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몰입형 가상현실 프로그램 Rapael Smart Glove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배원진,감경윤,Bae, Wonjin,Kam, Kyungyoon 대한통합의학회 2017 대한통합의학회지 Vol.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immersive, virtual reality-based exercise program on range of motion and dexterity in the upper extremities of stroke patients. Methods: Fifteen patients with hemiparesis after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Rapael Semart GloveTM, an immersive, virtual reality-based exercise program, performed for 30 minutes-, 3 times per week for 4 weeks. The Rapael Smart GloveTM program and a Box and Block Test (BBT) were used to measure range of motion and to assess dexterity, respectively, pre-and post-intervention. Results: Range of motion in pronation and supination of the forearm and flexion, extension, and ulnar deviation of the wrist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Dexterity measured by BBT also improved. However, range of motion in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fingers and radial deviation of the wrist did not improve.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s the effects of an immersive, virtual reality-based exercise program on hand function. In the future, a study comparing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based exercise program to other upper-extremity interventions for stroke patients should be conducted. A study about the effects of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program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s also needed.

      • KCI등재

        노인운전자들의 인지기능과 운전실태에 대한 연구

        김훈주(Kim, Hun-Ju),감경윤(Kam, Kyung-Yoon),신중일(Shin, Joong-I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는 고령사회를 앞두고 증가하고 있는 노인들의 자동차 운전에 대한 실태를 확인하고 향후 노인들의 안전한 자동차 운전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P시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복지관 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설문조사를 통해서 노인들의 자가운전 현황을 파악하고, 자가운전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41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인지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기능평가 (MontrealCognitiveAssessmentKoreanVersion;MoCA-K)와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 검사(neurobehavioralcognitive statusexamination;NCSE)를 실시하였다.연구결과 대상 노인의 32%가 자동차운전을 하고 있었으며 매일 운전을 하는 경우 (56.1%)가 가장 많고,운전시간은 하루 1-2시간 정도(56.1%)운전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차량사용목적으로는 여가활동 (46.3%)에 많이 이용을 하였으며,사고경험이 있는 노인은 31.7%였다.인지기능검사 결과 개인에 따라서 특정항목에서 평균 이하의 점수를 획득하는 경우가 있어 안전한 자동차 운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그러므로 노인들의 안전한 자동차 운전을 위해서는 노인의 감소된 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체계적인 평가시스템과 부족한 부분에 대해 서 보완할 수 있는 운전재교육시스템의 의무화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또한 향후 운전면허관리제도 및 갱신과 같은 노인 의 운전을 위한 정부차원의 제도적 접근도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basic information for elderly driving safety,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e. This study analyzed 128 survey questionnaires given to senior welfare center user in P city and evaluated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orean Version(MoCA-K) and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NCSE) for checked 41 owner drivers by questionnaires. 32% of total elderly persons was owner driver, and 56.1% of elderly drivers was driving everyday. 56.1% of elderly persons was driving for 1-2hours per day. 46.3% of elderly persons was using a car for leisure activity and 31.7% of elderly drivers was experienced a car accident. As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some elderly drivers showed scores lower than average in subcategories of cognitive functions for driving a car. So, methodical evaluation system for accurate evaluation of deficit ability and driving re-education system will be required for safety driving of elderly person. In future, a legal approach of government as driver licence management and renewal system will be required for safety driving of elderly person.

      • 보강적 피드백훈련이 만성 뇌졸중환자의 상지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승협 ( Seung Hyup Han ),감경윤 ( Kyung Yoon Kam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4 No.1

