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태적(形態的)으로 다른 두 옥수수 (Zea mays L.)의 혼작(混作)이 청예(靑刈)및 종실수량(種實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최봉호,최창열,박종성,이희봉,Choe, Bong Ho,Choi, Chang Yeol,Park, Jong Seong,Lee, Hee Bong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88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15 No.2

        형태적(形態的)으로 상이(相異)한 다종다얼성(多種多蘖性)인 특성(特性)인 형매교배(兄妹交配)된 IK 교잡종(交雜種)과 무얼성(無蘖性)인 진주옥 교잡종(交雜種)을 공시(供試)하여 청예수량(靑刈收量), 종실수량(種實收量) 및 이와 관련(關聯)된 형질(形質)을 비교(比較)하고자 IK와 진주옥의 파종비율(播種比率)을 1 : 1, 1 : 2, 1 : 3, 2 : 1, 3 : 1로 혼파(混播)한 것과 IK와 진주옥을 각각(各各) 단작(單作)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供試)된 품종(品種) 모두가 단작(單作)보다 혼작(混作)에서 초장(草長)이 큰 경향(傾向)이었고 진주옥의파종비율(播種比率)을 증가(增價)할수록 IK의 생육(生育)은 저조(低調)한것으로 나타났다. 2. 출현(出現) 후(後) 40 일경(日頃)까지 모든 처리구(處理區)에서 IK의 분얼수(分蘖數)는 증가(增加)하였는데 IK의 파종비율(播種比率)이 많을수록 분얼수(分蘖數)의 증가(增加)가 뚜렷하였다. 3. IK 단작(單作)의 10 a당(當) 청예수량(靑刈收量)은 출사기(出絲期)에서 8,096kg이었고, 호숙기(糊熟期)서는 6,677kg으로 가장 많았는데 이는 진주옥 단작(單作)에 비(比)해 각각(各各) 77%와 53%가 증가(增加)되었고 IK와 진주옥의 1 : 1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진주옥 단작(單作)보다 20%가 증가(增加)되었다. 4. 10 a당(當) 종실수량(種實收量)은 진주옥 단작(單作)에서 434kg이었고 IK 단작(單作)은 373kg이었는데 IK와 진주옥을 1 : 1과 1 : 3으로 혼파(混播)한 구(區)에서 IK단작(單作)의 종실수량(種實收量)보다 16%와 13%가 각각(各各) 증가(增價)되었다. 5. IK 도복(倒伏)은 단작(單作)에서 29.2%로 진주옥의 파종비율(播種比率)이 증가(增價)할수록 IK 도복(倒伏)이 증가경향(增加碩向)이었는데 IK와 진주옥을 1 : 1 혼파(混播)한 구(區)에서 IK의 도복율(倒伏率)이 10.9%로 크게 경감(輕減)되었다. 6. 진주옥의 파종비율(播種比率)이 많을수록 IK의 경직경(莖直俓)이 감소(減少)하였고 착수고(着穗高)는 IK의 파종비율(播種比率)이 많을수록 IK의 착수고(着穗高)가 낮아지는 경향(碩向)이었다. 흑조위축병(黑條萎縮病) 리병율(罹病率)은 두 품종(品穩) 모두 파종비율(播種比率)과는 관련(關係)없이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임이 확인(確認)되었다.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interplanting effects of corn, when a corn hybrid with tillers (IK derivaties) was interplanted with a corn hybrid without tillers(Jinjoo Ok). The interplanting ratios of two hybrids, IK and Jinjoo Ok, were 1 to 1, 1 to 2, 1 to 3, 2 to 1, and 3 to 1. The interp1anting effects were compared with monoculture for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1. The plant height was increased when interplanted regardless of the interplanting ratios of the two hybrids. The general growth of IK hybrid was a little hindered when the interplanting ratio of Jinjoo Ok hybrid increased. 2. The number of tillers produced by the IK hybrid increased until 40 days after emergence and appeared to increase as the interplanting ratio of IK hybrid increased. 3. When monocultured, the fresh weight of IK hybrid per 10a was 8,096kg and and 6,677kg at silking and dough stages, respectively and these were 77%, 53% over the fresh weight of Jinjoo Ok at the sarne stages. When IK and Jinjoo Ok hybrids were interplanted in 1 to 1 ratio, the fresh weight of IK was 20% higher than that of Jinjoo Ok monocultured. 4. The highest grain yield per 10a was obtained from the Jinjoo Ok hybrid monocultured and the yield was 434kg. Even the interplanting ratios between IK and Jinjoo Ok were 1 to 1 and 1 to 3, the grain yield of Jinjoo Ok was 16% and 13% over the IK, respectively. 5. Root and stalk lodging of IK hybrid was 29% when monocultured and seemed to increase as the interplanting ratio of Jinjoo Ok increased. The lowest lodging was found when the interplanting ratio of IK and Jinjoo Ok was 1 to 1. 6. Stem diameter of IK hybrid was also decreased as the interplanting ratio of Jinjoo Ok increased. The ear height of IK was lowered as the interplanting ratio of IK was increased. The two hybrids tested seemed to have tolerance to the black streaked dwarf virus(BSDV).

