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가암환자의 신체 증상들과 정신적, 사회적, 영적, 그리고 경제적 돌봄 요구도

        강명희,문영실,이영준,강윤식,김훈구,이경원,이원섭,강정훈,Kang, Myung Hee,Moon, Young Sil,Lee, Young Joon,Kang, Yoon Sik,Kim, Hoon Gu,Lee, Gyeong Won,Lee, Won Sup,Kang, Jung Hu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4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7 No.4

        목적: 국내에서 재가암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재가암환자들의 증상정도와 돌봄 요구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진주시 재가암 서비스에 등록된 환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은 보건소에 소속된 간호사들이 시행하였다. 증상의 평가를 위해 Edmontone Symptome Assessment System (ESAS)와 Numeric Rating Scale (NRS)가 사용되었으며 정신적, 사회적 영적 요구도의 평가를 위해 4점 Likert scale이 사용되었다. 결과: 2013년 10월에 단면조사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209명이 등록되었으며 평균 나이는 65세였다(범위 17~89세). 대다수의 환자들이 초기에 진단 받았으며(n=188), 19명만이 진행된 병기였다. 절반 이상의 환자들이 혼자 거주하고 있었으며(n=115, 55%), 다른 보호자가 없이 스스로 돌보고 있었다(n=128, 61.2%). 식욕부진과 피로가 가장 흔한 증상이었다(NRS 중앙값 각각 5, 4). 환자들은 경제적 문제에 대한 지원이 가장 필요한 반면 영적인 돌봄이 가장 적게 필요하다고 대답하였다(n=138 [67.3%] vs. n=128 [62.1%]). 결론: 이 자료는 진주시 재가암환자들이 신체적 증상과 경제적 문제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맞춤형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symptoms and care needs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in Korea and to add to the scarce literature on this topic.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who subscribed to home-based cancer care services in Jinju. Assessments were performed by nurses at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 The Edmonton Symptom Assessment System with a numeric rating scale (NRS) was used to identify symptoms, and a four-point Likert scale was used to assess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needs. Results: Cross-sectional data were collected in October 2013. A total of 209 patients participated and their median age was 65 years (range, 17~89 years). Most patients were diagnosed in the early stage of cancer (n=188); only 19 patients were diagnosed in the advanced stage. More than half the patients lived alone (n=115, 55.0%) and took care of themselves (n=128, 61.2%). Anorexia and fatigue were the most common symptoms (median NRS, 5 and 4, respectively). Patients needed economic support the most, whereas spiritual care was least needed (n=138 [67.3%] vs. n=128 [62.1%], respectively). Conclusion: Patients who signed up for home-based cancer care services in Jinju are struggling with a financial issue and physical symptoms. A customized approach is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home-based care services.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익명성을 보장하는 사용자 인증 및 접근제어 모델

        강명희,유황빈,Kang Myung-Hee,Ryou Hwang-Bin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2 No.4

        모바일 디바이스, PDA 센서들의 확산은 실생활 공간이 지능적이고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공간으로 전환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구축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보안문제 특히 적절한 인증 및 접근 제어 기술의 부재로 말미암아, 실생활에서의 이러한 컴퓨팅 패러다임의 변화에 있어, 방해 요소가 되고 있으며, 또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는 보안 대책을 마련하고,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장 또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위한 익명성이 보장되는 효율적인 사용자 인증 및 접근 제어 모델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제안 모델은 공개키 암호 기술이 아닌 MAC 기반의 익명 인증서와 보안 연계 토큰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및 접근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컴퓨팅 연산 능력이 컴퓨팅 연산 능력이 비교적 떨어지는 디바이스들에 적합한 모델이다. 또한 암호 연산 처리 측면에서, Kerberos 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The spread of mobile devices, PDAs and sensors has enabled the construction of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transforming regular physical spaces into 'Smart space' augmented with intelligence and enhanced with services. However, the deployment of this computing paradigm in real-life is disturbed by poor security, particularly, the lack of proper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techniques. Also, it is very important not only to find security measures but also to preserve user privacy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efficient user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model with anonymity for the privacy-preserving fo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Our model is suitable for distributed environments with the computational constrained devices by using MAC-based anonymous certificate and security association token instead of using Public key encryption technique. And our Proposed Protocol is better than Kerberos system in sense of cryptographic computation processing.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대승 4무량심의 확대과정과 그 의미

