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갈대 생육지에서 질소 시비가 사초의 생육과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서성,박진길,김원호,김맹중,이상학,정종성,박형수,성하균,이종경,Seo, Sung,Park, Jin Gil,Kim, Won Ho,Kim, Meing Jooung,Lee, Sang Hak,Jung, Jong Sung,Park, Hyung Soo,Sung, Ha Guyn,Lee, Joung Kyong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3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질소(N) 시비가 부존 조사료자원인 갈대(Phragmites communis)의 생육과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012년에 충남 천안과 경기 안산지역에서 실시되었다. 천안 국립축산과학원 갈대 재배지에서는 N 무시비구, N 50 kg/ha구, N 100 kg구 등 3처리를 두고 4월 30일 시비, 6월 21일 수확하였으며, 안산 시화간척지 갈대 자생지에서는 N 무시비구, N 60 kg/ha구 등 2처리를 두고 5월 1일 시비, 8월 1일 수확하였다. 갈대의 초장과 엽색은 N 시비구에서, 그리고 N 시비수준이 높을 때 양호하였다. 건물률은 N 시비구에서 약간 낮아지는 경향으로 천안지역은 무시비구 39.8%, N 시비구 37.6%, 36.7%, 안산지역은 무시비구 39.4%, N 시비구 37.6%였다. 천안지역의 건물수량, 조단백질 수량 및 가소화 건물수량은 무시비구에서 ha당 각각 4,026 kg, 235 kg, 1,850 kg, N 50 kg 시비구는 각각 4,658 kg, 306 kg, 2,388 kg, N 100 kg 시비구는 각각 5,622 kg, 446 kg, 3,143 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안산지역은 무시비구에서 각각 2,802 kg, 177 kg, 1,288 kg, N 60 kg 시비구는 각각 3,876 kg, 294 kg, 1,853 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천안지역의 조단백질 함량, 건물 소화율 및 상대사료가치 (RFV)는 무시비구에서 각각 5.85%, 45.96%, 64.0 (품질 5등급), N 50 kg 시비구는 각각 6.58%, 51.27%, 72.3 (5등급), N 100 kg 시비구는 각각 7.94%, 55.91%, 72.7 (5등급)로 높아졌으며, 안산지역도 무시비구에서 각각 6.30%, 45.98%, 70.2 (5등급), N 60 kg 시비구는 각각 7.59%, 47.80%, 78.3 (4등급)으로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갈대 생육지는 시비가 가능한 조건이라면(하천변이나 강변 등 수질오염이 우려되는 지역이 아닌), ha당 N 60~100 kg을 생육기에 시용해 주는 것이 생산량과 사료가치를 크게 개선시켜줄 수 있어 바람직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itrogen (N) fertilization on the forage growth, production and quality of native reed (Phragmites communis) grasses.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Cheonan and in Ansan, 2012. Treatments were control (no N fertilization), 50 kg/ha and 100 kg/ha in Cheonan plots (fertilization on April $30^{th}$, and harvest on June $21^{st}$). Treatments in Ansan plots were control (no N fertilization) and 60 kg/ha (fertilization on May first, and harvest on August first). Forage growth and leaf colors were improved in N fertilized plots. However, the drymatter (DM) percentage was slightly decreased with N fertilization. Forage yields, in terms of DM, crude protein (CP) and digestible DM (DD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N fertilization in both sites. In Cheonan, DM, CP and DDM yields per ha were 4,026 kg, 235 kg and 1,850 kg, respectively, in the control plot, and were 4,658 kg, 306 kg and 2,388 kg, respectively, in the N 50 kg plot, and 5,622 kg, 446 kg and 3,143 kg, respectively, in the N 100 kg plot. In Ansan, DM, CP and DDM yields per ha were 2,802 kg, 177 kg and 1,288 kg, respectively, in the control plot, and were 3,876 kg, 294 kg and 1,853 kg, respectively, in the N 60 kg plot. Forage quality in terms of CP content, in vitro DM digestibility (IVDMD) and relative feed value (RFV) were also increased with N fertilization in both sites. In Cheonan, the CP content, IVDMD and RFV were 5.85%, 45.96% and 64.5 (grade 5), respectively, in the control plot, 6.58%, 51.27% and 72.3 (grade 5), respectively, in the N 50 kg plot, and 7.94%, 55.91% and 72.7 (grade 5), respectively, in the N 100 kg plot. In Ansan, the CP content, IVDMD and RFV were 6.30%, 45.98% and 70.2 (grade 5), respectively, in the control plot, and 7.59%, 47.80% and 78.3 (grade 4), respectively, in the N 60 kg plot. In conclusion, N fertilization of 60~100 kg/ha was desirable for greater forage production, with a higher quality of native Phragmites communis achievable. This should only be applied if the fertilization area is not located at a riverside/streamside or in riparian land where there is a high risk of water pollution by fertilization.