        목적: 본 연구는 보강적 피드백훈련이 만성 뇌졸중환자의 상지 및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만성 뇌졸중환자 12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할당을 통해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6명씩 배정하였다. 실험군은 보강적 피드백훈련이 1회 15분, 1일 1회, 주 5일, 8주 동안 제공되었으며, 대조군은 실험군과 동일한 회기동안 위상치료가 제공되었다.상지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뇌졸중 상지기능검사,개정된 Ashworth 척도, Fugl-Meyer 평가,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운동활동지표를 사용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수정바델지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보강적 피드백을 제공한 실험군은 상지 및일상생활활동의 모든 평가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인 반면(p<.05), 대조군은 Fugl-Meyer 평가, 운동활동지표에서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또한 집단간비교를 통해 훈련 후 실험군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서의 향상이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p<.05). 결론: 본 연구는 보강적 피드백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일상생활활동 기능에 효과적임을 지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ugmented feedback on upper-limb motor functions and ADLs of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12 chronic stroke patients. The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6 patients) and the control group(6 patients). Both groups conducted 15 minutes per 1 time, 5 times a week, a total of 8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ugmented feedback training with the motion sensor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placebo training. The degree of functional recovery of pre and post intervention was measured by FMA: upper-limb function subtest, MFT, Box & block test, MAL and MBI. Results : As a result of providing augmented feedback training,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results in the performance capabilities of upper-limb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p<.05). However, the control group faile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est scores in all tests except FMA and MAL. Moreo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05).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augmented biofeedback training by motion sensor program can be an effective therapeutic tool in the improvements of upper-limb motor functions and ADLs of chronic stroke patients.

      • KCI등재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는 뇌졸중 환자들의 연하장애 유무와 양상

        신중일(Shin, Joong-Il),감경윤(Kam, Kyung-Y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는 뇌졸중 환자들에서 연하장애의 유무와 양상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 다.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P 재활의학병원을 내원한 뇌졸중 환자들 중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병식이 없다고 응답한 11명의 환자(남자 4명, 여자 7명)들을 최종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 조사, 비디오 투시 연하 조영 검사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 기능적 연하곤란 척도,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 검사(neuro- 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를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피어슨 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뇌졸중 환자들 중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다고 응답한 환자들은 모두 연하장애를 동반하 였다. 동반되는 연하장애의 양상으로는 구강기의 문제들과 인두기의 삼킴반사 지연이 있으며 인지적 특성에 있어서는 NCSE 항목 중 구성력, 기억력, 유사성이 다른 항목들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연하곤란 척도와 NCSE 항목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지남력과 판단력이 삼킴반사 지연과 언어이해가 구강 내 식괴의 잔여정도와 유 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는 뇌졸중 환자들이 연하장애를 가질 확률이 높다. 따라서 연하장애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작업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뇌졸중 환자들에게 조기에 연하장애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resence of dysphagia and analyze characteristics of the symptoms in cerebrovascular accident(CVA) patients without awareness of dysphagia. A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as given to CVA patients who had visited P rehabilitation medical center in Busan. Eleven patients (4 males and 7 females) who answered no awareness of dysphasia were given to VFSS, functional dysphasia scale, and NCSE.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SPSS 12.0. All of subjects without awareness of dysphasia showed characteristics of dysphasia symptoms. Prominent dysfunctions were problems in oral phase and delay of swallowing reflex in pharyngeal phase. For the aspect of cognition, they showed lower score in construction, memory, and similarity than other NCSE items. There was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rientation, judgment and delay of swallowing reflex. Verbal comprehension and residual materials in oral cavity showed closed correlation. CVA patients without awareness had dysphagia with high probability. The early evaluation of dysphagia should be performed in CVA patients in order to prevent complications due to CVA, so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therapy.

      • KCI등재후보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조사

        장상익(Sang-Ick Jang),감경윤(Kyung-Yoon Kam)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22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9 No.2

        목적: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정신질환에 대한 그릇된 태도는 효과적인 치료와 환자의 사회 복귀에 장애 요소로 작용하며, 이러한 태도는 교육에 영향을 받는다. 정신건강전문요원에 작업치료사가 포함된 현시점에서 본 연구는 예비 작업치료사인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신건강관련 경험과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내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11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정신건강관련 경험을 설문하고,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는 ASMI (Attitudes to Severe Mental Illness) 척도를 통해 조사하여 자료를 빈도 분석하였다. 결과: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은 정신건강관련 교내교과목이수를 가장 많이 경험하였고, 정신건강관련 실습은 낮은 빈도를 보였다.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는 ASMI 척도로 평균 95.92±11.63점으로 높은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ASMI 척도의 하위범주로 보면 낮은 고정관념, 긍정적인 낙관주의와 대처, 중립적인 이해로 정신질환에 대한 긍정적인 신념과 태도를 지녔다. 하지만 약물에 대한 고정관념이 큰 편이었으며, 자신이 정신질환에 걸렸을 때를 가정한 문항에서 좋지 않은 대처가 나타났다. 또한, 정신질환자가 보통 사람들과 다르지 않다는 문항에서 낮은 낙관주의가 나타났다. 결론: 작업치료전공 대학생들은 교육과정을 통해 정신건강과 관련한 경험을 하며, 정신질환에 대해 높은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다 역량 있는 정신건강전문가 양성을 위해 약물 등 환자관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관련된 교육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교육과정에 포함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ntal health-related experiences and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14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related to mental health were investigated, and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Attitudes to Severe Mental Illness (ASMI)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experienced the most mental health-related education on campus, and practice showed a low frequency. Their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was positive. However, stereotype about medication was large, and low optimism was shown in the question that people with mental illness don’t differ from other people.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experienced mental health through the curriculum and had a high positive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In order to foster more competent mental health experts, education related to factors that affect client management, such as medication, and opportunities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are necessary.

