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fficacy of Long-Term Tenofovir-Based Therapy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with Previous Nucleos(t)ide Analogues Treatment Experience

        ( Na Eun Lee ),( Hong Seon Son ),( Sung Hoon Choi ),( Chang Hun Lee ),( Seung Young Seo ),( Seong Hun Kim ),( Sang Wook Kim ),( Seung Ok Lee ),( Soo Teik Lee ),( Dae Ghon Kim ),( In Hee Kim ) 대한간학회 2017 춘·추계 학술대회 (KASL) Vol.2017 No.1

        Aims: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TDF) is considered as the preferred treatment option for chronic hepatitis B (CHB) patients with treatment failure or resistance to prior nucleos(t)ide analogues (NAs) treatment.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long-term TDF-based therapy in CHB patients with previous NAs-experienc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total 251 patients who had previous history of NAs therapy and were treated with TDF mono (n=173) or TDF combined with other NA (n=78) from August 2012 to March 2017. Virologic response (VR) was defined as undetectable serum HBV DNA by PCR (<20 IU/mL). Results: Mean age of patients was 49.3 years, median duration of TDF therapy was 27.2 months, 75.7% were HBeAg-positive, and median HBV DNA was 3.7 log10IU/mL. The cumulative rates of VR were 188/244 (77.0%), 180/211 (85.3%), and 146/161 (90.7%) at 12, 24, and 36 months, respectively.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body mass index (OR 0.77, 95% CI 0.61-0.95, p=0.0189) and duration of TDF therapy (OR 1.09, 95% CI 1.02-1.18, p=0.0221)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R. TDF monotherapy, HBeAg-positivity, platelet count, serum albumin was associated with VR in the univariate analysis, but not significant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In relation to renal safety, patients showed renal impairment (7, 3.0%), mild hypophosphatemia (15, 7.2%), severe hypophosphatemia (1, 0.4%). Conclusions: Long-term TDF-based therapy demonstrated highly effective in viral suppression and relatively favorable renal safety in CHB patients with previous NA-experience. The body mass index and duration of TDF therapy was independent factors associated with VR.

      • Comparison of Virologic Response and Renal Safety of Long-Term Antiviral Therapy with Tenofovir and Entecavir in Naive Patient with Chronic Hepatitis B

        ( Hong Seon Son ),( Sung Hoon Choi ),( Na Eun Lee ),( Chang Hun Lee ),( Seung Young Seo ),( Seong Hun Kim ),( Sang Wook Kim ),( Seung Ok Lee ),( Soo Teik Lee ),( Dae Ghon Kim ),( In Hee Kim ) 대한간학회 2017 춘·추계 학술대회 (KASL) Vol.2017 No.1

        Aims: Tenofovir (TDF) entecavir (ETV) are considered as the preferred treatment options for treatment-naïve chronic hepatitis B (CHB) patients. We compared the virologic response and renal safety of long-term TDF versus ETV therapy in naïve CHB patient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total 432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TDF (n=205) or ETV (n=227) from August 2012 to March 2017. Virologic response (VR) was defined as undetectable serum HBV DNA by PCR (<20 IU/mL). Results: Mean age of patients, sex, baseline serum levels of AST, ALT, creatinine, and HBV DN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DF and ETV groups. The cumulative rates of VR between TDF and ETV groups were 71.6% vs. 61.8% (p=0.477), 88.1% vs. 79.6% (p=0.058), and 84.8% vs. 83.7% (p=0.966) at 1, 2, and 3 years, respectively. The cumulative rates of genotypic resistance between TDF and ETV groups were 0% vs. 0%, 0% vs. 1.5% (p=0.404), and 0% vs. 2.2% (p=0.447) at 1, 2, and 3 years, respectively. Incidences of renal impairment and hypophosphatemia during treatment up to 3 yea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HBeAg-positivity (OR 0.27, 95% CI 0.12-0.58, p=0.0012) and serum HBV DNA at 1 year 2000 IU/mL (OR 0.09, 95% CI 0.03-0.25, p<0.0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R. Conclusions: Long-term TDF and ETV treatments appear to have similar virologic response and renal safety in naïve CHB patient. However, long-term ETV therapy might to be associated with genotypic resistance in 2.2% up to 3 years, while none of patients on TDF therapy did.

