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사료원으로써 대두박의 이용 효과 I. 심장

        김병기,전중균,허형택,조재윤,Kim Pyong Kih,Jeon Joong-Kyun,Huh Hyung-Tack,Jo Jae-Yoon 한국양식학회 1996 韓國養殖學會誌 Vol.9 No.3

        사료 단백질원으로써 대두박의 이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무지개송어를 대상으로 160일 동안 장기간 사육하면서 성장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 사료로는 단백질원으로 어분을 $64.5\%$ 사용한 대조구(사료 1번) 및 제품 탈지 대두박을 $10\~70\%$까지 등간격으로 늘린 사료(사료 $2\~7$번)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제조 사료의 단백질과 지질 함량은 $44\%$ 및 $8\~9\%$ 정도였고, 총 에너지 함량은 $4.66\~4.78$ kcal/g의 수준이었다. 초기 60일간은 대두박 $46\%$ 첨가구까지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중량, 사료효율, 단백질효율 및 일일성장율 등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그 이후에는 성장율이 감소하여 실험 종료시 대두박 함량 $22\%$ 이상의 공급구는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성장이 낮았다(p<0.05). 한편. 비만도(fatness)도 성장 결과와 비슷하여 대두박 함량과 사육 기간이 늘어나면서 점차 감소하였고, 간중량비(HSI)는 대두박 함량 $34\%$ 이상의 공급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아 대두박의 탄수화물 이용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무지개송어를 장기간(160일간) 사육시 대두박을 $22\%$ 까지 사용하더라도 성장에는 상품 사료에 비해 아무런 문제가 없었고, 더욱이 $34\%$ 첨가하면 $0\~22\%$ 공급구에 비해서 성장은 약 $80.2\~91.1\%$ 정도로 떨어지지만 특별한 역효과는 없었다. A long-term (160 days) feed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dietary soybean meal (SBM) on growth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Fish fed diets containing up to $46\%$ of SBM showed the same growth rates with control during the first 60 days (p>0.05). However, growth showed a gradual decrease with the culture period. At the end of 160-days experiment, fish fed diets with above $34\%$ of SBM showed a decrease in growth rat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atness of experimental fish was reduced with an increase in dietary SBM levels and in feeding period. Hepatosomatic index was significantly lower from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above $46\%$ of SBM than that from fish fed the control diet throughout the 160 days of experimental period, and fish fed diet containing above $46\%$ of SBM appeared to make restricted utilization of carbohydrate sources. These results may suggest that soybean meal could be used up to $22\%$ in trout diet as a substitute for fish meal without unfavourable side effects.

      •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사료원으로써 대두박의 이용 효과 II. 소화율, 배설 및 체조성 변화

        김병기,전중균,허형택,조재윤,Kim Pyong Kih,Jeon Joong-Kyung,Huh Hyung Tack,Jo Jae-Yoon 한국양식학회 1996 韓國養殖學會誌 Vol.9 No.4

