야 할 대기 온도가 혈중지질과 젖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DT 60 혈액 분석기로 네 가지의 온도(18˚, 22˚, 26˚, 30˚)와 각 온도별로 3번 반복 측정된 TC, HDL-C, TG 그리고 Lactic acid의 농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모든 혈액분석은 6명의 피험자에서 채취된 동일한 혈액에 대한 온도에 따른 재생성과 반복된 결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 11.0 Program을 통하여 모든 자료의 평균, 표준편차 그리고 각 온도에서 측정한 3회의 자료에 대한 변동계수(CV)를 산출하고, 온도와 분석시기에 따른 TG, TC, HDL-C, Lactic acid 항목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wo-way(4×3) RM on both ANOVA를 실시하였고, G-이론 모형을 이용하여 피험자(p), 온도(c), 분석시기(t)를 국면으로 설정한 교차 설계로 분산성분 추정치를 통해 각 오차원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산출하였다. TC, HDL-C, TG 그리고 Lactic acid 항목은 동일한 온도에서 3번 반복 측정된 결과가 높은 안정성을 보여주고 있었지만, 다른 온도에서 측정된 결과는 안정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온도에서 측정된 종속변인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HDL-C, TC, TG 그리고 Lactic acid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분산성분 추정치는 피험자로 인해 발생된 변량을 제외한 오차요인 중 온도가 차지하는 비율에서 HDL-C(48.29%), TC(30.92%), TG(49.24%) 그리고 Lactic acid(31.96%)로 나타났다. 분산성분 추정치의 결과에 의하면, 모든 측정의 오차에 근원이 피험자와 온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동일한 온도에서 측정하지 못한 TC, HDL-C, TG 그리고 Lactic acid는 같은 결과를 주지 못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various Ambient temperatures on the measures of blood lipid and Lactic acid concentration. DT 60 blood analyzer, four different degrees of Ambient temperature (18˚, 22˚, 26˚, 30˚) were used to compute the values of TC, HDL-C, and TG. Also, Lactic acid concentrations were repeatedly obtained. In all analyses, the same blood samples from each of 6 subjects were used to examine the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values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1.0 to compute coefficient of variations (CV) and variance components with two-way (4×3) RM ANOVAs and various descriptive statistics. HDL-C, TC, TG and Lactic acid values obtained by the same degrees of Ambient temperature for the 3 repeated samples from the same person under each condition were highly consistent. However, values were inconsistent when measured in different Ambient temperature degrees. The proportion of Subjects Variance components in each variable were HDL-C (65.54%), TC (50.05%), TG (96.70%) and Lactic acid (82.54%). And those for different Ambient temperature were HDL-C (16.64%), TC (15.44%), TG (1.61%) and Lactic acid (5.58%). The analyses of variance component revealed that the main source of error variances were mostly due to the differences in Ambient temperature.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fferent degrees of Ambient temperature do not produce the same results in blood lipid and Lactic aci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무산소성 역치시점 추정방안에 대한 연구: 환기역치와 EMG 방법의 실증적 비교

