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러시아어 ‘Свобода(svoboda)’의 개념(концепт) 연구

        허성태(Heo, Song Tae)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2

        단어는 ‘객관적인 實在상’이 아니라 ‘세계를 개념화하는 해당언어집 단 특유의 문화적 체험의 반영’이다. 따라서 동일한 대상을 지칭하는 단어라 할지라도 의미에 있어서 언어에 따라 차이를 보이기 마련이다. 심지어 어떤 언어에는 свобода(svoboda)나 freedom과 유사한 단어들 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존재한다할지라도 상용 어휘목록에는 전혀 등재되어 있지 않고 다만 최근의 문화적 차용어로서만 존재할 수 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적인 개념어들을 언어학적인 엄격한 분석 없이 동일한 개념어로 처리하는 경향이 있다. свобода(svoboda)와 freedom은 다양한 문화적 전형들이 반영된 복 잡한 개념들을 구현한다. 개념에 대한 규명은 해당 언어가 소속되어 있 는 문화의 바탕위에서만 가능하다. 러시아어 свобода(svoboda)의 개념성분은 ‘능력’과 ‘願望’이며, ‘타 인으로부터의 압박과 간섭의 부재’인 동시에 ‘행위주체의 선택’이자 ‘환 희에 찬 행복감’이며 ‘무한한 공간’이다. 모든 자연언어가 개념적 세계와 문화적 세계를 구분하는 것은 아니 다. 개념적 세계와 문화적 세계간의 경계는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나’ 의 언어가 ‘나’를 제한하지 않는 자유로운 свободная(svobodnaja “free”)” 관점에 도달할 수 있도록 보편적인 메타언어(метаязык)에 근 거해 개념들을 분석해야한다. 즉, 개념들을 설명하고 그 개념들에 구현 되어 있는 문화적 전범을 밝힐 궁극적인 가능성을 갖기 위해서는 특정 언어와 문화에 종속되지 않은, 러시아어의 свобода(svoboda)와 영어의 freedom에 내포되어 있는 개념에만 특별히 근거하는 선입견에서 탈피 하여, 대상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범언어적인 ‘개념의 개념’인 메타언어가 필수적이다. A word is a reflection of the language communities' cultural experience which conceptualizes the world. It is not objective real existence. Therefore, a word that names an identical target within different cultures often shows a difference in meaning. Nevertheless, only denotative meanings of the concepts can be found in the dictionaries, while cultural concepts are not mentioned there. “Svoboda” means ‘an ability and desire’, and it is “a selection of action subject and an absence of another person' pressure and interference” at the same time. “Svoboda” is also “a delightful feeling of happiness which is free from a pressure and interference of others, it is a universe”. These meanings of the word “Svoboda” shows the connection between an illegality and anarchy of the Russia culture. All natural languages do not divide the conceptional world from the cultural world. Boundaries between the conceptional world and the cultural world are flexible and could be easily crossed. It must be based on the metalanguage which, in its turn, is based on a universal concept that language of 'I' may reach an objective viewpoint.

      •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양상 표현에 대한 유형론적 고찰

        허성태(Heo, Seong-Tae)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9 동유럽발칸학 Vol.11 No.2

