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전장에서 전투병 생존률 향상을 위한 패러다임 소개

        강대현 ( Kang Dae-hyun ) 국군의무사령부 2015 대한군진의학학술지 Vol.46 No.1

        Very limited medical care should be attempted while the casualty and the unit are under fire. Suppression of hostile fire and moving the casualty to a safe position. Casualties who have sustained injuries that are not life threatening and that do not preclude further participation in the fight should continue to assist the unit in suppressing hostile fire. Generally, airway control is the first procedure in medical emergency. But life-threatening extremity hemorrhage should have been previously addressed with a tourniquet in the Care Under Fire phase. To improve survival rate of combat soldiers, they should be learned about tactical field care. I will introduce about tactical field care which is composed of moving casualties in tactical settings, hemorrhage control by tourniquet, airway control techniques, diagnosis and initial treatment of tension pneumothorax, procedure for intraosseous access, use of tranexamic acid, importance of preventing hypothermia and coagulopathy.

      • KCI등재

        불교의식집에 나타난 부적(符籍)과 그 역할

        강대현 ( Kang Dae-hyun ),권기 ( Kwon Gi-gy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5

        조선시대의 불교적 상황은 고려시대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조선후기에 집중적으로 간행되었던 불교의식집에는 민간신앙과 융합된 여러 가지 도상이 등장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부적에 초점을 두었다. 가장 많은 문헌에서 나타나고 있는 부적이 ‘북두칠성부’이며, 이들 부적은 칠성존에게 구복ㆍ업장소멸ㆍ식재 등은 물론 수명의 연장 또한 기원하고 있다. 다음은 ‘왕생정토부’로서, 죽은 자의 왕생정토를 빌어주는 부적이다. 이 부적은 불교의식집에서 매우 특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즉 ‘대장경왕생정토부식법’이라 하여 부적을 먹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삼장육재일과 연관되어 전개되고 있다. 그리고 ‘중복방법부’는 상복을 거듭 입을 가능성이 있는 중복일과 연관되는데, ‘중복방법부’는 이를 방지하는 부적이다. 마지막으로 진언집과 『일용집』 등에는 총 24종의 부적이 열거되어 있다. 이 중에서 특히 7종의 부적은 도교의 경전에서 차용한 것으로서, 양택풍수와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으며, 나머지 18종의 부적 또한 세속의 현실적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는 부적이다. 따라서 이들 부적을 통한 조선후기 불교의 양상을 가늠해 본다면, 불교의 심오한 철학적 의미보다는 부적 소지자 개개인의 생로병사에 대한 현실적 고충의 제멸과 타력에 기댄 극락왕생의 원망 등을 기원한 기층화된 민간신앙으로서의 불교적 양상이었으며, 밀교 의례의 한 부분으로서 신비적 부적이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As we already know,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is much different from Buddhism in the Goryeo Dynasty. Especially, in the Collections of Korean Buddhist Rituals which were published intensive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are various iconogaphies that are fused with folk beliefs, In this article, I focused on amulets. The most amulet in the literature is the ‘Ursa Major amulets’, through these amulets, Ursa Major is praying for good fortune, extinguish karmic hindrances, the prevention of disasters and calamities as well as extending the life span. The following is ‘an amulet for rebirth in the Pure Land’, it is an amulet that begs the dead to be reborn in the Pure Land. This amulet is very unusual in the Korean Buddhist Rituals. Namely, That explains it ‘how to eat amulet for rebirth in the Pure Land’, it is being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three whole months of abstinence and six days of purification. And the following is ‘an amulet to prevent wearing mourning’, it is related to the day when mourning is repeated, this is an amulet to prevent wearing mourning. Finally, There are a total of 24 amulets listed in the book of mantras and The gathered book of ordinary worshipping Buddha etc. Among them, seven kinds of amulets were borrowed from Feng Shui for the Housing for the scriptures of Taoism, The remaining 18 amulets are also amulet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secular real life. Therefore, if we look at the aspect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se amulets, It is a Buddhist aspect as a changed civilized faith that desires the disappearance of the individual's real troubles, that are birth, old age, sickness, and death and to be reborn ultimate bliss, and the origins of dependence on other-power, so it can be said that mystical amulets were used as part of the esoteric ritual.