        사료 단백질원으로써 대두박의 생물학적 이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무지개송어를 160일 동안 사육하면서 사육 후 60일 및 120일째에는 대두박 사료의 소화율, 암모니아의 배설 경향 및 어체의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사료로는 단백질원으로 어분을 $64.5\%$ 사용한 대조구 및 상품 탈지 대두박을 $10\~70\%$까지 등간격으로 늘린 사료를 사용하였으며, 비교를 위하여 상품용 무지개송어 사료를 사용하였다. 실험 사료의 단백질 및 지질 소화율은 대두박 함량이 많을수록 단백질 소화율은 증가하였지만, 지질 소화율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무지개송어의 전어체 및 조직(간 및 근육)의 일반 성분에서 대두박 함량이 많은 공급구일수록 지질 함량이 적었으나 전어체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단백질의 최종 대사산물인 암모니아($NH_3-N$)의 배설량을 섭이 후 24시간 동안 조사하였더니, 배설은 주로 후반 12시간에 많아 총 배설량의 2/3 이상이나 되었고, 24시간의 총 배설량은 대두박 함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여 대두박함량 $70\%$ 공급구가 $466.8\;mg{\cdot}kg\;body\;wt.^{-1}day^{\-1}$으로 대조구의 $115\%$ 수준이었다. 이상과 같이 대두박 함량이 많은 사료는 단백질의 소화 흡수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고 그보다는 에너지원 중에서 지질의 이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듯 하였다. A feeding experiment for 160 days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dietary soybean meal (SBM) on the apparent digestibility, ammonia excretion and body composition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Seven diets containing $0\~70\%$ SBM were formulated based on iso-nitrogenous and iso-caloric basis of $44\%$ crude protein and approximately 4,200 Kcal/kg of gross energy. To evaluate the nutritional utilization of the SBM diets at the end of 60 and 120-day rearing with test diets, digestion rates of protein and lipid of SBM diets were measured.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above $46\%$ SBM showed higher apparent digestibility for protein, but lower for lipid than did fish fed the control diet in both trials. Protein and fat contents in the carcass were similar for all experimental fish, except for fish fed $58\%$ and $70\%$ SBM which showed lower fat content than the others, but composition of fatty acid and amino acids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SBM levels. Gill and urinary post-prandial ammonia ($NH_3-N$) excretions were measured at 12 and 24 hours after single feeding of the experimental diets. Excretions of $NH_3-N$ measured after 24 hours were almost 1 times higher than those measured after 12 hours. Total excretion fer the 24 hours by fish fed $70\%$ SBM was $15\%$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control diet. Results of present study may suggest that the rainbow trout which were fed above $34%\;or\;46\%$ of SBM diet showed a decrease gradually in lipid bioavail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해수사육 틸라피아 근육의 식품성분 연구 2. 담수 및 해수사육한 틸라피아 근육의 지질성분

        전중균,김진수,박철원,한명수,허형택,이응호,JEON Joong-Kyun,KIM Jin-Soo,PARK Chul-Won,HAN Myung-Soo,HUH Hyung-Tack,LEE Eung-Ho 한국수산과학회 199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3 No.4

        해수사육한 틸라피아와 담수사육한 것의 근육지질의 구성 및 그 지방산조성을 분석$\cdot$비교하였다. 해수사육군은 담수사육군에 비해 총지질함량이 미미하지만 약간 많았고, 중성지질이 구성지질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다음으로 인지질, 당지질의 순이었다. 중성지질 중에는 triglyceride(TG)의 조성이 가장 많았으며, 총지질 함량의 증가는 TG획분의 증가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인지질에서는 phosphatidyl chloine, phosphatidyl ethanolamine, sphingomyelin이 동정되었으나, phosphatidyl choline이 가장 높은 조성비를 보였다. 각 구성지질을 이루는 주요지방산은 14 : 0, 16 : 0, 18:0 등의 포화산을 비롯하여 16. 1, 18 : 1, 18 : 2, 22:6 등의 불포화산이었으며, 특히 16 : 0과 18 : 1의 구성비가 총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에서 높았으나, 인지질에서는 18 : 1, 18 : 2의 조성비가 적고 20 : 4, 20 : 5, 22 : 6등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이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해수시료군에서나 담수시료군에서나 마찬가지였으며, 두 시료군간에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The composition of muscle lipids and their fatty acid composition of two groups of tilapia, cultured in fresh and seawaters, were investigated. The total lipid(TL) of seawater culture group is a little richer than that of freshwater culture. The neutral lipid(NL) is the most abundant in muscle lipids of two groups, followed by the phospholipid(PL) and glycolipid (GL). The increment of TL content seemed to depend upon triglyceride(TG) fraction, because large portions of lipids are consisted of TG. Phosphatidyl choline(PC), phosphatidyl ethanolamine and sphingomyelin were identified in PL, and the content of PC was the highest. The principal fatty acids of muscle lipids were 14 : 0, 16 : 0 and 18 : 0 as for saturated fatty acids, and 16 : 1, 18 : 1, 18 : 2 and 22 : 6 as for unsaturated fatty acids. In particular, high contents of 16 : 0 and 18 : 1 were observed in TL, NL and GL. However, low contents of 18 : 1 and 18 : 2 were observed in PL, while they were high 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ith 20 : 4, 20 : 5 and 22 : 6. In the meantim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composition of muscle lipids and their fatty acids between two groups cultured in seawater and freshwater.