        Linguists tend to sort out mood and modality according to selectional emphases of grammars and meanings. Mood is a grammar category, which realizes concomitant meanings as certain verb forms when speakers are in conflict with situations. And mood, modality is a concomitant meaning category, which appears by mood category or other lexical means. For example, indicative, subjunctive, and imperative sentence are mood category in that they express certa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However, probability, potentialities, and certainty are modality category in that they appear depending on mood category and other lexical means. Proposition modality is related to the degree of conviction on sentences. And event modality shows speakers' position on events or actions rather than propositions. Russian and Korean contain proposition and event modality‘ Epistemic modality, which expresses speakers' judgments on the degree of certainty, varies according to individual languages. For example, English uses maχ, must, and will in expressing epistemic modality. And Korean uses adverbs, periphrastic expressions, and prefinal ending. Evidential modality, which expresses the fact of proposition, contains ‘ do’ in Korean. There are two kinds of evidential modalities in Korean: natural results and natural outcomes. They suits auxiliary verb, prefinal ending, and modal adverb. In Russian, the modality relation such as possibility, duty, need appears along with imperative sentences, personal modal verbs, personal modal adjectives, impersonal modal verbs, impersonal modal adverbs, modal particle, and infinitives. And in Russian, the modality relation has influence on sentence patterns and the grammar category such as tense, aspect, person, and negation. The form of modal expression varies in Russian and Korean. In two languages, it appears in the form of supplementary verbs and the modal vocabulary such as modal adjectives, modal verbs, modal adverbs, modal tags, modal particles, and modal cases. Modal expressions develop through grammaticalization, and change to various meanings. And they are closely related to other grammar categories. In general , modal category is related to modality and tense, and modality and negation. 문법성과 의미성의 선택적 강조에 따라 서법과 양상을 구분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화자가 사태와 대결함으로써 나타나는 부수적 의미가 일정한 동사의 형태로 구현되는 문법범주를 서법이라고 정의한다면, 양상은 서법범주나 기타 어휘적 수단에 의해 나타나는 부수적 의미 자체를 가리키는 의미범주이다. 직설법, 가정법, 명령법은 일정한 형태적 특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서법으로 묶을 수 있고 개연성, 가능성, 확실성 등은 서법범주뿐만 아니라 다른 어휘적 수단에 기대어서도 나타난다는 점에서 양상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Palmer는 양상을 명제 양상과 사건 양상으로 구분하고 명제 양상에 인식 양상과 증거 양상을, 사건 양상에는 의무 양상과 동적 양상을 포함시킨다. 명제 양상은 명제에 대한 화자의 입장으로 문장 내용에 대한 확신의 정도와 관련이 있고, 사건 양상은 명제보다는 사건이나 행위에 대한 화자의 입장을 나타낸다. 한국어와 러시아어 둘 다 명재 양상과 사건 양상이 존재한다. 인식 양상은 확실성의 정도에 대한 화자의 판단인데, 이것을 나타내는 방식은 언어에 따라 다르다. 이를 위해 한국어는 주로 부사나 우언적 표현, 선어말 어미를 사용한다. 증거 양상은 명제의 사실성에 대한 증거를 표현하는 것으로‘-더’가 대표적이다. 한국어의 의무 양상은 크게 당위와 필연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조동사나 선어말어미, 양태성 부사와 어울린다. 러시아어의 경우 가능, 의무, 필요 등의 양상관계는 주로 인칭 양상 동사, 인칭 양상 형용사, 비인칭 양상 동사, 비인칭 양상 부사, 양상 소사, 동사의 부정형 등으로 표현되는데 명령법과 같은 서법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그리고 문장의 유형이나 시제, 상, 인칭, 부정 등의 문법범주도 양상표현에 영향을 미친다.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양상표현의 방식은 다양하다. 주로 조동사,서법어미와 해당어휘 즉 양상적 어휘인 양상 동사/형용사/부사, 양상 부가사, 양상 첨사, 양상 격 등을 통해서 나타난다. 또한 양상표현들은 문법화 과정을 거쳐 다양한 의미로 발전하며, 시제, 부정 등과 같은 다른 문법 범주와도 관련을 갖는다.

      • 유형론의 관점에서 본 러시아어의 격

        허성태(Heo, Seong-Tae)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7 동유럽발칸학 Vol.9 No.2