      • KCI등재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과제 -시수 편제 논의를 중심으로-

        강대현 ( Dae Hyun Kang ),모경환 ( Kyung Hwan Mo ),차조일 ( Jo Il Cha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1 시민교육연구 Vol.43 No.3

        This study reviews the background in which the debate over the allocation of class time took place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2009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a part of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and provided some sugges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new curriculum. Unlike the 7th and the 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which allocated the class hours for each subject area, the 2009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ssigns the standard hours for social studies/ethics subject area. This means that the time allocation for each subject is dependent upon local school districts and individual schools. Thus local schools should not be constrained by the old framework of the 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endeavor to rationally allocate class hours for the cultivation of future citizens for the 21st century Korean society.

      • KCI등재

        만자형(卍字形) 도상(圖像)의 보협타라니(寶협陀羅尼) 연구

        강대현 ( Dae Hyun K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4

        길상의 문양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만자형 도상은 동아시아권 불교에서는 그 의미가 각별하다. 이 도상은 여래의 가슴은 물론 손과 발 등에 새김으로써, 한 형상의 여래를 넘어 전 불교를 상징하게 된 존귀하고 상서로운 문양이기도 하다. 그리고 『일체여래심비밀전신사리보협인다라니경』전체나 이 경 중의 보협다라니를 사경하여 탑 안에 봉안하면 그것이 바로 파괴되지 않는 금강장탑이며, 불상이나 탑에 이 다라니를 안치하면 그 불상은 칠보가되고 그 탑이 보협인탑인 것이다. 따라서 보협다라니가 여래의 전신사리이며 삼세의 삼보인 것이다. 이처럼 상서로운만자형 문양과 여래의 법신과도 같은 보협다라니가 결합한 만자형 도상보협다라니가 1152년 고려에서 제작되어 유포되었다. 이러한 만자형의 도상을 입체화하여 그 안에 실담범자로 된 보협다라니를 새겨 넣은 다라니도상은 한국만의 독특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만자는 우선형으로 된 도상이며, 도상을 채운 쓴 실담범자 보협다라니는 13세기 전반에 제작된 『고려대장경』[재조대장경]의 한국형 실담범자와도 그 모양에 있어서 다소간의 차이가 있다. 이는 고려시대 초기에 유통되었던 실담범자의 모양을 예상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라고 생각된다. It is especially so for meaning on (the iconography of) a 卍 [svastika] shaped, for a mass-adopted auspicious sign, in East Asia Buddhism. A svastika shaped, by putting the chest of the Buddha carved hand and foot and so on, is also auspicious patterns the entire Buddhism beyond the honor of Buddha’s symbolized shape. And if there are sentient beings writing scripture one of the whole of the Sarvatathagatadhisthanahrdayaguhyadhaturatnakarandamudradharanis utra or the ratnakarandakadharani in this sutra and enshrine in a stupa, there is a nondestructive storage stupa of all tathagatas, if there enshrines the ratnakarandakadharani in an image of the Buddha and stupa, the former is seven kinds of precious materials, while the latter is the ratnakarandamudra stupa. Therefore it, the ratnakarandakadharani, is a whole-body relic of Buddha and Three Treasures of three times. There were held together with an auspicious svastika-shaped patterns and the ratnakarandakadharani likes Buddha’s dharma-body, the ratnakarandakadharani in the iconography of a svastika-shaped was produced and disseminated the Goryeo Dynasty in 1152. Such a look three-dimensional form by a svastika-shaped, its iconography put in writing the ratnakarandakadharani of Siddhamatrka, it can be called a unique form only in Korea. This type svastika iconography is a shaped of turning to the right, there was written on the ratnakarandakadharani of Siddhamatrka in the svastika iconography,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shape of Korean Siddhamatrka, in Tripitaka Koreana was built in the first half of the 13th century and original Siddhamatrka in the form. It strikes me that the ratnakarandakadharani in the iconography of a 卍 shaped is an important basis to estimate the shape of Korean Siddhamatrka were distributed in the early Goryeo period.