      • KCI등재

        라오스의 벼 생산 현황과 문제점

        이문희,최경진,이정일,정남진,양원하,김제규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1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3 No.4

        Rice is the single most important crop in Lao PDR. In the 2000 rice production year, total rice production in the Laos reached 2.2 million tons. This is regarded as sufficient to provide national self-sufficiency. The rice harvested area in 2000 was approximately 719,500ha and represented 80% of cropped land area. Approximately 82% of production was from wet season cropped and 18% was from the irrigated dry season. Grain yield per unit area vary from 1.68 to 4.39 ton/ha in the wet season environment. However, the highest grain yield (4.39 ton/ha) obtained from the dry season irrigated crop. Higher yields and reduced year variation in production can be expected with the further intensification of production systems in the low land environments. However, further imporvements in production will be dependent on higher levels of inputs and further alleviation of some the production constraints.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건전지의 본질안전 방폭성 평가에 관한 연구

        지승욱,이광식,이동인,박원주,이춘하,김하호 嶺南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1997 工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5 No.1

        Ignitability of explosive gas mixture by spark of dry cell in case of short circuit by accident was studied for the purpose of evaluation of intrinsically safe characteristics of dry cell that manufactured in Korea. IEC type spark test apparatus, 21±2[vol%] of hydrogen-air mixture, and dry cell that produced in Korea was used for the experimen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d for design, manufacturing and using the intrinsically safe electrical apparatus.