        This paper aims to survey the various aspects of the case and to trace how the Russian case system follows the universal typology. It is well observed that each language has a unique case system, but we are able to find out some meaningful generalizations on the basis of the typological approach. Cases can be analys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ir case ending markers, language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by their patterns - case languages and caseless languages. Languages can also be classified accusative, ergative, tripartite and neutral languages as how each related to the S(subject), A(agent), and O(object). There are three different ways to designate the case; by word order, NP-marking and cross-reference. Russian belongs to the case language which realizes the case by NP-marking. It is a nominative/accusative language, because its S and A are the same forms and unmarked. However, an accusative is unmarked sometimes. Language that uses the head-markers, it is known as a head-marking(HM) language while the language that uses the dependent markers, it is classified as a dependent-marking(DM) language. Russian is both HM and DM language. In addition, Primus' split case hierarchy can help to clear up the confusion between the syntactic and semantic differences of the case. A few non-canonical case markings were also shown from many languages including Russian. 언어는 크게 격 언어와 무격 언어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러시아어는 단어들 간의 관계가 격 어미 굴절에 의해 형태적으로 확실히 나타나는 격 언어에 해당하고, 주로 어순에 의존하여 격 의미를 실현하는 - 형태론적인 격 표지는 극히 일부에서만 제한적으로 나타나는 - 영어와 같은 언어는 무격 언어에 해당한다. 격을 설정할 때 세 가지의 핵심성분, 즉 자동사의 주어(S), 타동사의 행동주(A) 그리고 타동사의 목적어(O)가 어떠한 형태를 갖는가에 따라 개별 언어를 대격 언어, 능격 언어, 삼립 언어, 중립 언어로 나눌 수 있다. 러시아어는 S와 A가 무표지로 나타나는 주격 언어 임에는 분명하지만 O가 항상 고유의 대격 형태로 나타나는 그러한 완전한 의미의 대격 언어는 아니다. 그리고 격의 실현 형식에 있어서 러시아어의 격은 명사(구)의 어미 굴절과 “전치사(부치사)+보어”형식의 1차적 수단뿐만 아니라 어간에서의 자·모음 교체, 강세이동 등과 같은 2차적 수단에 의해서도실현된다. 어순에 의한 격표시 방법은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지며, 과거형과 모든 인칭의 단/복수 현재형, 미래형 등에서 교차지시가 폭넓게 나타나는 것으로 봐서 러시아어는 인구어족에 속하는 다른 언어들에 비해 ‘보수성’이 강한 언어로 판단된다. 또한, 언어는 동사에 격 표시를 하는 핵어 표시형과 의존어 표시형으로도 구분할 수 있는데 러시아어는 핵어 격표시와 의존어 격표시가 동시에 나타나는 언어이다. 그리고 격의 지배에 있어서 러시아어는 동사와 전치사들이 다양한 격을 지배할 수 있기 때문에 격의 선택이 통사적 의의뿐만 아니라 화용론적 의의를 가질 수 있음이 분명하다. 한편, 격 위계를 통해 격이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우선순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러시아어는 “주격- 목적격-소유격-여격-처격-도 구격”의 우선순위를 갖는다. 그리고 격의 위계에 있어 통사적 위계와 의미적 위계를 분리한 Primus(1999)의 격 위계이론은 일차 논항의 위상을 설명해주는 유익한 이론체계이다. 또한, 대격 언어로 구분할 수 있는 러시아어의 경우 S는 주격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인데 여격이나 목적격으로 표현되는, 유형론의 입장에서 볼 때 매우 흥미로운, 비정통적 격 표시 현상도 어렵지 않게 발견된다.

      • 도시철도에서 사물인터넷(IoT)의 활용에 관한 연구

        허성태(Seong Tae Heo),최승호(Seung Ho Choi) 한국철도학회 2015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5 No.10

        사물인터넷(IoT)이란 사물간의 네트워크로서 센싱, 네트워킹, 정보처리 등의 세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또한 IoT는 인터넷에서의 사물간 지능통신(M2M,Machine To Machine)의 확장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철도에서는 IoT라는 용어가 일반화되기 이전부터 초기 단계의 IoT 서비스로서 RF 교통카드 시스템과 출입문 통제시스템 등과 같은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에 기반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도시철도공사에 적용된 IoT 서비스에 대해 살펴보고 개선점을 제시한다. Internet of Things (IoT) is the network of physical objects or things, which consists of the three elements of sensing, network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Also, the IoT can be considered as an extended concept of the intelligent communication over the Internet (M2M, Machine To Machine). In urban railways, as the early stage IoT services, the real-time monitoring system based on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such as RF transportation card system and door control system have been applied to the various fields prior to the generalization of the term IoT.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IoT services applied to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and suggest improvement points.