        강명희(Kang, Myung 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

        대승불교는 중생들과 함께 동승해야 하는 불보살의 당위성을 현실에서 실현한다. 대승의 4무량심은 이러한 과정 속에 있는 수행법이며, 자신의 수행력과 깨달음을 객관계에서 확대 실현하면서 대보리와 대지혜를 체득한다. 대승의 4무량심 수행법은 자·비·희·사의 4가지 초기불교의 분류체계를 뛰어넘는다. 화엄경 등 대승경전은 10종의 대(大) 4무량심과 청정(淸淨)의 4무량심 수행법을 시설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대승이취육바라밀다경은 중생 속에서 실현하는 보살의 50종의 대비심을 기술하고, 보살의 최고의 덕목으로 대비심을 강조하고 자신만 닦는 2승(乘)의 선정을 강하게 비판한다. 10종의 덕목을 갖춘 4무량심과 50종의 대비심에서 보이는 대승 4무량심 수행법의 특징은 자리(自利)를 이타(利他)에서 완성하는 것이다. 그래서 대 4무량심의 수행의 체계는 주관인 불보살과 객관인 중생의 두 측면을 하나로 합일해 가는 불이(不二)의 실천을 중시한다. 이는 4무량심 확대과정 속에 보이는‘대승’과‘자성청정심’을 의미하며, 불보살은 중생 속에서 중생은 불보살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불이의 실천을 의미한다. 4무량심 중 최고의 덕목은 중생을 향한 불보살의 대비심이며, 중생이 이르러야 할 구경의 실상이자 최상의 청정 바라밀의 내용이기도 하다. Mahāyāna Buddhism realizes its duty to always be with all living beings in real life. The four immeasurables refer to the practice of the realization of this duty of Mahāyāna Buddhism. One acquires wisdom (bodhi) through this practice, and expands and realizes one’s power to practice it. In Mahāyāna Buddhism, the practice of the four immeasurables surpasses the original system of loving-kindness, compassion, empathetic joy, and equanimity (慈悲喜捨) because Mahāyāna Buddhist texts suggest ten kinds of practices of the great four immeasurables aswellas the practice of the pure four immeasurables. Further, Mahāyāna Buddhism explains 50 kinds of the great compassion (大悲心), which are realized for all living beings by boddhisattva, and it emphasizes the great compassion as the best virtue of boddhisattva and strongly criticizes the meditation of two small yānas (二乘), which is practiced only for oneself. Through the ten kinds of the four immeasurables and the fifty kinds of the great compassion, a feature of Mahāyāna Buddhism is the thought that doing good things for others (利他) is the completion of the practice for oneself (自利). We may say that Mahāyāna and the pure mind (自性淸淨心) mean doing good things for others and the practice for oneself. The best virtue realizing these two (自利, 利他) is the great compassion of Buddha, the real form of the world (究竟實相), and Buddha’s pāramitā to all living beings.

      • KCI등재

        온라인 강의에서 내용제시유형이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강명희 ( Myung Hee Kang ),구한나 ( Han Na Gu ),문소영 ( So Young Moon ),정지윤 ( Ji Yoon Jung ),김지심 ( Ji Sim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온라인 강의의 효과적인 설계 전략을 제시하기 위하여, 내용제시 유형을 동영상, 나레이션 그리고 텍스트로 제공하여 이에 따른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효과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강의를 6주 동안 수강한 94명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내용제시유형에 따른 인지적 실재감과 성취도, 만족도로 나타난 학습효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내용제시유형에 따라 인지적 실재감은 학습활동과 학습관리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영상 유형이 가장 높은 인지적 실재감을 창출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각된 성취도와 학업성취도로 측정된 성취도는 내용제시유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나레이션 유형이 지각된 성취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텍스트 유형이 학업성취도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낸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만족도 역시 제시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만족도 점수는 동영상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나레이션, 텍스트 순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earning effects by tutor delivery modes in online lectures for effective design strategies using multimedia. In order to examine he learning effects depending on tutor delivery modes, three types of web-based contents were designed and develope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94 undergraduates who was enrolled in an online course.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and each group was given with different delivery modes of learning content. For six weeks, the delivery modes of each group were changed after every other two weeks. To prevent order effect caused by repeated measurements, latin square design was employed. Learning effects by tutor delivery modes was analyz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 results indicate that participants in video-based tutor mode demonstrated highest cognitive presence and satisfaction, followed by the narration-based tutor mode, and the character-based tutor mode; participants in the narration-based tutor mode showed higher perceived achievement than those in other modes; participants in the character-based tutor mode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ose in other modes.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e more certain answers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multimedia design strategies and its effectiveness. Furthermore,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cognitive presence has an influence on deep learning, facilitating engagement to learning.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design strategies to enhance cognitive presence. Further research is at stake to examine the effect of multimedia design strategies regarding its relationship with other factors in the entire learning process.