      • KCI등재

        2010 파주, 안산지역 갈대, 억새 등 야초류의 이용실태와 사료가치 평가

        서성(Sung Seo),김원호(Won Ho Kim),정민웅(Min Woong Jung),박형수(Hyung Soo Park),심재진(Jae Jin Shim),박진길(Jin Gil Park),성하균(Ha Guyn Sung),김종덕(Jong Duk Kim),이종경(Joung Kyong Le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1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는 부존 조사료자원의 이용을 활성화하여 수입사료를 줄이고 가축 사료비를 절감하고자 2010년도에 경기 파주 (민통선 지역)와 경기 안산 (시화지구)에서 갈대와 억새 등 야초자생지를 탐색하고, 수확?이용실태 조사와 함께 사료가치를 분석하였다. 파주 민통선 내억새 (Miscanthus sinensis)와 갈대 (Phragmites communis) 혼합 자생지는 90~100 ㏊ 규모로, 1차 곤포작업으로 사일리지 520톤 (㏊당 6톤), 2차로 380톤 (㏊당 4톤)을 조제하여, 연 사일리지 900톤 (㏊당 10톤)을 생산하였다. 곤포의 유통가격은 롤당 52~55천 원으로 ㎏당 130~137.5원이었다. 곤포는 자가소비 50~70%, 판매유통 30~50%로, 수익성은 인건비 정도로 추정되었다. 초장 70 ㎝의 재생 억새는 조단백질 9.6%, 상대사료가치 82.4 (건초 4등급), 건물 소화율 67.7%, 초장 70 ㎝의 재생 갈대는 각각 13.8%, 84.3 (4등급), 67.9%로 사료가치는 높았으며, 수확이 늦어짐에 따라 사료가치는 크게 낮아졌다. 안산 시화지구 (3공구)의 갈대 등 야초류자생지는 100 ㏊ 정도로 2009년도에는 50 ㏊에서 사일리지 550톤 (㏊당 11톤)을 생산하여 롤당 50천 원에 유통하였으며, 2010년도는 잦은 강우와 장마로 부분 이용에 그쳤다. 고초기의 갈대는 건물률 89.8%, 조단백질 2.2%, NDF 80.6%, ADF 55.4%, 상대사료가치 52.9 (5등급), 건물 소화율 36.4%로 볏짚에 비해서도 사료가치는 크게 낮았다. 초장 80 ㎝의 재생 갈대는 조단백질 12.9%, 상대사료가치 99.8 (3등급), 건물 소화율 66.6%로 사료가치는 양호하였으며, 개화기의 초장 150 ㎝ 갈대는 조단백질 4.5%, 상대사료가치 59.9 (5등급), 건물 소화율 42.2%로 볏짚의 사료가치와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볼 때, 갈대, 억새 등 야초류는 현 상태에서 최대한 수거?이용하되, 사료가치를 유지하고 가축 기호성을 고려한 시기에 수확하는 것이 중요하며, 최소한 볏짚과 비슷하거나 그 이상의 사료가치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7월 중순 이전 (늦어도 7월까지)에 수확?이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대부분의 야초류는 상대사료가치가 75 이하인 건초 5등급으로 사료가치는 매우 낮았으며, 키가 작은 영양생장기에 수확한 경우에만 4등급으로 나타났다. 부존 조사료자원의 이용은 양질의 사료작물 생산과 병행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2010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and nutritive value of native grasses, such as Phragmites communis and Miscanthus sinensis which might reduce the cost of feeding domestic cattle. The regions within the Civilian Control Line in Paju and Sihwa region in Ansan were surveyed. In Paju, the yearly silage production was 900 MT harvested from 90 ha (10 MT/㏊). About 30~50% of these were sold out at the marketing price of 52,000~55,000 Won per roll (130~137.5 Won/㎏). Regrown Miscanthus sinensis of 70 ㎝ in length contained 9.6% of crude protein (CP), 82.4 of relative feed value (RFV), and 67.7% of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Regrown Phragmites communis of 70 ㎝ in length contained 13.8% of CP, 84.3 of RFV, and 67.9% of IVDMD. As harvesting was delayed, the quality was decreased dramatically. In Ansan region, Phragmites communis plantation covers 100 ha. The silage production was 550 MT from the area of 50 ha (11 MT/㏊) in 2009. And the marketing price was 50,000 Won per roll. But in 2010 only a small amount of grasses could have been baled due to frequent and much rainfall from spring to summer season. However, the good forage quality was observed from regrown Phragmites communis of 80 ㎝ in length, 12.9% CP, 99.8 RFV and 66.6% IVDMD, while that of late matured grasses was very low, 2.2% CP, 52.9 RFV and 36.4% IVDMD, greatly lower than forage quality of rice straw. The quality of grasses at bloom stage of 150 ㎝ in length was similar to that of rice straw, showing 4.5% CP, 59.9 RFV and 42.2% IVDMD. In conclusion, the overall quality of most native grasses in this survey were very poor. Therefore, we recommend that Phragmites communis and Miscanthus sinensis should be harvested during June or July to obtain better forage quality which is richer in forage values than rice straw. Production of high quality forage crops was also desirable for self sufficiency of forage.

      • KCI등재후보

        돈분뇨 액비 시용이 양파의 생육, 양분흡수량 및 토양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이종태(Jong Tae Lee),하인종(In Jong Ha),김희대(Hee Dae Kim),문진성(Jin Seong Moon),김우일(Woo Il Kim),송원두(Won Doo Song) 한국원예학회 2006 원예과학기술지 Vol.24 No.2