      • 대한약전 수재 의약품의 기기분석법에 관한 연구(ⅩⅡ) :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한 아크리놀 및 그 제제의 분석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nalytical Methods of actinol and its preparations by HPLC

        이석호,옥치석,최보경,김영옥,최리나,박상애,최명신,김길수,이강춘 식품의약품안전청 1997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1 No.-

        아크리놀은 살균,소독에 쓰이는 약물로서 연로제 및 지사제용도의 경구투여제제등게 이용되고 있다. 공정서에 수재된 아크리놀의 분석법은 적정법이고 제제에서늬 분석법은 확립되지 않았고 원료의 적정법을 제제에 적용시 다른 주성분이나 부형제 또는 안정제 드으이 영향으로 분석오차가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아크리놀을 보다 신속·정확하게 확인 및 정량분씬을 할 수 있고 강도와 분리능이 우수한 HPLC를 이용하여 아크리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MPLC 분석조건은 이동상 :아세료니트릴 · 1% 인산일수소나트륨혼합액(40:60)(p템 5.2), 칼랏 :옥타데실실릴화한 실리카칼럼,검출기 :자외부흡광광도계(측정파장 : 254nm)을 사용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틴PLC법의 분석 결과, 검량선의 상관계수는 0.9999, 재현성(aSD(%))은 0.5234. 정균회수율은 100.28%(RSD=0.89%)로 정량성 및 재현성이 높온 분석 결과를·얻었다. 또한 시판품에 대하여 려PLC분석법과 공정서에 수재된 적정법의 시칩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핀Plf법인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므로, 조작이 간편하고 재현성이 높은 딘PLC분석법을 약전차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We describe 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crino1 and its preparations by HPLC. The optimum analrtical coriditions were as follows;column : u-Bondapak C_(18) mobile phase : acetonitrile 1% Na_(2)HPO_(4), buffer (40:60)(pH 5.2), detector : 254nm, flow rate 1.OmL/min, injection volumn : 5uL, The calibration curve at 254nm was linear within the range of 10 ~ 140㎍/mL. This HPLC method has been validated to be precise, accurate and linear. This method has also been found to be applicable to other formulations containing acrinol.

      • KCI등재
      • 위암과 식도암이 병발된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 1예

        박사영,이나영,이효진,이선영,최진혁,이순남,심강섭,성순희,한운섭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1996 EMJ (Ewha medical journal) Vol.19 No.3

        Multiple primary cancer means that more that two cancers occur independently in an individual. Recently, the incidence of multiple primary cancer has increased with lengthened survival, of cancer patients, development of new diagnostic technique and increased clinical evaluation. We report a patient who had adenocarcinoma of stomach combined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esophagus simultaneously.

      • SCOPUSKCI등재

        De novo Hyponatremia in Patients Undergoing Peritoneal Dialysis: A 12-month Observational Study

        ( Hyun Hee Lee ),( Soo Jung Choi ),( Heon Nam Lee ),( Sun Young Na ),( Jae Hyun Chang ),( Woo Kyung Chung ),( Se Joong Kim ) 대한신장학회 2010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9 No.1

        Purpose: Hyponatremia occurs infrequently in patients undergoing peritoneal dialysis (PD). Nevertheless, one must understand its pathophysiology, since the therapeutic strategy differs from that of non-PD-related hyponatremia. This study examined the clinical features of hyponatremia in PD and evaluated the factors that may contribute to its development. Methods: We retrospectively enrolled 51 normonatremic PD patients at Gachon University Gil Hospital, South Korea. Using the plasma sodium levels at month 13,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hyponatremia (Na+<135mEq/L) and normonatremia (Na+≥135mEq/L) groups. Then, the clinical variables of these patients were examined, including peritoneal function and adequacy tests, and biochemical parameters. Results: The de novo hyponatremia (n=8) and normonatremia (n=43) group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eline characteristics. At month 1, the serum albumin was lower in the hyponatremia group (p=0.022). In the peritoneal equilibration test analysis, the dialysate-to-plasma ratio for creatinine (D/Pcr) measured after 13 month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p=0.007), while the maximum dip in sodium did not diff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normalized protein equivalent of nitrogen appearance, Kt/V, or residual renal function. Conclusion: Our data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hyponatremia is associated with a lower initial serum albumin level and increased D/Pcr in patients undergoing PD. Therefore, the serum sodium levels should be monitored more carefully in these patients.

