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필터링구간 설정에 따른 환기역치와 EMG 역치의 적합성 평가

        강성기 ( Seoung Ki Kang ),엄한주 ( Han Joo Eo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8 체육과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강성기와 엄한주(2006)의 무산소성 역치시점 추정방안에 대한 연구: 환기역치와 EMG 방법의 실증적 비교에 후속연구로써 구간 설정의 필터링 시간에 따른 환기역치와 EMG 역치의 일치성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EMG를 이용한 역치 추정방법은 환기역치 추정에 적용되고 있는 회귀모형을 이용하였으며, 필터링구간은 9초, 15초, 20초, 25초 30초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는 총 71명(일반인 36명, 대학운동선수 35명)이었으며, 자료처리는 SPSS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든 자료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각각의 필터링구간에 따라 일반인과 운동선수의 환기역치와 EMG 역치시점 시간의 평균차이 검증은 삼원 변량분석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G-이론 모형을 이용하여 피험자(p), 추정방법(m), 필터링 시간(t)을 국면으로 설정한 교차설계로 분산성분 추정치를 통해 각 오차원의 상대적인 크기(%)를 비교하였다. 필터링구간별 환기역치와 EMG역치 추정 방법의 타당도 평가를 위해 상관분석 (Pearson`s r)과 Bland-Altman plot을 이용하였다. 필터링구간별 환기와 EMG 역치시점에 대한 변량분석 결과 모든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며(p>.05), VT와 EMG 방법의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분산성분 추정치 결과에서도 전체변량의 대부분이 피험자에 의한 것이었으며, 측정방법 차이에 의한 변량은 일반인 0.18%, 운동선수는 0%였으며, 필터링 시간에 의한 변량도 매우 적게 나타났다. 그리고 모든 필터링구간(9초, 15초, 20초, 25초, 30초)에서 환기역치와 EMG역치 시점이 매우 유사하였으나 EMG역치 평균이 환기역치보다 비교적 안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환기역치와 EMG역치 추정 값의 상관계수는 각 필터링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필터링구간이 짧은 9초와 15초의 상관계수는 다른 구간보다 다소 낮았으며, 특히 환기역치 자료에서 이러한 형태가 뚜렷하여 안정적인 무산소성 역치 추정을 위해서는 필터링구간이 최소 20초 이상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EMG에 의한 역치 추정방법은 필터링구간을 다양하게 세분화하여도 추정된 역치시점 결과가 V-slope 방법에 의한 환기역치 결과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므로 EMG를 이용한 새로운 무산소성 역치 추정방법은 환기역치 방법의 대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특히 객관성 및 효율성 측면에서 현장 적용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evaluate the measures of anaerobic threshold(AT) estimated by Ventilatory(VT) and EMG methods, and conducted as a follow-up study of "An alternative determination for Anaerobic Threshold: Empirical comparisons of ventilation threshold and EMG (Kang & Eom, 2006). The estimates of AT was obtained using 5 different filtering intervals (9sec, 15sec, 20sec, 25sec, and 30sec.) from the two methods. Seventy-one subjects in total (36 ordinary people, 35 university athletes 35). Various statistical procedures such as a 3-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factor, correlations, a three-faceted crossed design of G-theory model, and Bland-Altman confidence interval approach, were employed to compute the necessary statistics using SPSS 11.0 program. From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e overall mean value of the athletes group was significant higher than the ordinary group; however, none of the other effects, including all two-way and a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stimates of AT by VT and EMG methods were fairly comparable and stable across the five filtering intervals. The value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T and EMG estimat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ubstantially high in size, in general. However, the correlations for the intervals 9 sec. and 15 sec., were relatively a bit smaller, compared to those for the other filtering intervals. And this was especially so when the correlations were computed among the AT estimates of five filtering intervals.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AT estimates produced by EMG method at various filtering time intervals were very similar in size with those of VT method, suggesting that the EMG estimate, which is an oxygen-free threshold,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VT threshold estimate, and be utilized more efficiently and objectively in a research and/or field sett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구성 운동선수들의 운동수행능력에 적합한 L-carnitine 섭취 기간 평가: 여자 농구선수들을 대상으로