      • KCI등재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강명희 ( Myung Hee Kang ),박미순 ( Mi Soon Park ),정지윤 ( Ji Yoon Jung ),박효진 ( Hyo Jin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웹기반 프로젝트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학습실재감이 성취도와 만족도를 예측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15주 동안 프로젝트학습을 진행한 6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습자 간 상호작용은 β=.76로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조사되었으나(t=9.15, p<.05), 만족도에 대한 예측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더 나아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하위변인인 과제관련과 과제비관련 변인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학습자 간 상호작용은 그 유형과 관계없이 모두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둘째, 학습실재감은 β=.63로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나(t=6.35, p<.05), 성취도에 대한 예측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인지적, 감성적, 사회적 실재감으로 분류된 학습실재감 하위요인 중 인지적실재감만이 β=.70으로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7.74, p<.05).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earner interaction and perceived presence level on the outcomes of learning, this study sampled 63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a Web-based project course which lasted for 15 weeks. The numbers of task-related and task-not-related interaction in student messages were counted by sentence-unit. Perceived learning presence composed of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level was assessed by self-report items. Learning outcomes were gathered in terms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ollowings are the results: (1) Total interaction significantly predicted achievement, β=.76 (t=9.15, p<.05), but not satisfaction. (2) Task-related interaction significantly predicted achievement, β=.40 (t=3.69, p<.05), and so did task-not-related interaction, β=.45 (t=4.23, p<.05). (3) Learning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satisfaction, β=.63 (t=6.35, p<.05), but not achievement. (4) Among the sub-factors of learning presence, only cognitive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satisfaction, β=.70 (t=7.74, p<.05), but not social and emotional presenc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nteraction and learning presence could be critical factors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in Web-based project learning. Details on the predictive power of each sub-factors could be used as the basis of future instructional design.

      • KCI등재

        웹 기반 과학실험 시뮬레이션의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몰입과 인지적실재감의 예측력 규명

        강명희 ( Myung Hee Kang ),김혜선 ( Hye Sun Kim ),이정민 ( Jeong Mi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1

        웹기반 과학실험 시뮬레이션은 현장 학교의 과학실험실 미비와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과학수업시수 축소에 따라 현실적으로 실행이 어려워진 과학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과학교육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과학실험 시뮬레이션의 학습성과와 이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결과의 부족은 실험실이 아닌 시뮬레이션으로 과학실험을 대체하는 것에 대한 과학교사들 결정을 지원해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웹기반 과학실험 시뮬레이션의 학습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예측하는 변인들을 규명해 보고자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A 여자 중학교 1학년 학생 107명(실험집단 53명, 통제집단 54명)이었고, 실헙집단은 Gizmo라는 과학실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5주 동안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기존 강의식 과학 수업에 참여하였다. 학습성과는 그래프 활용 능력과 학업성취도로 측정하였으며, 예측변인으로는 학습몰입과 인지적실재감을 상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실험 시뮬레이션 활용수업은 기존 과학수업에 비해 높은 학습성과를 창출하였고, 학습몰입은 인지적실재감을 매개로 학습성과를 예측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본 결과는 웹 기반 과학실험 시뮬레이션의 학습성과에 대한 실증적 자료 제공과 더불어 학습몰입과 인지적실재감이 높은 과학실험 시뮬레이션 선정의 중요성을 제안하며, 과학실험 시뮬레이션 설계자와 개발자는 학습몰입과 인지적실재감을 높여줄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In recent times, web-based simulation games have been highlighted as a means of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som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of instruction involve helping students develop powerful models so that they can make sense of their experienc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show effects of a web-based simulation in a middle school science class. In our research, my colleagues and I use flow and cognitive presence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using graphing skill and academic achievement as dependent variables. We selected 107 students at a girls` middle school located in Daejeon, Korea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control group: 54, experimental group: 53).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aditional lecture group and the web-based simulation group in post-graphing skills (F=13.74, p<.05). Second, as a result of our correlation analysis,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flow, cognitive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graphing skill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 flow has an effect on graphing skills (ß=.44, p<.05) and cognitive presence (ß=.75, p<.05). Cognitive presence acts as a significant variable that has an effect on graphing skills (ß=.51, p<.05), however, flow has no influence on those skills (ß=.06, p>.05). Fourth, cognitive presenc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Flow has an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ß=.39, p<.05) and cognitive presence (ß= .75, p<.05). Based on these results, hierarchical regression was conducted. As a result, cognitive presence acts as a significant variable that has an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ß=.45, p<.05), however, flow has no influence on that achievement (ß=.05, p>.05). Therefore, these results support cognitive presence as a partial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web-based simulations should be designed to promote flow and cognitive presence to improve learning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students.