        벼와 양파 2모작 논토양에서 효율적인 돈분뇨 액비 시용을 위하여 액비 시용에 따른 양파의 생육, 양분흡수량 변화와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사용된 액비의 질소, 인산 및 칼륨 함량은 각각 4.2, 0.34, 1.2g kg⁻¹ 등이었다. 추비용 액비는 시용 10일 전에 물로 2배 희석하여 월 2회씩 4회와 6회로 나누어 시용하였다. 기비는 질소표준시비량 기준으로 19,280kg ha⁻¹로 시용하였으며 추비에 사용된 액비량은 101,910kg ha⁻¹이었다. 양파의 초장은 정식 136일 후부터 186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화학비료구, 액비기비+화학비료 추비구 및 액비기비+액비 4회 추비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무비구와 액비전량 기비구는 양분부족으로 생육이 저조하였다. 구 비대초기의 구경은 무비구에서 가장 컸으나 그 이후 화학비료구와 액비시용구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엽 생체중의 변화는 초장과 유사한 경향을 보인 반면 구 생체중은 구경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초장과 엽중은 화학비료구와 액비전량 기비구 및 액비기비+액비 6회 추비구간 다소 작았으나 구경, 구중 및 엽수는 처리간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양파 구와 잎의 양분흡수량은 전 생육기간에 시그모이드 형을 나타내었으며 잎과 구의 양분흡수량은 각각 잎과 구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화학비료구와 액비기비+화학비료 추비구 및 액비 4회 추비구간에 양분흡수량의 차이는 없었고 액비전량 기비구에서 잎의 질소와 칼륨흡수량이, 구의 질소흡수량이 화학비료구보다 적었다. 무비구는 질소, 칼륨 및 마그네슘 흡수량이 다른 처리구보다 적었다. 액비기비+액비 4회 추비구에서 질소와 인산이용률이 각각 23.5%, 13.2%로 가장 높았으나 액비기비+액비 4회 추비구에서 칼륨이용률이 높았고 상품 수량도 55.0Mg ha⁻¹로 가장 많았다. 구의 질소, 인산 및 칼륨함량은 생육이 진전됨에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잎의 질소함량은 생육초기에 가장 많은 반면 칼륨함량은 구비대 초기에 가장 많았다. 수확 후 토양 pH, 질산태 질소, 교환성 칼륨 및 EC 농도는 화학비료구보다 액비시용구에서 약간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돈분뇨 액비를 기비로 시용하고 3배 희석한 액비를 2월과 3월에 4회 추비하면 균형적인 양분공급이 가능하고 적정 수량도 확보할 수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liquid pig manure (LPM) on the nutrient uptake, yield of onion and soil properties. The LPM applied to onion field contained 4.2 g kg⁻¹ N, 0.34 g kg⁻¹ P, 1.2 g kg⁻¹ K and it was diluted with water by 1:2 for top-dressing, which was applied separately 4 or 6 times from February to April. The LPM application rate for basal fertilization was 19,280 kg ha⁻¹ which included 80 kg N, 6.6 kg P, and 22 kg K. The application rate for top-dressing was 101,910 kg ha⁻¹ which included 160 kg N, 13 kg P, and 53 kg K. The plant height was not almost different among treatments until 136 days after planting. Thereafter, it enlarged abruptly until 186 days, on May 4.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F and LPM + top-dressing by CF or LPM I was not shown, but no fertilizer and LPM only (it was applied totally as basal fertilization) made plant height of onion lessen at the maximum growth stage because of insufficient nutrients. The plant diameter increased after 136 day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F or LPM and no fertilizer from 186 days after planting. The leaf weight was similar tendency to plant height while bulb weight was similar to plant diameter. The amount of nutrient uptake in leaf coincided with leaf growth and the nutrient uptake in bulb swelled simultaneously with bulb growth. The difference between CF and LPM + top-dressing by CF or LPM I was not significant in nutrient uptake of onion leaf and bulb. But LPM only decreased in nitrogen and potassium of leaf and in nitrogen of bulb. And no fertilizer made a remarkable difference to others in nitrogen, potassium and magnesium of leaf and bulb. The utiliza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LPM + top-dressing by CF were 23.5%, 13.2% respectively, more than the others. The LPM + top-dressing by LPM I was most available with potassium, and it leaded the most abundant marketable yield by 55.0 t ha⁻¹ as well. The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contents in bulb were inclined to decrease with progress of onion growth. The nitrogen contents in leaf maximized at the initial growth stage while potassium contents increased at the initial bulbing stage. The LPM application increased pH, nitrate nitrogen, potassium and EC in soil more than chemical fertilizer (CF) did.

      • KCI등재후보

        고착협 내탈립 기계수확 적응 장류⋅두부용 콩 품종 ‘새금’

        김현태(Hyun Tae Kim),한원영(Won Young Han),이병원(Byung Won Lee),고종민(Jong Min Ko),이영훈(Yeong Hoon Lee),백인열(In Youl Baek),윤홍태(Hong Tai Yun),하태정(Tae Joung Ha),최만수(Man Soo Choi),강범규(Beom Kyu Kang),김현영(Hyun Yeong K 한국육종학회 2019 한국육종학회지 Vol.51 No.4