      • KCI등재

        러시아어 부치사(adposition)에 대한 유형론적 고찰

        허성태(Heo, Seong-Tae)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5 No.1

        부치사(adpositions)의 주요기능은 격표시이다. 언어보편적인 성격을 띠는 격은 언어에 따라 성조, 곡용어미, 접사, 단어, 어순 등에 의해 명사의 문법적 기능을 표현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명사로 하여금 문장 내에서 다양한 문법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문법 표지 가운데 형태적 층위의 수단(곡용어미, 접사, 단어)을 부치사라고 정의한다. 러시아어의 경우 전치사가 이에 해당한다. 러시아어 전치사는 자신이 요구하는 격어미를 취한 명사와 결합하여 하나의 구를 형성함으로써 시간, 장소, 원인, 목적, 조건, 양보, 공동, 양태 등의 부사적 기능을 수행한다. 전치사로 대별되는 러시아어 부치사는 피지배성분과의 상대적 위치, 격지배 관계, 구성성분(형태), 조어적 관점, 자신이 지배하는 격의 수, 기능, 의미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전치사와 후치사 중 어느 것을 문법표지로 이용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적으로 해당 언어의 어순에 의해 결정된다. 언어는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인 핵어(head)와 의존어(dependent) 사이의 어순을 일관되게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 때문에 핵어인 서술어와 의존어인 목적어의 어순이 OV인 경우, 즉 의존어가 핵어의 앞에 오는 경우에는 후치사가 선호되고, 반대로 VO처럼 의존어가 핵어의 뒤에 오는 어순에서는 전치사가 선호된다. 왜냐하면 부치사와 명사 사이의 문법적 관계도 일종의 핵어와 의존어 사이의 관계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러시아어는 VO 어순의 전형적인 전치사 구조의 언어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어에는 언어 유형론의 관점에서 보면 후치사, 환치사, 전/후치 겸용 부치사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 어류들이 다소 존재한다. 한편, 인구어 공통조어 시대에 주격, 목적격, 소유격, 여격, 탈격, 처격, 호격이 곡용에 의해 표현되었는데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다른 격으로 융합되거나 전치사로 대체되는 변화를 겪는다. 현대 러시아어에서는 주격, 대격, 생격, 여격, 조격은 아직도 명사 자체의 곡용에 의해 표현하는 반면에 기타의 격은 부치사 즉, 전치사로 대체되었다. 그리고 러시아어 부치사는 기능에 따라 동사를 직접 꾸미는 동사 부치사(V-adposition)와 명사적인 성격이 강하게 남아 있으면서 본래의 부치사와 결합하여 또 하나의 부치사를 형성하는 명사 부치사(N-adposition)로 구분할 수 있다. 실사가 허사화하면서 문법소로 변화해 가는 과정을 문법화라고 하는데 이 과정에서 범주적 변화, 의미적 변화, 형태적 변화 등이 일어난다. 러시아어의 부치사에서도 이러한 문법화 과정이 관찰된다. 언어변화 및 문법화의 경향으로 볼 때 근원적 부치사들도 다른 실사에서 발전했을 가능성이 많다. 부치사는 원래 명사, 동사, 부사 등에서 발달한 것으로서 부치사로 바뀐 뒤, 이 부치사가 다시 격을 나타내는 접사나 동사의 접사로 바뀌고, 나중에는 절을 연결하는 연결사로 바뀌기도 하는데 러시아어의 경우 부치사들이 동사나 명사 등에 접두사로 결합하여 매우 생산적으로 새로운 파생어를 형성한다. 영어의 경우 부치사는 종속접속사로 쓰이기도 한다. 러시아어의 경우에는 부치사가 지시사와 같은 매개체 없이 단독으로는 직접 종속접속사로 쓰이지 못하고, 주로 지시사 то (to) ‘it’와 보문소 что (čto) ‘that’를 동반하여 종속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러시아어 부치사는 명사의 기능 외에도 동사의 보어 연결 기능, 형용사의 보어 연결 기능, 명사 수식, 부사적 기능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A adposition is a part of speech which expresses the relationship of one word to another. This paper tries to survey the various aspects of Russian adposition and to trace how the Russian adposition. system follows the universal typology. It is well observed that each language has a unique adposition system. However, we are able to find out some meaningful generalizations on the basis of the typological approach in Russian. The case of human language can be indicated by word orders, inflectional endings, and adpositions. The priority of selecting the core case by these three types is 'word order > inflectional ending > adposition. A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Russian adpositions a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 V-adposition and N-adposition. Adpositions can be classified roughly into three types : preposition, postposition, and circumposition. A preposition occupies most of Russian adpositions. In the view of grammaticalization, the Russian adposition has developed step by step from a noun, verb, and adverb. In Russian, nominative, accusative, dative, genitive, instrumental can be represented by inflectional ending, Other cases - by adpositions. Each Russian adposition governs a noun or pronoun in an oblique case. Russian adpositions may be subdivided as primary, adverbial and compound which derived from other word class. A some adpositions govern two or even three cases.