        강성기(Seoung Ki Kang),천윤석(Yoon Seok Chun),이근일(Keun Il Lee)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1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8주 간의 L-carnitine 섭취를 통해 여자농구선수들의 신체조성, 최대운동수행능력과 근지구력을 비교, 분석하여 가장 합리적인 L-carnitine 섭취기간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엘리트 여자 농구선수 8명씩 2그룹으로 구분 하였으며, 그룹구성은 카르니틴 섭취군 8명과 통제군 8명으로 총 16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체중과 체지방률은 섭취군에서 4주차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집단에서 처치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산소섭취량의 경우 섭취군에서는 4주 측정 시 증가하였다가 8주 측정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군에서는 8주 측정까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집단에서 처치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심박수에서는 섭취군에서 4주 측정 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집단에서 처치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크파워와 평균파워에서는 두 집단 모두 8주 측정 시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피크파워에서만 처치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굴근 평균파워 오른쪽·왼쪽과 신근 평균파워 오른쪽·왼쪽의 모든 요인에서는 4주 측정시 높아지는 향상을 보였고, 8주 측정에서도 소폭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모든 요인에서 처치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구성 엘리트 운동선수의 카르니틴 및 영양보조제 섭취의 오·남용 방지 및 인식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divided the intake period of L-carnitine into 8 weeks and evaluated the physical development, maximum exercise performance, and endurance of female basketball players in order to not only find out the proper intake period of L-carnitine but prevent the misuse of L-carnitine, which consequently provides experimental data necessary for performance improvement and ideal physical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hav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weight and body fat percentage of test group was decreased in 4th week and also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reduce in all groups by treatment period. The Maximum oxygen uptake was increased in 4th week but remained the same till 8th week for the Group 1 (with L-carnitine) whereas the Group 2 (without L-carnitine) also shown increase till 8th week. It also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groups by treatment period. The maximum heart rate was increased in 4th week for Group 1 but also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groups by treatment period. Both test groups had a little increase till 8th week in terms of the peak power and average power, but only peak powe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reatment period. In addition, all factors for the average power of flexor and extensor muscle (right/left) showed a considerable increase in 4th week and still had a little increase in 8th week. They also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groups by treatment period. The test result concludes that the L-carnitine may help the endurance exercise performance and physical refreshment. Also, it is suggested to conduct a further test about the effect of L-carnitine by the intake amount and period with comprehensive blood liquid analysis and treatment period after intensified endurance exercise. It is expected that this evaluation will provide endurance-focused athletes the proper usage guide for L-carnitine and other nutritional supplements as well as prevent from its misuse.

