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隱峰 李鳳徵의 紀行詩 考察

        柳在華(Ryu, Jae-hwa) 대동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6 No.1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examine Eunbong(隱峰), Bongjing Lee(李鳳徵, 1640~1705)’s sentiments towards Nujeong and embodiment occurred during the journey when he was traveling around Yeongnam area for two times. It examines his life and poetic appearance as one of the members of Cheongnam affiliation, and also can be used as the clue to review landscape sightseeing perspective and advanced reactionary movement of Geungi Namin faction of the period. Eunbong lost his father Han Lee when he was nine years old so he was left with his fourth uncle Goi(襘), following his work locations. He started learning when he was 12 years old from his second uncle Jin Lee(李袗). When he turned 16, he learned Gangmok(綱目) from the husband of his aunt Woowon Hong(洪宇遠) and learned Tonggam from his cousin Gwanjing Lee(李觀徵). Especially, he continued his learning from Gwanjing Lee until he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He gained his general perspective on landscape sightseeing, which is discussed in the present study, by huge support from Gwanjing Lee. Moreover, Eunbong admired Misoo(眉叟) Heomok(許穆) and his academic perspective was deeply affected by him. Eunbong’s Ancient Chinese Movement that he declared ‘Literature is the means to reach enlightenment (文 is 貫道之器)’ seems to be also originated from Misoo’s advanced reactionary movement. Eunbong’s academic achievements were appraised by Hwan Kwon(權 瑍, 1736~1716) as a ‘Ancient writing specialist’ and as ‘Literature is simple and well refine’ by Sangwoon Yoo(柳尙運, 1636~1707). Also, after the death of Misoo, Eunbong published Misoo’s Gieon(記言)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formation of Geungi Namin faction. Not only that, he was widely recognized by social intercourse with the prominent scholars of the period including Hyeonil Lee(李玄逸, 1627~1704), Haw Kwon(權瑎, 1639~1698), Hyungsang Lee(李衡祥, 1653~1733), Yook Lee(李淯, 1644~1730), etc. Eubong’s academic disposition was focused too much on ancient literatures thus he failed the state examination when he was 26. He had been spending boring time before traveling in Yeongnam area for two times in two years (1673~1674) when his cousin Gwanjing Lee was appointed as the Yeongnam governor and his travel poetries written during the period have gained attention. Therefore, the present research examines Eunbong’s travel poetries by comparing ‘Nujung-Jeyeongsi(樓亭題詠詩)’ and ‘Description of the journey’. First of all, in the ‘Nujung-Jeyeongsi(樓亭題詠詩)’, there are poems describing Cheongsim-ru(淸心樓), Jacheon-dae(自天臺), Youngho-ru(暎 湖樓), Changyong-ru(讚慶樓), Gwanoe-dae(觀魚臺), Cheongdeok-ru(淸德 樓), Imyoung-gak(臨瀛閣), Joyang-gak(朝陽閣), Guirae-jeong(歸來亭), Suwol-ru(受月亭), etc. and next, in the ‘Description of the journey’, there are poems describing <Gwa-hyeop-chul-hae(過峽出海)>, <Cha-do-nam-jak(次道南作)>, <Gwan-eo-dae-do-joong(觀魚臺途中)>, <Gwa-jin-bo-gak-san(過眞寶角山)>, <Cheong-ha-gaek-gwan-young-mae(淸河客舘詠梅)>, <Gwa-an-gang(宿安康)>, <Gwa-ok-san(過玉山)>, etc. Especially, excluding poems regarding Youngho-ru(暎湖樓) and Joyang-gak(朝陽閣), others cover Nujeong that could not have been experienced easily in general. Eunbong cultivated his practical spirit by gaining practical experience and knowledge. Moreover, he experienced the authentic Neo-confucianism of Yeongnam and became the driving force to overcome the limited tendencies of Geungi Academics, which was far too one-sided to ancient literatures. As a result, he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the first year of Sukjong (1675) and enterred the government service. Not only that, his academic accomplishments contributed greatly to the academic formation of Geungi Namin faction, which attempted to overcome speculative Neo-confucianism through Ancient Chinese Movement. 본고는 隱峰 李鳳徵(1640~1705)이 2년(은봉 1673~1674, 34~35세)에 걸쳐 두 차례 영남지역을 여행하던 도중에 경험한 樓亭에 대한 감회와 그 旅程에 따른 소회에 대한 시적 형상화를 살폈다. 이는 조선후기 근기남인 중 淸南系列인 은봉의 삶과 시인으로서의 면모를 살펴볼 뿐만 아니라, 당대 근기남인학파의 산수 유람관 및 선진복고운동을 엿볼 수 있는 단서로 활용 하려는 의도이다. 은봉은 9세에 그의 부친 이한을 여읜 뒤에 넷째 숙부인 襘에게 의탁하고 임지를 따라 전전하였다. 그의 첫 受學은 12세가 되어 둘째 숙부인 袗으로부터 시작 되었고, 16세 때는 종고모부 洪宇遠으로부터 綱目을, 종형 觀徵으로부터는 통감을 배웠다. 특히, 이관징에게는 그가 과거에 급제 할 때까지 가르침을 받는다. 본고에서 논하고자 하는 그의 산수 유람에 따른 大觀도 이관징의 적극적인 후원 하에 이루어졌다. 또 은봉은 眉叟 許穆을 私淑하면서 그의 학문형성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가 ‘文은 貫道之器 이다’라고 선언한 고문운동도 미수의 선진복고운동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은봉의 학문은 權瑍(1736~1716)으로부터는 ‘古文家’로, 柳尙運(1636~1707)으로부터는 ‘문은 간이하면서도 법도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한 은봉은 미수 사후, 그의 주관 하에 미수의 記言 을 간행함으로 근기남 인학파 형성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뿐만 아니라 당대의 탁월한 학자인 李玄逸(1627~1704), 權瑎(1639~1698), 李衡祥(1653~1733), 李淯(1644~1730) 등과 교유에서 은봉의 학문적 소양을 크게 인정받게 된다. 은봉의 학문은 고문에 치우친 학문적 경향 때문에 26세 때 과거에 응시 하였으나 낙제하게 된다. 이후 무료한 세월을 보내던 중 종형 이관징이 영남관찰사로 부임한 것을 계기로 2년(1673~1674)에 걸쳐 두 차례 영남을 여행을 하던 도중에 지은 기행시가 주목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樓亭題詠詩’와 그 ‘旅程의 묘사’로 대별하여 고구하려고 한다. 먼저 ‘樓亭題詠詩’에는 <淸心樓>, <自天臺>, <暎湖樓>, <讚慶 樓>, <觀魚臺>, <淸德樓>, <臨瀛閣>, <朝陽閣>, <歸來亭>, <受月亭> 등 에 대하여 읊은 시가 있고, 다음으로 ‘旅程의 묘사’는 <過峽出海>, <次道南 作>, <觀魚臺途中>, <過眞寶角山>, <淸河客舘詠梅>, <宿安康>, <過玉山> 등을 노래한 작품이 보인다. 특히 <暎湖樓>와 <朝陽閣>에 대한 시를 제외 하고는 일반적으로 쉽게 접할 수 없는 누정이다. 은봉은 이번 여행을 통해 실제적 경험과 견문을 쌓아 자신의 실천적 기상을 함양하게 된다. 아울러 영남의 정통 성리학을 접함으로 고문과 박학에 치중된 근기학문의 경향을 극복하는 원동력이 된다. 이로 인하여 그는 숙종 원년(1675)에 실시된 증광 별시문과 장원급제하고 바로 출사하는 좋은 성과를 이룬다. 또한 이러한 그의 학문적 성과는 고문운동의 일환으로 사변적인 성리학을 극복하고자 하는 근기남인학파의 학문형성에 지대한 공헌을 하게 된다.

