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사부재리 위반을 이유로 한 각하 심결에 대한 취소소송의 심리범위

        강명수 ( Kang¸ Myungsoo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20 지식재산연구 Vol.15 No.4

        특허법 제163조의 일사부재리 제도는 오스트리아 입법을 계수한 일본 법규정을 받아들인 것인데, 오스트리아는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으로 동 규정이 폐지되었고, 일본은 2011년 개정을 통해 제3자효를 제외시켰다. 이와 달리 우리나라는 입법 당시와 실질적인 변화 없이 현재에 이르고 있는바,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해석론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최근 대법원 2020. 4. 9. 선고 2018후11360 판결에서는 일사부재리 원칙의 판단기준은 심결시라고 하면서 심결취소소송 단계에서의 새로운 주장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하지만 일사부재리 원칙의 제도적 취지와 특징, 분쟁의 일회적 해결 도모, 심결취소소송의 심리범위에 대한 무제한설 등을 고려해 볼 때 일사부재리 위반을 이유로 한 각하심결에 대해서만 달리 볼 이유는 없다. 선행 심결의 확정시기를 심판청구시로 본 판례에 대해 제3자의 권리 제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부득이하게 선행 심결의 확정과 관련해서만 그 기준 시점을 정한 것이라고 해석한 것을 고려해 볼 때, 일사부재리 위반에 대한 심결취소소송단계에서 새로운 사실을 주장하거나 증거를 제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하자가 치유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Article 163 of the Patent Act is the acceptance of Japanese law provisions that counted Austrian legislation. The rule was abolished in Austria due to the Constitutional Court’s unconstitutional decision, and Japan excluded the third effect by revising the law in 2011. However Korea has reached the present subjective scope and objective scope without any actual changes from the time of legislation. The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 2018Hu11360 stated that the standard for judging of the non bis in idem principle is at the time of the trial ruling, and that new claims in the lawsuit for cancellation are not allowed. The purpose of the principle of non bis in idem and an efficient resolution of relevant dispute, there is no reason to deny such new claims in the lawsuit. Considering unlimited hearing scope of revocation action of administrative decision and the supreme court decision regarding the final and conclusive of the preceding ruling is a request the administrative trial is inevitably set only to minimize the limitation of the rights of third parties, new facts or evidence should be submitted in the lawsuit for cancellation of a decision on the grounds for breach of non bis in idem.

      • KCI등재

        유죄인정의 기준과 검찰의 상소제한 필요성

        강명수(Kang, Myungsoo) 대검찰청 2015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49

        죄형법정주의는 새삼 논의가 필요 없을 정도로 오늘날 형사법 체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이념이 되고 있다. 여러 가지 파생원칙이 있지만 그 중에서 명확성의 원칙에 의하면 어떠한 행위가 범죄가 되는지 여부를 명확하게 규정해야 한다. 그런데 실제 사건에서 법원의 최종 판단이 나오기 전까지 피고인의 행위가 유죄인지 무죄인지 명확하지않은 경우가 많고, 그런 사건들은 결국 최종심의 판단에 따라 유무죄가 가려진다. 이과정에서 하급심의 무죄판결에 대해 검찰이 아무런 제한 없이 상소를 제기하고 상급심에서는 독자적으로 유무죄를 다시 판단한다. 결국 하급심에서 아무리 무죄판결이 선고되어도 상급심의 판단에 따라 무의미한 결정이 되는데, 당해 사건을 직접 재판한 법원에서조차 무죄라고 판단하였다면 피고인은 자신의 행위가 유죄라는 것을 합리적인의심의 여지 없이 알 수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보아야 한다. 결국 하급심의 무죄판결에 대해 검찰이 제한 없이 상소를 제기하고 상급심이 독자적으로 유죄로 판단하는 것은 죄형법정주의에 반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 이러한 측면에서 하급심의 무죄판결에 대한 검찰의 상소를 제한할 필요가 있는데, 현행법 하에서 죄형법정주의,무죄추정의 원칙, 형사소송법 제307조 제2항 등의 해석을 통해 이러한 기준을 마련해 나갈 필요가 있다. 관련하여 영미법에서 채택하고 있는 이중위험금지의 원칙은 비록단점도 있긴 하지만, 무죄판결에 대한 검찰의 상소제한의 합리성을 고려해 볼 때 그 도입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다만 검찰의 상소제한이라는 제도적 도입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고 이중위험금지의 법리 자체를 수용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단계에서 검찰의 상소제한을 전면적으로 도입하기 어렵다면 영국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단 계적인 도입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rinciple of legality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the system of present criminal law as hardly necessary to discuss. There are several derivative principles from the principle of legality. Among them, based on the principle of certainty, it is necessary to clarity what action would be crime. Nevertheless, in real case, it is not obvious whether action becomes guilty or not until the court makes final decision. Those cases are usually decided by Supreme Court. While Supreme Court makes decisions on those case, the prosecution appeals those cases without any limitation, and Appeal Court independently makes decision on those cases. As a result, if Appeal Court makes decision on the case differently even though lower court decides the case as not guilty, decision of lower court is meaningless. It seems difficult that criminal defendant accepts that criminal defendant is guilty based on the decision lower court made. As a result, it is against the principle of legality that the prosecution appeals cases lower court decides criminal defendants are not guilty without limitation and Appeal Court decides the cases independen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standard to restrict appeal of the prosecution based ont the principle of legality,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and interpretat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Law 307 schedule 2. In connection with that, there is a weakness of double jeopardy which is adapted to Anglo-American Law,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view to accept double jeopardy based on rationality of limitation on appeal of the prosecution on judgements of acquittal. Nonetheless, it should focus on providing institutional introduction of limit on appeal of the prosecution, and it is not necessary to adapt the principle of double jeopardy itself. If it is hard to adapt completely limitation on appeal of the prosecution, it would be worth consideration to adapt limitation on appeal of the prosecution a phase-in to refer to examples of legislation of United Kingdom.