      • KCI등재

        혈액분석 시 대기온도에 의한 혈중지질 성분과 젖산 농도의 변화

        강성기 ( Seoung Ki Kang ),김종규 ( Jong Kyu Kim ),엄한주 ( Han Joo Eo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5 체육과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환경적인 요소로 통제되어야 할 대기 온도가 혈중지질과 젖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DT 60 혈액 분석기로 네 가지의 온도(18˚, 22˚, 26˚, 30˚)와 각 온도별로 3번 반복 측정된 TC, HDL-C, TG 그리고 Lactic acid의 농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모든 혈액분석은 6명의 피험자에서 채취된 동일한 혈액에 대한 온도에 따른 재생성과 반복된 결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 11.0 Program을 통하여 모든 자료의 평균, 표준편차 그리고 각 온도에서 측정한 3회의 자료에 대한 변동계수(CV)를 산출하고, 온도와 분석시기에 따른 TG, TC, HDL-C, Lactic acid 항목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wo-way(4×3) RM on both ANOVA를 실시하였고, G-이론 모형을 이용하여 피험자(p), 온도(c), 분석시기(t)를 국면으로 설정한 교차 설계로 분산성분 추정치를 통해 각 오차원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산출하였다. TC, HDL-C, TG 그리고 Lactic acid 항목은 동일한 온도에서 3번 반복 측정된 결과가 높은 안정성을 보여주고 있었지만, 다른 온도에서 측정된 결과는 안정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온도에서 측정된 종속변인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HDL-C, TC, TG 그리고 Lactic acid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분산성분 추정치는 피험자로 인해 발생된 변량을 제외한 오차요인 중 온도가 차지하는 비율에서 HDL-C(48.29%), TC(30.92%), TG(49.24%) 그리고 Lactic acid(31.96%)로 나타났다. 분산성분 추정치의 결과에 의하면, 모든 측정의 오차에 근원이 피험자와 온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동일한 온도에서 측정하지 못한 TC, HDL-C, TG 그리고 Lactic acid는 같은 결과를 주지 못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various Ambient temperatures on the measures of blood lipid and Lactic acid concentration. DT 60 blood analyzer, four different degrees of Ambient temperature (18˚, 22˚, 26˚, 30˚) were used to compute the values of TC, HDL-C, and TG. Also, Lactic acid concentrations were repeatedly obtained. In all analyses, the same blood samples from each of 6 subjects were used to examine the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values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1.0 to compute coefficient of variations (CV) and variance components with two-way (4×3) RM ANOVAs and various descriptive statistics. HDL-C, TC, TG and Lactic acid values obtained by the same degrees of Ambient temperature for the 3 repeated samples from the same person under each condition were highly consistent. However, values were inconsistent when measured in different Ambient temperature degrees. The proportion of Subjects Variance components in each variable were HDL-C (65.54%), TC (50.05%), TG (96.70%) and Lactic acid (82.54%). And those for different Ambient temperature were HDL-C (16.64%), TC (15.44%), TG (1.61%) and Lactic acid (5.58%). The analyses of variance component revealed that the main source of error variances were mostly due to the differences in Ambient temperature.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fferent degrees of Ambient temperature do not produce the same results in blood lipid and Lactic acid.

      • KCI등재

        초등 사회과 교육에서의 비교 지역 관점을 위한 문화경관 이해의 유용성 : 제주 돌담 경관과 유럽 보카쥬 경관의 사례 비교

        강성기(Seong Gi Kang) 제주학회 2010 濟州島硏究 Vol.34 No.-

        지역을 잘 이해한다는 것은 지역에 대한 많은 사실들을 모두 열거할 수 있다고 해서 잘 이해한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 보다는 대상 지역의 지역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들이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하지만 현행 초등 사회과 지역화 교재를 살펴보면 내용이 연관되지 않고 끊어지며, 어떤 원리에 의한 것보다는 단순한 사실 나열에 치우친 경향이 많다. 지역의 지역성을 잘 드러나는 것 중 하나가 문화경관이다. 문화경관은 자연과 인간이 만나서 만들어낸 가시적·정신적 상호관계를 나타내면, 자연 속에서 인간이 생존해 온 자취를 가장 잘 보여주는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학습할 가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가 생활하고 있는 공간인 제주 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제주 의 대표적인 문화경관인 돌담 경관 을 선정하였고, 비교 대상으로써 이와 비슷한 모습을 지닌 유럽 보카쥬 경관 을 통해 학습 요소를 추출하여 교재화 하였다. 교재의 학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제 수업에 적용 후 학습자와 참관 교사의 질문지를 분석하여 파악했다. 본 연구는 단순한 사실을 나열해 놓은 현행 지역화 교육 내용을 학습자들에게 의미 있게 학습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지역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들의 관계들을 비교 지역 관점을 제시하고 초등 사회과 지역화 교재에서의 활용방안을 연구하여 그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Understanding an area is knowing the concepts of elements characterizing the area correctly and examining how the concepts are interconnected with one another. In today s localized textboo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however, contents are disconnected and most of them are merely listing facts without organization based on a certain principle. One of factors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area is its cultural landscape. Cultural landscape represents visible and spiritual interactions between nature and human and displays the traces of human life clearly, so it is worthy of learning. Thus, in order to help learners understanding of Jeju , the present researcher s space of life, this study selected stone wall landscape , a representative cultural landscape of Jeju , and extracted elements of learning and produced a teaching material through comparing it with similar European bocage landscape . In order to test the learning effect of the teaching material, we applied it in an actual class and surveyed the learners and participant teachers after the clas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cross area comparison as a method for teaching the contents of localized education, which simply enumerated facts, and to discuss its utilization in localized textboo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by doing so, to show the importance of cross area comparison.