      • KCI등재후보

        정신건강 분야에서 작업치료의 평가 현황조사

        장상익(Sang-Ick Jang),감경윤(Kyung-Yoon Kam)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23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10 No.1

        목적 : 본 연구는 정신건강 분야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평가 현황을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정신건강 기관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2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평가 현황, 정신건강 분야 작업치료 활성화를 위한 요구사항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 정신건강 분야 작업치료사가 평가하는 영역은 일상생활활동이 가장 많았으며, 사용하는 평가도구는 간편 정신상태 평정척도(BPRS), 캐나다작업수행평가(COPM), 역학연구를 위한 우울척도(CES-D)가 많았다. 사용하는 평가도구의 사용이유는 기관의 규정 및 명령이 가장 많았으며, 평가 수행 시 발생하는 고충으로 업무와 관련된 직접적인 평가도구 부재 등 평가 자체에 대한 고충과 작업치료 계획에 도움이 되는 평가도구의 수가 미발생과 정신건강 사례관리시스템(MHIS)상 미등록 등의 고충이 많이 나타났다. 작업치료사의 강화되어야 할 평가 영역은 일상생활활동과 작업수행이 많이 나타났다. 결론 : 정신건강 분야 작업치료사의 주된 초점이 일상생활활동과 작업수행에 맞춰져 있음이 드러나 작업치료사의 정체성이 정신건강 분야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작업치료사가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여러 고충이 나타났다. 작업치료사가 정신건강 분야에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정신질환자에게 성공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작업치료 평가에 대한 보험수가 미적용의 문제, 시스템 미비 등 평가 수행을 제약하는 요소를 개선하여 작업치료사가 적절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야 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atus of evaluation us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in mental health. Methods :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all occupational therapists engaged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and the data of 29 respondents were analyzed. Results : In mental health, the main evaluation targets of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The most commonly us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BPRS, COPM, and CES-D. The main reason for using such assessments was the regulation and directives of the institution. The main difficulties in conducting evaluation were the unavailability of assessment tools related to occupational therapy, and health insurance and system-related problems. evaluation areas to be strengthen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for mental health were found in ADLs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main focu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mental health is ADLs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However, several difficulties appeared when occupational therapists performed evaluation. In order for occupational therapists to properly play their roles in mental health and to provide successful services to persons with mental illness, an environment in which occupational therapists can perform appropriate evaluations should be established by improving factors that limit evaluation performance.