      • KCI등재

        초기불교에 나타난 4무량심설의 유형별 분석 - 아함경 중심으로 -

        강명희(Kang, Myung-H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0

        초기불교 4무량심설의 일반적인 유형은 마음을 시방으로 향하게 하는 방향설정과 더불어 개인 마음의 선행적 해탈을 원칙으로 세우며, 자(mettā) ․ 비(karuṇā) ․ 희(muditā) ․ 사(upekkhā)의 점진적 마음을 무한대로 펼치는 무량심을 중시한다. 방향설정은 시방이 상징하는 모든 방향에 방사하는 것이며, 개인 마음의 해탈은 무결(無結), 무원(無怨), 무에(無恚), 무쟁(無諍)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일반 유형과 더불어 아함 중심으로 전반적 사례들을 분석해 보면 몇 가지 유형으로 정리된다. 첫째는 범천과 관련된 설이다. 아함은 붓다 당시에 4무량심을 닦아서 범천에 태어나는 여러 사례를 기술한다. 특히 4무량심과 결합한 범천설은 출가자보다는 재가자 위주의 수행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둘째는 해탈과 결합한 설이다. 4무량심은 6근이 6경을 만났을 때 수많은 경험에서 일어나는 마음을 해탈하는 수행법으로, 신념처의 수행법 범주에서 시설된다. 그동안 학계는 4무량심이 무량심해탈이라고 명명되는 점에 주목한 바 있는데, 중아함경 은 대심해탈과 무량심해탈을 분리하여 설명한다. 대심해탈은 대상에 대하여 마음의 크기를 키우는 의해(意解)를 중시하면서 설명되며, 무량심해탈은 4무량심의 일반적 유형으로 설명된다. 대심해탈에서 나타나는 의해의 마음은 아비달마와 유가행파에서 발전된 승해작의(勝解作意) 수행의 초기적 형태로 보인다. 셋째는 4선정과 결합한 설이다. 아함의 4무량심은 4선 다음에 기술되는 특징을 보인다. 제4선정의 우뻬카(upekkhā, 평정, 捨)가 획득되어야만 마음이 대상을 향하여 평등하게 구현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The general type of Four Apramāṇas in Early Buddhism establishes principles similar to the direction setting through which the mind focuses on the outside and the pre-solution of ones psychological problems and emphasizes apramāṇa, which shows that gradual minds, like mettā․ karuṇā․ muditā․ upekkhā, are directed to infinity of the outside. The direction setting intends to eradicate all 10 directions, and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oneself include nonconclude(無結), nonhatred(無怨), nonwrath(無恚), and nonquarrel(無諍). By these two, Buddhist ascetics practice mettā․ karuṇā․ muditā․ upekkhā endlessly. If we analyze general examples of Nikāyas and Āgamas based on the basic theory of pramāṇas, as discussed above, we can arrange them into several types. The first type is related to the world of Brahmā. Āgamas show that people living in the days of Buddha were born into the world of Brahmā by the practice of Four Apramāṇas. In particular, this type is described more in the examples of general people(lay) than the monk. The second type is examples related to vimutti. When six sensory organs meet six sensible objects, the Four Apramāṇas are explained to be delivered from, and explained as the practice of Kāyasmṛtyupasthāna. The fact that Four Apramāṇas is described as Apramāṇavimutti has received attention in the academic world, while Mahacetovimutti and Apramāṇavimutti are explained discretely in Madhyamāgama (Zhong-ahanjing). Mahacetovimutti is explained as the action of Manasikara(意解), which develops the size of the mind. Apramāṇa-vimutti is explained as a general type of Four Apramāṇas. The mind of Manasikara of Mahacetovimutti is understood as the early type of the Manaskā ra practice and the Adhimukti practice, which had been developed in the Yogācāra school. The third type is related to Catur Jhāna. Four Apramāṇas in Early Buddhism have a feature that they are described next to Catur Jhāna in both the Nikāyas and Āgamas, because when upekhā in the fourth Jhāna is removed, the mind can be realized to the object without distinction. Early Buddhist texts explain Four Apramāṇas between Catur Jhāna and Catur Arūpasamādhi. There are several examples that are sometimes related to Catur Arūpasamādhi, but the examples are related to Buddhas students, not to Buddha himself.

