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서양 고·중세사의 연구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정기 ( Jung Gi-moon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2 서양고대사연구 Vol.33 No.-

        해방 이후 지금까지 서양고중세사 분야의 연구 성과를 간략하게 정리하고, 현행 중학교 역사 교과서가 그 연구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서양고대사 분야의 개척자들은 모두 서양 고대의 민주주의, 그리고 민주정체와 관련된 문화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서양 고대사 연구 1세대들이 이런 관심을 보인 것은 서양의 선진적인 역사 문화를 한국에 소개함으로써 우리 나라의 민주주의 발달에 기여하고자하는 사명감 때문이었다. 이들의 관심은 이후에도 지속되어 아테네 민주주의와 로마 공화정의 구조는 계속해서 연구되었다. 1980년대 중반 연구자들의 양적, 질적 성장이 이루어지면서 연구 분야가 다양해지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체계화할 수 있는 학회들이 만들어졌다. 또한 연구자들은 협동하여 연구 성과를 널리 알리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서양 중세사 분야의 개척자들은 서양이 어떻게 근대화에 성공하였는가라는 문제 의식을 갖고 중세사를 바라보았다. 따라서 그들의 주요 관심사는 중세 장원제도와 자본주의으로 이행이었다. 이런 문제 의식은 2세대 연구자들에게 이어져 1970년대까지 연구의 초점은 사회 경제사에 두어졌으며, 이후에도 사회 경제사는 서양 중세사 연구의 중심 축을 이루었다. 1970년대 후반 이후 연구자들의 양적, 질적 성장이 이루어지고 연구 주제가 다양화되었다. 중세사 분야의 연구 역량이 축적되면서 1996년에 서양중세사학회가 창립되었고, 전문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를 대중들에게 알리기 위한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렇게 서양 고·중세사에서 연구 성과가 축적되고, 연구 성과를 알리기 위한 작업이 폭넓게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들은 그것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역사 교과서 집필자들은 주요 연구 성과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 이는 교과서에 오류가 매우 많다는 사실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교과서 집필자들은 기존 교과서의 오류를 지적하는 글조차 제대로 읽지 않았다. 또한 역사 교과서에는 다른 문제가 있었다. 교과서 집필 기준이 대강화 되면서 교과서 사이의 차이가 매우 컸고, 서술의 재미를 지나치게 추구하면서 핵심 내용이 빠지는 일도 많았다. 한편 역사 연구자들 측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할 사항도 있었다. 교과서에 실려야할 주요 요소에 대해서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는 경우가 있다. 아테네 시민들의 민회 참석 연령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교과서의 오류를 바로 잡고, 이런 이설들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에 대한 집단적인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다. I examined the outcome of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of the West in last 50years and how much the outcome was reflected in the current junior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As a result, I found that there were serious problems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educators. I think the authors of the current junior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who consisted mostly of professors and teachers did not write well the outcome of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of West in last 50years. Some will say the main cause of present state is the limited space of the history textbooks and considerations on the level of learners. But I found many errors which had been pointed out previously by the researchers were repeated in the writing of the text book. For example, Yoon Jin, in his paper “Problems of Description about Ancient European History in the textbooks of Society for Middle Schools” pointed out that most textbooks described the beginning year of the Aegean civilization as 2,000 BC. But the beginning year was around 3,000 BC. Some textbooks repeat the mistake. So the main cause of the mistakes of the authors was the absence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educators. In addition to the absence of such communication, I found some problems in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First there are some serious differences in writing the major teaching element. How much do we permit the autonomy of the individual authors. Second, while the important contents of history have very small space, the pictures have very large space. It is an irony that makes key factors auxiliaries. We should take thoughtful consideration on this problem to improve the history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 KCI등재

        초기 기독교 지도자들의 예수 ‘만들기’