      • KCI등재

        국내 장애인 운전재활 연구동향: 2000년도 이후

        조은주,노동희,김광재,배선영,강성구,문성배,감경윤,Jo, Eun-Ju,Noh, Dong-Hee,Kim, Kwang-Jae,Bae, Seon-Young,Kang, Seong-Ku,Moon, Seong-Bae,Kam, Kyung-Yoon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8 No.1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의 운전재활에 관한 연구동향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를 대상으로 '운전재활'과 '장애인 운전'을 검색어로 사용하였다. 선정된 문헌은 총 58편이며, 문헌을 포함하는 학술지는 총 16종이었다. 검색된 문헌은 연구형태와 동향, 질적수준, 연구주제, 연구대상, 발간 학술지 및 학회 등으로 분류하여 기술적 통계를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기간을 4년 간격으로 분석하였을 때 2012년 이후 출판문헌이 29편(50.0%)으로 가장 비율이 높았고, 시간의 경과할수록 연구의 수가 증가하였다. 연구형태는 집단비교 및 상관관계연구가 22편(37.9%)으로 가장 비율이 높았고 설문조사와 고찰연구가 그 뒤를 이었다. 연구의 질적수준은 level I이 전체에서 7편(12.1%)이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level III과 IV가 각각 22편(37.9%), 26편(44.8%)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뇌병변장애 연구가 49편 중 19편(38.8%), 연구주제로는 임상평가에 대한 연구가 15편(25.9%)으로 가장 많았다. 발간 학술지 및 학회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가 15편(25.9%)으로 가장 많았고. 학술지에 따른 연구주제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와 대한재활의학회지에서 임상평가 연구가 각각 5편(8.6%), 6편(10.3%), 한국재활복지공학회와 한국장애인재활협회에서는 차량개조를 위한 제언이 각 5편(8.6%), 3편(5.2%)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운전재활의 연구형태, 연구의 질적수준, 연구주제, 대상자 진단명, 주로 발간한 학술지의 연구시기, 빈도 등을 분석하였다. 실험 및 결과 연구, 운전중단하기 및 비주행평가에 관한 연구 등 현실적, 제도적 지원 미비로 인해 연구가 어려웠던 부분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각 유관학회 및 학회지가 관심을 가지는 주제 및 방향을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현재보다 심도 깊고, 타 분야와의 연계성이 높은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review research trends in driving rehabilitation for the disabled in South Korea since 2000 suggesting research directions for clinicians and researchers. Methods : Fifty eight articles in 16 journals listed in accredited or candidate journal lists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6 were reviewed. 'Driving rehabilitation' and 'driving for disabled' were used as search term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classify articles according to study methodology, levels of evidence, study participants, research topics, and academic associations or official journals. Results : Fifty percent of analyzed researche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12. Twenty-two studies (37.9%) were published as group comparison and correlational research. Only seven studies (12.1%) were included in evidence level I. There were 19 studies (38.8%) conducted with brain-injured patients among 49 studies including participants.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having published 15 studies (25.9%) about driving rehabilitation, ranked first among the analyzed journals. In research topic, 15 (25.9%) studies were performed about clinical evaluation. 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quality of driving rehabilitation-related studies has been increasing, but more intervention-based researches need to be carried out and it is also necessary to carry out various researches in related fields in order to establish efficient driving rehabilitation in Korea.

      • KCI등재

        모션인식을 이용한 수부재활이 수부손상환자의 손기능에 미치는 영향

        차윤준(Yun-Jun Cha),노동희(Dong-Hee Noh),감경윤(Kyung-Yoon Ka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1

        본 연구는 모션인식을 이용한 가상현실 과제가 수부손상 환자의 수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로 18년 6월 ~ 19년 1월 까지 창원시 C병원 수부손상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손상 유형에 따라 Leap-Motion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 가상현실 과제그룹(VR그룹), 시각적 피드백이 없는 동영상 모방그룹(VO그룹) 그리고 대조그룹(CTL)으로 배분하였다. VR그룹은 가상현실 과제 15분과 수부 치료 15분을, VO그룹은 동영상 모방훈련 15분과 수부 치료 15분을, CTL그룹은 수부 치료 30분을 1일 1회 30분씩, 주 5회, 4주 동안 적용하였다. 평가는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JTT), 장악력 및 파악력, 팔, 어깨, 손 장애검사(Disability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시각적 상사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사용하여 중재 전, 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룹 내 전, 후 비교 시 VR그룹은 쓰기, 장기 말 옮기기, 크고 가벼운 물건 옮기기를 제외한 10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을(p<0.05), 사후평가 값을 이용한 그룹 간 비교에서 장기 말 쌓기와 가벼운 물건 옮기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7). 본 연구 결과 기존의 수부재활 뿐만 아니라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가상현실 과제가 손상된 손 기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새로운 중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s of virtual reality tasks using motion recognition on hand functions in patients with hand injury. I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a total of 24 patients with hand injuries visiting C hospital in Changwon city, Korea, from June 2018 to January 2019, were allocated 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types of injuries. These groups included VR (virtual reality task with visual feedback using Leap-Motion), VO (video observation without visual feedback) and control groups. The VR and VO groups underwent virtual reality tasks and hand therapy, and video observation and hand therapy, respectively, each for 15 minutes, and the control group underwent hand therapy for 30 minutes, all once a day, fiv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Pre- and post-intervention evaluations were conducted by employing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JTT), grip strength, pinch strength, Disability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In intra-group comparisons, VR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en items (p<0.05), except writing, checkers and light objects. In inter-group comparisons using post-intervention valu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checkers and light objects (p<0.017). The findings suggest that virtual reality tasks using visual feedback and hand rehabilitation can be new interventions with positive impacts on improved functions of the injured hands.