      • KCI등재

        오음(吳音) 일본전파설과 관련된 신라 김예신(金禮信)에 대한 논의

        강대현 ( Kang Dae Hyun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51

        고대일본의 오음(吳音) 한음(漢音)은 중국 한자음의 발음양상에 대한 개념적 정의이다. 이러한 오음의 일본전파에 큰 영향을 준 고대한국인이 일본의 사료와 실담장에 등장하고 있다. 그들이 백제의 비구니법명과 신라인 김예신이다. 이들 중 김예신은 불교경전과 관련된 오음전문가로서, 명경 관련 음박사이면서 한음 전문가인 표신공[원진경]과 함께 일본에서 크게 활약한 것으로 보인다. 비록 현재까지 김예신의 행적에 관한 뚜렷한 기록을 찾아볼 수는 없으나, 그에 관한 사료 및 실담장 등 선행의 연구를 살펴보면, 일본 초기한자음의 오음이라고 하면 김예신, 일본 한자음의 한음이라고 하면 표신공이라는 고대일본 한자음의 대표적 인물로 인식되고 있는 것만큼은 사실이다. 일본의 실담학이 형성되기 이전 한 중 일 삼국의 관계성 안에서, 인도불전이 중국으로 전해지고 고대한국을 통하여 불교를 접한 일본은 그 불교적 한자음으로서 오음을 인식하였는데, 특히 일반 경구와는 달리 한자로 번역하지 않고 그 원형을 유지해야 하는 수많은 불교의 진언ㆍ다라니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한자음이 바로 오음이었다. 이는 진언밀교적 일본불교의 특성상 오음 위주의 진언 다라니 염송이 수행자에게는 그 어떤 수행의 요소보다도 중요한 기초였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일본삼대실록』, 『왜한삼재도회』 등을 비롯하여, 일본의 실담장, 그리고 일본학자들의 중국 한자음에 대한 여러 연구 가운데 오음과 관련된 김예신의 행적 및 그 선행의 연구 성과를 통하여, 그의 오음 일본전파에 관한 사실관계를 밝혀보려고 노력하였다. 본고를 계기로 신라김예신에 관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논의를 기대해 본다. GO-On(吳音) and KANG-ON(漢音) in ancient Japan are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Chinese sound in pronunciation aspects. It transmitted in ancient Japan through the ancient Korean people, which is appearing in Japanese history books and siddhavastu. There are two scholar, of the two men, the expert Silla Kim Ye-sin for GO-On associated with Buddhist scriptures seems to have the greater activity in conjunction with the expert of KANG-ON Biao Xin-gong[also called Yuan Jin-qing, he is a professor specializing in the reading of kanji in classic Confucianist texts] in ancient Japan. Even though, there is no distinct footprints of him, so we can’t determine about the relevant fact of GO-On, but there is a proof about Kim Ye-sin was involved in the branch of early Japan of GO-On in earlier Chinese sound and Biao Xin-gong was involved in another Japanese branch of pronunciation in Chinese characters, if we look at the preliminary study about Kim Ye-sin. So He had been mentioned as an exponent of the representative of Japan. Around at the study of Japan’s siddha., if we look at relationship among Korea, Japan and China, India carried Buddhist scriptures to China, and it was spreaded by China to ancient Korea and Japan, which Japan recognized the Buddhist GO-On that was all the Chinese sound, so after all, unlike the ordinary words of the scriptures, especially the Buddhist mantra and dharani is not translated into Chinese characters which we must maintain of its original form of Chinese sound that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GO-On, what we see in the character of Buddhism in Japan,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o a meditator when they chant sutra and mantra dharani to Buddha by GO-On in Japanese Buddhism. Therefore, in this paper, I can finally say that I checked out the truth of footsteps about Silla Kim Ye-sin through the various books, i.e. 『Nihon sandaizturoku』(日本三代實錄), 『Wakan sanzaizie』(倭漢三才圖會) written by Japanese people and through the studies of GO-On in Japan that performed by the several scholars. I look forward to using this research as instruments to be positive and active discussion about Silla Kim Ye-sin.