        The soybean cultivar, ‘Saegeum’, has been developed for preparing soy-paste and tofu. The soybean cultivars ‘Daepung’ and ‘SS98207-3SSD-168’ were crossed in 2003 to obtain ‘Saegeum’. Single seed descent method was used to advance the generation from F3 to F5, and the plant lines with promising traits were selected from F6 to F7 by pedigree method. The preliminary yield (PYT) and advanced yield trials (AYT) were conducted from 2009 to 2010, and the regional yield trial (RYT) was conducted in 12 regions between 2011 and 2013.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egeum’ were as follows: determinate plant type, white flower, tawny pubescence color, and brown pod color. Flowering and maturity dates were August 2, XXXX and October 17, XXXX, respectively. Plant height, first pod height, number of nodes, number of branches, and number of pods were 79 cm, 18 cm, 16, 2.3, and 44, respectively. The seed characteristics of ‘Saegeum’ were as follows: yellow spherical shape, yellow hilum, and the 100-seed weight was 25.4 g. ‘Saegeum’ was resistant to bacterial pustule and SMV in the field test, and its lodging resistance was mildly strong, whereas its shattering resistance was excellent. The ability of this cultivar to be processed into tofu, soybean malt, and other fermented products was comparable with that of ‘Daewonkong’. The yield of ‘Saegeum’ in the adaptable regions was 3.02 ton ha-1. Thus, ‘Saegeum’ is adaptable to mechanized harvesting because of its high first pod height, as well as lodging and shattering resistance. (Registration number: 5929)

      • KCI등재

        2010 해남, 평창, 원주지역 갈대 등 야초류의 이용실태와 사료가치 평가

        서성(Sung Seo),한대덕(Dae Duk Han),장선식(Sun Sik Jang),김원호(Won Ho Kim),정민웅(Min Woong Jung),최진혁(Jin Hyuck Choi),김진숙(Jin Sook Kim),김하영(Ha Young Kim),이종경(Joung Kyong Le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2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는 부존 조사료자원 이용으로 수입사료를 줄이고 사료비를 절감하고자 2010년도에 전남 해남(간척지), 강원 평창(강변), 원주(섬강변), 전남 영광(와탄강변) 등 4개 지역에서 갈대와 억새 등 야초 자생지를 탐색하고, 수확·이용실태 조사와 함께 사료가치를 분석하였다. 전남 해남 해남목장 내 갈대(Phragmites communis) 위주의 야초 자생지는 300 ha로 예년에는 2회 곤포작업하여 연간 사일리지로 2,300~2,500톤(ha당 8톤)을 생산하였으나 2010년도는 1회 곤포조제로 사일리지 2,000톤(ha당 7톤)을 생산하였다. 유통가격은 롤 당 53천원으로 ㎏당 110원이었다. 곤포는 전량 자가소비하며, 외부 작업단에 롤 당 26천원의 작업비를 지불하였다. 연간 조수입은 2억 2,260만원이며, 소득은 1억원 수준(345천원/ha)이었다. 초장 150 ㎝의 갈대는 조단백질 8.4%, 상대사료가치 71.9 (건초 5등급), 건물 소화율 60.1%로 사료가치는 볏짚에 비해 약간 나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갈대 사일리지의 사료가치와 유기산 함량은 동일 지역에서 동일한 재료로 사일리지를 조제하더라도 수확시기에 따라 차이가 컸으며(CP 4.7~6.4%, RFV 62.2~78.9, 건물 소화율 41.9~53.9%), 갈대 사일리지의 품질은 수단그라스에 비해 불량하였다. 강원 평창 강변 자생갈대의 사료가치는 초장이 79, 117, 121, 142㎝로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낮아져, 조단백질은 각각 13.9%에서 7.6%로, 상대사료가치는 90.7 (건초 3등급)에서 76.1 (건초 4등급)로, 건물 소화율은 72.9%에서 54.7%로 감소하였다. 원주 섬강 주변 야초류는 곤포수확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초장 130 cm의 갈대는 조단백질 8.5%, 상대사료가치 82.3 (건초 4등급), 건물 소화율 70.2%로 사료가치는 높았으며, 220㎝의 성숙한 갈대는 조단백질 10.2%, 상대사료가치 65.1 (건초 5등급), 건물 소화율 48.9%로 볏짚 대비 조금 나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남영광지역에서는 와탄천 주변에 자생하는 갈대를 수거 이용하고자 시도하였으나 경제성이 없어 중단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볼 때, 갈대, 억새 등 야초류는 현 상태에서 최대한 수거·이용하되, 사료가치를 유지하고 가축 기호성이 양호한 시기에 수확하는 것이 중요하며, 최소한 볏짚과 비슷하거나 그 이상의 사료가치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7월 중순 이전(늦어도 7월까지)에 수확·이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2010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and forage quality of native grasses, such as Phragmites communis which might reduce the cost of feeding domestic cattle. The regions surveyed were the Haenam ranch in Haenam, Pyeongchang, Wonju, and Yeonggwang. In Haenam, yearly silage production harvested from 300 ha was 2,000 MT (7 MT/ha). All of those round bale silages were self-consumed in that region, and marketing price was 50,000 55,000 won per roll (110 won/㎏). Phragmites communis of 150 ㎝ in length contained 8.4% crude protein (CP) with relative feed value (RFV) 71.9 and 60.1%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which was somewhat more favorable than forage quality of rice straw. The silage quality of Phragmites communis varied greatly by the time of harvest (CP 4.7 6.4%, RFV 62.2 78.9, and IVDMD 41.9 53.9%), even with the same district and of the same original forage materials. Generally, the quality of Phragmites communis silage of was poorer than that of sorghum * sudangrass hybrid. In Pyeongchang, forage quality of Phragmites communis was decreased from 13.9% to 7.6% in CP, 90.7 to 76.1 in RFV, and 72.9% to 54.7% in IVDMD, as plant was getting mature, from 79 ㎝ to 117 ㎝, 121 ㎝ or to 142 ㎝ in length. In Wonju, the quality values of Phragmites communis of 130 ㎝ in length were 8.5% CP, 82.3 RFV and 70.2% IVDMD, while those of matured grasses of 220 ㎝ in length were lower (10.2% CP, 65.1 RFV and 48.9% IVDMD), but this was a little more favorable than quality of rice straw. In Yeonggwang, feeding Phragmites communis was tried in a Hanwoo feed, but stopped due to low profitability. In conclusion, the overall quality of most native grasses including Phragmites communis in this survey was poor. Therefore, we recommend that Phragmites communis and native grasses should be harvested on June or July to obtain richer forage quality in forage values than rice straw.