        정기 ( Jung Gi Moon ) 한국서양사연구회(구 서울대학교 서양사연구회) 2019 서양사연구 Vol.0 No.60

        Since Walter Bauer’s study on the primitive Christianity scholars concede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primitive Christianity is the diversity. Several Churches vied with another for initiative of the early Christianity in the vacuum of the forces made after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Church.By examining the corruption of the scripture of the proto-orthodox Church to rebut the rival sects, this paper gains the following three points.First, the Christians, including the authors of Matthew and Luke, changed the description of Mark on the Jesus. While Jesus manifested his anger several times in Mark, the authors of Matthew and Luke omitted the words which Jesus spoke in his anger. The reason why they corrupted the text of Mark is their desire to make Jesus seem humane. They could not accept the fact that Jesus who taught to love even the enemies could get angry.Second, the leaders of proto-orthodox Church corrupted the text which supported the view of adoptionism. Adoptionists maintained that Jesus was only a human being and chosen as the Son of God. The leaders of proto-orthodox Church changed the words in which Jesus was appeared as a human being. For example, they changed ‘his father’ into ‘Joseph’ in Luke 2:33. Also they changed the words which described Jesus as haman being into the words which described as God.Third, the leaders of proto-orthodox Church corrupted the text which supported the view of docetism. Docetists argued that Jesus was not born an actual human being but only seemed to have the body. For example, the leaders of proto-orthodox Church changed the words of Mark 1:10, ‘eis auton’ into ‘epi auton’, further into ‘pros auton’. Furthermore the leaders of proto-orthodox Church changed or omitted the words which made Jesus seem as phantom and added the words which made Jesus as an actual man. For example they added Luke 22:44 into the original text. (Kunsan National University / gmjung@kunsan.ac.kr)

      • KCI등재

        ‘두 마리아’에 대한 묘사를 통해본 복음서들의 여성관

        정기 ( Jung Gi-moon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4 서양고대사연구 Vol.37 No.-

        20세기 후반 페미니즘이 하나의 담론으로 정착하면서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초기 기독교 역사를 재구성하려는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이런 연구들에 의하면 예수와 바울은 기존에 생각해왔던 것보다 여성을 높게 평가하였고, 그들에게 주요한 역할을 맡겼다. 그렇지만 1세기 후반 이후 남성중심적 시각에서 예수의 가르침을 왜곡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되었다. 1세기 후반의 산물인 복음서도 그런 흔적을 담고 있으며, 그 가운데 특히 누가복음에 남성 중심적 시각이 가장 강하게 관찰된다. 이 논문은 이런 페미니즘의 시각과 연구 결과가 기본적으로 올바른 문제 제기를 하였지만 복음서와 초기 기독교 역사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하여 복음서 저자들을 반페미니스트로 규정한 것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마가복음과 누가복음의 서술은 두 복음서가 추구했던 신학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마가복음이 향유 부은 여인의 이름을 밝히지 않은 것은 ‘메시아의 비밀’이라는 마가복음의 대주제에 맞추기 위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누가복음이 향유 사건의 주도자를 ‘죄를 지은 한 여자’라고 제시했던 것은 스스로 정결을 주장했던 바리사이파에 대립적인 인물을 제시하기 위한 조처이었다. 따라서 누가복음이 남성중심적 시각에서 각색된 문서라는 페미니스트들의 주장에는 다시 생각해 보아야할 요소들이 많다고 생각된다. 요한복음의 두 여인에 대한 묘사는 공관복음의 묘사와 사뭇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요한복음에는 예수의 사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여인들이 여러 명 등장하며, 특히 막달라 마리아는 부활한 예수를 처음으로 만난 증인으로 묘사된다. 이는 막달라 마리아가 베드로나 애제자보다 권위가 더 높은 인물이었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요한복음의 이런 상은 공관복음의 묘사보다 페미니스트들이 재구성한 예수의 여성 상에 가깝다. 그러나 요한복음의 이 진술은 역사적 사실이 아니다. 그것은 베드로 후계자들을 견제하려는 요한 공동체의 의도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요한복음의 진술 또한 신학적 입장에서 해석해야 한다. Since the 1970s, the study of early Christianity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feminism. According to the study of feminist scholars Jesus and Paul wanted to give more opportunities and freedom to women in the church. However since the late first century Christians who had malecentered perspective began to distort teachings of Jesus. Gospels contained distorted results. Accommodating feminist perspective I examined descriptions of four Gospels on women. Especially I focused my attention on descriptions on Mary the sister of Lazarus and Mary Magdalene. It is certain that the first Gospel degraded the position of women and underestimated the role of women. As an example the Gospel of Mark did not concede the meeting of Mary Magdalene and Jesus after Resurrection. We can interpret this description of the Gospel of Mark as the result of its effort to degrade Mary Magdalene. But I think that this interpretation is so simple. The most important theme of the Gospel of Mark is the ‘Messianic secret’. The followers of Jesus did not recognize the identity of Jesus as Messiah until Resurrection. According to this theme it seems natural that Mary Magdalene was embarrassed at the empty tomb. Therefore we can not conclude that the Gospel of Mary degraded Mary Magdalene. Scholars who uphold the perspective of feminists argued that the gospel of Luke degraded the position of women. According to their arguments the description of the gospel of Luke on the woman who poured perfume on the body of Jesus as ‘sinful woman’ is the conclusive evidence. Because the gospel of Mark simply calls her ‘a woman’. The changing ‘a woman’ into ‘sinful woman’ can be interpreted as an act of degrading her position. But I can not agree with them. The changing of the gospel of Luke is not the result of male-centered perspective but the theology of the gospel of Luke. The gospel of Luke paid many attentions to the poor and sinners. Describing her as ‘sinful woman’ the gospel of Luke expressed that Jesus gave very meaningful role to sinners. The descriptions of two women in the Gospel of John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ynoptic Gospels. Especially according to the gospel of John Mary Magdalene was the first person to meet the risen Jesus. Scholars who uphold the perspective of feminists tend to regard this as an historical fact. But I think this is the product of the theology of gospel of John. The community of John had a sense of intense rivalry with the followers of Peter. Therefore the lifting of authority of Mary Magdalene seemed to be the product of the theology of the gospel of John.