      • KCI등재

        미국작업치료학회지(AJOT)에 나타난 직업재활에 관한 연구동향

        노동희(Dong-hee Noh),조은주(Eun-Ju Jo),감경윤(Kyung-Yoon Ka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5

        본 연구는 미국작업치료학회지(AJOT)에 게재된 연구를 바탕으로 작업치료 영역에서 직업재활과 관련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2000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미국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직업재활과 관련 있는 3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형태, 연구의 질적 수준, 연구대상자, 연구주제 등을 분류하여 기술적 통계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연구형태에서는 종설과 메타분석이 8편(22.9%), 질적 및 자연주의적 연구가 7편(20%), 집단비교 및 상관관계연구, 실험 및 결과연구는 각 4편(11.4%), 사례 연구 및 단일대상연구, 설문조사는 각 3편(8.6%)순으로 나타났으며, 질적 수준은 level V 14편(40.0%), 연구 대상자의 진단명은 정신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7편(33.3%)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주제별 분류 및 결과에서는 직업재활 과정과 관련된 연구 25편(71.4%), 일의 의미 및 가치에 관련된 연구 10편(28.6%)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미국의 작업치료 분야에서 직업재활과 관련된 주요 연구동향과 대상자, 연구형태, 질적 수준을 알 수 있었고 추후 국내에서도 직업재활과 관련하여 질적으로도 높고,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아울러 직업재활의 과정과 일의 의미 및 가치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work rehabilitation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based on studies published in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AJOT). Thirty five articles in the AJOT from January, 2000, to June, 2016, were reviewe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classify the articles according to their study methodology, evidence level, study subjects, and so on. When they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study methodology, eight studies (22.9%) were published as review or meta-analyses and 7 studies (20%) as qualitative and naturalistic inquiries. Group comparison/correlational and experimental outcome methods were used in 4 studies (11.4%). 3 studies (8.6%) were conducted using a case study/single-subject design or survey. 14 studies (40.0%) were evidence level V ones and 7 studies (33.3%) dealt with mental illness. When the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udy subjects, 25 studies (71.4%) were related to the work-rehabilitation process and 10 studies (28.6%) were related to the meaning and value of work.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determine the main research trends, study methodology, study participants, and evidence level related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studie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hich have a high level of evidence and include various kinds of participants, as well as the proces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 KCI등재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CoTras)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전두엽-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승협(Han, Seung-Hyup),조은주(Jo, Eun-Joo),노동희(Noh, Dong-Hee),감경윤(Kam, Kyung-Y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5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CoTras)이 전두엽-집행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3년 8월부터 2014년 3월까지 경남 창원에 위치하는 C병원에 내원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 10명 을 두 그룹으로 무작위 할당한 후 실험군에게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을, 대조군에는 자가인지훈련을 1일 1회, 주 5회, 4주 동안 적용하고 그룹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이때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Korean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MoCA), 시계 그리기 검사(Executive Clock Drawing Test; ECDT), 선로잇기 검사(Trail Making Test; TMT), Rey-도형 검사(Rey Complex Figure Test; RCFT)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은 K-MoCA, TMT, RCFT-delayed recall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반면(p<.05), 대조군은 모든 평가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또한, K-MoCA, TMT, RCFT-delayed recall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변화량이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05). 본 연구는 한국형 전산 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전두엽-집행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내 임상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중재 도구임을 지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CoTras) on frontal-executive functions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BI). This study was performed at C hospital in Changwon, Gyeongsangnam-do, Korea from August 2013 to March 2014. Ten patients with TBI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had been given CoTras once a day, fiv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whereas the control group had performed self-cognitive training under the same conditions. To verify the effect of intervention, the following executive function measures were used: Korean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MoCA), Executive Clock Drawing Test (ECDT), Trail Making Test (TMT), Rey-Complex Figure Test (RCFT).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K-MoCA, TMT, RCFT-delayed recall (p<.05). However,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any te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changed scores (post test-pre test) between two groups in K-MoCA, TMT and RCFT-delayed recall (p<.05). This study showed that CoTras is effective to improve frontal-executive functions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