      • KCI등재

        ACCase 저해 제초제 cyhalofop-butyl에 대한 경남지방 수집종 피의 저항성

        원종찬,원옥재,하준,임일빈,강광식,변종영,박기웅,이증주,Won, Jong Chan,Won, Ok Jae,Ha, Jun,Im, Il-Bin,Kang, Kwang Sik,Pyon, Jong Yeong,Park, Kee Woong,Lee, Jeung Joo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18 Weed & Turfgrass Science Vol.7 No.2

        Repeated use of ACCase inhibiting herbicides for a long time has resulted in increases of resistant Echinochloa oryzicola populations in paddy fields in middle west area of Kore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herbicide resistant E. oryzicola in Gyeongsangnam-do, in which there is less information about herbicide resistance. For resistance frequency and dose-response study, seeds from 100 individual plants of E. oryzicola in Gyeongsangnam-do were collected and tested with cyhalofop-butyl. Seven percent of plants from Gyeongsangnam-do was resistant at a recommended rate of cyhalofop-butyl. $GR_{50}$ values (herbicide rates required to reduce plant growth 50%) for one representative resistant populations and five susceptible populations were $738g\;a.i.\;ha^{-1}$ and 66-234 (average 147)$g\;a.i.\;ha^{-1}$, respectively, indicating average 5 times difference in resistance. Although lower rate of frequency of herbicide resistance in Gyeongsangnam-do than in Jeollabuk-do, increases of herbicide resistance are expected in this area because of increases of direct seeded rice fields and increases of dependence on a specific herbici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nitor herbicide resistance regularly and conduct integrated herbicide resistance management in this area. 경남지역 제초제 저항성 피의 발생현황과 저항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벼 재배 논에서 100개체의 피 종자를 수집하여 ACCase 저해제인 cyhalofop-butyl에 대한 약량반응 실험을 수행한 결과, 수집한 피의 7%가 저항성으로 조사되었다. 선발된 감수성 5개체의 $GR_{50}$값은 평균 $147g\;a.i.\;ha^{-1}$로 나타났고, 함양 지역의 저항성 개체의 $GR_{50}$값은 $738g\;a.i.\;ha^{-1}$ 로 R/S (ratio of resistance to sensitivity)값은 5.01배로 나타났다. 현재 경남지역에서의 저항성 피의 발생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저항성 피의 확산을 지연시키거나 막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저항성 피의 모니터링과 체계적인 저항성 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하여 수행할 필요가 있다.