      • KCI등재

        1∼2세기 막달라 마리아의 위상 변화 고찰

        정기(Jung Gi-Moon) 역사학회 2014 역사학보 Vol.0 No.221

        Mary Magdalene got more higher position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st century to the 2nd century. This paper tried to investigate the reason why this change happened, and to find the historical reality of Mary Magdalene.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e descriptions on the acts of Mary Magdalene of the Gospel of Mark and the Epistle to Romans were based on not the anti-feminism but the their theology. The Gospel of Mark intended to veil the fact that Jesus was Messiah. And Paul did not have a negative stance against women. Therefore there is no reason to doubt the verity of the descriptions on the acts of Mary Magdalene of the Gospel of Mark and the Epistle to Romans. The reason of the heightening of the position of Mary Magdalene in the texts which were written after the Gospel of Mark is the rivalry among communities which followed Peter, John, Mary Magdalene. As the Church of Jerusalem disappeared, the believers who opposed the followers of Peter wanted to heighten the position of Mary Magdalene. The authors of the Gospel of John and the texts of Gnosticism had this intention. Therefore, the core reason of the change of position of Mary Magdalene is not anti feminism but the rivalry of the believers.

      • KCI등재

        예수와 성전

        정기 ( Jung Gi-moon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5 서양고대사연구 Vol.41 No.-

        신약 성경에 성전에 대한 예수의 태도 세 가지가 관찰된다. 먼저 예수는 당시의 여느 유대인과 다름없이 예루살렘 성전의 제사에 정기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는 태어난 지 8일 만에 성전에서 할례를 받았으며 죽기 직전에도 유월절을 기념하여 성전을 순례하였다. 이는 예수가 예루살렘 성전과 그곳에서 행해지는 의례를 당연한 것으로 여겼음을 보여준다. 예수가 이런 태도를 취했던 것은 역사적으로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 그의 제자들이 성전과 성전 의례를 당연한 것으로 여겼음이 확실하기 때문이다. 예수는 또한 성전의 정화자이었다. 그는 예루살렘 성전에 올라가 성전에서 장사를 하고 있는 상인들의 탁자를 엎어버렸다. 최근 예수의 성전에 대한 문제 제기를 ‘정화’가 아니라 파괴를 상징하는 것으로 보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주장은 예수와 성직자들의 대립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데서 나온 오류이다. 예수는 성직자들이 백성들을 착취하는 것을 안타까워했으며, 특히 가야파가 성전 제사에 쓰일 제물 판매소를 올리브 산에서 성전 내로 옮긴 것을 반대했다. 예수의 성전 정화 사건은 이 맥락에서 보아야한다. 마지막으로 예수는 성전 파괴 예언자이었다. 그는 묵시종말론을 신봉했고 ‘그 날’이 오면 메시아가 오셔서 부패하고 타락한 성전을 허물고 완벽한 새로운 성전을 지을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파괴는 장차 올날에 이루어질 것이지 지금 당장 이루어질 것은 아니다. 그 날이 오기까지 현실 성전은 존중받아야 하며, 그 안에서 어떤 문제점이 있으면 정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수는 성전의 존중자이고, 정화자이며, 동시에 파괴자이었다. If Jesus were the founder of Christianity, he would try to abolish Judaism. According to this view Jesus was expected to demolish the Temple of Jerusalem because it was considered to be a pillar of Judaism. The saying of Jesus, “Destroy this temple, and I will raise it again in three days” in the New Testament seems to support this view. But the issue was not so simple because there are three aspects of Jesus’ relationship to the temple. First, Jesus went periodically to the Temple and observed the rituals of the Temple. Furthermore he accepted the Temple and the rituals as normal and valid in teaching the people. Therefore Jesus respected the temple in the traditional manner. Second, Jesus cleansed the Temple. At the end of his life, Jesus entered the Temple. He overturned the tables of the money changers and the benches of those selling doves. Sanders viewed the purpose of Jesus in this accident as a symbolic demonstration of the obsoleteness of the Temple. But as Chilton pointed out, some of the contemporaries of Jesus also tried to cleanse the Temple. While they did violently criticize the Temple, they did not deny the validity of the Temple. We should interpret the actions of Jesus in the Temple in light of this respect. He wanted to clear the Temple of the corruptions of priests and traders. Third, there is an image of Jesus as a destroyer of the Temple. He said, “Not one stone of the Temple here will be left on another. Every one will be thrown down.” I think this prophecy was authentic. But some of Jesus' contemporaries misunderstood what he said about the Temple. They thought Jesus was threatening to destroy the Temple. The reason for their misunderstanding is that Jesus predicted the end of the world would be very imminent. Therefore the three aspects of Jesus to the Temple were not contradictory but complementary.