        강성기 ( Seoung Ki Kang ),엄한주 ( Han Joo Eo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6 체육과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EMG에서 생성되는 신호의 평균진폭에 대해 최소자승법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기울기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시점을 찾는 방법 (LSEMG), 그리고 평균진폭에 대한 그래프의 곡선상 면적을 적분하여 각 구간의 증가된 면적차이가 크게 증가하는 시점을 찾는 방법 (ICEMG)으로 무산소성 역치를 객관적 기준에 의해 판단하고 EMG를 이용한 방법의 타당도 확보를 위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V-slope 방법에 의한 환기역치(VT)와 비교 분석을 통해 EMG에서 생성되는 전 구간의 신호를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무산소성 역치시점을 판단할 수 있는 추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는 60명(일반인 30명, 대학운동선수 30명)이었으며, 자료처리는 SPSS 11.0 program을 이용하여 모든 자료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일반인과 운동선수의 VT와 LSEMG, 그리고 VT와 ICEMG의 역치시점 시간의 평균차이의 검증은 two-way(2(RG)×3(RM)) ANOVA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G-이론 모형을 이용하여 피험자(p), 추정방법(m)을 국면(facet)으로 설정한 교차설계로 분산성분 추정치를 통해 각 오차원의 상대적인 크기(%)를 비교하였다. 환기역치와 EMG 역치 추정 방법에 따른 변화시간의 타당도 평가를 위해 상관분석(Pearson`s r)과 Bland-Altman plot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환기역치와 LSEMG, ICEMG에 의한 역치 시점이 매우 유사하였고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도 매우 유의하였다. 특히 일반인의 LSEMG 역치 시점은 운동선수들의 역치 시점보다 환기역치와 다소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그리고 Bland-Altman plot 결과에서도 일반인과 운동선수의 모두 신뢰 구간 내에 자료가 포함되어 타당도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분산성분 추정치 결과에서 오차의 대부분이 피험자에 의한 요소였으며, 운동선수의 경우 측정방법에 의한 오차가 8.23%, 일반인은 1.13%로 측정방법에 의한 오차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EMG에 의한 객관적 역치 추정 방법은 V-slope 방법에 의한 환기역치 추정방법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실용적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pose alternative approaches to estimate anaerobic threshold(AT). In the related literature, ventilation threshold method(VT) has been commonly used to estimate AT, but some authorities and several researches in this field have pointed out the possibility of EMG for the same purpo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parability and validity of EMG results with that of VT in estimating AT. Empirical results obtained by employing the least square and integral calculus algorithms, attached to Matlab (Version 6.5) and MS Excel (Version 2003), were utilized to examine the EMG mean amplitude in order to pin point the steepest slope and a maximum increase in the amount of area under the amplitude, respectively. A total of 60 subjects(30 normal people and 30 university athletes) were volunteered and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mean values of time taken at changing point between the groups and methods using factorial ANOVAs, and the sources of variability were decomposed using the variance component analysis. Furthermore, the correlational analyses and Bland-Altman approach were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obtained from different methods of estimation. A similar result was obtained when compared the proportion of variance components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methods in each group(8.23% for university athletes and 1.13% for normal group).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rom the results attained in these analyses. 1. The results of EMG methods were highly comparable with those of VT in general, indicating that the EMG, which is a simple and less-restricted conditions in testing procedure, could be replaced for VT method in estimating AT. 2. The result of least square fitting method was slightly better and more agreeable than the integral calculus method when compared with the result of VT, but this result could be limited to the conditions of this study perse.

      • KCI등재

        지구성 운동선수들의 운동수행능력에 적합한 L-carnitine 섭취 기간 평가: 여자 농구선수들을 대상으로

        강성기(Seoung Ki Kang),천윤석(Yoon Seok Chun),이근일(Keun Il Lee)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1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8주 간의 L-carnitine 섭취를 통해 여자농구선수들의 신체조성, 최대운동수행능력과 근지구력을 비교, 분석하여 가장 합리적인 L-carnitine 섭취기간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엘리트 여자 농구선수 8명씩 2그룹으로 구분 하였으며, 그룹구성은 카르니틴 섭취군 8명과 통제군 8명으로 총 16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체중과 체지방률은 섭취군에서 4주차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집단에서 처치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산소섭취량의 경우 섭취군에서는 4주 측정 시 증가하였다가 8주 측정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군에서는 8주 측정까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집단에서 처치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심박수에서는 섭취군에서 4주 측정 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집단에서 처치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크파워와 평균파워에서는 두 집단 모두 8주 측정 시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피크파워에서만 처치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굴근 평균파워 오른쪽·왼쪽과 신근 평균파워 오른쪽·왼쪽의 모든 요인에서는 4주 측정시 높아지는 향상을 보였고, 8주 측정에서도 소폭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모든 요인에서 처치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구성 엘리트 운동선수의 카르니틴 및 영양보조제 섭취의 오·남용 방지 및 인식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divided the intake period of L-carnitine into 8 weeks and evaluated the physical development, maximum exercise performance, and endurance of female basketball players in order to not only find out the proper intake period of L-carnitine but prevent the misuse of L-carnitine, which consequently provides experimental data necessary for performance improvement and ideal physical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hav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weight and body fat percentage of test group was decreased in 4th week and also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reduce in all groups by treatment period. The Maximum oxygen uptake was increased in 4th week but remained the same till 8th week for the Group 1 (with L-carnitine) whereas the Group 2 (without L-carnitine) also shown increase till 8th week. It also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groups by treatment period. The maximum heart rate was increased in 4th week for Group 1 but also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groups by treatment period. Both test groups had a little increase till 8th week in terms of the peak power and average power, but only peak powe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reatment period. In addition, all factors for the average power of flexor and extensor muscle (right/left) showed a considerable increase in 4th week and still had a little increase in 8th week. They also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groups by treatment period. The test result concludes that the L-carnitine may help the endurance exercise performance and physical refreshment. Also, it is suggested to conduct a further test about the effect of L-carnitine by the intake amount and period with comprehensive blood liquid analysis and treatment period after intensified endurance exercise. It is expected that this evaluation will provide endurance-focused athletes the proper usage guide for L-carnitine and other nutritional supplements as well as prevent from its misuse.