      • 은연어(Oncorhynchus kisutch) 사료 단백질원으로서 대두박의 이용에 관한 연구 I. 대두박 함량에 따른 성장

        김병기,전중균,김형선,명정구,허형택,KIM Pyong Kih,JEON Joong-Kyun,KIM Hyung Sun,MYOUNG Jung-Goo,HUH Hyung Tack 한국양식학회 1992 韓國養殖學會誌 Vol.5 No.1

        A feeding study was conducted for 85 days to determine if soybean meal can be substituted for fish meal in a diet of coho salmon (Oncorhynchus kisutch) fingerlings. Solvent extracted soybean meal was used in the experimental diet at $0{\%},\;10{\%},\;30{\%},\;50{\%}$ and $70{\%}$ levels to make up about $40{\%}$ protein in the final diets. The results of feeding trial indicated that soybean meal can be used up to $30{\%}$ (replacing $34.3{\%}$ fish meal) as a major protein source with no adverse effects on the growth of coho salmon(P>0.05) . However, both growth rate and survival were decreased in the groups of fish fed over $50{\%}$ soybean meal diets. 은연어 치어 (3.43g)의 사료 단백질원으로서 대두박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85일 간 실시하였다. 실험 사료는 탈지 대두박이 $0{\%},\;10{\%},\;30{\%},\;50{\%},\;70{\%}$ 함유된 5개의 실험 사료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은연어 치어는 대두박을 사료 내 $30{\%}$까지 첨가하여도 대조구와 뚜렷한 성장 차이가 없이 성장하였으며(P>0.05), 대두박을 $50{\%}$ 및 $70{\%}$ 첨가한 실험구에서는 사료 효율 및 생존율이 뚜렷이 낮아졌다.

      • KCI등재

        해수사육 틸라피아 근육의 식품성분 연구 1. 담수 및 해수사육한 틸라피아 근육의 정미성분

        전중균,주동식,박철원,허형택,이응호,JEON Joong-Kyun,JOO Dong-Sik,PARK Chul-Won,HUH Hyung-Tack,LEE Eung-Ho 한국수산과학회 199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3 No.4

        The approximate compositions and the taste compounds of tilapia, Oreochromis nitoticus, cultured in freshwater and seawater for six months, were analyzed. As for the approximate compositions,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moisture and protein contents of tilapia cultured in seawater and freshwater, but somewhat higher lipids and ash than that cultured in freshwater.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s, nucleoli-des, betaine, TMAO, and total creatinine were observed between both groups. 틸라피아를 담수와 해수에서 각각 6개월간 사육하여, 이들의 일반성분과 정미성분을 분석 $\cdot$비교하였다. 일반성분에서는 해수사육한 것이 담수사육한 것에 비해 수분함량과 단백질 양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지질함량과 회분함량은 약간 많았다. 또 한 정미성분중 유리아미노산인 taurine과 glycine, 핵산관련물질인 IMP, total creatinine 등의 함량이 많았으며, 이들은 함량면에서 보아 틸라피아의 맛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함질소화합물의 함량이나 조성에서는 해수사육과 담수사육간에 별다른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 KCI등재

        주요 양식 어류의 혈액 성분에 관한 연구

        전중균 ( Joong Kyun Jeon ),김병기 ( Pyong Kih Kim ),박용주 ( Yong Joo Park ),허형택 ( Hyung Tack Huh ) 한국수산학회 199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8 No.2