      • KCI등재
      • KCI등재

        사복음서의 제목은 어떻게 정해졌을까?

        정기 ( Jung Gi-moon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6 서양고대사연구 Vol.44 No.-

        근대 신학의 탄생 이래 사복음서의 편년과 진정성에 대한 수많은 연구가 있었고, 현재 대부분의 학자들은 사복음서가 특정 개인의 작품이기보다는 여러 공동체의 공통 작품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사복음서에 대한 이런 회의주의가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사복음서의 명칭 문제이다. 19세기 연구자들의 비판적 연구 이래 현재 대부분의 학자들은 사복음서의 명칭이 원래 저자들에 의해서 붙여진 것이 아니라 후대에 첨가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신학자들이 이런 주도설을 따르는 것은 아니다. 소수설이기는 하지만 상당히 설득력 있는 논증으로 사복음서에 처음부터 저자들의 이름이 명기되어 있었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고, 사복음서의 저자들이 현재 ‘표기 되어 있는’ 저자들과 일치한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이들은 과연 어떤 근거에 의해서 이렇게 주장하고 있으며, 그들의 주장은 얼마나 신빙성이 있는 것일까? 이 논문은 최근 활동하고 있는 학자들 가운데 주도설, 저자 명기설, 저자 일치설을 주장하고 있는 학자들의 견해를 정리하고 평가해보았다. 먼저 2세기 말에 누군가 의도적으로 복음서에 이름을 붙였다는 생각에는 문제가 많은 것 같다. 2세기 말에도 여전히 사복음서는 여러 지역에 퍼져 있었던 기독교 공동체들의 자율적인 손에 맡겨져 있었다. 누군가 거기에 통일적으로 이름을 부여하라고 명령할 수 있는 권위를 가진 집단은 없었다. 따라서 사복음서의 명칭에 대해서 새로운 주장을 펼치고 있는 헹엘과 존스의 견해는 주의 깊게 경청할만하다고 생각된다. 이들은 공히 2세기 말 사복음서의 명칭에 ‘다양성’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이들에 따르면 기독교 공동체들의 사복음서에 대한 애호의 정도, 사복음서의 순서는 다양했으며, 또한 사복음서의 이름도 구체적으로 보면 다양했다. 그러면서도 사복음서의 저자 이름은 전혀 혼동되지 않은 ‘통일성’을 보인다. 이러한 통일성은 사복음서가 원래 저자에 의해서 이름이 붙여졌거나, 저술 초기부터 저자의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암시한다. According to the majority viewpoint all four Gospels were written anonymously. Recently, however, some scholars have argued that the Gospels were written by the individuals named in their titles and hence the identities of their authors were clear with certainty.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authorship of the four Gospels. Bart Ehrman, who represents the majority view, argued that the titles were not made up by their authors but by someone in the late second century. It was only after ‘heresies’ began to thrive that Christians claimed for the first time that the Gospels had been written by the supposed authors. If the supposed authors had written the four Gospels, the titles might have been “The Gospel of Jesus Christ” or “The Life and Death of Our Savior” rather than “The Gospel According to Matthew.” Martin Hengel agreed that the four Gospels did not have the authority of canon in the late second century. According to him, the four Gospels were distributed widely and quickly during that time. Various Christian communities had different predilections toward the order of the four Gospels. Nevertheless, the four Gospels used by the Christian communities over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late second century had the same titles, contents, and texts. We can explain this consistency of the titles only by premising that the four Gospels had their names from the first. The authors who wrote the four Gospels named their books themselves. Since there were no Old Testament writings without titles, it was unlikely that the four Gospels were circulated anonymously for such a long time. Timothy Paul Jones argued that the Gospels were really written by Matthew, Mark, Luke, and John who dictated the books that bore their names. His main idea was expressed in this question, “How is it possible that the names of the authors are so consistent in the ancient manuscripts of the New Testament Gospels?”. If there had not been any information about the Gospels when they were distributed at first, the titles of four Gospels must have been different. Only because all the churches received and passed on the same oral traditions about the four Gospels, could the titles of the four Gospels have been so consistent.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some believers who had the oral traditions in the late second century gave the names to the four Gospels.