      • KCI등재

        러시아어 재귀표현에 대한 유형론적 고찰

        허성태(Heo Seong Tae)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2

        본 논문에서는 보편적인 언어현상으로서의 재귀표현을 바탕으로 개별언어인 러시아어의 재귀구문을 언어유형론의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유형론적으로 유의미한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재귀구문의 발달 정도에 따라 개별언어를 재귀적 언어와 비재귀적 언어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러시아어는 재귀구문이 매우 다양하게 발달한 재귀적 언어이다. 러시아어의 재귀표현 수단으로는 재귀대명사와 재귀후치사, 재귀 소유대명사, 재귀 강조대명사, 인칭대명사와 소유대명사, 부사어(구), 상호대명사, “접두사+동사+재귀후치사”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재귀대명사와 재귀후치사가 러시아어 재귀표현의 주요 실현수단인데, 특히 재귀대명사에서 기원/파생하여 재귀, 수동, 중간태, 자기사역, 탈대격, 기동, 탈사역, 사역, 상호작용, 총칭적 행위 등의 다의의 기능을 수행하는 재귀후치사 -sja는 러시아어 재귀실현의 핵심수단이다. 그리고 러시아어 재귀후치사 -sja는 주로 타동사와 결합하여 타동성을 제거함으로써 타동사를 자동사화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자동사와 결합하여 행위 영역의 한계를 강조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밖에 러시아어 재귀 소유대명사가 남성, 여성, 중성 명사 모두와 고유의 형태로 결합하고, 재귀 대명사가 격변화 패러다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모든 인칭과 수에 동일한 한 가지 형태로 관계하고 여격의 형태로 ‘수혜’ 등의 의미를 실현하며, 강조 재귀사가 별도의 어휘로 따로 존재하고, 재귀후치사 -sja가 그대로 상호성의 표지로 사용되는 점 등도 유형론의 관점에서 볼 때 특이할만하다. 또한 러시아어는 재귀사와 선행명사와의 결속범위에 있어서 단문의 경우 주어만이 선행사가 될 수 있는 주어 선행형 언어이며, 하나의 단문 안에 공지시 관계가 나타날 경우 반드시 재귀사를 사용해야하는 단문제약과 재귀사와 그 선행사가 동일 절 안에 있어야 하는 동일 절 결속제약을 엄격히 받는 언어이다. 문법화의 관점에서 볼 때 러시아어의 재귀표지도 대부분의 인도유럽어 재귀표지와 마찬가지로 몸이나 신체부위를 지시하는 명사에서 기원하여 재귀대명사, 접어, 접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단계에 걸쳐서 나타난다. This paper aims to survey the various aspects of reflexive and to trace how the Russian reflexive system follows the universal typology. It is well observed that each language has a unique reflexive system. However, we are able to find out some meaningful generalizations on the basis of the typological approach in Russian.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reflexives' development, language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reflexive and non-reflexive languages. Between them, Russian is a reflexive language in which reflexive construction varies. There are reflexive expression means in Russian: reflexive pronoun, reflexive postfix, reflexive possessive pronoun, reflexive intensifier, personal and possessive pronoun, adverb, reciprocal, and “prefix+verb+postfix” and the like. The reflexive pronoun and the reflexive postfix “-sja” are main realization means of reflexive construction among them. In particular, the reflexive postfix “-sja”, which derived from the reflexive pronoun “sebja”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primary reflexives, middles, auto-causative, de-accusative, inchoative, de-causative reciprocal, and generic activity, is the core of Russian reflexive realization. And the Russian reflexive postfix “-sja” mostly changes a transitive verb into intransitive in conjunction with a transitive verb. Besides, the Russian reflexive postfix “-sja” also emphasizes the limit of action area if it is combined with an intransitive verb. And in Russian, a subject precedes a reflexive. So Russian is called a Subject-Antecedence language when a subject and a reflexive are coindexed in a sentence. At the same time, Russian is a language that strictly keeps Clause Condition and Clause-Mate Condition. Besides the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there are also some characteristics in the view of typology: an inflection of a reflexive possessive pronoun in gender, declension of the reflexive pronoun “sebja”, benefactive meaning by the dative form, the existence of separate intensifier, and reciprocal meaning of the reflexive postfix “-sja”. In the view of grammaticalization, the Russian reflexive marker has developed step by step from a noun, which derived from body parts, to a reflexive pronoun, clitic, and affix.