      • KCI등재

        휠체어 이용자들의 VO2 peak 예측을 위한 휠체어 셔틀런 테스트 타당성 검증

        최승권 ( Seoung Gweon Choi ),김기홍 ( Ki Hong Kim ),강성기 ( Seoung Ki Kang ),김대현 ( Dae Hyun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9 No.2

        현재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심폐기능 측정방법은 모두 고가의 기기를 이용한 직접측정방법만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직접측정방법 중 Wheelchair treadmill로 심폐기능을 측정할 경우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휠체어 조작기술이 요구되고, 이에 따른 심리적 불안으로 최고산소섭취량을 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고 다수를 대상으로 최고산소섭취량을 간접으로 측정할 수 있는 field test로서 휠체어 셔틀런 테스트의 타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모든 피험자가 4가지의 거리(20m, 17m, 14m, 11m)의 휠체어 셔틀런 테스트와 준거 측정으로 Wheelchair Treadmill GXT를 실행하여 최고산소섭취량(VO2peak)과 최고심박수(HRpeak)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피험자는 특수체육을 전공하며 휠체어 조작 경험이 있는 59명(남 36명, 여 23명)의 대학생이었다. 측정 전 휠체어 조작 훈련을 3주 동안 주 3회 이상, 1일 30분 이상씩 실시하였고 실험 순서는 무선배정 하였다. 최고산소섭취량의 측정은 휴대용가스분석기(K4b2), 최고심박수는 무선심박수측정기(Polar)를 사용하였으며, 휠체어의 무게는 체중을 포함 125%로 조정하였고 체형에 맞는 것을 선택 후 사용하였다. 거리별 휠체어 셔틀런 테스트와 Wheelchair Treadmill을 이용한 최고운동부하 검사 결과의 타당도 검증은 one-way RM ANOVA, 상관분석, Bland-Altman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α)은 0.05로 설정하였다. 휠체어 이용자의 최고산소섭취량 측정을 위한 field test인 휠체어 셔틀런 테스트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Wheelchair Treadmill GXT에 의한 최고산소섭취량과 최고심박수를 준거로 거리별 휠체어 셔틀런 테스트 결과를 비교했을 때, 남녀 모두 field test로서 적용 가능성 있는 휠체어 셔틀런 거리는 11m이었다. 본 연구는 휠체어를 이동 수단으로 하는 피험자를 직접 대상으로 수행하지는 못했으나 비슷한 기능의 많은 피험자를 확보하기 거의 불가능한 현실에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고 있다. 첫째, 휠체어를 이동 수단으로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최고산소섭취량 간접측정법으로 휠체어 셔틀런 테스트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휠체어 셔틀런의 거리는 근육량이 하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어 거리를 축소할 필요가 있다. 셋째, 휠체어 셔틀런을 field test로 편리하게 이용할 장소로 농구장의 하프코트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wheelchair shuttle run test to predict the wheelchair users` VO2 peak. Most of the measurement methods to examine the cardiovascular function for the wheelchair users were based on the direct measurement using the high costed facilities such as wheelchair treadmill, however, the wheelchair users` abilities could not be expressed at their maximum outwork due to the anxiety status on the treadmill according to upgrading of the running speed while requiring the wheelchair operating skills. Therefore, to compensate those disadvantages, Wheelchair Shuttle Run Test as an field test to measure indirectly the wheelchair users` VO2peak was executed and secured its test validity. The comparison of the variable values between VO2peak and HRpeak of the all subjects who were using the wheelchair were analyzed after testing on the four states of 20m, 17m, 14m, and 11m distances. The subjects were 59(36 male and 23 female) college students who were majoring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having wheelchair operating skills and trained by extra wheelchair operating for 3 weeks (30 min a day and 3 days a week) prior to the main test period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 the test groups. K4b2 to measure VO2peak and Polar wireless HR measurement instrument to examine HRpeak were used and the wheelchair was chosen by the subjects` weight variables after adjusting in 125% of body weight. The results of the tests of maximum exercise load on the treadmill and the variable distances using shuttle run method were use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field test utilizing one-way RM ANOVA,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Bland-Altman Analysis (p<.05). The applicable possibility of the Wheelchair Shuttle Run Test to predict of the wheelchair users` VO2peak as an field test was examined by this study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hen VO2peak and HRpeak of the subjects tested by Treadmill GXT were compared to the different distance Wheelchair Shuttle Run Test, the applicable shuttle run distances were 11m for male subjects and female subjects. The research was not targeting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using the wheelchair but selecting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however, all subjects were trained to operate wheelchair and tested at the same situation of the wheelchair users and the indirect measurement method as a field test for the wheelchair users` VO2peak was provided by the evidence of the study results. Due to the less muscle mass of the upper arms comparing to the lower limbs the shuttle run distance should be decreased as the results were shown in this study. Also, the basketball court could be used as the field of shuttle run test for the wheelchair users for their conveniences.