      • KCI등재후보

        공정거래위원회의 전속고발권

        강명수(Kang Myungsoo) 대검찰청 2013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41

        우리나라 공정거래법에서는 동법 위반행위에 대한 제재조치로 사적 집행(Private Enforcement)과 공적 집행(Public Enforcement)을 인정하고 있으며, 공적집행은 공정거래위원회에 의한 시정조치나 과징금 부과, 검찰에 의한 형사적 집행 등이 있다. 이 중 형사적 집행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공정거래위원회의 고발이 있어야 하는데, 이를 전속고발권이라고 한다. 공정거래법상 전속고발권은 동법이 제정된 1980년부터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는데, 전문적인 행정기관에 의한 우선적 조치 및 과도한 형사적 집행의 억제 등 그 장점에도 불구하고 형사적 집행 여부를 행정기관에 일임하고 있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안고 있으며, 특히 공정거래위원회가 동법 위반행위에 대해 고발권을 행사하지 않거나 일부 사업자에 대해서만 고발권을 행사하는 사례가 있어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공정거래법에서는 1980년 법제정 당시부터 도입한 전속고발권에 대해 여러 차례 개정을 하여 그 적절한 행사를 담보하고자 노력해 왔고, 최근에도 다시 법을 개정하여 2014년 1월 17일 그 시행을 앞두고 있다. 특히 최근 개정법에서는 고발요청권자의 범위를 확대함과 동시에 담합의 자진신고자 또는 조사협조자에 대해서는 고발을 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법개정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의 개정법에 의하더라도 공정거래위원회의 전속고발권 행사기준은 여전히 불명확하여 문제의 소지를 내포하고 있다. 지금의 상황에서 전속고발권 제도 자체를 폐지하기는 어려움이 있으나, 우선적으로 전속고발권에 고소불가분의 원칙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일부 사업자에 대한 고발권 행사를 통제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고발의무 범위를 명확히 하여 예측가능성을 도모해야 하며, 이러한 방향으로의 제도 운영을 통해 수사기관에서 공정거래법 위반 행위에 대한 조사 및 판단에 있어 전문성을 키워 나가게 되면 결국 향후에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전속고발권을 삭제하여 형법적 제재의 가능성을 오직 행정기관에 일임하고 있는 구조를 바꾸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Korean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hereinafter ‘Fair Trade Act’), there are private and public enforcement for violation of Fair Trade Act. Public enforcement is consisted of correction measures by Korean Fair Trade Commission, or penalty surcharges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enforcements by the prosecution, and etc. Among them, it is necessary that the Fair Trade Commission must report violations of Fair Trade Act to the prosecution to press charges criminal penalties against violations of the Act. It is referred to as “the exclusive right to accuse.” The exclusive accusation right of Fair Trade Commission has maintained since 1980 when Fair Trade Act was legislated. Even though ‘the exclusive right to accuse’ may have some strong points such as preferential actions by specialized administrative agency and excessive criminal penalty controls, there is a fundamental problem that administrative agency might decide whether violations of Fair Trade Act will be enforced as criminal penalties. In particular, the Fair Trade Commission sometimes used the right only to some of violators, or did not use ‘the exclusive right to accuse’ for violations of Fair Trade Act. As a result, ‘the exclusive right to accuse’ of Fair Trade Act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since 1980 to secure proper exercise of the right. Recently, the Act has revised again, and it will be enforced on January 17th 2014. In particular, the recent revision of Fair Trade Act is widened a range of accuser who can exercise ‘the exclusive right to accuse’ of the Act, and exempted voluntary reporters of collusion or cooperators on investigations on collusion from accusation. The criteria to use of ‘the exclusive right to accuse’ is still uncertain, however, and the fundamental problem is still exist even in new Fair Trade Act. On this situation, first of all, it is needed to control use of ‘the exclusive right to accuse’ for some violators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inseperable to the right because it is hard to abrogate the right. Secondly, the Act should clarity a range of report duty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to increase predictability of ‘the exclusive right to accuse’use. Based on that, investigation agency increases its speciality on investigation or judgement on whether violations of Fair Trade Act are existed. As a result, there would no longer be need of ‘the exclusive right to accuse’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At that time, the right should be abrogated since the present system of ‘the exclusive right to accuse’ is that only administrative agency can control criminal penal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