      • KCI등재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일본지역 확산과 지지에 대한 고찰

        허성태(Heo, Seongtae),임영언(Yim, Youngeon)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20 국제문화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which occurred on November 3, 1929, global spread and spread throughout Japa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in Japan showed positive responses from the Korean labor unions in Tokyo and Osaka. Second, in the case of Koreans in Japan, the most enthusiastic reaction to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was the Tokyo Korean Workers Union. Third, it was pointed out that the Japanese response to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was caused by an institutional defect in the governance method. However, the reaction of the leftist in Japan dealt with the initiation of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developmen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comparative detail from the general situation of Chosun. Fourth, in May 1943, at Gwangju Seo Middle School, the ‘Second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an alliance closing struggle against the student volunteers system, the use of Japanese, and the conscription system. In conclusion,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that took place in November 1929 was influenced by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and the June 10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n 1926, and it occurred in the Gwangju area. Still, today it is inherited by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Honam Spirit.

      • KCI등재후보

        재미한인의 문화변용에 나타난 다문화주의 전략 고찰

        허성태 ( Heo Song Tae ),임영언 ( Yim Young E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재미한인의 첫 이주(1903년)가 시작된 지 10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문화변용에 따른 재미한인들의 미국사회에서의 다문화주의 전략을 고찰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사회에서 재미한인들의 문화변용 전략은 한국인과 미국인과의 관계 개선, 한국문화와 미국문화의 통합전략으로 한국문화를 유지하면서 미국문화를 수용하는 전략을 구사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요인분석 결과, 변수에 대한 설명력의 크기는 “주변화(혼합형 부정형)>동화(미국 친화형)>분리(한국 친화형)>통합(혼합형 긍정형)” 순서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주변화 전략이 가장 높았다. 셋째, 상관분석 결과, 재미한인들이 미국문화 친화형에 가까울수록 미국사회통합에 긍정적이고 한국과의 관계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변화에 부정적인 경향이 강할수록 미국사회통합에 긍정적인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재미한인의 문화변용 전략은 미국 내 소수민족이라는 비주류 집단의 입장에서 볼 때는 미국사회와의 사회통합전략을 구사하고 있었다. 그러나 미국의 주류사회 입장에서 보면 재미한인들은 미국사회 통합이라는 다문화주의 전략의 특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재미한인들의 다문화주의 사회 통합전략의 특성은 미국이민사회의 특수한 구조 속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축적물로 그들의 이주경험의 반복이 결국 문화변용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Immigration of Koreans to American continent started since 1903. After more than 100 years of cultural changes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there is need to study new phenomena`s. In this research was a studied Korean Americans cultural change considering American society`s multicultural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ring out suggestions relying on survey which carried out among Korean-Americans. Three main results given below. First, Korean - Americans acculturation strategy was maintained by the Korean culture and American culture. Relationship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also integration process of the Korean culture and American culture. Second, as a result Marginaliz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and Integration Rank are four main factors highly impacted acculturation strategy of Korean Americans. Third,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assimilation style was positive in American social unification and also was negative in the relation of Koreans. As a result Korean Americans shows positive to the marginalization and negative to the social unification. In conclusion, Korean American acculturation strategy was exposed to be strong in the majority position and social integration strategy in a minority position. The immigration experience is caused acculturation of Korean Americans by the social structure of Multicultural society. Special structure of American society continuously bring Korean Americans cultural changes.