      • KCI등재

        카타콤은 박해 받은 신자들의 피난처였는가?

        정기(Jung Gi m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6 역사문화연구 Vol.60 No.-

        이 논문은 로마 제국 시기에 수만 명의 기독교 신자들이 박해를 당하여 순교하였고, 카타콤은 박해 받은 신자들이 숨어 지내던 피난처였다는 ‘상식’이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는 것인지를 실증적으로 탐구하였다. 카타콤이 박해 받은 기독교 신자들의 피난처였다는 ‘전설’은 근대 초 카타콤이 재발견되면서 시작되었다. 당시 종교 개혁의 열기 속에서 카톨릭과 개신교의 신학적 대립이 격심하였다. 카톨릭 측 학자들은 카타콤의 발견과 연구가 카톨릭의 교리를 뒷받침한다고 생각했으며, 카타콤이 기독교 박해와 깊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들의 주장은 거대한 호응을 받았고, 그런 호응 속에서 카타콤에 대한 ‘전설’이 만들어졌다. 19세기 근대 학문이 본격적으로 발전하면서 합리적 비판주의에 근거해서 카타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이런 믿음은 전설에 불과함이 밝혀졌다. 이런 연구에 의하면 카타콤의 목적은 기독교 신자들의 매장이었고 기독교 박해와는 별관련이 없다. 카타콤의 구조를 보면 카타콤이 박해시의 예배처가 아니었다는 것이 쉽게 알 수 있다. 공간적으로 보아서 대부분의 카타콤 안에는 많은 신자들이 모여서 예배를 볼 수 있을 만큼 넓은 곳이 없다. 유명한 순교자나 교황의 묘 근처에 약간 큰 방이 있는 경우가 있었지만 그것은 죽은 자를 기념하는 예식을 치루기 위해서 특별히 마련된 것일 뿐이다. 물론 이런 방 가운데는 규모가 제법 큰 것이 있었고, 그런 곳에서는 성인과 순교자들에게 기도를 드리곤 하였다. 그러나 그런 곳도 많은 신자가 모여서 정기적인 예배를 볼 수 있을 만큼 크지는 않았다. 더군다나 이렇게 카타콤 내에 존재하는 죽은 자를 기념하는 예배소는 거의 니케아 시대 이후, 즉 기독교가 공인 받아 박해가 중단된 이후에 만들어졌다. There is a curious belief among peoples that the catacombs served as places of habitation or refuge for Early Christians during the roman persecutions. This belief was formed in the period of the first modern discoveries of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Many people believed and propagated this as a fact. But this is only a legend. This legend was formed by the incorrect interpretation of several sources. For example, the passage of the Roman Liber Pontificalis alludes to the residence of some Popes in the cemetries . This paper examined why this belief was formed and popularized widely. The main cause of the making of the legend was the sectarian conflicts between Catholic and Protestant. The Catholic leaders wanted to make catacombs the ideal places of catholic belief in 16-7th centuries. The ideal models of Christian belief were martyrs. So the Catholic leaders connected the catacombs to the roman persecution. In the process the legend that catacombs served as places of habitation or refuge for Early Christians during the roman persecutions was made. The Leaders of Protestant opposed the tendency of idealization of catacombs at first. But they participated in the idealization of catacombs soon. They argued that the early Christians before Constantine were most pious believers. Only the official recognition of Constantine the Christians began to corrupt. According to their opinion the catacombs ware symbols of the purity of early Christians. They endured the severity and bitterness of Roman persecution in the catacombs where they lived stealthily. But contrary to this belief the catacombs were only funerary areas used for the burial and funeral rites of members of the early christians. There weren t any places for habitation or refuge during the persecutions. Most scholars who studied this subject since 19th centuries conceded this as truth. But many Christians still believed the catacombs were refuge during persecution. It is very difficult to correct the wrong opinion which were once prevalent.