      • KCI등재

        『고려대장경』을 통해 본 실담장(悉曇章)의 세 측면

        강대현 ( Kang Dae-hyu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5 No.-

        『고려대장경』에서의 실담장은 크게 세 가지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먼저 음운론적 측면으로, 『현응음의』에서는 전체 범자를 47자로 규정하면서 5음을 舌根聲, 舌齒聲 등과 함께 일부 한자독음에는 반절을 표기하고 있고, 『혜림음의』에서는 범자를 50자로 규정하면서 이들에 대한 반절 및 세밀한 해석을 부가하고 있으며, 총론에서 喉聲·?聲·?聲·齒聲·脣吻聲으로 구분하고 있다. 다음은 실담장에 대승사상을 적용한 예로, 불공의 『금강정경석자모품』의 50자문 각각에는 대승불교의 철학적 근간인 반야공사상을 적용하여 실담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반야경』, 『화엄경』 등의 42자문의 사상적 적용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화엄학에서도 실담장의 비유를 들고 있다. 범자 음운과 그 결합의 원리 등을 말하는 실담장을, 60권 『화엄경』 등에서는 실담장 초장의 원리를 십지의 수행계위에 비유하거나, 실담장 14음을 字緣에 비유하고 36자모를 字界에 비유하였다. 또한 『법계도기총수록』에서는 실담장의 비유를 통하여 `깨달음의 문`에 이르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범자 음운과 그들이 결합하여 명·구·문을 완성하는 원리를 화엄학적인 `一卽多多卽一` 등에 비유한 것이다. Siddhavastu is deployed in three different aspects in the Tripitaka Koreana. First of all, in terms of phonological, in the Xuanying`s Transliterations and Senses, the Indic writing was prescribed in all 47 letters, five tones were composed of gustatory faculty voice and tongue with tooth voice and so forth, besides, there were marked a system of indicating the initial and final sounds of a character by two others at some of Chinese Letter sound, in the Huilin`s Sounds and Meanings, there were detailed analysis and marked a system of indicating the initial and final sounds of a character by two others at all of Chinese Letter sound at the Sanskrit was prescribed in all 50 letters, and five tones were itemized of throat voice, gingiva voice, gum voice, tooth voice, lip voice in general introduction. Next example, it is an application of the thought of great vehicle, in the Yu ch`ieh chin kang ting ching Su tzu mu p`in translated by Amoghavajra, there were 50 siddham letters and accentuate importance of each letter Siddhavastu with the emptiness of prajna, they were similar to applying an ideological 42 letters of Prajna-paramita sutra and Avatamsaka-sutra. The last example, Siddhavastu was compared insight of flower adornment`s experiential realm in Huayan Teaching. As we already know, Siddhavastu is all tone of Indic writing and it`s principle of combination. The 60-volumed Avatamsaka-sutra and so forth, first sentence of Siddhavastu compares of stage to carry out or perform, 14 vowels compare of Sanskrit vowels and 36 matrices compare of word`s realm. There was compare of reaching `the door of Enlightenment` through Siddhavastu in the Beopkyedogichongsurok. The comparison of Huayan Teaching between Siddhavastu, there were `one is many, the many are one` and so forth, finally, it is the principle of complete words, phrases, and syllables through all tone of Indic writing and it`s principle of combination.