      • KCI등재

        문화원형으로서의 중앙아시아 나브루즈(Navruz) 축제

        허성태 ( Heo Seong-ta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봄의 도래는 인류가 존재해 오는 동안 가장 중요한 사건 중의 하나일 것이다. 지구상의 제 민족이 봄을 다양하게 맞이해오고 있지만 대부분 자연의 소생을 기뻐하고 인생의 승리와 풍년 등을 기원한다. 특정 지역, 특정 집단의 역사와 전통이 반영된 축(祝)과 제(祭)를 포괄하는 문화양식을 축제라고 한다면, 중앙아시아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나브루즈(Navruz, Навруз)도 이러한 축제 중의 하나로서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이 절대적인 조화를 이루어 만물이 회생하는 일종의 봄맞이 또는 신년맞이 페스티벌로 분류할 수 있겠다. 이 연구는 막연히 중앙아시아 지역의 봄맞이 혹은 신년맞이 축제로 알려져 있는 나브루즈의 유래, 전통, 음식, 특징 등을 살펴보고 이를 국내 학계에 소개함으로써 보편성과 특수성을 근간으로 하는 문화원형으로서의 나브루즈 축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arrival of spr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vents in the existence of mankind. Although spring has been welcomed by various ethnic groups, most of them are pleased with the revival of nature and wish for the victory of life and a good harvest. Navruz (Навруз), which has been handed down to the Central Asian region, is one of the festivals related to this, and it is a type of spring festival where human beings and nature interact with each other in absolute harmony. This study explores and introduces the origins, traditions, foods, and characteristics of Navruz, which is vaguely known as the Spring Festival or New Year celebration of Central Asia. In this way, we want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Navruz Festival as a cultural archetype based on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 러시아어 수동태에 대한 유형론적 고찰

        허성태(Heo, Seong-Tae)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1 동유럽발칸학 Vol.13 No.2