      • KCI등재
      • KCI등재

        브렉시트(Brexit)의 한국 컨테이너물동량에 대한 영향

        최봉호(Choi, Bong-Ho),이기환(Lee, Gi-Whan) 한국항만경제학회 2016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브렉시트로 인한 세계 거시경제환경의 변화, 특히 당사국인 영국과 EU의 경기 및 환율의 변화가 한국의 컨테이너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하여 2000-2016년의 월별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고 장기적 관계를 위한 공적분 검정과 장기 및 단기 동학적 분석을 위한 VECM모형과 인과성 검정을 위한 VECM인과성 검정을 도입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 컨테이너물동량은 장기적으로는 EU의 경기와 환율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영국의 경기와 환율은 한국의 수출컨테이너물동량에만 한정하여 영향을 미친다. 두 번째, 단기적으로는 EU의 거시경제환경 변수 중 경기 상황보다는 유로화 환율이 한국 컨테이너물동량에 미친 영향 관계가 더욱 의미가 있는데, 이는 특히 수출컨테이너물동량의 경우 더욱 명확하다. 영국도 마찬가지로 경기의 영향은 유의성이 없지만 환율은 한국 수출컨테이너물동량에 대한 영향관계의 유의성이 커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사실은 VECM인과성 검증에서도 잘 나타나 한국 총컨테이너물동량과 수출컨테이너물동량은 EU의 유로화환율에, 그리고 영국의 파운드화 환율은 한국의 수출컨테이너물동량에 대해서 인과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영국의 브렉시트로 인한 영국 및 EU의 경기 및 환율 변화에 의한 한국 컨테이너물동량의 영향은 경기 변화보다는 환율변화에 의한 것이 더 크고 주로 수출컨테이너물동량에 집중하는 등 제한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브렉시트 당사국인 영국보다는 EU의 경기 및 환율변화에 의한 영향이 좀 더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Brexit on container volume of Korea, especially of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exchange rate and industrial production of EU and United Kingdom. To do this, we use monthly time series data during 2000-2016, and introduce the analysis method of cointegration test and VECM,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industrial production and exchange rate of EU and U.K. on container volume of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ainer volume of Korea is influenced by the exchange rate and industrial production of EU in the long run. But the exchange and industrial production of U.K. influenced on only export container volume of Korea, and the influence of U.K. macroeconomic variables on container volume of Korea was not large in the long lun. Second, In the shot run, the influence of exchange rate on container volume of Korea, especially on export container volume was significant in EU and U.K. To sum up, the influence of EU macroeconomic variables on container volume of Korea is larger than that of U.K., and the influence of exchange rate variable is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industrial production variable.