      • KCI등재

        네로의 기독교 박해

        정기(Jung Gi M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0 역사문화연구 Vol.73 No.-

        타키투스에 따르면 64년 로마에서 대화재가 발생하였고, 네로가 그가 불을 냈다는 소문을 잠재우기 위해서 기독교 신자들을 박해하였다. 그런데 타키투스는 기독교 신자들이 ‘방화죄’로 체포되어, ‘인류 혐오죄’로 처벌되었다고 모순된 진술을 하고 있다. 이 논문은 타키투스의 진술이 깊이 있게 분석되지 않고 피상적으로 읽히면서 네로의 기독교 박해가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았다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리고 로마의 화재와 기독교 박해가 관계가 있었는지, 인류 혐오죄의 내용이 무엇이었는지를 중심으로 네로 박해의 원인과 성격을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로마의 화재와 네로의 기독교 박해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은 없었다. 타키투스를 제외한 다른 자료들, 즉 수에토니우스와 기독교 교부들 누구도 두 사건을 연계하지 않았다. 타키투스가 두 사건을 연계시켰던 것은 네로의 기독교 박해가 대화재 직후에 진행되었고, 네로가 로마의 대화재 직후에 조성되었던 민심의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서 기독교 박해를 이용하고 있다는 소수 의견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기독교 신자들이 인류 혐오죄라는 죄목으로 처벌되었던 것은 로마의 대화재 이후 민심이 불안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신자들이 적극적으로 선교 활동을 펼쳤기 때문이다. 로마의 기독교도들은 가까운 시기에 종말이 올 것이라고 예언하면서, 로마인의 일상 생활과 종교 생활을 공격적으로 비판하였다. 이로 인해서 기독교도와 다신교도들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자, 네로는 기독교에 대해서 조사하도록 명령하였다. 조사 결과 로마 정부는 기독교를 사악한 미신이라고 규정하고 처벌하였다. According to the common sense Nero persecuted Christians to put an end to the rumor that the devastating fire in Rome in 64 was ordered by him. This claim is based on the statement of Tacitus. But only Tacitus related the fire to the persecution of Nero. The ancient writers including the Christians leaders did not mention the two facts together. Furthermore Tacitus conceded that the Christians were convicted not of the incendiarism but the hatred of human race. Therefore we must reconsider the relation of the fire and the persecution of Nero. I tried to reexamine the statement of Tacitus on the persecution of Nero.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re is no direct liaison between the fire and the persecution of Nero. If there were any association between the fire and the persecution of Nero, the ancient authors including Christian writers should have mentioned it. The fact that Suetonius, Dio Cassius, Clemens and others did not mention it showed the reason of the persecution was not the arson. Nevertheless we should find out the reason why Tacitus connected the two incidents. When there were severe unrest among the citizens of Rome after the fire, Nero persecuted the Christians. Nero persecuted the Christians cruelly and savagely. Several Romans regarded the act of Nero as an attempt to distract the attention of Roman from the fire. Tacitus felt sympathy with their opinion. So Tacitus stated that Nero persecuted the Christians put an end to the rumor that the devastating fire in Rome in 64 was ordered by him. The Christians were convicted of the hatred of human race. Why the Christians were persecuted? When the citizens of Rome had been suffered from hardships after the fire, the Christians of Rome did not stop their missionary activities. Particularly they maintained that the end of world was very imminent. Some Romans who got angry with the acts of the Christians accused them. Investigating the Christians, Nero and the authorities regarded the Christians as an ‘evil superstition’. This is the main reason why Nero persecuted the Christi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