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파슨스 이론과 한국의 근대성 비판: 박영신의 비판 담론

        박선웅(Sun-woong Park),이황직(Hwang-Jik Yi)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3 현상과 인식 Vol.27 No.4

        This study has two aims at large. One is to argue that Parsons' functionalism is the theoretical framework which, unlike the major criticisms from the conflict theory, is capable of analyzing social conflict as well as social order. The other is to address that Yong Shin Park's critical dis-course on Korean modernity has been manifestly or latently built upon Parsons' theories of action and social system. In Park's view, the cultural<br/> tradition of familism rooted in Confucianism can be defined in terms of par-ticularism, which is still located deeply in the minds and hearts of the mod-ern Korean people. On the one hand, familism in the subsystem of latent pattern maintenance has contributed to the rapid economic growth. On the other, it put the great limit on achieving the universals of modernity similar to those of the West. In recent, Park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tarian idea and praxis to overcoming the particularistic familism.<br/>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한국인 되기

        박선웅(Sun Woong Park),우현정(Hyun Jeong Woo) 한국사회이론학회 2013 사회이론 Vol.- No.44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경험과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근거이론 접근을 통해 알아보고, 적응의 양상을 유형화함으로써 다양한 방식의 한국인 되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2년 이상 한국에 거주한 12명의 중도입국 다문화학생들과의 심층 면접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들은 정도에 차이는 있었으나 완전한 한국인이 되는 것을 불가능하다고 여기고 있었다. 이는 출생지가 한국이 아니라는 판단에 기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주어진 현실적 제약을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적으로 인정받기 위해 가용한 전략을 수행하면서 한국인에 대한 의미 협상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한국인 되기’ 과정을 밟고 있었다. 그들이 적응 과정에서 구성해가는 한국인의 정체성은 ‘가짜 한국인’, ‘미완의 한국인’, ‘특별한 한국인’, ‘국적 없는 한국인’ 둥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how multicultural youths become Korean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To this end, it examines various experiences of immigrant youth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ir processes of adapting to Korean society and factors that come into play in the process, and classifies their adaptation patterns.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welve immigrant youths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have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two years are as follows. The youths, albeit to different degrees, do not expect to become a full Korean,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they were not born in Korea. Nevertheless, they are accepting the constraints of reality imposed upon them. In addition, they are using strategies available to them to win social recognition, taking various forms of paths to become Korean through negotiations on the meaning of Korean. The identities of Koreans they build in that process are those of “fake,” “incomplete,” “special” and “stateless” Korea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 중등학생의 “한국인” 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

        박선웅(Sun Woong Park) 한국사회이론학회 2013 사회이론 Vol.- No.4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 국가의 탈영토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과정에서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인 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슐만의 이론을 활용하여 민족 정체성을 종족적, 문화적, 시민적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다문화 수용성에 대해서는 다문화 지향성,다문화를 위협으로 인지하는 정도, 다문화 법⋅제도적 지원에 대한 태도 등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초⋅중등학생들은 시민적, 문화적, 종족적 요인 순으로 한국인 정체성을 규정하고 있다. 다문화 수용성과 관련하여, 그들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의 다문화 지향성과 다문화 법⋅제도적 지원에 대한 태도를 갖고 있으며, 다문화를 위협적 대상으로 인식하지 않는 편이다. 한국인 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는 슐만이 가정한대로 시민형, 문화형, 종족형 순으로 다문화 수용성이 높게 나온다. 다만, 기대와 달리 시민형 정체성은 다문화 수용성과 정적 상관 관계를 갖지 않는다.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how the Korean nationalit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re related as the deterritorialization of the Korean nation-state rapidly progresse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utilizes Shulman`s model of national identity divided into ethnic, cultural and civic components. Regard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study measures it in terms of multicultural orientation, multicultural threat and multicultural policy. The data analysis finds th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end to define the Korean nationality less by ethnic components than by cultural ones. The civic elements are most emphasized as a necessary requirement for Korean nationality. By showing multicultural orientations, holding attitudes against multicultural threat, and supporting multicultural policies to some extent, students are found to have som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s Shulman assumes, civic, cultural and ethnic identities in order ranked high i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Yet, the finding shows unexpectedly that even civic identity is negatively related to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다문화교육 연구학교의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분석

        박선웅 ( Sun Woong Park ),이민경 ( Min Kyung Lee ),구정화 ( Jeong Hwa Koo ),박길자 ( Gil Ja Par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0 시민교육연구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ent and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t schools and thereby establish the basis for a new content system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reports of multicultur research schools, based on multicultural citizenship as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concept of culture guid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Bank`s discussion of multicultur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ris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t the schools surveyed basically has aimed to facilitate the recognition of cultural dif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dentity and a better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at schools have been organized and conducted by drawing upon the anthropological concept of culture. Third, such multicultural curriculum have been implemented through the “contribution approach” and the “additive approach.” The contribution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maintains the existing curriculum mainly in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additive approach calls for bringing multicultural elements into each of the school subjects. In-depth interviews helped see the limit of contents and oper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e interviews show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was no more than cultural experience for children and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ordinary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have been made regarding the futur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s content system.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사회과 주요 개념에 대한 역사적 고찰 -쿨리의 1차 집단을 중심으로

        차조일 ( Jo Il Cha ),박선웅 ( Sun Woong Par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2 시민교육연구 Vol.4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핵심 기제로서 ``1차 집단``의 성격을 밝혀내고, 그것이 한국 사회과 교과서에서 어떤 방식으로 반영되어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차 집단과 관련된 쿨리 및 여타 사회학자들의 논의에 대한 역사적 고찰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과 교과서들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1차 집단 개념에서 쿨리의 관심은 단순히 집단 유형의 분류가 아니라, 개인이 사회적 존재로 변화하는 과정 및 사회 집단의 형성 과정이다. 그는 1차 집단의 사회화 기능이 ``우리 의식``의 형성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본다. 따라서 1차 집단의 핵심적인 속성은 ``우리 의식``의 형성과 관련되어야 한다. 그는 1차 집단과 대비되는 성격을 가진 집단에 대해 관심을 가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2차 집단이라는 명칭도 사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 사회과 교과서에서는 1차 집단의 본래적 기능이나 결정적 속성은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은 채, ``접촉 방식``을 기준으로 2차 집단과의 구분만이 1차 집단 개념의 핵심 내용 요소인 것처럼 다루어지고 있다. 쿨리에 의해 제시되었던 역사적·사회적 맥락들은 사라지고, 1차 집단의 개념이 왜곡되어 제시된다. 이와 같은 오개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수정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to illuminate the nature of the "primary group" as a central mechanism by which individual and society are related, and to examine how it is reflected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not only attempts to trace out Cooley`s conception of the primary group and its conceptual changes made by other sociologists, but takes the Korean social studies textbooks as an object of analysis. In the concept of the primary group, Cooley`s interest has been not in classifying social groups, but in the process of rebirth of an individual into social being and of forming of social group. He emphasizes that the socializing function of the primary group can be done through the formation of we-ness. Thus, the central property of the primary group should be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we-ness. Neither has he have interests in the nature of other social groups in contrast to that of the primary group, nor used the term of the secondary group. However, most of the Korean social studies textbooks treat the primary group as if it would be crucial to distinguish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groups in terms of the pattern of contact, without dealing with the former group`s essential nature and decisive property. Unfortunately, such conception of the primary group as suggested by Cooley tends to disappear in those textbooks. If any, it is shown in a distorted way.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curriculum and textbook on that concept in order to avoid such misconcep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