      • KCI등재

        한국 ICT산업의 성장에 대한 무역 효과 추정

        최봉호 ( Bong-ho Choi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8 통상정보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한국 ICT산업의 국제경쟁력과 성장세가 둔화되고 중국 등 후발국들의 추격이 전개되고 있는 상황 하에서 ICT산업의 성장 결정요인 중 특히 무역에 초점을 두고 그 효과를 추정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횡단면 및 시계열 데이터를 사용하여 패널분석으로 추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출은 ICT 산업의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다음으로 노동, 수입, 자본이 그 뒤를 이었다. 이는 대외부문이 ICT산업의 성장을 주도해 왔으며 대내적 요인으로는 여전히 ICT산업 성장은 상대적으로 노동투입에 의존해 왔음을 의미한다. 특히, ICT 산업 성장에 대한 자본의 영향이 가장 낮았는데 이는 기술 및 자본 집약적인 고부가가치 성장 단계에 아직 진입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중국 등 후발국의 풍부한 노동력에 기반한 급속한 성장으로 경쟁이 치열해 짐으로써 노동의존적 성장으로는 ICT산업의 국제경쟁력 확보가 더욱 어려워질 것임을 유추할 수 있다. 한국의 ICT산업의 성장은 대외부문인 수출과 수입에 주로 의존하므로 ICT산업의 지속적인 성장 유지를 위해서는 대외경쟁력 제고가 핵심이며 이를 위해 자본집약적 산업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effect of trade on Korean ICT Industry growth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using on trade among the determinants of ICT industry growth. The panel estimation results using the cross - section and time series data from 2000 to 2014 are summarized as follows. Exports have the largest impact on the growth of the ICT industry, followed by labor - import - capital. This implies that the external sector has led the growth of the ICT industry and ICT industry has still relied on labor input for internal factors. In particular, the lowest impact of capital on ICT industry growth means that technology and capital-intensive high value-added growth has not yet been achieved. And ICT means that there is a limit to securing export competitiveness externally under a labor-dependent industrial structure. The growth of the ICT industry in Korea depends largely on exports and imports of the external sector.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continued growth of the ICT industry in the future, IC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rade, which is essential for technology and the efficiency of capital.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주요항만별 항만물동량과 산업성장의 인과관계

        최봉호(Bong-Ho Choi) 한국항만경제학회 2007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항만의 화물물동량과 산업성장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각 항만의 지역 산업에의 기여도와 함께 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효율성을 분석하고 항만의 국제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방안 도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단기 인과관계는 부산항, 인천항, 울산항에서 항만물동량이 지역산업성장을 인과하지 않았으며 광양항의 경우도 인과관계는 성립하지 않았다. 하지만 장기인과성은 항만물동량의 지역산업성장으로의 관계가 부산항과 인천항에서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천항은 항만물동량의 지역산업성장으로의 인과관계가 가장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측오차분산분해를 통한 항만물동량의 지역산업성장에 대한 구체적 기여도에 있어서는 인천항이 제일 크고 다음으로 광양항, 부산항, 울산항의 순서였다. 따라서 주어진 재원을 현재와 같이 분산 투자함으로써 모든 항만의 경쟁력을 저하시키기 보다는 선택과 집중에 의해 항만간 투자를 조정하여 투자재원의 효율화와 항만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게 정책의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현재의 비효율적인 항만관련 투자도 항만물동량이 지역산업성장에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재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rading volume of freight and industrial growth in Korea ports, and to induce policy implications. In order to test whether time series data is stationary and the model is fitness or not, we put in operation unit root test, cointegration test. And we apply Granger causality based on an error correction model, Hsiao(1981) method and variance decomposi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tent of causality between trading volume of freight and industrial growth is strong in order of Incheon port, Busan port, Gwang Yang port, Ulsan port. We can infer policy suggestions as follows; The port policy of government must be focused on re-adjusting investment among Korea ports and raising competitive power of Korea ports.