        우리 나라에서 많이 양식하고 있는 주요 어종의 혈액 성분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저수온기 (수온 12.7℃)에 월동중인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농어(Lateolarax japonicus),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 돌돔(Oplegnathus fasciatus)과 함께 냉수성 어종인 은연어(Oncorhynchus kisutch)를 각 5~6마리씩 마취시키지 않은 상태로 꼬리 동맥에서 채혈하여 혈청 중의 총단백질(TP), 알부민(ALB), 중성 지방(TG), 콜레스테롤(CHOL), 포도당(GLC), 리파제(LIPA), 나트륨(Na), 칼륨(K), 염소(Cl), 인(P), 아미노산전이효소(ALT, AST) 등을 혈액분석기로 분석하였다. TP 농도는 2.9~5.1g/dl의 수준이었으며, ALB 농도는 1.2~1.9g/dl의 수준이었다. A/G 비는 은연어가 1.1 정도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는 0.5~0.6 정도로 비슷하였다. 지질 성분인 TG와 CHOL 농도도 어종에 따라 달라, 넙치는 TG 농도가 큰 대신에 CHOL 농도가 낮았으며, 농어는 반대로 TG 농도가 낮은 대신에 CHOL 농도가 높았다. 두 지질 성분의 합은 넙치가 가장 많아 600㎎/dl나 되었고, 농어나 조피볼락(약 400㎎/dl), 돌돔이나 은연어(약 300㎎/dl)의 순이었다. 혈당(GLC) 농도는 냉수성 어종인 은연어가 넙치에 비해 약 4배 가량 많아 61~76㎎/dl이나 되었다. 한편 리파제(LIPA) 활성은 TG 농도와 정반대의 경향을 보여 은연어에서 가장 높았고, 넙치에서는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무기질 중에서 Na, Cl과 K 농도는 160~204 mmol/l, 137~183mmol/l과 0.5~3.1mmol/l로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P 농도는 은연어나 조피볼락처럼 비교적 활동성이 강한 어종일수록 많았다. ALT 활성은 넙치가 가장 높았고, AST 활성은 은연어가 높았으며, AST 활성은 모든 어종에서 ALT 활성보다 높았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the basic data on the serum components of several marine fish species commonly cultured in Korea. Blood samples taken from five species of fish were analyzed for various components of serum, total protein (TP), albumin (ALB), triglyceride (TG), cholesterol (CHOL), glucose (GLC), sodium (Na), potassium (K), chloride (CI), phosphorus (P), lipase (LIPA),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The fish used were coho salmon (Oncorhynchus kisutch), rock fish (Sebastes schlegeli),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reared at the Chungmu Experimental Fish Culture Satation of KORDI. TP concentration of warm-water species (2.9~5.1g/dl) was higher than that of cold-water species, and ALB concentration was ranged at the level of 1.2~1.9g/dl. Coho salmon showed the highest ration of A/G(1.1), and the other species were about 0.5~0.6. The concentrations of TG and CHOL, components of lipids, varied with the different species. The concentration of TG was high, but CHOL concentration was low in olive flounder, while the reversed results were shown by sea bass. The sum of these two components was the highest with 600㎎/dl in olive flounder, and about 400㎎/dl for sea bass and rock fish, and 300㎎/dl for parrot fish and coho salmon. Concentration of GLC in coho salmon and rock fish ranged from 61 to 76㎎/dl which were about four times higher than that of flounder. The highest lipase activity was observed in coho salmon, while it was nearly nil in flounder. The reversed tendency was found for TG concentration. Mineral concentrations of Na, Cl and K were 160~204 mmol/1, 137~183mmol/1 and 0.5-3.1mmol/1, respectivel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pecies was observed.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P were high in relatively active species such as coho salmon and rockfish. AST activity in all species examined was higher than that of ALT with being highest in coho salmon. The highest ALT activity was found in olive flou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