      • 수목 존치 방목지와 주변 활엽수림의 임분 구조와 임목 생장 비교에 관한 연구

        강성기(Sung-Kee Kang),양희문(Hee-Moon Yang),김지홍(Ji-Hong Kim)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2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1 No.2

        이 연구는 산림확립 기원이 같지만, 수목 존치 후, 방목을 목적으로 목초지 조성을 위해 많은 임목을 벌채한 방목지와 산림이 조성된 후 자연적인 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방목지 주변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수종 구성 및 임목 제원을 파악하고, 임목의 생육상태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br/> 1. 임목 존치 방목지와 산림지역에서는 각각 9개의 교목수종이 출현하고 있으며, 이 중 7개 수종이 방목지와 산림지역 모두에서 출현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밀도 및 출현빈도 등 수종구성의 차이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br/> 2. ha당 임목수는 방목지역이 71본, 산림지역이 1,433본으로 큰 차이를 보였고, 임목들의 연륜폭과 생장상태를 고려할 때 1996년의 벌채당시 생장이 좋았던 우량목만을 잔존시켰던 것으로 예측되었다.<br/> 3. 방목지에서 임목의 평균직경과 평균수고 및 흉고단면적은 주변 활엽수림의 임목보다 높았으며, 재적 생장의 경우, 방목지는 높은 평균직경과 평균수고에도 불구하고, ha당 재적이 주변 활엽수림의 15%에도 미치지 못했다. <br/> 4. 방목지는 잔존목들에게 충분한 생육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직경 및 흉고단면적 생장을 양호하게 이끌었지만, 임목들의 계신(繼伸)에 의한 수관폭 확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향후의 연구에서는 ha당 적정 잔존 본 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b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species composition, stand structure, and growth pattern for two different sites in which silvopastoral system has been taking place. One site was the pasture area where a number of trees were removed and grasses were planted for cattle grazing, and the other site was the deciduous forest that has been established by ecological succ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br/> 1. Nine tree species were present equally in the pasture area and the deciduous forest. Of these species, seven tree species were growing in common for two sites. However, the species composition, including density and frequency, was varied by sites.<br/> 2. The number of stems per hectare in the pasture area was 71, and that in the deciduous forest was 1,433, having shown the big difference. It is estimated that, considering the growth rate, better grown trees were remained at the time of harvesting in 1996. <br/> 3. The growth of diameter, height, and basal area in the pasture area was superior to that in the nearby deciduous forest. In spite of higher values of diameter and height, the timber volume of pasture area per unit area was less than 15% of that in the deciduous forest.<br/> 4. Providing sufficient growing space, the pasture area supported higher values of diameter and height. The wider growing space also had influence on the expansion of crown of trees by the result of deliquescent growth pattern. From this point of view, more research would be needed to establish appropriate number of trees for silvopastoral system.<br/>