      • 외상 환자에서 의식소실 유무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병율, 증상 양상, 우울 및 불안에 관한 연구

        이유진,연규월,우행원,김영철,임원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4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의식 소실 유무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유병율 및 증상, 우울, 불안 증상을 알아보기 위해 외상을 당한 환자를 의식 소실이 있었던 환자군과 의식 소실이 없었던 환자군으로 구분하여 두 집단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병율, 증상 및 불안 정도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사고를 당하고 1달 이상 경과한 환자 120명(남자 69명, 여자 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군을 의식 소실 유무에 따라 소실군과 비소실군으로 구분하고 사회인구학적 변수, 사고 당시 의식 소실의 유무, 의식 소실 시간, 사고의 종류, 사고에 대한 기억, 사고의 심각도, 손상 심각도 점수(Injury Severity Score)를 조사하여비교하였다. 또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척도(Clinician Adminstered PTSD Scale), Beck의 우울증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상태 특성 불안처도- Ⅰ, Ⅱ(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Ⅰ, Ⅱ)를 이용하여 조사하여 두 군 사이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유병율 및 증상, 우울, 불안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통 연구 대상자 120명중 의식 소실이 있었던 환자군(소실군)은 56명(46.7%)이었고 의식 소실이 없었던 환자군(비소실군)은 64명(53.3%)이었다. 총 대상자 120명중 30명(25%)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되었으며 소실군 56명중 17명(30.4%)이 비소실군 64명중 13명(20.3%0이 각각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되었으나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x^2=1.607, P>0.05).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척도에서는 소실군에서 사고에 대한 기억 상실, 흥미 상실, 이탈, 감정 둔마, 수면자애, 예민함, 집중력 감소 증상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비소실군에서느 반복적인 회상과 놀람 반응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Beck의 우울증 척도 점수는 소실군에서 38.8±8.8, 비소실군에서 31.0±7.9로 의식 소실을 보고한 환자군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t=-3.16, 0<0.05) 상태 특성 불안 척도-I, II는 소실군에서 각각 44.5±3.3, 44.6±3.9, 비소실군에서 각각 42.9±3.0, 42.3±3.4로 소실군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t=-2.75, p<0.05, t=-3.38, p<0.05). 결 론 : 사고 당시 의식 소실이 없었던 환자군과 비교하여 외상후 스트레스장애가 비슷한 빈도로 진단되며 의식 소실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은 물론 불안 및 우울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PTSD prevalence, symptoms, depressed mood and anxiety, comparing two groups of the patients in trauma ; one who had experienced the loss of consciousness(group "A" here after) and the other group of patients who had not(group "B" here after). Method : subjects were 120 patients(age18-66) who had received trauma(traffic accident, fall down) more than 1 month. Before they consisted of 56 patients who had experienced the loss of the consciousness(46.7%) and 64 who had not(53.3%). Men were 69 and women were 51. Clinician administered PTSD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I, II were administered. The factors such as sociodemographic variables, unconsciousness at the time of trauma, memory about tranmatic accidents were considered. Result : Out of 120 subjects, 30 patients(25%) were diagnosed as PTSD : 17 from 56(30.4%) and 13 from 64(20.3%) were found in the group "A" and "B" respectively. Prevalence of PTSD was higher in the group "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x^2=1.607,p>0.05). The CAPS of group "A" showed significantly high frequency in the loss of interest, detachment, restricted affect, sleep difficulty, irritability/anger. concentration difficulty(p<0.05), while the group "B" scored high in intrusive recall and increased startle. The scores of BDI, STAI-I, I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A"(t=-3.16, p<0.05)(t=-2.75, p<0.05, t=-3.38, p<0.05). Conclusion : PTSD was mre frequent and depressed mood and anxiety appeared more often in the group qho experienced the loss of consciousness. Thus the loss of the consciousness at the time of trauma prones of the aevelopment PTSD and symptom of aepression and anx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