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Некоторые социолингвистические аспекты трансформации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контексте англоязычных заимствований, получивших лексикографиче

        김영식,Преловская Е.В.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2 외국학연구 Vol.- No.19

        Интерес к социолингвистической проблематике вполне закономерен. Он обусловлен потребностями современного общества, испытывающего острую необходимость в научно разработанных принципах языковой политики, внутрилингвистической ориентации структурного языкознания, включающей социальный контекст языка. Вопрос о тенденциях появления англоязычных заимствований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продолжает дискутироваться в современной социологической мысли. За последнее десятилетие XX века русский язык стал реципиентом большего количества английских заимствований, по отношению к предыдущему десятилетию. Выявлены сферы или типологические группы, которые представляется целесообразным рассматривать как отдельно, так и в контексте различных социальных институтов.

      • KCI등재

        Новый взгляд на Корейско - Российские отношения через призму истории переселения корейцев в Россию на примере общества и экономики

        Ким Ен Сик(김영식),Преловская Е.В.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4 슬라브학보 Vol.19 No.2

        1917년에 극동지역에는 2만명이상의 러시아 국적을 가진 조선인들이 살고 있었다. 러시아 정부기관에는 러시아 국적을 받기를 원하는 지원자가 많았으며, 조선인들의 지원서가 쌓였다. 러시아 극동지역 전체 한국인 공동체에 살고 있는 한인들은 약 10만 명이나 되었다. 극동지역에 확립되었던 소비에트 정권은 1922년말에 조선인의 생활을 완전히 변화시켰다. 일부 조선인의 공유체는 10월혁명을 지지하였으며, 소비에트 정부는 이들이 일본의 식민지로부터 자유로와 질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그러나 다른 조선인의 공동체는 공산주의의 이데올로기를 거부하였으며, 10월혁명이 성공한 후 그들의 기세는 약화되었다. 고문서 보관소의 자료에 의하면, 10월혁명후 많은 조선인들은 소비에트 정권으로부터 도망갈 생각을 하였다고 적고 있다. 이것은 스탈린정권이 수립된 이후 농업의 집단농장화(Kolkhoz)를 실시하여 조선인들의 생활력을 감소시켰다. 조선인들은 이제 이곳에서 할 일을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하였으며, 이러한 목소리는 소비에트 정권이 점차적으로 조선인들을 강하게 진압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더욱 강압된 정책으로 사람들을 복종시켰다. 이러한 상황은 러시아 전지역에서 발생하였으며 모든 민족들에게 나타났다. 1937년 소비에트 정권은 조선인(한국인)들을 일본스파이라고 하였으며, 또한 소련은 일본과의 전쟁을 준비하기 위해 조선인 거주지역을 작전지역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그럴싸한 이유를 붙여 조선인을 극동지역으로부터 중앙아시아와 카자흐스탄으로 이주시켰다. 이와 같이해서 소련 극동에서의 스탈린 시대 조선인의 역사는 끝이 났다. 이것은 조선의 역사중에서 비극적인 사건중의 하나이다. 몇몇 현대 연구자들은 이러한 강제추방을 논리적으로 러시아 제정시대와 소비에트 정책의 끝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나는 이와 같은 의견에 동의할 수 없다. 극동지역에 살았던 한국인들은 대부분 한국-러시아, 러시아-중국의 국경 근처에 살고 있었던 사실 때문에 중앙아시아와 카자흐스탄으로 강제 추방되었으며, 그러한 사실은 소련이 일본을 공격하기 위해 국경선에 요새지대를 설치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과대평가해서는 안되며, 기본적으로 소수민족 이주는 소련의 정책에 의해 강제추방(이주)했다는 사실이다. 물론 이러한 사실은 각각의 상황을 나누어서 분석(해석)해야 한다. 그 예로 19C말 러시아 황제는 많은 한인들이 같은 민족인 한국 국경에 접해 살고 있는 것을 불안해하였다고 한다. 러시아 정부는 이러한 사실이 한국과 러시아, 러시아와 중국간에 복잡한 관계를 가져오리라 생각했다. 그리고 1880년초 급기야 중국과 러시아는 국경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러시아 정부는 한국과의 외교적 관계뿐만 아니라 국경에 사는 한인들이 한국으로 넘나들면서 많은 사회적문제가 발생하자 남우수리스크 지역으로 이주시키기를 원했다. 이것을 위해 제정러시아 정부는 1886년 11월 22일 법을 만들어 통과시켰다. 그리고 극동지역 정부는 한인이주에 대해서 자세히 연구했으나 이미 한인들은 1884년후부터 러시아 국적을 받기 시작했기 때문에 이주가 불가능하게 되었으며, 재정러시아 정부는 한인들을 이주시키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점에서 한인들에 대한 정착은 재정 러시아 정부의 정책과 스탈린정부의 정책들이 논리적인 면에서 매우 유사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시점에서 러시아에서 한인이주사는 새로운 전환기에 놓여있다. 즉 중앙아시아와 카자흐스탄으로 이주해 살고 있는 한인들이 이들 국가의 독립과 소수민족 탄압정책에 의해 다시 돌아오려 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앙아시아에 있는 한인들의 이미 극동지역으로 이주를 시작했으며, 러시아의 경제적 여건이 이를 허락지 못하고 있다. 한편, 사회적, 경제적 여건으로 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러시아는 이것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러시아와 구소련에서의 사회적, 경제적 위기가 계속되고 있으므로 그들의 정체성을 찾기가 어려우며, 정체성을 찾으려는 한인들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방편으로 1990년대초 대중매체에서는 한인들이 연해주에 자치주를 만들려 하고 있다고 보도하였다. 그러나 가까운 미래에 자치주의 성립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러시아로 초기에 이주한 한인들과 러시아인들은 서로 깊은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많은 역사적 사실들이 증명하고 있으며, 이것을 증명하는 많은 문서도 있다. 이러한 현상은 역사적으로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제정러시아시대 러시아인들은 서쪽에서 동으로 이동하였으며, 한인들은 북으로 이주하였다. 물론 그들의 문화, 전통, 생활, 사회적 구조 등 모든 것이 전혀 다른 민족들이었다. 한인의 이주사는 140년이나 되었다. 방법론적으로 이것은 세계사속에서 재평가되어야 하며, 구체적인 한인 이주사에 대한 사건과 문서 등 사실에 근거를 둔 형태로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세계사적 관점에서 한인의 이주사는 진보적인 현상이며, 한인 이주사는 러시아국민과 한국국민 간에 혹은 슬라브문화와 극동아시아 문화의 친밀한 상호작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1860년대 최초로 러시아 한인들이 이주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다.