      • SCOPUSKCI등재
      • KCI등재

        2012년 런던올림픽 국가대표 유도선수의 경기기술 내용분석

        강성기(Seoung Ki Kang)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4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스포츠 코드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012년 런던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국가대표 남.여 유도선수 의 경기기술 내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12년 런던올림픽에 출전한 국가대표 남.여 유도선수 의 경기(총 35경기)로 선정하였으며, 남자 국가대표 유도선수의 경우 모든 체급 경기(총 29경기)를 분석하였고, 여자 국가대표 유도선수의 경우 -63kg, -70kg(총 9경기)의 두 체급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국가대표 남자 유도선수 의 체급별 주 사용기술을 살펴보면, -66kg선수는 양팔업어치기(26.8%), 허벅다리걸기(16.4%), -73kg선수는 배대뒤치 기(23.7%), 양팔업어치기(11.8%), 한팔업어치기(11.8%)가 주요한 기술로써 손기술과 다리기술을 균형 있게 사용하고 있었다. -81kg선수는 발목받치기(29.3%), 양팔업어치기(19.0%), 안다리후리기(19.0%)를 사용하고 있어 주요기술을 다 리기술과 손기술을 함께 사용했지만 다리기술의 사용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60kg선수는 양팔업어치기(50.0%), -90kg선수는 양팔업어치기(25.0%)와 외깃업어치기(25.0%), -100kg선수는 양팔업어치기(15.0%)와 외깃업어치기 (15.0%)의 손기술만을 주요 기술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100kg선수는 모두걸기(30.8%)로 다리기술을 주요기술로 사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대표 여자 -63kg선수는 밭다리 걸기(28.2%)의 기술빈도가 가장 높았고, -70kg선수는 모 두걸기(38.2%), 안다리후리기(35.3%)의 기술빈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기술패턴을 분석한 결과 국가대표 남.여 유도 선수 모두 연결기술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잡기의 상황에서 한 가지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체급별로 선수가 사용하는 주된 기술에는 차이를 보였으며, 남.여 선수 모두 연결기술은 사용하 지 않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a Judoist`s technic frequency and contents using sports code program in KOREA national team who were participated on 2012 London Olympic. Subjects were selected by total thirty-five games, incase of male was analysed twenty-nine games and woman was nine games(-63kg, -70kg). Results as follow; first, male judoist(-66kg) of major technic used both hand and foot in balanced such as, Morote-Seoi-Nage(26.8%), Uchi-Mata(16.4%) and 73kg judoist was Tomoe-Nage(23.7%), Morote-Seoi-Nage(11.8%), Ippon-Seoi-Nage(11.8%). -81kg judoist used Sasae-Tsuri-komi-Ashi(29.3%), Morote-Seoi-Nage(19.0%), Oh-Uchi-Gari(19.0%), using foot techniques showed higher than hand techniques. -60kg judoist used Morote-Seoi-Nage(50%), -90kg judoist used Morote-Seoi-Nage(25%) and Yama-Seoi-Nage(25%), -100kg judoist used mostly hand techniques such as Morote-Seoi-Nage(15%) and Yama-Seoi-Nage(15%). Also, +100kg judoist used mostly foot techniques such as Okuri-Ashi-Harai(30.8%). Whereas in case of woman, -63kg woman was most high frequency on Oh-Soto-Garhi(28.2%) and -70kg woman was high frequency on Oh-Uchi-Gari. There was not used linking technique according to analysis the techniques patten in all judoist, and both male and woman used only one technique during Kumi-Kata. These results means that there was showed difference major techniques according to weight class, all judoist was not used linking technique.

      • KCI등재

        WC-Co 공구의 이온 주입에 따른 표면층 및 가공된 표면거칠기 특성

        강성기(Seong-Ki Kang),김영규(Yung-Kyu Kim),왕덕현(Duck-Hyun Wang),전영록(Young-Rok Chun),김원일(Won-Il Kim) 한국기계가공학회 2010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9 No.1

        The most suitable condition for plasma source ion implantation(PSⅡ) was found based on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PSⅡed tool and machined surfaces. The depth analysis according to the chemical bonding state of elements and surface component elements through the XPS and SIMS, was conducted to find the improved property of the PSⅡed surface. Due to the diffusion of PSⅡ, the nitrogen was found up to a depth of about 150㎚ according to the supplied voltage and ion implanted time. The deep diffusion by nitrogen caused the surface modification, but the formation of oxide component was found due to the residual gas contamination on the surface. Statistical method of ANOVA was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spindle speed and feed rate in interaction for machined surface roughness with PSⅡed tools. The surface modification was found largely occurred by the nitrogen implanted surface with 2 hours for 27㎸, 35㎸ and 4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