      • KCI등재

        오정심관 수행법을 통한 심리치료

        강명희(Kang Myung Hee) 보조사상연구원 2013 보조사상 Vol.39 No.-

        The Five Types of Mindfulness(五停心觀) are five kinds of practices as like the contemplation on impurity(不淨觀), the compassionate meditation(慈悲觀), the insight into causality(緣起觀), the contemplation on the elements(界差別觀), and the contemplation on breathe(數息觀) which are included in the object of perception cognized by means of pure act(淨行所緣) in Yogācārabhūmi-Śāstra(瑜伽師地論). The contemplation on impurity and breathe was originally recommended by buddha for concentration on body, and these two contemplations were systematized into two main practices that enter to buddhist meditation in Abhidharma buddhism. At last, in Chinese buddhism, these two contemplations were standardized to the Five Types of Mindfulness, including the compassionate meditation, the insight into causality, and the contemplation on the elements. These Five Types of Mindfulness are named as "the object of perception(所緣)" in Yogācārabhūmi-Śāstra, because each object of the Five Types of Mindfulness is the object of concentration. So each type of Mindfulness is divided to several gates(門) and explained systematically in Yogācārabhūmi-Śāstra. The contemplation on impurity is divided to six kinds of ways as like the decay-dirty-impurity(朽穢不淨), the pain-impurity( 苦惱不淨), the inferiority-impurity(下劣不淨), the seeing- waiting-impurity(觀待不淨), the earthly desire-impurity(煩惱不淨), the rapid decay-impurity(速壞不淨), and explained gradually. Yogācārabhūmi-Śāstra explains that, by these ways, greedy desires(貪慾) to riches, sex, good condition, and body can be removed. the compassionate meditation is giving kind and good minds as like benevolence(慈), compassion(悲), rejoicing at a person's success and happiness(喜) and so on to whoever he/she is good or not to me without any bad intend or condition to others, By the compassionate meditation, we can remove the mind that be got angry(瞋恚). The insight into causality is the way to see the beginning, role, and character of the Five Aggregates(五蘊), by which can experience and get the truth of Dharma-nature(法性). We can remove ignorant mind(愚癡). the contemplation on the elements is the way to see the different marks of four realms in the inside and outside as the constituent of body and nature, and see space-realm(空界) which is space in the body and consciousness-realm in mind. By the contemplation on the elements, we can remove the act fixated on the mind of I and mine. the contemplation on breathe is described as five kinds of contemplation ways. They are 1)the counting-practice(算數修習) which is counting breathe to remove distracted mind, 2)the Five Aggregates-practice(五蘊修習) by which we can see the truth of dharma, 3) the causality-practice(緣起修習) by which we can see the end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4) the holy truth-practice( 聖諦修習) by which we can cut off earthly desire of now and here(現觀) and one cut off when he/she enters into the truth(見道所斷), and 5) the sixteen superiority-practice(十六勝行) by which we can cut off earthly desire disappeared by the practice after he/she enters into the truth(修道所斷). 오정심관은 부정관, 자비관, 연기관, 계차별관, 수식관의 5종의 수행방법으로써 『유가사지론』은 행위를 깨끗하게 하는 수행대상[淨行所緣]에 포함시킨다. 일반적으로 오정심관 중 부정관과 수식관은 붓다가 몸의 제도를 위해 자주 설한 수행법이었지만, 아비달마불교에서는 이 두 수행법을 입문수행의 두 관법으로 체계화시켰던 것들이다. 중국불교에 이르면 두 가지의 수행법에 여타의 자비관, 연기관, 계차별관(또는 염불관)을 포함시켜 오정심관(또는 五門)의 수행법으로 정형화시키게 된다. 『유가사지론』은 이 5종의 수행관법을 수행대상이 된다고 하여 所緣의 이름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수행법에 여러 가지의 門을 세워 체계적으로 접근한다. 다시 말해 부정관은 朽穢不淨, 苦惱不淨, 下劣不淨, 觀待不淨, 煩惱不淨, 速壞不淨의 여섯 가지의 부정관의 방법을 점차적으로 설명하며, 이들 각각의 부정관을 통하여 욕구와 탐욕, 음욕과 음욕에 대한 탐욕, 경계에 대한 욕구와 탐욕, 살가야에 대한 욕구와 탐욕을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자비관은 사랑[慈], 연민[悲], 기쁨[喜]의 감정을 사랑하는 사람, 원수 같은 사람, 중간관계의 사람에게 원망심, 적개심, 불해심 없이 조건 없이 주는 것이라고 한다. 결국 자비관을 통하여 다양한 진에의 마음을 제거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연기관은 오온의 시작과 작용과 특징을 네 가지로 도리로써 앎으로써 법성의 이치를 증험 또는 체득해 나가는 것이라고 하며, 이를 통하여 우치의 마음을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계차별관은 내외의 4계의 차별상을 몸과 자연환경의 구성요소로써 아는 것이라고 하고, 몸속의 공간의 공계와 심의식의 식계를 아는 것이라고 하며, 이를 통하여 아만의 행을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마지막 수식관은 입출식에 숫자를 헤아리는 산수수습과 오온수습과 연기수습과 성제수습과 16승행수습의 5종의 관법을 기술하고 있다. 이 각각의 수식관을 닦으면 산란심이 제거되고, 법의 이치를 알고, 입출식의 소멸을 알며, 현관과 견도소단의 번뇌를 끊으며, 수도 소단의 번뇌를 끊어낸다고 한다.