      • KCI등재

        Великий Сибирский путь - вчера, сегодня, завтра - История, современные проблемы и перспективы развития

        Ким Ен Сик(김영식),Преловская Е.В.(에카테리나 프렐로브스카야)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3 슬라브학보 Vol.18 No.1

        북녘의 땅, 천연자원의 마지막 보고라 할 수 있는 시베리아를 개발하기 위해 동북아시아국가들은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베리아를 개발하기 위해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TSR은 블라디보스톡에서 모스크바에 이르까지 9,288㎞ 이며, 동으로는 동해에서 서로는 발틱해에 이르기까지 광활한 대지를 관통하는 세계 최장의 단일철도이다. 한반도가 동북아 운송물류의 중심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항만ㆍ철도 중심의 교통망 체계를 확립해야 하므로 TSR은 한반도의 대륙으로의 진출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또한 화물운송의 경우 거리와 비용면에서도 철도 및 해운 수송이 유리하며, 여객운송의 경우도 철도가항공보다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다. 따라서 한국은 TSR과 TKR을 연결하여 한반도를 대륙경제권에 편입시키고 이를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단절된 남북간의 철도 복원과 함께 사다리형의 한반도 통합 간선철도망을 구축해야 한다. 한반도의 종단철도망(TKR)과 중국의 대륙횡단철도(TCR), 그리고 러시아의 시베리아 횡단철도(TSR)를 하나의 대륙철도망으로 연결하여 한반도를 동북아의 물류 중심지, 교통의 중심지로 만들어야 한다. 뿐만아니라 경쟁력 있고 첨단복합시설을 갖춘 초대형 국제공항 및 항만을 건설하여 Hub기능을 갖춘 운송망을 구축하여 인접국가인 중국ㆍ러시아ㆍ일본과의 연계 교통망을 확대 구축하여 한반도를 동북아시아의 교통망의 중심지로 개발해야 한다. 한반도 종단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연결이 의미하는 것은 단순히 한국에서 유럽까지 화물운송시간의 단축에 그치지 않으며, 지금까지 해상운송의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한국의 수출입 물류체제를 해상-육상 복합 운송체제로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ㆍ러 경제협력에 관심을 갖고 좀더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안목과 전략을 갖춰 한국이 21세기 ‘철의 실크로드’를 여는 주역이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Перспективы Российско - Корейских торговых отношений в контексте TSR - TKR

