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문화적 정체성과 전통

        박해광(Park Hae Kwang),송유미(Song Yu Mi) 한국문화사회학회 2007 문화와 사회 Vol.3 No.-

        이 연구는 문화에 대한 관념이나 대중의 문화적 취향에서 왜 그토록 자주 전통이 언급되는가라는 의문에서 출발했다. 전통이란 과거의 것이지만 현재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현재에 살아 있는 과거, 즉 선별적이며 복원된 것이거나 새로 만들어진 과거다. 대중의 전통 선호는 정체성 표현의 한 형태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광주의 사례를 통해 이 현상이 어떤 맥락에서 어떤 집단의 정체성 형성과 관련되어 있는지를 문화에 대한 정의와 예술적 취향에 대한 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광주는 예향으로 불릴 만큼 전통 예술 자원을 상당히 보유하고 있지만 또한 식민지 근대화를 통해 새롭게 만들어진 근대적 공간이라는 양면성을 가진다. 분석 결과 광주 시민의 전통 예술에 대한 선호는 전국과 비교할때 오히려 별로 높지 않았으며, 전통문화 중에서 전통 예술에 대한 선호 역시 낮았다. 그보다 전통문화는 삶의 경험과 관련된, 음식이나 공동체적 삶을 의미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또한 이러한 전통 선호는 뚜렷하게 계급적 특성을 보여서, 하층일수록 현대 예술보다는 전통 예술을, 전통문화 내에서는 예술보다는 생활문화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결국 전통문화라는 관념은 현대 문화에 대비되는 잔여적이고 하위적인 것에 대한 하층계급의 투사이며, 고급 현대 문화 예술의 반대 항임을 보여주며, 이것은 광주의 특수한 공간적 역사를 반영하고 있다. 이미 퇴행적인 것인 전통은 개인의 체험과 전통 예술을 느슨하게 동질적인 것으로 결합시키면서 정체성을 구성하려는 수동적 노력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tries to explain why people frequently designate tradition as a major meaning of culture.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meaning of the word ‘tradition’ as part of people’s definition of culture regarding the context of their life-world, focusing on the case of Gwangju. This paper shows that the term ‘culture’ as people us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n expression of their cultural identity, which constructs a mass belief what culture is. Tradition is something from the past but also is a creation of a present situation revived from the past. In this context, tradition can be regarded as a modern cultural phenomenon that has something to do with cultural politics. Second, this study examines people’s artistic tastes for cultural consumption focusing on fine art and music. We also found that the taste for traditional art was much higher than for other modern arts. Based on survey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found that people's preference for traditional culture is not artistic, although they like traditional art more than modern fine art, but rather is a part of everyday culture representing their life experiences, which are at a lower level of artistic taste and are empirically related to their past community lives. We also found that this is strongly related to people’s class situation, and that the lower class is very fond of tradition.

      • KCI등재

        문화는 청년의 삶을 바꿀 수 있는가?