      • KCI등재

        한국 ICT산업의 총요소생산성증가율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최봉호 ( Choi Bong Ho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8 통상정보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한국 ICT산업의 총요소생산성을 추정한 다음 이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 요인을 도출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방법 및 차별점은 지금까지 거의 없던 ICT산업 총 요소생산성 영향 요인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또한 성장회계방식, 초월대수함수 방식, 솔로우 잔차 방식 등의 다양한 추정방법을 채택하고 패널VAR모형을 이용하여 충격반응함수와 예측오차 분산분해 등 동태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는 점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ICT산업의 평균 성장률은 8.62%이며 성장률 증가에 대한 기여는 자본기여도, 총요소생산성증가율, 노동기여도의 순서이다. 총요소생산성증가율에 대한 영향 요인과 관련하여 무역개방도 비율은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수출의 기술전파 및 학습효과, 규모의 경제효과 등과 수입의 경쟁촉진 효과 등이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였음을 의미한다. 인적자본축적 관련(HC) 비율은 총요소생산성 비율에 대하여 정(+)의 영향을 미쳤다. 동태적 분석에서는 총요소생산성에 대한 영향과 기여는 대외적인 무역개방도의 영향이 내부적인 인적자본축적관련 요인보다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ICT산업의 성장률 증가는 내부적 요인보다는 무역개방도와 같은 대외적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더 큰 영향을 받았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ICT산업의 지속적인 성장 유지를 위해서는 대외경쟁력 제고가 중요하지만 역설적으로는 인적자본축적 등과 같은 내부적 요인의 강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of Korean ICT industry and to estimate direct factors affecting it,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his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of panel data and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forecast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by using various estimation methods such as growth accounting method, transcendental algebra function method, solow residual method, and panel VAR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average growth rate of the ICT industry is 8.62%, and the contribution to the growth rate is the order of capital contribution,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and labor contribution. In term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rate of TFP, the ratio of trade opennes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rate of TFP growth. This implies that the effects of exports on technology diffusion and learning, economies of scale, and the stimulation of import competition have negatively affected the growth rate of TFP. The ratio of human capital accumulation (HC)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atio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the dynamic analysis, the effect and contribution to TFP was found to be greater for the effects of external trade openness than for internal capital accumulation. It means that the increase in the growth rate of ICT industry in Korea is more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 such as trade opening rather than internal fact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competitiveness by strengthening internal factors such as human capital accumulation in order to maintain competitiveness of ICT industry.

      • KCI등재

        한국 항만물류산업에 대한 해외직접투자의 영향

        최봉호(Bong-Ho Choi) 한국무역연구원 2018 무역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the growth of port logistics industry through the development of port hinterland and the creation of port trade volume. The method is based on the vector autoregression model (VAR). We estimate the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s through cointegration tests and estimation of cointegration coefficients. We also analyze on short-term dynamics as well as long-term equilibrium relationships through causality tests,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forest error-variance decomposition using error correction model. As a result, foreign investment factors have a positive (+) impact on the growth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n the long term and short term. In particular, the impact of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s more immediate and impactful ove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n that of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However, the contribution of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the growth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s larger than that of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but it is decreasing with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aise policy and academic interest on how to link the growth of port logistics industry with the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the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 KCI등재
      • KCI등재

        광역권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최봉호(Bong-Ho Choi) 한국항만경제학회 2009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5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광역권 항만산업의 경제적 기여도 및 효율성을 분석하여 국가전체적인 항만시설 및 항만산업 투자 등에 있어 정부의 권역별 항만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003년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최종수요 및 항만산업 생산활동을 기준으로 생산, 부가가치, 취업 등의 유발계수를 도출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분석대상 권역의 항만산업은 구조상으로 볼 때 생산액 비중, 입지계수, 부가가치율 등과 같은 주요 경쟁력 지표와 경제적 파급효과에 있어 타 산업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상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권별로 최종수요에 의한 유발효과와 항만산업의 외생화를 통한 항만산업 생산활동에 의한 유발효과 분석 모두에서 전라권이 생산유발, 부가가치유발, 취업유발효과에서 가장 우위에 있으며, 부울경권은 부가가치유발과 취업유발효과에서 약간의 우위를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도권 항만산업은 생산액과 입지계수의 우위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기여도에서는 분석대상 지역 중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 효과 등이 가장 열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로 볼 때 정부는 항만산업자체가 주도적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핵심 서비스산업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권역별로 항만산업의 경제적 기여도 등 실태를 정확히 분석하여 투자의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항만 배후단지와 연계한 항만물류산업단지의 조성과 육성 등을 위한 정책적 지원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nalyses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economic effects of wide-regional zones port logistic industry. The analysis on regional economic impacts is conducted in two ways, among which one is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final demand of the industry on regional economy and the other is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industry's production activity with using input-output analysis.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de-regional zones port logistic industry has lower value-added rate relative to other industries. Busan-Ulsan regional zone has relatively higher value-added rate than other regional zones. Second, the economic effects of final demand and production activity of the industry are found to be the largest in Jeolla regional zone and the lowest in Sudo regional z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