        Ким Ен Сик(김영식),Преловская Е.В(Prelovskaya),Ан Санг Хуан(안상환)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3 슬라브학보 Vol.18 No.2

        본 논문은 한국종단열차(TKR)와 시베리아 횡단열차(TSR)의 연결에 대항 논의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철도연결에 따른 한국과 러시아의 경제적효과에 대한 전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반도의 경우 경의선과 동해선 복원이 진행 중에 있으며, 완료되면 개성 공단 사업과 금강산 관광산업의 활성화는 물론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와 연계된 동북아물류 기지의 중심축으로 남북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경의션은 중국횡단철도(TCR)와 연결되고, 동해선은 시베리아 횡단철도(TSR)로 이어지는 ‘철의 실크로드’를 구상하고 있다. 경의선과 동해선의 철도복원은 남과 북 모두에게 큰 경제적 이득을 가져다 줄 것으로 전망되며, 남북경협과 인적 왕래를 비롯한 군 신뢰 구축 등 남북관계 개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전체 물량의 60% 이상을 해상수송에 의지하고 있으므로 남북간 물자 교류가 철도 복원으로 육로를 이용하게 되면 엄청난 물류비용 절감효과가 예상된다. 뿐만아니라 철도가 지나가는 지역에는 물류센타 건설을 통한 경제적 파급효과 또한 클 것으로 예상된다. 경의선이 복원될 경우는 개성공단의 활성화를 촉진하고 중국종단철도(TCR)와 연결되어 새로운 화물 수송로의 역할을 담당할 것이며, 동해선이 복원될 경우는 부산-나진-블라디보스토크-유럽으로 이어져 ‘철의 실크로드’가 완성된다. 그리고 유럽으로 운송되는 일본 및 동남아시아의 화물을 유치하여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와 연결시킬 경우 물동량은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1999년말 현재 남북한이 선박을 이용해 운송하는 물동량은 98만3.612톤으로 남북 정상회담 이후 이 물동량이 매년 30%씩 증가하고 있으며. 철도망올 통한 남북화물 운송이 본격화되는 2005년의 남북 물동량은 475만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동해선이 복원되면 이에 따른 경제적 효과는 물류비 절감, 통과운임 수입 등을 포함하여 연간 2억달러 이상의 경제적 효과를 거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2001년 기준 한 해에 4억달러인 남북간의 교역을 단기간 내에 10배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부산-유럽간 컨테이너 수송 비용을 현재의 1/2 수준인 1,200~1,300달러까지 낮춰 물류비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송기간도 10일 정도 단축되어 보다 많은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철의 실크로드’가 완성되기까지는 많은 문제점들이 산적해 있다. 하나는 TSR과 TKR 복원에 따른 복구비용어다. 동북아시아 국가들이 컨소시엄을 통해 복원에 참가 한다하더라도 천문학적인 복구비용을 어떻게 마련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이다. 둘째는 ‘철의 실크로드’는 여러 나라를 통과해야 한다. 따라서 통과국들간의 경제적 이해에 따른 마찰을 어떻게 최소화 합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해야 하는 것이 바로 우리들의 과제인 것이다. 이처럼 ‘철의 실크로드’를 완성하기 위한 우리들의 열망은 시베리아의 원유, 천연가스 등의 자원개발과 더불어 더 욱 커지고 있다. 최근 중국의 눈부신 성장으로 인해 세계에서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철의 실크로드’의 완성에 대한 논의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한반도를 동북아시아에서의 교통ㆍ물류의 중심지로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유일한 대안이다.

      • KCI등재

        Демографические и макроэкономические аспекты рынка труда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Ким Eн Сик(Kim, Youngsik),Преловская Е.В.(Prelovskaia, E.V.)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4 슬라브학보 Vol.29 No.2

        The article describes current status of macroeconomic aspects of the labor market in Primorye Territory of Russia.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role of demographic and labor potential of Primorye Territory population. The authors give economical analysis of unemployment and social welfare issues and the article deals with changes in the structure of employment in the Primorye Territory, forecast for the Primorye Territory labor potential and changes in the structure of employment. The formation of the labor market during the transition to a market economy is still a complex and multifaceted problem. Addressing issues related to the problems of labor and employment, a comprehensive approach to assess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unemployment, the nature and direction of their interaction, analysis of state regulation of the labor market and good governance are relevant today. Analysis of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in the labor market of Primorye Territory, due to the fact that they primarily affect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The situation in the labor market is one of the indicators of the state of the economy, its stability, social protection of the population. In general, the article offers lively picture of transforming macroeconomic aspects of the labor market in Russian Primorye Terri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