      • Chitosan/oleamide Nanofluid for Enhancing Gas Utilization Efficiency in C1-gas Bioconversion

        Eungsu KANG,Hyunsuk CHOI,Ji Yeong LEE,Min-sik KIM,Jeong Geol NA,Yoo Seong CHOI 한국생물공학회 2021 한국생물공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Microbial biotransformation using C1-gases (CH₄, CO) is a notable technique for sustainable, carbon-neutral chemical and fuel production. However, the low mass transfer coefficient (KLa) of C1-gases in biological processes has hampered the efficient production of value-added materials, despite efficient, nonnative strains having been recently developed. Here, we constructed a nanofluid material mainly composed of chitosan and oleamide (CS/OA), which was stably suspended with a particle size of 120.7 ± 39.0 ㎚ in aqueous culture media below pH 7.5. The kLa value was enhanced more than 1.5-fold with a reduction of surface tension even in the 0.0001 % (w/v) CS/OA nanofluid. In addition, when the nanofluid was applied into media for seed-cultivation of three C1-gas utilizing strains such as Methylomonas sp. DH-1, M. trichosporium OB3b, and Thermococcus onnurineus NA1 156T, the CS/OA nanoparticles attached to the cell surface, leading to a morphological change in the cell surface at extended lag-phase, and enhanced the specific cell growth rates (μmax), gas utilization efficiency in log-phase. Remarkably, the adapted strains from the seed culture using the CS/OA nanofluid media also had enhanced μmax in a subsequent subculture and the main culture using conventional culture media, resulting in higher C1 gas consumption, cell growth, and metabolite production such as formate and succinat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S/OA nanofluid could be an effective medium component to enhance the gas utilization efficiency in C1-gas microbial bioconversion.Microbial biotransformation using C1-gases (CH₄, CO) is a notable technique for sustainable, carbon-neutral chemical and fuel production. However, the low mass transfer coefficient (KLa) of C1-gases in biological processes has hampered the efficient production of value-added materials, despite efficient, nonnative strains having been recently developed. Here, we constructed a nanofluid material mainly composed of chitosan and oleamide (CS/OA), which was stably suspended with a particle size of 120.7 ± 39.0 ㎚ in aqueous culture media below pH 7.5. The kLa value was enhanced more than 1.5-fold with a reduction of surface tension even in the 0.0001 % (w/v) CS/OA nanofluid. In addition, when the nanofluid was applied into media for seed-cultivation of three C1-gas utilizing strains such as Methylomonas sp. DH-1, M. trichosporium OB3b, and Thermococcus onnurineus NA1 156T, the CS/OA nanoparticles attached to the cell surface, leading to a morphological change in the cell surface at extended lag-phase, and enhanced the specific cell growth rates (μmax), gas utilization efficiency in log-phase. Remarkably, the adapted strains from the seed culture using the CS/OA nanofluid media also had enhanced μmax in a subsequent subculture and the main culture using conventional culture media, resulting in higher C1 gas consumption, cell growth, and metabolite production such as formate and succinat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S/OA nanofluid could be an effective medium component to enhance the gas utilization efficiency in C1-gas microbial bioconversion.

      • Expression of the Na<sup>+</sup>-HCO<sub>3</sub><sup>−</sup>cotransporter and its role in pH<sub>i</sub>regulation in guinea pig salivary glands

        Li, Jingchao,Koo, Na-Youn,Cho, Ik-Hyun,Kwon, Tae-Hwan,Choi, Se-Young,Lee, Sung J.,Oh, Seog B.,Kim, Joong-Soo,Park, Kyungpyo American Physiological Society 2006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Gastrointestinal a Vol.291 No.6

        <P>Patterns of salivary HCO3<SUP>−</SUP>secretion vary and depend on species and gland types. However, the identities of the transporters involved in HCO3<SUP>−</SUP>transport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of intracellular pH (pHi) regulation in salivary glands still remain unclea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the Na<SUP>+</SUP>-HCO3<SUP>−</SUP>cotransporter (NBC) and its role in pHiregulation in guinea pig salivary glands, which can serve as an experimental model to study HCO3<SUP>−</SUP>transport in human salivary glands. RT-PCR, immunohistochemistry, and pHimeasurements from BCECF-AM-loaded cells were performed. The amiloride-sensitive Na<SUP>+</SUP>/H<SUP>+</SUP>exchanger (NHE) played a putative role in pHiregulation in salivary acinar cells and also appeared to be involved in regulation in salivary ducts. In addition to NHE, NBC also played a role in pHiregulation in both acini and ducts. In the parotid gland, NBC1 was functionally expressed in the basolateral membrane (BLM) of acinar cells and the luminal membrane (LM) of ducts. In the submandibular gland, NBC1 was expressed only in the BLM of ducts. NBC1 expressed in these two types of salivary glands takes up HCO3<SUP>−</SUP>and is involved in pHiregulation. Although NBC3 immunoreactivity was also detected in submandibular gland acinar cells and in the ducts of both glands, it is unlikely that NBC3 plays any role in pHiregulation. We conclude that NBC1 is functionally expressed and plays a role in pHiregulation in guinea pig salivary glands but that its localization and role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alivary glands.</P>