      • KCI등재
      • KCI등재

        『대승사론현의기』에 나타난 혜균의 실담장(悉曇章)

        강대현 ( Kang Dae-hyu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論叢 Vol.73 No.4

        실담장은 인도등지의 범자와 관련된 음운적 규칙을 설명해 놓은 요약서이다. 한국에서의 실담장은 고려시대 『법계도기총수록』 안에서 실담장이 언급되고 있고, 중세한국의 『진언집』 등에서만 온전한 실담장이 나타나고 있을 뿐, 고대한국에서의 실담장을 언급한 문헌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가 없었다. 다행스럽게도 일본 천태밀교의 대성자 안연의『실담장』에 백제 혜균의 실담장이 인용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혜균의 『대승사론현의기』 「십사음의」에서 당시에 유통되었던 실담장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십사음의」는 최근까지 일실본으로 알려져 있었던 문헌의 일부로서, 여기에는 일반적인 실담장(悉曇章)이 아닌 오음표기의 시담장(肆曇章)으로 언급되고 있다. 이 문헌에는 『열반경』에서의 자본14음인 a·a·i·i·u·u·e·ai·o·au·r·r·1·1 등을 포함한 ka·kha 등의 50자문을 나타냄으로써 『열반경』의 문자관을 채용하고 있으면서 담무참, 사령운 등의 문자관과 견해를 같이하고 있었다. 특히 자본14음 중 a·a음은 후설의 [α]음이었고, r·r·1·1음은 입성이었으며, am·ah 2자는 앞의 a와 a에서 파생된 음으로서, 이 2자는 더 이상의 음은 존재하지 않음을 알려주는 궁극의 음이었다. 이러한 『대승사론현의기』 「십사음의」의 실담장은 고대한국인에 의해 최초로 언급되고 있는 실담장의 한 단면이었으며, 더구나 일본 실담학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안연의 『실담장』에서 인용되고 있는 사실만으로도 혜균의 실담장은 고대일본의 언어적 측면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인데, 결과적으로 일본 실담장 전승의 한 부류로 인정하고 있는 것을 알수 있었다. 비록 혜균의 『대승사론현의기』에 나타난 실담장이 고대한국에서 유통되고 전승되었는지에 대해서는 확실치는 않지만, 혜균이라는 고대한국인에 의해 언급된 실담장이 초기 일본 실담학의 고찰의 대상이 되고 있었다는 것은 불교학은 물론 실담학 부분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지니기에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re are many phonological summaries in Sanskrit about the Siddhavastu of India. In the history of Korea, references of Siddhavastu appear in Beopgyedogichongsurok written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in Jineonjip which forms part of the Buddhist Ritual Collection of the Korean Medieval Period. References of Siddhavastu in Korean texts of the Ancient Period, on the other hand, had yet to be found. However, the author was fortunate enough to discover one trace of Siddhavastu from Ancient Korea; this was the Siddhavastu of Hyegyun of the Baekje Dynasty, which was discussed by Annen in his book Shittanzo, which was about a series of Japanese Siddham studies. One trace of Siddhavastu is found in Daeseungsaronhyeonuigi Sipsaeumui, and it is possible that Hyegyun adopted the GO-On (吳…音) type of Chinese character pronunciation, since Siddham (肆曇) or Siddhavastu (肆曇章) was also included in his book. Furthermore, this is the first evidence of literature for the Siddhavastu written by ancient Korean. The Siddhavastu of Hyegyun con- tained fourteen phones which formed the roots of the letters [a·a·i·i· u·u·e·ai·o·au·r·r·1·1] in Mahaparinirvanasutra; he holds the same view of Dharmaksema·Xie Lingyun etc, and also adopts the notions of the fifty letters [ka·kha etc] of Mahaparinirvanasutra. In particular, the author realized that a·a are the back vowels (後舌) in the fourteen phones inside the root of letters, r·r·1·1 are the entering or checked tone (入聲) in the four tones (四聲), and the last two, am·ah are from a·a, and after am·ah, the ultimate vowels, no other vowels exists. As mentioned above, it was good enough for verbal inter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in ancient times, as is proven by the citation in Annen`s Shittanzo. Consequently, it can be firmly established that one clear piece of evidence about Siddhavastu written by an ancient Korean does indeed ex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