      • KCI우수등재

        유도 경기규칙 개정에 따른 경기내용분석: 2016년 리우올림픽과 2020년 도쿄올림픽 비교

        이혜수 ( Lee Hye Su ),강성기 ( Kang Seoung Ki ),김은희 ( Kim Eun Hee ),전기영 ( Jeon Ki Young ) 한국체육학회 2022 한국체육학회지 Vol.61 No.1

        본 연구는 유도 종목의 경기규칙 개정에 따라 경기내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2016년 리우올림픽(429경기)과 2020년 도쿄올림픽(426경기) 대회를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과 백분율(%), 교차분석(χ²)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여자선수들의 득점유형에서는 차이가 나타났지만(p<.001), 남자선수들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165). 기술득점경기의 점수유형에서는 남ㆍ여 모두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p<.001) 벌칙득점경기의 점수유형에서도 남ㆍ여 모두 차이가 나타났다(p<.001, p<.001). 남자선수(34.7%)와 여자선수(17.2%) 모두 ‘골든스코어’ 경기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남ㆍ여 선수 모두 기술득점경기는 증가하고 벌칙득점 경기는 감소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지만 남자선수들의 경우 한판승 경기가 감소하였다. 둘째, ‘지도’가 승패를 결정할 수 없는 규정으로 인해 남ㆍ여 선수 모두 골든스코어 경기가 급격히 증가했다. 셋째, 남자선수들은 경기시간이 단축됨으로 연장전 경기가 증가되고 이로 인해 ‘한판’이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국제유도연맹이 경기규칙을 변경하므로 긍정적인 유도(Positive Judo)의 목표는 부분적으로 이루었지만 모든 목표가 달성되지는 않았다. 향후 국제유도연맹의 새로운 규칙을 도입할 때 유도 경기내용분석에 대한 연구는 현장에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유도 경기분석에 관련된 연구를 지속적으로 모색하여 다가올 2024년 파리올림픽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2016 Rio Olympics (429 games) and the 2020 Tokyo Olympics (426 games) to see how the contents of the event changed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judo rules.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 and cross-Vaildation (χ²) were performed,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05.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coring patterns of female athletes (p=.001),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le athletes (p=.165).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core type of the Positive(p=001. p<.001),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core type of the Negative for both males and females (p<.001, p<.001). Both male players (34.7%) and female players (17.2%) showed an increase in Golden Score matche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both male and female players increased Positive and decreased Negative, but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is as a positive result because the ippon for male players decreased. Second, due to the rule that ‘Shido’ cannot decide whether to win or lose, both men and women’s and women’s Golden Score matches have increased sharply. Third, due to the shortened game time for male players, overtime matches increased, which resulted in a decrease in ippon. In conclusion, as the International Judo Federation changed its rules of play, the goal of positive Judo was partially achieved, but not all goals were achieved. When introducing new rules by the International Judo Federation in the future, research on judo content analysis will be used as useful data in the field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upcoming 2024 Paris Olympics by continuously seeking research related to judo analysis.