      • KCI등재
      • KCI등재

        隱峯 李鳳徵의 散文 硏究

        柳在華(Ryu, Jae-hwa) 대동한문학회 2013 大東漢文學 Vol.38 No.-

        李鳳徵(1640∼1705)은 17ㆍ18세기 경기의 파주ㆍ안성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近畿南人 출신의 文人官僚이다. 본고는 학계에 처음 소개하는 작가의 작품으로, 家系와 生涯, 文學論과 散文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봉징은 경기도 파주에서 출생하여 숙종 즉위년 다음해인 1675년 增廣試에 장원급제하고 이어서 같은 해 殿試에서 第一을 한 뒤에, 성균관 전적으로 출발하여 대사헌ㆍ도승지ㆍ부제학ㆍ참판ㆍ전라도 관찰사 등 내ㆍ외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그 사이에 두 차례 유배를 갔는데, 두 번째 유배는 仁顯王后가 승하하자, 왕후에서 후궁으로 강등한 張禧嬪의 복제문제로 상소를 올렸다가 숙종의 노염을 입어서 全羅道 智島에서 生을 마쳤다. 이봉징은 眉叟 許穆의 제자로, 당시 程朱學이 지나치게 이론화 경향으로 치달아서, 六經중심의 원시유학으로 복귀하여 實踐儒學을 하자는 미수의 古文復舊運動에 동참하면서, ‘貫道之器’를 주장하며, 조선 성리학의 지나친 思辨的인 이론화 경향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의 학문은 근기남인의 博學精神과 영남 성리학적 학풍을 절충하였다. 그래서 그의 散文은 博學을 위주로 하면서 학문을 勤飭하게 하는 것, ‘務實之文’에 힘쓰는 것, ‘理勝之文’에 힘쓰는 것으로 정리된다. Lee Bong-Jing(李鳳徵, 1640∼1705) was one of the scholar-officials from Near-Seoul Southerner Scholars who worked in Paju and Ansung area of Kyunggi in 17thㆍ18th century. This study introduces first the prose work of him, and analyzes his prose work focused on his lineage, life, literary theory and prose. Born in Paju, Kyunggi Province, he won the first place in the Special Examination in 1675. And then he was at the top in the Third Examination(殿試) in the same year, and started his official career as Sunggyungwan Jeonjeok. He filled various government posts such as Prosecutor General, the Chief Royal Secretary, Bujehak(the chief official of Jiphyeonjeon), Vice Minister, the Governor of Chulla Province. In his official career, he was exiled two times. His second exile resulted from the appeal to King Sukjong for the mourner's dress of Lady Jang Hui-bin, who was demoted from Queen to concubine, after death of Queen Inhyun. Incurring the wrath of King Sukjong, he was exiled to Jido, Chulla Province, where he died. Lee Bong-Jing, a pupil of Heo Mok, participated in the Ancient Chinese Prose Movement of Heo Mok which tried to overcome the excessive theoretical tendency of Chengzhuxue(程朱學), get back to Original Confucianism, do practical Confucianism. He insisted on Gwandojigi(貫道 之器) and tried to overcome the excessive speculative tendency of Chosun Neo-Confucianism. His learning was an eclectic one of erudite spirit of Near-Seoul Southerner Scholars and Yeungnam Confucian school. Consequently, his prose features operose learning and Musiljimun(務實之文), and Iseungjimun (理勝之文).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