        이 논문은 개별언어인 러시아어의 수동태를 언어유형론의 입장에서 다룬 것이다. 보통 행위자가 주어로 오는 능동태에 대해 수동태란 행위의 대상이 주어가 되는 태(voice)를 말한다. 즉 행위의 영향을 받는(affected) 대상이 주어가 되는 경우이다. 인도-유럽어의 경우 역사적으로 보면 능동태/중간태(active/middle)가 기본태(basic voice)이며 수동태는 파생태(derived voice)이다. 러시아어도 영어처럼 타동사(transitive verb)가 술어의 기능을 하는 능동문(Active)에서 타동사의 주어는 ‘행위주’로서 주격(nom.)을 취하고, 타동사의 보어는 ‘행위주의 행위가 미치는 대상’으로서 대격(acc.)을 취한다. 러시아어 수동문 또한 형태ㆍ통사적인 측면에서 능동문과 구분된다: 첫째, 어순이 다르다. 능동문의 어순은 “행위주+동사+행위의 대상”이고, 대응하는 수동문의 어순은 “행위의 대상+동사+행위주”이다. 둘째, 격표지가 다르다. 능동문의 경우 주어는 술어에 의해 표현되는 행위를 유발하는 ‘행위주’로서 주격(nom.)을, 술어의 보어는 ‘행위주의 행위가 미치는 대상’으로서 대격(acc.)을 취한다. 그러나 대응하는 수동문의 주어는 ‘행위의 영향을 받는 대상’으로서 주격(nom.)으로, 보어는 ‘행위주’로서 (전치사 없이) 조격(instr.)으로 나타난다. 술사의 형태가 다르다. 능동문(Active)의 술어는 타동사(transitive verb)이고, 수동문(Passive)의 술어는 대응하는 긍정문의 술어가; imperfective verb이면 “imperfective verb+СЯ(particle)”로 표현되고, perfective verb이면 이 동사에서 파생한 “피동 형동사 단형(수동 분사 단형 short-form participle passive)”으로 표현된다. 상술한 수동태의 정의와 특징은 일반적인 인칭수동태(personal passive)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인칭수동태(personal passive)외에도 수동태와 관련해서 비인칭수동태(impersonal passive), 중간태(middle voice), 반수동태(antipassive), 수동태의 기원 등과 같은 하위 문법범주들이 관찰된다. 수동의 표현 형식과 관련하여 합성적(비우언적) 수동형이 동사 안에서 문법형태소의 합성 및 결합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면, 우언적(periphrastic) 수동형이란 두 개이상의 단어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수동형을 말한다. 이를 합성적(synthetic)이라는 용어에 대응해서 분석적(analytic) 수동태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언적 수동형은 보조동사에 본동사를 결합한 것이 기본구조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passive voice of Russian language as individual language from the viewpoint of linguistic typology. Contrary to active voice where an actor is the subject of a sentence, passive voice refers to a voice where a patient is the subject of a sentence. In other words, it refers to a voice where a patient affected by an action becomes the subject of a sentence. In the whole history of Indo-European Languages, active voice/middle voice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basic voice, while passive voice has been used as derived voice. Like English, Russian is also characterized by a grammatical rule under which the subject of transitive verb takes nominative case as ‘actor’ in an active sentence where a transitive verb works as predicate, but a complement of transitive verb takes accusative case as ‘the patient affected by any action of an actor.’ In Russian, passive sentence is also distinguished from active one in the aspect of morphology and syntax: First, the word order of active sentence is different from that of passive one. The word order of active sentence is arranged like “actor + verb + patient”, while the word order of passive sentence is arranged like “patient + verb + actor.” Secondly, the case marker of active sentence is different from that of passive one. In case of Russian active sentence, the subject takes nominative case as ‘actor’ who induces any action expressed by predicate, while the complement of predicate takes accusative case as ‘patient affected by any action of actor.’ However, the subject of corresponding passive sentence appears in nominative case as ‘a patient affected by any action’ and the complement of corresponding passive sentence appears in instrumental case (without any preposition) as ‘actor.’ Thirdly, predicate of active sentence is different from that of passive one. The predicate of active sentence takes a form of transitive verb, whereas that of passive sentence is expressed in form of “imperfective verb + СЯ(particle)” when the predicate of corresponding positive sentence is imperfective verb, and it is expressed in form of “short-form participle passive” derived from a perfective verb when the predicate of corresponding positive sentence is the perfective verb. The abov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passive voice refer to general personal passive voice. However, there are also subordinate grammatical categories (e.g. origin of impersonal passive voice, middle voice, anti-passive voice and passive voice) observed in terms of passive voice, apart from personal passive voice. In terms of passive expression forms, synthetic (non-periphrastic) passive form means a combination and mixture of grammatical morphemes within a verb, while periphrastic passive form refers to a passive form generated by a combination of 2 or more words. In comparison with a term ‘synthetic’, this is called ‘analytic passive voice.’ Basically, periphrastic passive form is structurally made of an auxiliary verb combined with a main ver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