      • KCI등재

        경륜선수의 하지형태요인과 경기기록, 윙게이트 무산소성파워와의 관련성

        조현철 ( Hyun Chul Cho ),강성기 ( Seoung Ki Kang ),김종규 ( Jong Kyu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8 체육과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경륜선수로 구성된 우수집단과 경륜준비생들로 구성된 비우수집단의 하지형태요인과 경기기록, 윙게이트 무산소성파워의 집단간 차이와 각 변인들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최고의 경기기량을 발휘할 수 있는 하지형태요인의 특성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경륜공단에 선수등록이 되어있는 경륜선수 15명과 2007 경륜선수 선발에 응시할 준비생 23명, 총 38명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경기기록과 윙게이트 무산소성파워를 측정하기 전 신장, 체중, 하지형태요인 등을 2회 계측하였다. 경기기록과 윙게이트 무산소성파워 측정은 3일간에 간격을 두고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우수집단과 비우수집단의 하지형태요인, 200m 경기기록은 차이가 없었으나 윙게이트 무산소성파워의 피크파워와 피로지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윙게이트 무산소성파워 변인 중 피크파워에 영향을 미치는 하지형태요인은 넙다리중간둘레이며, 평균파워에 영향을 미치는 하지형태요인은 넙다리둘레, 정강뼈가쪽길이, 넙다리피하지방두께였다. 그리고 200m 경기기록에 영향을 주는 하지형태요인은 체중과 넙다리피하지방두께, 넙다리둘레, 정강뼈가쪽길이 순으로 나타났다. 우수집단의 경기기록과 하지형태요인 관련성 결과는 가쪽넙다리길이, 넙다리둘레, 넙다리중간둘레, 종아리둘레 등과 유의하게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나 우수집단은 두 요인간에 상관성이 낮아 집단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하지형태요인 중 넙다리의 길이와 둘레를 형성하는 요인들이 경기기록과 무산소성파워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경륜 경기에 미숙한 준비생들의 경우 경기주행시점에 따른 하지형태요인의 활용비율이 낮기 때문에 앞으로 이를 보완하는 훈련이 적용된다면 우수선수로서의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 relationship of lower extremity factors, the record for the 200 meters cycling and Wingate anaerobic power in two different cyclist: racing and competitive. Fifteen racing cyclists (height:175.47(4.61)㎝, weight:77.27(6.42)kg, age:29.53(3.96) as mean(SD)) and twenty-three competitive cyclists(height:174.91(5.90)㎝, weight:75.17(8.50)kg, age:24.30(1.89) as mean (SD)) from racing cyclist contest 2007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height, weight and lower extremity factors were measured twice previously. For the record for the 200 meters cycling and Wingate anaerobic power test were measured twice on separate days with a rest period of 3days between these test day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record for the 200 meters cycling and lower extremity factors. However, peak power and fatigue index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or both groups. Peak power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mid-thigh girth, mean power was thigh girth, mid-thigh girth and tibiale laterale height. The record for the 200 meters cycling was evidenced for lower extremity factors Hierarchical regression(p<.05): weight, front thigh skinfold site, thigh girth, trochanterion-tibiale height. Pearson`s correlations reveal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the record for the 200 meters cycling and thigh girth, mid-thigh girth on racing cyclist group.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the factors of thigh girth, mid-thigh girth and trochanterion - tibiale height were the most effected measurements on the record for the 200 meters cycling and wingate anaerobic power in the racing group. In case of unskilled beginners who had low literacy ability as a point of racing can become elite players if they should do training applied its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