      • KCI등재

        품종별 무화과의 영양성분 비교

        나환식 ( Hwan Sik Na ),김진영 ( Jin Young Kim ),박학재 ( Hak Jae Park ),최경철 ( Gyeong Cheol Choi ),양수인 ( Soo In Yang ),이지헌 ( Ji Heon Lee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3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0 No.3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무화과 품종인 도후인(Dauphine)2종, 봉래시(Horaish)2종, 바나네(Banane) 1종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무화과의 수분은 85.37~87.28%, 회분 0.38~0.43%, 조지방 0.20~0.26%, 조단백질 0.39~0.81%로 품종별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조섬유는 바나네가 7.55±0.13%로 다른 품종 5.12~7.60%에 비해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다. 무기성분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K>Ca>Mg>Na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함량의 경우 도후인 품종이 타 품종에 비해 조금 높은 결과를 보였다. 바나네 품종과 봉래시 품종의 총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proline>aspartic acid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전체 함량의 51.68~58.71%를 차지하고 있으며, 도후인 품종의 경우 glutamic acid>aspartic acid>alanine이 전체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기억력 감퇴 예방 등 학습 능력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물질인 γ-aminobutyric acid(GABA) 함량은 바나네에서 26.69mg/100g으로 상당히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도후인이 198.91~261.64mg/kg, 봉래시 품종이 169.90~174.33mg/kg, 바나네 품종이 211.07mg/kg으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바나네(84.95mg/kg), 도후인(60.47~68.71mg/kg), 봉래시(44.12~44.60mg/kg)순으로 바나네가 가장 높았으며 품종간의 차이를 보였따. 플라보노이드성분 중 quercetin과 kaempferol은 각각 2.40~3.54mg/kg, 1.09~1.16mg/kg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the proximate compositions, minerals, free amino acid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s of fig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cultivars. The proximate compositions showed moisture at 85.37~87.28%, crude ash at 0.38~0.43%, crude lipid at 0.20~0.26%, crude protein at 0.39~0.81%, carbohydrate at 11.23~13.66% and crude fiber at 5.12~7.55% (dry base). The amounts of the following minerals in the figs were highest, in this order: K > Ca > Mg > Na.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highest in this order: Dauphine (198.91~261.64mg/kg), Banane (211.07 mg/kg) and Horaish (169.90~174.33 mg/kg).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this order. Banane (84.52 mg/kg) > Dauphine (60.47~68.71 mg/kg) > Horaish (44.12~44.60mg/kg). The quercetin contents were highest in this order. Dauphine, 2.40~3.54 mg/kg; Banane, 3.54 mg/kg; and Horaish, 2.40~2.75 mg/kg; but the flavonoid contents were lowest in this order. Dauphine, 1.11~1.16 mg/kg; Banane, 1.14 mg/kg; and Horaish, 1.09~1.11 mg/kg. The free amino acid content of the figs was 199.70~328.77 mg/100g; their essential free amino acid contents, 46.45~67.46 mg/100 g; and their GABA (γ-aminobutyric acid) contents, 13.57~26.69 mg/100 g.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와 취업 스트레스 및 취업불안과의 관계