      • KCI등재후보

        『유가사지론』에 나타난 유가사와 작의수행의 관계

        강명희 ( Kang Myung-hee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2016 명상심리상담 Vol.15 No.-

        Introduction: Yogacarabhumi-sastra (瑜伽師地論) is the treatise text (sastra) that theorizes systematically strange phenomenons in practice process, and methods, processes, and effects of practice. A yogacara (瑜伽師) who practices yoga explains methods and phenomenons of practice by manas-kara (作意) which is written in detail under 19 topics in pudgala-bhumi (數取趣地) of yoga-bhumi (瑜伽地). The 19 topics explains methods and processes of a yogacaras practice, and are all related with manas-kara. Body: This paper considers many forms and processes of practice related with a yogacaras manas-kara explained in sravaka-bhumi (聲聞地) of Yogacarabhumi-sastra. And to conclude, we can understand that `yoga (瑜伽)` is the practice of sraddha (信), chanda (欲), virya (精進) and upaya (方便). A yogacara is an ascetic who practices manas-kara directly, and there are three kinds of yogacaras in Yogacarabhumi-sastra. A yogacara who practices to remove bad karmas for the first time practices with form(相)s in his consciousness, at that time, his manas-kara is not perfect. A yogacara who make himself master of manas-kara enters alambana-nimitta (所緣相) deeply with five manas-karas for profound and mysterious wisdoms of vijnapti- matra. In a yogacara who is beyond manas-kara, the action of his manas-kara is changed to anabhoga (無功用), and he gains the abhisa-maya (現觀) and gets to be able to practice samatha and vipasyana justly in the truth of the Middle Way. Yogacarabhumi-sastra stresses the manas-kara more than any other Buddhist texts, and the manas-kara is written in it as the intention that enters into alambana very well, and then catches and removes the mind covered with klesas of several levels. Conclusion: The manas-kara related with a yogacara is the intention that overcomes the panca-nivarana (五蓋;the exposed klesas) and the anusaya-klesa (隨眠煩惱;the potential klesas), and then enlightens the pure mind to an ascetic. The manas-kara of a yogacara is related with the adhimoksa (勝解) which cultivates the action of the mind to the alambana-nimitta, and with nine kinds of prayoga (加行)s which are included in the sukla-paksa (白品).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