        박해광(Hae-Kwang Park) 한국문화사회학회 2018 문화와 사회 Vol.26 No.1

        이 연구는 청년의 문화 향유가 청년들의 삶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경험적 조사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지금까지 문화 향유 연구는 주로 교양주의적 관점에서 긍정적 효과를, 또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적 접근은 그것의 부정적 효과를 강조해 왔지만, 경험적으로 검증된 바가 많지 않다. 이 연구는 2017년에 광주광역시 1,007명의 청년을 대상으로 한 문화 향유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문화 향유가 청년의 삶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문화 향유의 유형을 일상문화 향유, 대중문화 이벤트 향유, 예술 향유, 문화예술 창작의 네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의 향유가 미치는 서로 다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청년들이 느끼는 만족감 및 행복감을 최종 종속변수로 한 분석에서는, 상대적으로 대중문화 이벤트 향유 횟수의 효과가 뚜렷하게 부각되긴 했지만, 일상문화 향유 만족도와 문화예술 창작 만족도가 의미있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문화 향유가 강한 영향은 아니지만, 청년들의 행복감에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며, 또 향유 유형별 영향의 차이가 존재할 뿐 아니라 향유의 양적 횟수 역시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In this study, I raise a question of ‘Can culture change youth’s life?‘. To answer this question, I tr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ultural enjoyment of young people. The effects of culture or cultural enjoyment has always been a controversial topic. Some people insisted the positive effects of general culture, the others criticized the negative effects of low quality culture like mass culture. I tried to show the effects through analysing the survey research data of ’Youth culture survey 2017 in Gwangju city’ collected by Gwangju Culture Foundation. To identify the effect of cultural enjoyment, I divided four types of cultural enjoyment, ‘everyday cultural enjoyment’, ‘mass cultural event enjoyment’, ‘art enjoyment’, and ‘cultural-artistic creation’. And then I analysed the relative effects of these types to youth’s feeling of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life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youth’s satisfaction of cultural enjoyment was strongly related to mass cultural event enjoyment. Second, feeling of happiness was mainly explained by mass cultural event enjoyment, satisfaction of everyday culture satisfaction, cultural-artistic creation satisfaction, job and income in regression model. These findings tell us that cultural enjoyment, though the effect of mass cultural event enjoyment is stronger, can affect positively to youth’s life and each type of cultural enjoyment has differential effects to it. These results suggest the policy of enhancement of youth’s cultural enjoyment, and also show us the necessity of matching efforts corresponding to each type of cultural enjoyment in youth’s lif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문화 연구와 담론 분석

        박해광(Park Hae-Kwa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07 문화와 사회 Vol.2 No.-

        의미와 상징을 둘러싼 실천으로 정의될 수 있는 문화 연구에서 담론 분석은 문화를 분석하는 핵심적인 접근법이다. 하지만 문화 연구에서 담론 분석은 충분히 토론되지 않았고, 그 쟁점들도 명확하지 못했다. 이 연구는 문화연구에서 담론 분석이 가지는 위상과 의의를 방법론적, 이론적 차원의 쟁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다양한 담론 분석의 방법론들이 존재하지만, 여기서는 사회언어학적 접근과 화용론적 접근, 그리고 텍스트 분석을 살펴보았다. 담론 분석은 언어의 중립적 외양을 해체하고 권력과 지배가 작동하는 실천 장으로서의 담론개념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런 점에서 사회적 조건과의 연관을 보다 강하게 확인하면서 기존의 접근법을 새롭게 사고할 수 있는 여지를 탐색하고 있다. 이론적으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판적 담론분석(CDA) 접근을 간략히 검토하면서 이 접근법이 가진 구성적 실천 개념의 허약성을 비판하였다. 구성적인 실천은 무매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정치적, 실천적 조건이라는 제약하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이를 위해 구성적 실천을 언어의 다차원성 및 실천적 의식과 연결하여 해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담론적 실천은 관습적인 것이 아니라 의미를 둘러싼 투쟁이라는 담론 투쟁의 개념으로 급진화될 필요가 있으며, 지배적 담론에 대한 거울상이 아니라 일탈 해독과 낯설게 하기를 활성화시키는 창조적 실천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anings of discourse analysis in relation with cultural studies. While semiotic approaches have shown the weakness of dealing discourse as social practice, discourse analysis has been trying to make connections with cultural studies focusing on its social characteristics. Evaluating these studies, this study also raises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issues for further research. Methodologically I examine three approaches, sociolinguistic approach, speech act theory and text analysis, and try to raise issues for further study. First, I argue sociolinguistic approach should be expand to deal utterance as not only representation of social group but also the core containing power relation among social groups. Second, speech act theory, as a study on utterance and context should be redirect to analyse a social situation in which utterance and social context interplays. Third, though text analysis has been used as a method of ideology critique or analysis of narrative form, this study suggests to expand it to analyzing textual transformation which content emerges into a certain form. In theoretical issues, consenting the perspective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I argues that the concept of practice should be treated as a symbolic struggle in a strong sense, where as the concept constructive as restricted in relation with social situ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