        조미경 ( Mi Kyoung Cho ),최은지 ( Eun Ji Choi ),이지원 ( Ji Won Lee ),이유나 ( Yu Na Lee ),채지영 ( Ji Young Cha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만족도, 외모관심도, 면접에서의 외모비중,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남녀 대학생 각 85명씩, 총 17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모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특성에서 종교와 외모관리 여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이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에 대한 만족정도가 낮고 더 많은 갈등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14)의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중매체를 통해 주입된 외모지상주의의 영향이 크며, 외모를 개인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풍조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결과, 외모만족도가 낮은 여학생에서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된 결과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고, 특히 외모관리여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Song15)과 Mellor 등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외모관심도는 연령이 어릴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 평균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과 다소 일치하지만, Lee18)와 Kim17)에서 나온 결과인 연령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본 연구가 대학교 3, 4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본 연구의 4학년 학생들 중 21%는 간호대 학생으로서 이미 취업을 한 상태이므로, 취업을 위한 외모관심도는 한창 취업불안이 높은 3학년 학생들이 더 높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은 요즘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으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고, 그 결과 선배들의 취업 준비와 취업 현황을 지켜보고 있는 하위학년이 취업과 관련 있는 외모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에서는 취업과 관련된 외모관심도가 연령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취업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취업불안으로 인해 외모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미취업 학생들과 취업한 선배들 간에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면접에서의 외모비중은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면접관들이 주의 깊게 보는 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1위가 외적 이미지가 83%를 차지하고 그 외 입사열정, 인성, 설득력 있는 답변 및 상황대처 능력, 눈 마주침 순으로 나온 연구결과19)와 면접에서의 외모 효과에 대한 내용은 일맥상통하지만,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비교 논문이 없어서 성별과 면접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른 비교는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MBA 면접상황에서 외모의 효과를 실험한 연구에서는 비록 외모가 직접적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외모와 의사소통능력의 상호작용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20)도 있어서 면접자와 피면접자의 면접 평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Suk과 Choi21)에 의하면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으로 학생들이 대부분 자격증 획득을, Park과 Ban22)에 의하면 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재학 중에 외국어 시험을 준비하고 응시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취업준비행동과 외모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그 관계를 알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외모관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취업을 위해 긍정적인 외적 이미지 확립과 취업에서 필요한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이 취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에서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었던 결과는 Kim23)의 연구와는 일치하였으나, Suk과 Choi2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72%가 학교의 위상이 취업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여 취업 스트레스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와 Shin과 Chang24)의 연구에서 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취업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계열 3학년 학생비율이 높고 4학년 학생의 58%가 취업이 된 상태였기 때문에 취업 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Kim23)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일반대학 학생들로 남학생과 4학년 학생 비율이 높았고, 자료수집기간에 취업 준비의 막바지에 있는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취업 스트레스를 보고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3학년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 4학년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학년과 성별 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학생은 전수가 간호대 학생이었고, 남학생의 경우는 간호대학생과 다른 학과 학생이 섞여 있음으로 여학생에서는 선배들의 취업준비와 결과를 지켜보면서 얼마 남지 않은 취업준비기간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남학생에서는 대부분이 간호학과가 아닌 다른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본격적인 취업준비기간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 취업불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외모관리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여학생에서는 3학년이, 남학생에서는 4학년이 취업불안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Kim과 Choi25)의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학년에 비해 4학년에서 취업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와 다소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취업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학생의 취업불안이 전체 평균 66.51±23.22, 남학생이 70.19±21.80로 남학생의 취업불안의 평균이 높았던 것에 반해 남자보다 여자가 취업불안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26)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하였듯, 여학생의 경우가 남학생보다 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취업불안, 우울, 자살생각을 본 연구25)에서 같은 척도로 측정된 취업불안의 평균이 평균 75.6±22.4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의 취업불안이 조금 낮은 평균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연구대상자들이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로 비교적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취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업불안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한 학생들에 비해 미취업 학생들이 취업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 전에 취업불안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취업 불안이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에서는 외모 관심도가 높을수록, 여학생에게서는 면접 시 외모비중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취업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취업 불안에 외모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취업에 있어 면접 시 외모에 대한 평가로 취업유무가 좌우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Shin27)의 연구에서 면접관이 지원자의 용모를 면접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외모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취업 스트레스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Cho28)의 비서전공자 대상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서 졸업생들이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중요도의 순서는 인성, 자격증 순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외국어, 학력, 외모는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Yang 등29)의 지원자와 면접관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에서 승무원 채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양한 면접관과 다양한 면접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채용과정에서 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항공사별 승무원 채용 기준으로 단정한 이미지와 용모를 인재 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취업면접시의 이미지가 면접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현상4-7,27-29)에 따라 취업불안과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들은 취업 면접 시 취업하기 위한 기관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므로 취업기관별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cern regarding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the influence appearance has on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under the ever-increasing pressure on students to secure employment so that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n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s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6th, 2012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end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ile concerns regarding appearance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2. For the concerns in appea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Stress and anxiety from job-see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but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der and grades, gender and employ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3.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seeking stress a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nd in female students who placed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Conclusion: As female students perceived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s importa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while male students who showe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ls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job-seeking. A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stress was also higher according to the entire participants, based on this result, methods to decrease job-seeking anxiety should b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